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원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원동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속한 행정동이다. 조선 시대 교통 기관인 역원 중 대노원이 있던 자리에서 유래되었으며, 1975년 북구에 편입되면서 노곡동의 '노'와 원대동의 '원'을 따서 노원동으로 명명되었다. 주요 시설로는 금융 기관, 관공서, 팔달신시장과 팔달시장 등의 재래시장, 그리고 주거 시설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북구의 행정동 - 무태조야동
    무태조야동은 대구광역시 북구에 위치하며 과거 여러 동을 포함하는 지역으로, 2000년대 초 아파트 단지 건설과 2020년 연경지구 아파트 단지 입주를 통해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고 여러 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 대구 북구의 행정동 - 대현동 (대구)
    대현동은 경북대학교의 양현을 기원하는 의미로 이름 붙여졌으며, 북구 선거관리위원회, 대현소방파출소, 경북대학교 등이 위치하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이 있는 대구광역시 북구의 행정동이다.
  • 대구 북구 - 북구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북구는 1963년 설치되어 신라 시대부터 대구의 일부였으며,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고, 경북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다양한 상업 시설,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 대구역과 도시철도가 지나고, 강릉시와 보성군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대구 북구 - 칠성시장
    칠성시장은 대구 북구 칠성동에 있는 대규모 전통시장으로, 서문시장에 이어 두 번째로 크며, 9개의 시장이 모여 상권을 형성하고, 먹거리 골목과 야시장, 그리고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칠성시장역과의 인접성으로 많은 방문객이 찾는다.
  • 2009년 설치 - 압구정동
    압구정동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하며 한명회의 정자에서 유래, 고급 아파트 단지 조성 후 고소득층 거주 지역으로 발전하여 백화점, 레스토랑, 부티크 등이 밀집한 번화가이자 압구정로데오거리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령층의 소비자를 흡수하는 쇼핑 명소이며, 편리한 교통과 명문 사립학교, 그리고 대중문화 배경지로도 유명하다.
  • 2009년 설치 - 청담동
    청담동은 강남구에 위치하며, 과거 '청수골'이라 불렸던 지역으로, 도시 개발과 명문고 이전으로 발전하여 고급 주택가, 명품 매장,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밀집한 부촌이자 문화 중심지이지만, 젠트리피케이션 문제도 심각하다.
노원동
개요
위치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노원구 북부에 위치
동 종류법정동, 행정동
지리
면적4.67km²
인접 행정 구역상계동, 중계동, 도봉구 창동, 경기도 의정부시
행정 구역 정보
하위 행정동노원1동, 노원2동, 노원3동
주민센터3개 (노원1동, 노원2동, 노원3동)
역사
조선 시대경기도 양주군 노원면
1914년경기도 고양군 노해면 편입
1963년서울특별시 성동구 편입
1973년도봉구 편입
1988년노원구 분리, 노원구 노원동
교통
철도수도권 전철 4호선 (노원역, 상계역)
도로동일로, 노원로, 상계로, 덕릉로
교육 기관
초등학교서울상원초등학교, 서울신상계초등학교, 서울용원초등학교, 서울중원초등학교, 서울화랑초등학교
중학교노원중학교, 상계제일중학교, 신상중학교, 중원중학교
고등학교노원고등학교, 상계고등학교, 영신여자고등학교
주요 시설
공원노원 문화의 거리, 상계근린공원
기타롯데백화점 노원점, 노원역, 상계역

2. 유래

조선 초기에 교통 기관인 역원 중 대노원이 있었던 자리라고 하여 원대동이라고 했으며, 1975년 10월 1일 북구에 편입되면서 노곡동(魯谷洞)의 '노'와 원대동(院垈洞)의 '원'을 따서 노원동(魯院洞)이라고 하였다.

3. 역사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에서 시작하여,[1]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으로 변경되었다.[2]

3. 1. 일제강점기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서중면 원대동/용천동으로 변경되었다.[3] 1914년 4월 1일에는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으로 편입되었다.[4] 1938년 10월 1일 다시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으로 편입되었고,[5] 같은 해 11월 2일에는 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6]

3. 2. 광복 이후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원대동(서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7]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원대동이 되었고,[8] 같은 해 12월 1일 원대동을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로 분동하였다.[9] 1966년 1월 1일에는 원대동3가를 원대동3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로 분동하였다.[10]

1975년 10월 1일 서구 원대동2가 일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를 북구에 편입하고,[11] 노원동1가, 노원동2가, 노원동3가로 각각 개칭하였다. 행정동은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하였다.[12] 1979년 5월 1일 행정동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으로 분동하였다.[13]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북구 노원동,[14]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이 되었다.[15] 1998년 10월 12일 행정동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고,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합동하였다.[16] 2009년 7월 1일 행정동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합동하였다.[17]

3. 3. 행정동 변천사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대구부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1]
  • 1896년 8월 4일: 경상북도 대구군 서중면 원대동/용천동[2]
  •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서중면 원대동/용천동[3]
  • 1914년 4월 1일: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 원대동[4]
  • 1938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5]
  • 1938년 11월 2일: 경상북도 대구부 원대동(서부출장소 관할)[6]
  • 1949년 8월 15일: 경상북도 대구시 원대동(서부출장소 관할)[7]
  • 1963년 1월 1일: 경상북도 대구시 서구 원대동[8]
  • 1963년 12월 1일: 원대동을 원대동1가, 원대동2가, 원대동3가로 분동하였다.[9]
  • 1966년 1월 1일: 원대동3가를 원대동3가, 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로 분동하였다.[10]
  • 1975년 10월 1일: 서구 원대동2가 일부/원대동4가, 원대동5가, 원대동6가를 북구에 편입하고, 노원동1가, 노원동2가, 노원동3가로 각각 개칭하였다. 행정동은 노원1·2가동, 노원3가동으로 개편하였다.[12]
  • 1979년 5월 1일: 행정동 노원3가동을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으로 분동하였다.[13]
  • 1981년 7월 1일: 대구직할시 북구 노원동[14]
  • 1995년 1월 1일: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15]
  • 1998년 10월 12일: 행정동 노원1·2가동을 노원1·2동으로 개칭하고, 노원3가1동, 노원3가2동을 노원3동으로 통합하였다.[16]
  • 2009년 7월 1일: 행정동 노원1·2동, 노원3동을 노원동으로 통합하였다.[17]

4. 주요 시설

노원동에는 대구은행, 국민은행, 신한은행, 하나은행 등 여러 금융 기관과 대구북부경찰서, 우체국, 소방파출소 등 관공서, 그리고 팔달신시장, 팔달시장과 같은 재래시장이 있다. 대구노원 한신더휴, 노원보성타운 등의 주거 시설도 위치해 있다.

4. 1. 금융 기관

4. 2. 관공서

4. 3. 재래시장

팔달신시장과 팔달시장이 있다.

4. 4. 주거

아파트명건설사입주년월
대구노원 한신더휴한신공영2017년 8월
노원보성타운한국토지주택공사(정보 없음)


참조

[1] 문서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2] 문서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3]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10-01
[4]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도의위치·관할구역변경및부·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13-12-29
[5] 문서 조선총독부령 제196호 1938-09-27
[6] 문서 부조례 제22호 1938-11-02
[7] 법률 법률 제32호 1949-07-04
[8] 법률 법률 제1174호 1962-11-21
[9] 문서 시조례 제333호 1963-12-01
[10] 문서 시조례 제416호 1965-11-10
[11] 문서 대통령령 제7816호 1975-09-23
[12] 문서 시조례 제918호 1975-10-01
[13] 문서 시조례 제1181호 1979-04-30
[14] 법률 법률 제3424호 1981-04-13
[15] 법률 법률 제4789호 1994-12-20
[16] 문서 구조례 제427호 1998-10-12
[17] 문서 구조례 제908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2009-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