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부 (1910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부(1910년)는 일제강점기인 1910년에 대구 지역의 행정 구역을 지칭하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까지 존재했다. 1910년 당시 대구부는 대구면, 성북면, 공산면, 해안면, 수성면, 가창면, 달서면, 다사면, 하빈면, 성서면, 월배면, 화원면, 옥포면 등 13개의 면으로 구성되었다. 대구는 조선 시대에는 경상도에 속했으며, 1895년 23부제 실시로 대구부가 설치되었고, 1910년 한일 병합 이후 13도제 하에서 경상북도에 속했다. 1914년에는 대구부(1914년)와 현풍군 등으로 개편되었으며, 광복 이후 대구부는 대구광역시로 승격되고 달성군이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부 - 경성부
경성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한성부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1910년 10월 1일부터 1945년 해방 시점까지 존재했으며, 1943년 구제 실시와 1944년 마포구 신설을 통해 총 8개의 구 체제를 갖추었으며, 해방 후 서울로 개칭되어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었다. - 일제강점기의 부 - 목포부
목포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존재했던 행정 구역으로,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쳐 목포시로 변경되었으며, 해상 교통과 철도 개통으로 급격히 발전하여 일제의 수탈 기지 역할을 했다. - 1910년 설치 - 경성부
경성부는 일제강점기 시대에 한성부에서 개칭된 행정구역으로, 1910년 10월 1일부터 1945년 해방 시점까지 존재했으며, 1943년 구제 실시와 1944년 마포구 신설을 통해 총 8개의 구 체제를 갖추었으며, 해방 후 서울로 개칭되어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었다. - 1910년 설치 - 진해 해군기지
진해 해군기지는 1945년 일본 해군 진해 경비부 인수 후 설립된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기지로, 해군교육사령부, 해군군수사령부, 해군잠수함사령부, 해군사관학교 등 핵심 해군 시설이 위치해 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김산군
김산군은 신라시대 풍무현에서 유래하여 조선시대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김천군에 통합되어 김천시 행정구역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 경상북도의 폐지된 행정 구역 - 비안군
비안군은 상고 시대 소문국에 속했다가 신라, 고려, 조선 시대를 거치며 행정 구역 명칭과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1895년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1914년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의성군과 예천군에 분할 편입되었다.
대구부 (1910년)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명칭 | 대구부 |
설치 시기 | 1910년 10월 1일 |
폐지 시기 | 1914년 3월 1일 |
행정 구역 | |
관할 구역 | 대구면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해안면 가창면 공산면 동촌면 서면 북면 |
하위 행정 구역 | 10개 면 |
관련 정보 | |
소속 | 경상북도 |
후신 | 대구부 (1914년) |
2. 하부 행정구역 (1914년 이전)
1910년 일제 강점기에 대구부에 속했던 면(面)들의 목록과 그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 '''대구면(大邱面)'''
1911년 11월 14일 서상면(西上)과 동상면(東上)을 통합해 대구면(大邱)을 설치하였다.[3] [1]
면 | 동·리 |
---|---|
서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달성동, 쇄환동, 서내동, 북내동, 동산동, 계산동, 남산동, 남하동, 남중동, 남외동 |
동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사일동, 사이동, 남성리, 칠성리, 신전리, 용덕리,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
- '''성북면(城北面)'''
1910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대구군 동중면(東中)과 동하면(東下)이 통합되어 성북면(城北)이 설치되었다.[3] 성북면은 침산동(砧山), 옥산동(玉山), 산격동(山格), 신기동(新基), 검단동(檢丹), 복현동(伏賢), 동변동(東邊), 서변동(西邊), 이곡동(李谷), 연경동(硏經), 도덕동(道德)을 관할하였다.[3]
- '''공산면(公山面)'''
해서촌면(解西村)과 해북촌면(解北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 상리동(上里), 덕산동(德山), 송정동(松亭), 도성동(道成), 택리동(宅里), 대거동(大渠), 중리동(中里), 신천동(新川), 용진동(龍津), 지묘동(智妙), 지산동(芝山), 연경동(硏經), 내동(內), 옥정동(玉井), 미대동(美垈), 구암동(九岩), 국곡동(局谷), 신기동(新基), 무산동(武山), 백안동(百安), 수대동(水臺), 상충동(上忠), 용천동(龍泉), 미곡동(米谷), 임전동(荏田), 목과동(木果), 내학동(內鶴), 외학동(外鶴), 도장동(道藏), 진정동(眞亭), 당동(唐), 인산동(仁山), 능성동(能城), 양방동(良方), 평리동(坪里), 북광동(北廣), 남광동(南廣)을 관할하였다.
- '''해안면(解顔面)'''
해서부면(解西部)과 해동촌면(解東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
구역 | 동(洞)·리(里) |
---|---|
해서부면 | 지저동, 도동, 상향동, 하향동, 입석동, 도신동, 불로동, 현상동, 구성동, 봉무동, 단산동, 독암동, 외남동 |
해동촌면 | 검사동, 연천동, 둔산동, 대암동, 칠동, 상동, 방촌동, 격양동, 부동, 구명동, 월천동, 평리동, 신덕동 |
- '''수성면(壽城面)'''
하수서면(下守西), 수동면(守東), 수북면(守北), 수현내면(守縣內)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1]
통합된 면들의 해당 동(洞)·리(里)는 다음과 같다.
- 하수서면(下守西): 금암동(琴岩), 대명동(大明), 덕산동(德山), 봉산동(鳳山)
- 수동면(守東): 두산동(斗山), 지산동(池山), 범물동(凡勿)
- 수북면(守北): 황청동(黃靑), 소지천동(小只川), 범어동(泛魚), 효목동(孝睦), 검정동(檢汀), 만촌동(晩村), 각계동(覺界)
- 수현내면(守縣內): 상동(上), 중동(中), 하동(下), 신동(新)
- '''가창면(嘉昌面)'''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군 상수서면(上守西), 하수남면(下守南), 상수남면(上守南)이 통합되어 가창면(嘉昌面)이 설치되었다.[3] 가창면은 파남동(巴南), 파북동(巴北), 용계동(龍溪), 음오동(陰梧), 양오동(陽梧), 매계동(梅溪), 대암동(大岩), 정대동(亭垈), 흥덕동(興德), 퇴계동(退溪), 신전동(薪田), 행정동(杏亭), 창산동(昌山), 박곡동(朴谷), 상원동(上院), 전평동(錢坪), 단산동(丹山), 대일동(大逸), 상촌동(上村), 중촌동(中村), 대천동(大川), 냉천동(冷泉), 상백동(上白), 하백동(下白), 우록동(友鹿), 녹문동(鹿門), 금동(金), 옥분동(玉盆), 단양동(丹陽), 중주동(中蛛), 하주동(下蛛), 내주동(內蛛)을 관할하였다.[3]
이 지역은 현재의 대구광역시 가창면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면(面) 통합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현재의 가창면은 좀 더 넓은 지역을 포괄한다.
- '''달서면(達西面)'''
서중면(西中)과 기존 달서면(達西)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達西面중국어에는 원대동(院垈), 용천동(龍泉), 조야동(助也), 평리동(坪里), 내비동(內飛), 외비동(外飛), 노곡동(魯谷), 전암동(傳岩), 감삼동(甘三), 성당동(聖堂), 내당동(內唐), 외당동(外唐), 상리동(上里), 괘이동(掛耳), 중리동(中里), 신기동(新基), 이현동(梨峴)이 설치되었다.[3]
- '''다사면(多斯面)'''
1910년 10월 1일 하동면(河東)과 하남면(河南)을 통합하여 다사면(多斯)이 설치되었다.[3][4] 다사면에는 이천동(伊川), 달천동(達川), 박곡동(朴谷), 방천동(坊川), 서재동(鋤齋), 내촌동(內村), 세천동(世川), 문산동(汶山), 문양동(汶陽), 서부곡동(西部谷), 부곡동(釜谷), 매곡동(梅谷), 죽곡동(竹谷), 강정동(江亭)이 속했다.[3][4]
- '''하빈면(河濱面)'''
하서면(河西)과 하북면(河北)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4][1][2]
하서면에는 감문동(甘文), 동곡동(桐谷), 우목동(友睦), 봉촌동(鳳村), 묘동(竗), 하산동(霞山), 적산동(赤山), 성곡동(城谷)이 있었고, 하북면에는 현내동(縣內), 금천동(琴川), 기곡동(基谷), 성당동(聖堂), 무등동(武等), 겸동(鎌洞), 대평동(大坪), 지산동(池山), 두천동(豆川)이 있었다.
- '''성서면(城西面)'''
성서면(城西)은 원래 대구부 지역으로, 성서면(城西)과 감물천면(甘勿川)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이 지역은 파호동(巴湖), 파산동(巴山), 금회동(琴回), 호림동(狐林), 신당동(新塘), 이곡동(梨谷), 율제동(栗堤), 용상동(龍上), 용하동(龍下), 죽전동(竹田), 갈산동(葛山), 장동(壯), 망정동(望亭), 장기동(長基), 본리동(本里), 감천동(甘泉), 작촌동(鵲村), 송현동(松峴)을 관할했다.[3][1]
- '''월배면(月背面)'''
기존 월배면(月背)과 조암면(租岩)이 통합되어 월배면(月背)이 설치되었다.[4] 상인동(上仁), 채정동(蔡亭), 본리동(本里), 도덕동(道德), 도원동(桃源), 오복동(五福), 진천동(辰泉), 상동(上), 하동(下), 대천동(大泉)을 관할했다.
- '''화원면(花園面)'''
1910년 일제강점기 당시, 인흥면(仁興)과 화현내면(花縣內)이 통합되어 화원면(花園)이 설치되었다.[4] 화원면은 대곡동(大谷), 송정동(松亭), 본리동(本里), 쌍학동(雙鶴), 상리동(上里), 구라동(九羅), 외촌동(外村), 부미동(富彌), 천내동(川內), 신기동(新基), 현내동(縣內), 성산동(城山), 서촌동(鼠村), 명곡동(椧谷), 현기동(縣基), 설화동(舌化)을 관할하였다.
- '''옥포면(玉浦面)'''
옥포면은 기존 옥포, 법화면, 성평곡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4] 옥포면에는 간경동(干京), 본리동(本里), 대방동(大坊), 신당동(新塘), 교항동(橋項), 본리동(本里), 강림동(江林), 시저동(時杵), 송촌동(松村), 김흥동(金興), 만수동(晩壽), 능전동(能田), 원전동(元田), 반송동(盤松), 기산동(岐山), 기세동(奇世)이 있었다.[4]
2. 1. 면(面)
1910년 일제 강점기에 대구부에 속했던 면(面)들의 목록과 그 변천 과정은 다음과 같다.- '''대구면(大邱面)'''
1911년 11월 14일 서상면(西上)과 동상면(東上)을 통합해 대구면(大邱)을 설치하였다.[3] [1]
면 | 동·리 |
---|---|
서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달성동, 쇄환동, 서내동, 북내동, 동산동, 계산동, 남산동, 남하동, 남중동, 남외동 |
동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사일동, 사이동, 남성리, 칠성리, 신전리, 용덕리,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
- '''성북면(城北面)'''
1910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대구군 동중면(東中)과 동하면(東下)이 통합되어 성북면(城北)이 설치되었다.[3] 성북면은 침산동(砧山), 옥산동(玉山), 산격동(山格), 신기동(新基), 검단동(檢丹), 복현동(伏賢), 동변동(東邊), 서변동(西邊), 이곡동(李谷), 연경동(硏經), 도덕동(道德)을 관할하였다.[3]
- '''공산면(公山面)'''
해서촌면(解西村)과 해북촌면(解北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 상리동(上里), 덕산동(德山), 송정동(松亭), 도성동(道成), 택리동(宅里), 대거동(大渠), 중리동(中里), 신천동(新川), 용진동(龍津), 지묘동(智妙), 지산동(芝山), 연경동(硏經), 내동(內), 옥정동(玉井), 미대동(美垈), 구암동(九岩), 국곡동(局谷), 신기동(新基), 무산동(武山), 백안동(百安), 수대동(水臺), 상충동(上忠), 용천동(龍泉), 미곡동(米谷), 임전동(荏田), 목과동(木果), 내학동(內鶴), 외학동(外鶴), 도장동(道藏), 진정동(眞亭), 당동(唐), 인산동(仁山), 능성동(能城), 양방동(良方), 평리동(坪里), 북광동(北廣), 남광동(南廣)을 관할하였다.
- '''해안면(解顔面)'''
해서부면(解西部)과 해동촌면(解東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
구역 | 동(洞)·리(里) |
---|---|
해서부면 | 지저동, 도동, 상향동, 하향동, 입석동, 도신동, 불로동, 현상동, 구성동, 봉무동, 단산동, 독암동, 외남동 |
해동촌면 | 검사동, 연천동, 둔산동, 대암동, 칠동, 상동, 방촌동, 격양동, 부동, 구명동, 월천동, 평리동, 신덕동 |
- '''수성면(壽城面)'''
하수서면(下守西), 수동면(守東), 수북면(守北), 수현내면(守縣內)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1]
통합된 면들의 해당 동(洞)·리(里)는 다음과 같다.
- 하수서면(下守西): 금암동(琴岩), 대명동(大明), 덕산동(德山), 봉산동(鳳山)
- 수동면(守東): 두산동(斗山), 지산동(池山), 범물동(凡勿)
- 수북면(守北): 황청동(黃靑), 소지천동(小只川), 범어동(泛魚), 효목동(孝睦), 검정동(檢汀), 만촌동(晩村), 각계동(覺界)
- 수현내면(守縣內): 상동(上), 중동(中), 하동(下), 신동(新)
- '''가창면(嘉昌面)'''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군 상수서면(上守西), 하수남면(下守南), 상수남면(上守南)이 통합되어 가창면(嘉昌)이 설치되었다.[3] 가창면은 파남동(巴南), 파북동(巴北), 용계동(龍溪), 음오동(陰梧), 양오동(陽梧), 매계동(梅溪), 대암동(大岩), 정대동(亭垈), 흥덕동(興德), 퇴계동(退溪), 신전동(薪田), 행정동(杏亭), 창산동(昌山), 박곡동(朴谷), 상원동(上院), 전평동(錢坪), 단산동(丹山), 대일동(大逸), 상촌동(上村), 중촌동(中村), 대천동(大川), 냉천동(冷泉), 상백동(上白), 하백동(下白), 우록동(友鹿), 녹문동(鹿門), 금동(金), 옥분동(玉盆), 단양동(丹陽), 중주동(中蛛), 하주동(下蛛), 내주동(內蛛)을 관할하였다.[3]
이 지역은 현재의 대구광역시 가창면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면(面) 통합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현재의 가창면은 좀 더 넓은 지역을 포괄한다.
- '''달서면(達西面)'''
서중면(西中)과 기존 달서면(達西)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達西面중국어에는 원대동(院垈), 용천동(龍泉), 조야동(助也), 평리동(坪里), 내비동(內飛), 외비동(外飛), 노곡동(魯谷), 전암동(傳岩), 감삼동(甘三), 성당동(聖堂), 내당동(內唐), 외당동(外唐), 상리동(上里), 괘이동(掛耳), 중리동(中里), 신기동(新基), 이현동(梨峴)이 설치되었다.[3]
- '''다사면(多斯面)'''
1910년 10월 1일 하동면(河東)과 하남면(河南)을 통합하여 다사면(多斯)이 설치되었다.[3][4] 다사면에는 이천동(伊川), 달천동(達川), 박곡동(朴谷), 방천동(坊川), 서재동(鋤齋), 내촌동(內村), 세천동(世川), 문산동(汶山), 문양동(汶陽), 서부곡동(西部谷), 부곡동(釜谷), 매곡동(梅谷), 죽곡동(竹谷), 강정동(江亭)이 속했다.[3][4]
- '''하빈면(河濱面)'''
하서면(河西)과 하북면(河北)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4][1][2]
하서면에는 감문동(甘文), 동곡동(桐谷), 우목동(友睦), 봉촌동(鳳村), 묘동(竗), 하산동(霞山), 적산동(赤山), 성곡동(城谷)이 있었고, 하북면에는 현내동(縣內), 금천동(琴川), 기곡동(基谷), 성당동(聖堂), 무등동(武等), 겸동(鎌洞), 대평동(大坪), 지산동(池山), 두천동(豆川)이 있었다.
- '''성서면(城西面)'''
성서면(城西)은 원래 대구부 지역으로, 성서면(城西)과 감물천면(甘勿川)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이 지역은 파호동(巴湖), 파산동(巴山), 금회동(琴回), 호림동(狐林), 신당동(新塘), 이곡동(梨谷), 율제동(栗堤), 용상동(龍上), 용하동(龍下), 죽전동(竹田), 갈산동(葛山), 장동(壯), 망정동(望亭), 장기동(長基), 본리동(本里), 감천동(甘泉), 작촌동(鵲村), 송현동(松峴)을 관할했다.[3][1]
- '''월배면(月背面)'''
기존 월배면(月背)과 조암면(租岩)이 통합되어 월배면(月背)이 설치되었다.[4] 상인동(上仁), 채정동(蔡亭), 본리동(本里), 도덕동(道德), 도원동(桃源), 오복동(五福), 진천동(辰泉), 상동(上), 하동(下), 대천동(大泉)을 관할했다.
- '''화원면(花園面)'''
1910년 일제강점기 당시, 인흥면(仁興)과 화현내면(花縣內)이 통합되어 화원면(花園)이 설치되었다.[4] 화원면은 대곡동(大谷), 송정동(松亭), 본리동(本里), 쌍학동(雙鶴), 상리동(上里), 구라동(九羅), 외촌동(外村), 부미동(富彌), 천내동(川內), 신기동(新基), 현내동(縣內), 성산동(城山), 서촌동(鼠村), 명곡동(椧谷), 현기동(縣基), 설화동(舌化)을 관할하였다.
- '''옥포면(玉浦面)'''
옥포면은 기존 옥포, 법화면, 성평곡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4] 옥포면에는 간경동(干京), 본리동(本里), 대방동(大坊), 신당동(新塘), 교항동(橋項), 본리동(本里), 강림동(江林), 시저동(時杵), 송촌동(松村), 김흥동(金興), 만수동(晩壽), 능전동(能田), 원전동(元田), 반송동(盤松), 기산동(岐山), 기세동(奇世)이 있었다.[4]
2. 1. 1. 대구면 (大邱面)
1911년 11월 14일 서상면(西上)과 동상면(東上)을 통합해 대구면(大邱)을 설치하였다.[3] [1]면 | 동·리 |
---|---|
서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달성동, 쇄환동, 서내동, 북내동, 동산동, 계산동, 남산동, 남하동, 남중동, 남외동 |
동상면 | 전동, 후동, 남일동, 신동, 사일동, 사이동, 남성리, 칠성리, 신전리, 용덕리, 신상동, 신천동, 신하동, 가암동 |
2. 1. 2. 성북면 (城北面)
1910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대구군 동중면(東中)과 동하면(東下)이 통합되어 성북면(城北)이 설치되었다.[3] 성북면은 침산동(砧山), 옥산동(玉山), 산격동(山格), 신기동(新基), 검단동(檢丹), 복현동(伏賢), 동변동(東邊), 서변동(西邊), 이곡동(李谷), 연경동(硏經), 도덕동(道德)을 관할하였다.[3]2. 1. 3. 공산면 (公山面)
해서촌면(解西村)과 해북촌면(解北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 상리동(上里), 덕산동(德山), 송정동(松亭), 도성동(道成), 택리동(宅里), 대거동(大渠), 중리동(中里), 신천동(新川), 용진동(龍津), 지묘동(智妙), 지산동(芝山), 연경동(硏經), 내동(內), 옥정동(玉井), 미대동(美垈), 구암동(九岩), 국곡동(局谷), 신기동(新基), 무산동(武山), 백안동(百安), 수대동(水臺), 상충동(上忠), 용천동(龍泉), 미곡동(米谷), 임전동(荏田), 목과동(木果), 내학동(內鶴), 외학동(外鶴), 도장동(道藏), 진정동(眞亭), 당동(唐), 인산동(仁山), 능성동(能城), 양방동(良方), 평리동(坪里), 북광동(北廣), 남광동(南廣)을 관할하였다.2. 1. 4. 해안면 (解顔面)
해서부면(解西部)과 해동촌면(解東村)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구역 | 동(洞)·리(里) |
---|---|
해서부면 | 지저동, 도동, 상향동, 하향동, 입석동, 도신동, 불로동, 현상동, 구성동, 봉무동, 단산동, 독암동, 외남동 |
해동촌면 | 검사동, 연천동, 둔산동, 대암동, 칠동, 상동, 방촌동, 격양동, 부동, 구명동, 월천동, 평리동, 신덕동 |
2. 1. 5. 수성면 (壽城面)
하수서면(下守西), 수동면(守東), 수북면(守北), 수현내면(守縣內)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1]통합된 면들의 해당 동(洞)·리(里)는 다음과 같다.
- 하수서면(下守西): 금암동(琴岩), 대명동(大明), 덕산동(德山), 봉산동(鳳山)
- 수동면(守東): 두산동(斗山), 지산동(池山), 범물동(凡勿)
- 수북면(守北): 황청동(黃靑), 소지천동(小只川), 범어동(泛魚), 효목동(孝睦), 검정동(檢汀), 만촌동(晩村), 각계동(覺界)
- 수현내면(守縣內): 상동(上), 중동(中), 하동(下), 신동(新)
2. 1. 6. 가창면 (嘉昌面)
1910년 10월 1일, 경상북도 대구군 상수서면(上守西), 하수남면(下守南), 상수남면(上守南)이 통합되어 가창면(嘉昌面)이 설치되었다.[3] 가창면은 파남동(巴南), 파북동(巴北), 용계동(龍溪), 음오동(陰梧), 양오동(陽梧), 매계동(梅溪), 대암동(大岩), 정대동(亭垈), 흥덕동(興德), 퇴계동(退溪), 신전동(薪田), 행정동(杏亭), 창산동(昌山), 박곡동(朴谷), 상원동(上院), 전평동(錢坪), 단산동(丹山), 대일동(大逸), 상촌동(上村), 중촌동(中村), 대천동(大川), 냉천동(冷泉), 상백동(上白), 하백동(下白), 우록동(友鹿), 녹문동(鹿門), 금동(金), 옥분동(玉盆), 단양동(丹陽), 중주동(中蛛), 하주동(下蛛), 내주동(內蛛)을 관할하였다.[3]이 지역은 현재의 대구광역시 가창면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는데, 일제강점기 초기 행정구역 개편 과정에서 면(面) 통합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현재의 가창면은 좀 더 넓은 지역을 포괄한다.
2. 1. 7. 달서면 (達西面)
서중면(西中)과 기존 달서면(達西)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達西面중국어에는 원대동(院垈), 용천동(龍泉), 조야동(助也), 평리동(坪里), 내비동(內飛), 외비동(外飛), 노곡동(魯谷), 전암동(傳岩), 감삼동(甘三), 성당동(聖堂), 내당동(內唐), 외당동(外唐), 상리동(上里), 괘이동(掛耳), 중리동(中里), 신기동(新基), 이현동(梨峴)이 설치되었다.[3]2. 1. 8. 다사면 (多斯面)
1910년 10월 1일 하동면(河東)과 하남면(河南)을 통합하여 다사면(多斯)이 설치되었다.[3][4] 다사면에는 이천동(伊川), 달천동(達川), 박곡동(朴谷), 방천동(坊川), 서재동(鋤齋), 내촌동(內村), 세천동(世川), 문산동(汶山), 문양동(汶陽), 서부곡동(西部谷), 부곡동(釜谷), 매곡동(梅谷), 죽곡동(竹谷), 강정동(江亭)이 속했다.[3][4]2. 1. 9. 하빈면 (河濱面)
하서면(河西)과 하북면(河北)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3][4][1][2]하서면에는 감문동(甘文), 동곡동(桐谷), 우목동(友睦), 봉촌동(鳳村), 묘동(竗), 하산동(霞山), 적산동(赤山), 성곡동(城谷)이 있었고, 하북면에는 현내동(縣內), 금천동(琴川), 기곡동(基谷), 성당동(聖堂), 무등동(武等), 겸동(鎌洞), 대평동(大坪), 지산동(池山), 두천동(豆川)이 있었다.
2. 1. 10. 성서면 (城西面)
성서면(城西)은 원래 대구부 지역으로, 성서면(城西)과 감물천면(甘勿川)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 이 지역은 파호동(巴湖), 파산동(巴山), 금회동(琴回), 호림동(狐林), 신당동(新塘), 이곡동(梨谷), 율제동(栗堤), 용상동(龍上), 용하동(龍下), 죽전동(竹田), 갈산동(葛山), 장동(壯), 망정동(望亭), 장기동(長基), 본리동(本里), 감천동(甘泉), 작촌동(鵲村), 송현동(松峴)을 관할했다.[3][1]2. 1. 11. 월배면 (月背面)
기존 월배면(月背)과 조암면(租岩)이 통합되어 월배면(月背)이 설치되었다.[4] 상인동(上仁), 채정동(蔡亭), 본리동(本里), 도덕동(道德), 도원동(桃源), 오복동(五福), 진천동(辰泉), 상동(上), 하동(下), 대천동(大泉)을 관할했다.2. 1. 12. 화원면 (花園面)
1910년 일제강점기 당시, 인흥면(仁興)과 화현내면(花縣內)이 통합되어 화원면(花園)이 설치되었다.[4] 화원면은 대곡동(大谷), 송정동(松亭), 본리동(本里), 쌍학동(雙鶴), 상리동(上里), 구라동(九羅), 외촌동(外村), 부미동(富彌), 천내동(川內), 신기동(新基), 현내동(縣內), 성산동(城山), 서촌동(鼠村), 명곡동(椧谷), 현기동(縣基), 설화동(舌化)을 관할하였다.2. 1. 13. 옥포면 (玉浦面)
옥포면은 기존 옥포, 법화면, 성평곡면이 통합되어 설치되었다.[4] 옥포면에는 간경동(干京), 본리동(本里), 대방동(大坊), 신당동(新塘), 교항동(橋項), 본리동(本里), 강림동(江林), 시저동(時杵), 송촌동(松村), 김흥동(金興), 만수동(晩壽), 능전동(能田), 원전동(元田), 반송동(盤松), 기산동(岐山), 기세동(奇世)이 있었다.[4]3. 행정구역 변천
wikitable
조선시대 8도제 하에서 경상도에 속했다. 1895년 23부제 실시로 대구부가 설치되었다.
1910년 한일병합 이후 13도제 하에서 경상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대구부와 현풍군 등으로 개편되었다.
1945년 광복 이후 대구부는 대구광역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통합되었다.
3. 1. 8도제 / 23부제
조선시대 8도제 하에서 경상도에 속했다. 1895년 23부제 실시로 대구부가 설치되었다.3. 2. 13도제 (일제강점기)
1910년 한일병합 이후 13도제 하에서 경상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1914년 조선총독부령에 따라 대구부와 현풍군 등으로 개편되었다.3. 3. 광복 이후
1945년 광복 이후 대구부는 대구광역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달성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통합되었다.참조
[1]
기타
[2]
기타
[3]
기타
[4]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