맨위로가기

노먼 더글러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먼 더글러스(Norman Douglas, 1868–1952)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난 영국의 작가로, 외교관으로 잠시 일하다가 작가로 전향했다. 그는 소설, 여행기, 에세이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특히 카프리 섬을 배경으로 한 소설 《남풍》으로 명성을 얻었다. 더글러스는 자유로운 성적 묘사와 도덕적 상대주의적 관점으로 논란을 일으켰으며, 소아성애적 성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그의 작품은 여행, 철학, 사회 비평, 유머, 에로티시즘 등을 결합한 독특한 스타일을 특징으로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자살 - 수전 피터스
    수전 피터스는 1921년 미국에서 태어난 배우로, 《무작위 수확》으로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올랐으나 사고로 하반신 마비가 된 후 연극과 라디오 드라마에 출연했으며 1952년 사망했다.
  • 영국의 성소수자 작가 -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은 20세기 중요한 철학자 중 한 명으로, 『논리철학논고』를 통해 초기 논리실증주의를 대표하고 『철학적 탐구』로 후기 일상언어철학의 기초를 세웠으며, 언어 게임 개념을 제시하여 현대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영국의 성소수자 작가 - 패트릭 화이트
    패트릭 화이트는 오스트레일리아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오스트레일리아 사회를 비판적으로 묘사하고 종교적, 신비주의적 주제를 탐구하며 1973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V. S. 나이폴
    트리니다드 토바고 출신의 소설가이자 수필가인 V. S. 나이폴은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수학 후 작가로 활동하며 식민주의 유산, 종교, 정체성 등을 탐구한 작품들로 2001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
  • 영국의 여행 작가 - 조지프 콘래드
    조지프 콘래드는 폴란드 출신의 영국 소설가로, 해양을 배경으로 인간의 심리와 제국주의 등을 탐구하며 《어둠의 심연》 등의 작품을 통해 20세기 영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노먼 더글러스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5년의 더글러스
1935년의 더글러스
인물 정보
본명조지 노먼 더글러스
다른 이름Normyx
Pilaff Bey
출생1868년 12월 8일
출생지오스트리아-헝가리 튀링겐
사망1952년 2월 7일
사망지이탈리아 카프리
안장지카프리 비 가톨릭 공동묘지
국적영국
직업작가
작품
주요 작품사우스 윈드
올드 칼라브리아
몇몇 5행시
배우자
배우자엘리자베스 루이자 테오발디나 피츠기번 (1898년–1903년)

2. 생애

노먼 더글러스는 오스트리아 튀링겐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성은 출생 시 'Douglass'로 등록되었다.[2] 아버지는 면방직 공장 관리자였던 존 숄토 더글러스(1838–1874)였고, 어머니는 반다 폰 푈니츠였다. 더글러스가 약 6세 때 아버지는 사냥 사고로 사망했다. 그는 어린 시절을 튀링겐에 있는 가족 영지인 빌라 팔켄호르스트에서 보냈다.

더글러스는 주로 틸퀴힐리와 스코틀랜드에 있는 아버지의 집인 디사이드에서 자랐으며, 잉글랜드의 야를레트 홀과 업핑엄 스쿨, 이후 칼스루에의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17] 1894년에 외교부에서 근무를 시작하여 1896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근무했지만, 성추문으로 인해 휴가를 받았다.

1897년 나폴리 해안가 교외인 포실리포에 빌라 마야를 구입하고, 1898년 사촌인 엘리자베스 루이저 테오발디나 피츠기번과 결혼했다. 두 자녀, 루이 아치볼드(아치)와 로버트 숄토(로빈)를 두었으며,[3] 'Normyx'라는 필명으로 ''Unprofessional Tales''(1901)를 엘리자베스와 공동 집필했으나, 1903년 엘리자베스의 불륜으로 이혼했다.

이후 더글러스는 카프리 섬으로 이주하여 빌라 다프네와 런던을 오가며 작가로서 헌신했다. 1912년부터 1916년까지 ''The English Review''에서 일하며 D. H. 로렌스를 만났다. 저서 ''20세기 작가''에서 마르크스주의, 청교도주의와 "공식적인 기독교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정해진 형식"을 싫어한다고 언급했다.[17]

피렌체에서 활동하던 시절, 출판업자이자 서점 주인인 피노 오리올리와 교류했으며, 오리올리는 렁가르노 시리즈에서 더글러스의 책과 다른 영국 작가들의 작품을 출판했다. 1937년, 또 다른 스캔들로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 남부로 갔고, 1940년 프랑스 붕괴 후 런던으로 우회하여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살았다. 리스본에서 ''알마낙'' 초판을 소규모로 출판하고, 1946년 카프리 섬으로 돌아와 섬의 시민이 되었다.

더글러스는 오랫동안 앓은 후 약물 과다 복용으로 카프리 섬에서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7] 그의 마지막 말은 "저 젠장할 수녀들을 내게서 떼어내!"였다고 전해진다.[8][9] 그의 묘비에는 호라티우스의 송시에서 따온 "''Omnes eodem cogimur''"[3] (우리 모두는 같은 종착점으로 향한다)[10]라는 라틴 비문이 새겨져 있다.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노먼 더글러스는 1868년 오스트리아 튀링겐에서 태어났으며, 출생 당시 그의 성은 'Douglass'로 등록되었다.[2] 그의 아버지는 스코틀랜드계 존 숄토 더글러스였고, 어머니는 독일 귀족 가문 출신의 반다 폰 푈니츠였다. 더글러스가 약 6세 때 아버지가 사냥 사고로 사망한 후, 그는 튀링겐에 있는 가족 영지인 빌라 팔켄호르스트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더글러스는 주로 틸퀴힐리와 스코틀랜드에 있는 아버지의 집인 디사이드에서 자랐다. 잉글랜드의 야를레트 홀과 업핑엄 스쿨, 칼스루에의 김나지움에서 교육을 받았다.[17] 더글러스의 부계 조부는 틸퀴힐리의 제14대 영주였으며, 모계 증조부는 제17대 로르드 포브스인 제임스 오콘카 포브스 장군이었다.

2. 2. 외교관 경력과 결혼

1894년 더글러스는 외교부에 들어가 1896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근무했으나, 성추문으로 인해 휴가를 받았다.[2] 1897년 나폴리 해안가 교외인 포실리포에 빌라 마야를 구입했다. 1898년 사촌인 엘리자베스 루이저 테오발디나 피츠기번과 결혼했는데, 그들의 어머니는 자매였으며 에른스트 폰 푈니츠 남작의 딸들이었다.[3] 이들 부부는 루이 아치볼드(아치)와 로버트 숄토(로빈)라는 두 자녀를 두었다.[3] 노먼의 첫 출판물인 ''Unprofessional Tales''(1901)는 엘리자베스와의 공동 작업으로 쓰였으며, 처음에는 'Normyx'라는 필명으로 출판되었다. 그러나 이들 부부는 엘리자베스의 불륜으로 인해 1903년에 이혼했다.

2. 3. 이탈리아에서의 삶과 작가 활동

더글러스는 1897년 나폴리 해안가 교외인 포실리포에 빌라를 구입하고, 다음 해에 사촌인 엘리자베스 루이저 테오발디나 피츠기번과 결혼했다.[3] 두 사람은 'Normyx'라는 필명으로 ''Unprofessional Tales''(1901)를 공동 집필했으나, 엘리자베스의 불륜으로 1903년에 이혼했다.[3]

이후 더글러스는 카프리 섬으로 이주하여 빌라 다프네와 런던을 오가며 작가로서 헌신했다. 그의 소설 ''남풍''(1917)은 카프리 섬을 가볍게 변형한 가상의 섬 네펜테를 배경으로 한다. 그는 섬에서 아편 중독자 자크 다델스바르드-페르센 등과 교류했다.

1912년부터 1916년까지 ''The English Review''에서 일하면서 D. H. 로렌스를 만났다. 더글러스의 소설 ''They Went''(1920)는 브르타뉴 민속을 바탕으로 한 판타지이다.[17] D. H. 로렌스는 소설 ''아론의 지팡이''(1922)에서 더글러스를 모델로 한 인물을 등장시켰는데, 이로 인해 두 작가 사이에 불화가 생기기도 했다.[4]

더글러스는 피렌체에서 출판업자이자 서점 주인인 피노 오리올리와 교류하며, 그의 렁가르노 시리즈를 통해 더글러스와 다른 영국 작가들의 작품을 출판했다. 이 중에는 런던에서 출판되었다면 외설죄로 기소되었을 D. H. 로렌스의 ''레이디 채털리'' 초판도 포함되어 있다. 더글러스는 오리올리의 자서전 ''서점 주인의 모험'' 집필에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6]

1937년, 더글러스는 또 다른 스캔들로 인해 이탈리아를 떠나 프랑스 남부로 갔다. 1940년 프랑스 붕괴 후 런던으로 우회하여 1942년부터 1946년까지 살았다. 1946년 카프리 섬으로 돌아와 섬의 시민이 되었으며, 그레이엄 그린, 카이호스로 샤푸르지 소랍지, 엘리자베스 데이비드 등과 교류했다.

더글러스의 대표작 ''남풍''(South Wind)은 카프리에서의 삶을 소설화한 것으로, 도덕적, 성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언급을 담고 있어 자주 재판되었다. 그의 여행기 ''사이렌 랜드''(Siren Land, 1911), ''모래 속의 분수''(Fountains in the Sand, 1912), ''오래된 칼라브리아''(Old Calabria, 1915),[18] ''함께'' (Together, 1923), ''혼자'' (Alone, 1921), "어느 날" (One Day, 1929) 등은 박식함, 통찰력, 기발함, 훌륭한 문체를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18]

2. 4. 성추문과 논란

더글러스는 여러 차례 소아성애 및 아동 성추행 혐의를 받았다. 1916년, 영국 검찰은 더글러스를 16세 소년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했고, 1917년에는 10세와 12세 소년 두 명을 상대로 음란 행위를 한 혐의로 기소했다.[17] 더글러스는 보석으로 풀려나 이탈리아 카프리로 도주했다. 그는 또한 10세 소녀를 강간했다는 혐의로 1937년 피렌체를 떠나야 했다.

2. 5. 말년과 죽음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런던에서 지냈으며, 종전 후 카프리 섬으로 돌아와 여생을 보냈다.[7] 1946년, 그는 카프리 섬의 시민이 되었다. 그의 지인으로는 작가 그레이엄 그린, 작곡가 카이호스로 샤푸르지 소랍지, 음식 작가 엘리자베스 데이비드가 있었다.

1952년, 오랫동안 앓던 병으로 인해 약물 과다 복용으로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7] 그의 마지막 말은 "저 젠장할 수녀들을 내게서 떼어내!"였다고 전해진다.[8][9] 그의 묘비에는 호라티우스의 송시에서 따온 "''Omnes eodem cogimur''"[3] (번역: 우리 모두는 같은 종착점으로 향한다)[10]라는 라틴 비문이 새겨져 있다.

3. 작품 세계

더글러스는 소설, 여행기, 5행시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H. M. 톰린슨을 비롯한 동시대 인물뿐만 아니라 피터 에크로이드, 존 서덜랜드 등 후대 작가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에드워드 체이니는 더글러스를 '그랜드 투어' 전통을 잇는 작가로 평가했다.

더글러스의 작품 세계는 소아성애 및 아동 성범죄 혐의와 관련된 논란,[18] 그의 대표작 남풍의 도덕적, 성적 문제, 5행시 선집 ''어떤 5행시들''의 외설적인 내용 등과 관련된 비판을 빼놓고 이야기하기 어렵다.

3. 1. 주요 작품

더글러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남풍(South Wind)으로, 카프리에서의 삶을 소설화한 것이다. 이 작품은 도덕적, 성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언급을 담고 있어 자주 재판되었다.

그의 여행기는 박식함, 통찰력, 기발함, 훌륭한 문체를 결합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주요 여행기로는 ''사이렌 랜드''(Siren Land, 1911), 튀니지의 오아시스 사이를 거닐며 쓴 ''모래 속의 분수''(Fountains in the Sand, 1912), ''오래된 칼라브리아''(Old Calabria, 1915),[18] ''혼자''(Alone, 이탈리아 여행기, 1921), ''함께''(Together, 오스트리아 여행기, 1923), 그리고 단편 "어느 날"(One Day, 그리스 여행기, 1929)이 있다.[18]

존 폴 루소(John Paul Russo)는 더글러스의 작품을 리뷰하면서 "더글러스는 ... 이탈리아를 도보 여행한 세 권의 여행기를 출판했다. ''사이렌 랜드'' ... ''오래된 칼라브리아'' ... 그리고 ''혼자''.... 학자들은 첫 번째 책을 선호하고, 더글러스와 그의 추종자들은 세 번째 책을 선호하지만, 일반 독자들은 중간 작품을 걸작으로 결정했다."라고 평가했다.[18]

더글러스의 초창기 카프리에 관한 팸플릿은 ''카프리''(Capri, 사적으로 출판, 1930)에서 수정되었다. 그의 마지막 출판 작품은 ''카프리에 대한 각주''(A Footnote on Capri, 1952)였다.

1928년, 더글러스는 다소 외설적인 5행시 선집인 ''어떤 5행시들''(Some Limericks)을 가짜 학문적인 비평적 장치와 함께 출판했다. 이 고전은 종종 해적판에서 인정받지 못한 채 자주 재출판되었다.

3. 2. 문학적 특징과 영향

H. M. 톰린슨은 더글러스와 동시대 인물로, 1931년에 쓴 그의 전기에서 더글러스의 문체가 "현재 유행에 뒤떨어졌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더글러스의 글쓰기가 "때로는 스위프트만큼이나 무자비한 아이러니를 담고 있으며" "스턴만큼 따뜻하고 부드럽다"고 평했다.[13]

피터 에크로이드는 더글러스의 ''런던 거리 게임''을 "런던 어린이들의 창의력과 활력을 생생하게 기리고, 그들의 놀이를 품고 보호했던 거리에 대한 암묵적인 증언"이라고 묘사했다.[14]

존 서덜랜드는 "더글러스의 지중해 여행기는 대중의 취향과 일치했다"고 전하며, "한때 세련된 문학적 대화에서 노먼 더글러스는 가장 세련된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그 세련됨의 일부는 그의 길고 타락한 삶 전체를 통해 법망을 한 발짝 앞서 있었다는 점이다."라고 말했다.[15]

에드워드 체이니는 ''그랜드 투어와 그 너머: 남부 이탈리아의 영국 및 미국 여행가, 1545–1960''에서 "우리 [20세기]에 '보행 투어'의 위대한 전통을 잇는 진정한 계승자는 '핵심부터 이교도'인 노먼 더글러스였다."라고 썼다.[16]

더글러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남풍''(South Wind)은 카프리에서의 삶을 소설화한 것으로, 도덕적, 성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언급을 담고 있다.

그의 여행기는 박식함, 통찰력, 기발함, 훌륭한 문체를 결합한다. 이러한 작품으로는 ''사이렌 랜드''(Siren Land, 1911), 튀니지의 오아시스 사이를 거닐었다고 묘사된 ''모래 속의 분수''(Fountains in the Sand, 1912), ''오래된 칼라브리아''(Old Calabria, 1915),[18] ''함께''(Together, 1923, 오스트리아), ''혼자''(Alone, 1921, 이탈리아), 그리고 단편 "어느 날"(One Day, 1929, 그리스)이 있다.[18]

1928년, 더글러스는 다소 외설적인 5행시의 선집인 ''어떤 5행시들''(Some Limericks)을 출판했다.

3. 3. 논란과 비판

더글러스는 여러 차례 소아성애 및 아동 강간 혐의를 받았다. 1916년 영국 검찰은 더글러스를 16세 소년을 성폭행한 혐의로 기소했고, 1917년에는 10세와 12세 소년 두 명을 상대로 음란 행위를 한 혐의로 기소했다. 더글러스는 보석으로 풀려나 이탈리아 카프리로 도주했다. 그는 또한 10세 소녀를 강간했다는 혐의로 1937년 피렌체를 떠나야 했다.[18]

더글러스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남풍''(South Wind)은 카프리에서의 삶을 소설화한 것으로, 도덕적, 성적인 문제에 대한 논란의 여지가 있는 언급을 담고 있어 자주 재판되었다.

1928년, 더글러스는 다소 외설적인 5행시 선집인 ''어떤 5행시들''(Some Limericks)을 가짜 학문적인 비평적 장치와 함께 출판했다. 이 책은 해적판으로 자주 재출판되었다.

4. 작품 목록


  • Unprofessional Tales영어, 1901) - 엘사 피츠기번과의 공저[20]
  • Nerinda영어, 1901)
  • The Hydro-Geology of the Island of Capri영어, 1904)
  • Three Monographs: The Lost Literature of Capri/Tiberius/The Saracens and Corsairs of Capri영어, 1906)
  • Some Antiquarian Notes영어, 1907)
  • 《사이렌 랜드》(Siren Land영어, 1911)
  • 《모래 속의 분수: 튀니지 오아시스 기행》(Fountains in the Sand: Rambles among the Oases of Tunisia영어, 1912)
  • 《오래된 칼라브리아》(Old Calabria영어, 1915)[18]
  • 《런던 거리 게임》(London Street Games영어, 1916)
  • 《남풍》(South Wind영어, 1917)
  • 《그들이 갔다》(They Went영어, 1920)
  • 《혼자》(Alone영어, 1921)[18]
  • 《함께》(Together영어, 1923)[18]
  • 《D.H. 로렌스와 모리스 매그너스: 더 나은 매너를 위한 탄원》(D. H. Lawrence and Maurice Magnus: A Plea for Better Manners영어, 1924)
  • 《실험》(Experiments영어, 1925)
  • 《그리스 선집의 새와 짐승》(Birds and Beasts of the Greek Anthology영어, 1927)
  • 《처음에》(In the Beginning영어, 1927)
  • 《일부 리머릭: 학생들을 위해 수집 및 소개, 지리적 색인, 메모 등으로 장식됨》(Some Limericks: Collected for the use of Students, & adorned with Introduction, Geographical Index, and Notes영어, 1928)
  • 《어느 날》(One Day영어, 1929)
  • 《유럽은 어떻습니까? 동서양에 대한 몇 가지 주석》(How About Europe? Some Footnotes on East and West영어, 1929)
  • 《카프리: 섬에 대한 설명 자료》(Capri: Materials for a Description of the Island영어, 1930)
  • 《파네로스: 최음제 등에 관한 몇 마디》(Paneros: Some Words on Aphrodisiacs and the Like영어, 1930)
  • 《그들 중 셋》(Three of Them영어, 1930)
  • 《여름 섬: 이스키아와 폰자》(Summer Islands: Ischia and Ponza영어, 1931)
  • 《되돌아보기: 자서전적 여행》(Looking Back: An Autobiographical Excursion영어, 1933)
  • 《알마낙》(An Almanac영어, 1941)
  • 《늦은 수확》(Late Harvest영어, 1946)
  • 《주방의 비너스》 (Venus in the Kitchen영어, 1952) - 필라프 베이 라는 필명으로 작성
  • 《카프리에 대한 각주》(A Footnote on Capri영어, 1952)

참조

[1] 웹사이트 Capri Tourism http://www.capritour[...] 2011-08-10
[2] 웹사이트 The Douglas Archives http://www.douglashi[...] 2012-02-12
[3] 웹사이트 Collection Norman Douglas – Robert Kohler http://www.normandou[...] 2011-08-10
[4] 문서 Douglas's side of the feud is recounted in ''A Plea for Better Manners'', a privately printed pamphlet (1924), reprinted with changes in Douglas's collection, ''Experiments'' (1926). See section of this entry, "Douglas in fiction."
[5] 간행물 Lawrence replied to ''A Plea for Better Manners'' with "The Late Mr Maurice Magnus: A Letter," in ''New Statesman'', 20 February 1926. Lawrence's letter is reprinted in ''Phoenix: The Posthumous Papers'', 1936, pp. 806-807; in ''Selected Essays'', Penguin Books, 1950, pp. 349-351; and in ''The Letters of D.H. Lawrence'', Volume V, 1924-1927,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pp. 395-397. Both ''A Plea for Better Manners'' and "The Late Mr Maurice Magnus" are reprinted in Lawrence, D. H., ''Memoir of Maurice Magnus'', edited by Keith Cushman, Black Sparrow Press (1987)
[6] 서적 In his book, ''Pinorman'', [[Richard Aldington]] writes, "Pino did know English well and spoke it fluently, though with certain mistakes which gave it a peculiar flavour. And he was perfectly capable of writing those books himself, except that verbal correction would have been needed". (The books are apparently ''Adventures of a Bookseller'' and ''Moving Along: Just a Diary''.) Aldington then adds that Norman Douglas, rather than make corrections to the two books, "rewrote Pino's books, and spoiled them, by taking out the special quality which was Pino and substituting his own much less amusing mannerisms". (p. 29)
[7] 서적 Edited with an epilogue by Graham Greene, New York: Viking Press, 1976.
[8] 서적 Old Calabria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6
[9] 서적 Another introduction to ''Old Calabria'' reports, "He was just entering his eighty-fourth year when I last saw him on Capri some months before his death, and I can still hear the mock despair of his parting words: 'For God's sake, dearie, preserve me from those *******.'" John Davenport, in ''Old Calabria'', London: Secker & Warburg (1956), p. vii.
[10] 웹사이트 Horace, Ode 2.3 http://www.merriampa[...] 2011-08-10
[11] 웹사이트 Pederasts as monsters and the problem of active not-knowing – Rachel Hope Cleves https://aeon.co/essa[...] 2021-04-09
[12] 웹사이트 Norman Douglas https://spartacus-ed[...] 2021-04-09
[13] 서적 Norman Douglas 1931
[14] 서적 London: The Biography Chatto & Windus 2000
[15] 서적 2011
[16] 서적 The Evolution of the Grand Tour: Anglo-Italian Cultural Relations since the Renaissance Routledge 2000
[17] 서적 Twentieth Century Authors: A Biographical Dictionary of Modern Literature H. W. Wilson
[18] 논문 Reviews: Old Calabria by Norman Douglas 1998-06-01
[19] 웹사이트 Atlas Press https://atlaspress.c[...]
[20] 서적 Pseudonyms BCA 1977
[21] 서적 Burning Man: The Trials of D.H. Lawrence Farrar, Straus and Giroux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