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뇌샤텔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뇌샤텔주는 스위스 서부에 위치한 주로, 쥐라산맥 지역에 자리 잡고 있다. 1032년 처음 언급되었으며, 프로이센의 지배를 받다가 1815년 스위스 연방에 가입했다. 1848년 혁명으로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1857년 프로이센은 뇌샤텔에 대한 군주제 주장을 포기했다. 뇌샤텔은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와인, 압생트, 시계 제조로 유명하다. 2020년 기준 인구는 약 17만 6천 명이며, 뇌샤텔 시가 주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뇌샤텔주 - 르로클
    르로클은 스위스 뇌샤텔주에 위치한 도시로, 17세기부터 시계 제조 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하여 라 쇼드퐁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 유산에 등재되었으며 다양한 문화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 뇌샤텔주 - 라쇼드퐁
    라쇼드퐁은 스위스 뇌샤텔주에 위치한 도시로, 시계 산업 발달과 격자형 도시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뇌샤텔주
지도 정보
뇌샤텔 주 지도
뇌샤텔 주 지도
스위스 내 뇌샤텔 주 위치
스위스 내 위치
기본 정보
이름뇌샤텔 주
원래 이름프랑스어: Républiqu et Canton de Neuchâtel
독일어: Kanton Neuenburg
로망슈어: Chantun Neuchâtel
이탈리아어: Cantone di Neuchâtel
유형
뇌샤텔 주 깃발
뇌샤텔 주 깃발
뇌샤텔 주 문장
뇌샤텔 주 문장
국가스위스
주도뇌샤텔
가장 큰 도시라쇼드퐁
하위 행정 구역31개 자치체
면적802.24 km²
인구178,107명 (2015년)
인구 밀도자동 계산
ISO 코드CH-NE
웹사이트뇌샤텔 주 공식 웹사이트
정치 및 행정
행정부Conseil d'État (5명)
입법부Grand Council (115명)
가입1815년
지리
최고점Chasseral Ouest (1,552m)
최저점Lake Biel (429m)
경제
GDP153억 4300만 CHF (2020년)
1인당 GDP87,080 CHF (2020년)
기타
언어프랑스어
국가스위스
국가스위스

2. 역사

뇌샤텔은 현재의 스위스에서 공국으로 연방에 가입한 유일한 지역(1815년 5월 19일)이라는 독특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가 1032년 유언에서 뇌샤텔을 언급한 것이 최초의 기록이다. 이후 뇌샤텔은 여러 가문의 지배를 거쳤다. 1530년 기욤 파렐종교 개혁의 가르침을 전파하면서 뇌샤텔은 개신교 지역이 되었다.

1707년 뇌샤텔을 통치하던 오를레앙-롱귀유 가문이 단절되자, 뇌샤텔 주민들은 15명의 왕위 요구자들 중에서 개신교도인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를 새로운 통치자로 선택했다. 주민들은 새 통치자가 개신교도이면서, 영토를 보호해 줄 만큼 강하고, 동시에 간섭하지 않을 만큼 멀리 떨어져 있기를 바랐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인적 동군 연합 형태로 프로이센 왕국과 함께 뇌샤텔 공국을 통치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폐위시키고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뇌샤텔 공작으로 임명하기도 했다. 1807년부터 뇌샤텔 공국은 나폴레옹의 그랑 아르메에 노란색 유니폼으로 '카나리'라는 별명을 가진 레인저 대대를 제공했다.[4]

해방 전쟁 이후 1814년 뇌샤텔 공국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반환되었다. 뇌샤텔 정부는 엽기병 보병대대 설립을 요청했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근위대 척탄병 대대를 설립했다.[4]

1815년, 뇌샤텔 공국은 스위스 연방에 정회원으로 가입하여, 공화국으로만 구성된 스위스 주에 가입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주국이 되었다. 그러나 1848년 혁명으로 뇌샤텔에 공화국이 수립되고 스위스 연방이 연방으로 변모하면서 뇌샤텔의 군주제는 폐지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이에 저항하며 여러 차례 반혁명을 시도했으나, 1856년-1857년의 뇌샤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고, 결국 1857년 뇌샤텔에 대한 군주제 주장을 포기했다.

르 로클, 1907년

2. 1. 뇌샤텔 백작령

부르고뉴의 루돌프 3세는 1032년 자신의 유언장에서 뇌샤텔을 최초로 언급했다. 페니스(하센부르크) 백작 울리히의 왕조는 1034년에 도시와 그 영토를 장악했다. 이 왕조는 번영했고, 1373년까지 현재 스위스 주의 일부인 모든 땅은 백작에게 속했다. 1405년, 베른과 뇌샤텔 도시는 연합을 맺었다. 14세기 후반, 뇌샤텔의 땅은 자식이 없는 뇌샤텔 백작 엘리자베트의 상속으로 프라이부르크의 차링겐 영주에게, 그리고 조카들에게, 그리고 1458년에는 바덴 가문에 속한 자우젠부르크의 변경백에게 넘어갔다.

그녀의 상속녀인 하흐베르크-자우젠부르크의 요하나와 그녀의 남편인 롱귀유 공작 루이 1세는 1504년에 이를 상속받았으며, 그 후 프랑스의 오를레앙-롱귀유(발루아-뒤누아)가 이어받았다. 뇌샤텔의 스위스 동맹국은 1512년부터 1529년까지 점령했다가 미망인 백작부인에게 돌려주었다.

프랑스 설교가 기욤 파렐은 1530년 이 지역에 종교 개혁의 가르침을 전파했다. 1707년 오를레앙-롱귀유의 마리의 죽음으로 오를레앙-롱귀유 가문이 멸망했을 때, 뇌샤텔은 개신교였으며, 가톨릭 통치자에게 넘어가는 것을 피하려고 했다. 당시 뇌샤텔 주민들은 15명의 청구자 중에서 마리 공주의 후계자를 선택했다.[3] 그들은 새로운 왕자가 무엇보다도 개신교도이기를 바랐고, 또한 자신의 영토를 보호할 만큼 강해야 하지만, 그들을 내버려둘 만큼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했다. 프랑스 루이 14세 국왕은 많은 프랑스계 왕위 계승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지만, 1708년 최종 결정에서 뇌샤텔 주민들은 오렌지 가문과 나사우를 통해 다소 복잡한 방식으로 권리를 주장한 개신교 국왕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를 지지했다.

프리드리히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1708년부터 1806년까지, 그리고 1814년부터 1857년까지 인적 동군 연합으로 프로이센과 함께 뇌샤텔 공국()을 통치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뇌샤텔 공작으로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국왕을 폐위시키고 대신 그의 참모총장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임명했다. 1807년부터 이 공국은 나폴레옹의 그랑 아르메에 레인저 대대를 제공했다. 레인저들은 노란색 유니폼 때문에 ''카나리스''(즉, 카나리아)라는 별명을 얻었다.

1034년–1848년 뇌샤텔 통치자
이름통치 기간
울리히 1세 드 페니스1034–1070
망골드 1세1070–1097
망골드 2세?–1144
루돌프 1세?–1148
울리히 2세1148–1191
루돌프 2세1191–1196
베르톨트 1세1196–1259
울리히 3세1191–1225
베르톨트 1세1159–1263
루돌프 3세1259–1263
울리히 4세1263-?
앙리?-1283
아마데우스1283–1288
루돌프 4세1288–1343
루이 1세1343–1373
엘리자베트1373–1395
프라이부르크의 콘라트 4세1395–1424
장 드 프라이부르크1424–1458
하흐베르크-자우젠부르크의 루돌프 4세1458–1487
하흐베르크의 필립1487–1503
하흐베르크의 요하나1504–1512
스위스 연방1512–1529
하흐베르크의 요하나1529–1543
프랑수아 도를레앙-롱귀유1543–1548
레오노르 도를레앙-롱귀유1548–1573
앙리 1세1573–1595
앙리 2세1595–1663
장 루이 샤를1663–1668
샤를 파리1668–1672
장 루이 샤를1672–1694
네무르의 마리1694–1707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1707–1713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713–1740
프리드리히 2세1740–1786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786–1797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797–1806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1806–1814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814–1840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1840–1848/57
뇌샤텔 공화국1848년 3월 1일



해방 전쟁 이후, 이 공국은 1814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반환되었다.[4] 뇌샤텔 정부는 1814년 5월 그에게 특별 대대인 Bataillon de Chasseurs를 그의 폐하를 위해 설립할 허가를 요청했다.[4] 그러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파리에서 1814년 5월 19일에 발행된 그의 "최고 내각 명령"(''Allerhöchste Cabinets-Ordre'', A.C.O.)에 따라, 그랑 아르메 내 뇌샤텔 대대와 같은 원칙에 따라 Bataillon des Tirailleurs de la Garde를 설립했다.[4] 뇌샤텔 국무원은 대대 장교 임명권을 가지고 있었다. 사령관은 군주가 선택한 대대의 유일한 장교였다.

1815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뇌샤텔 공국이 스위스 연방에 정회원으로 가입하는 것을 허용했다. 당시 스위스 연방은 통합된 연방이 아니라 연합이었다. 이로써 뇌샤텔은 공화국으로만 구성된 스위스 주에 가입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주국이 되었다. 1848년 평화 혁명이 일어나 공화국이 수립되고 현대 스위스 연방이 연방으로 변모하면서 뇌샤텔의 군주제는 폐지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은 즉시 양보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반혁명 시도가 있었으며, 1856년-1857년의 뇌샤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185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마침내 이 지역에 대한 군주국의 주장을 포기했다.

2. 2. 종교 개혁과 프로이센의 지배

프랑스 설교자 기욤 파렐은 1530년에 이 지역에 종교 개혁의 가르침을 전파했다.[3] 1707년 마리 도를레앙스롱구에빌이 사망하면서 오를레앙-롱귀유 가문이 단절되자, 뇌샤텔은 개신교 지역이었기 때문에 가톨릭 통치자에게 넘어가는 것을 원치 않았다. 뇌샤텔 주민들은 15명의 왕위 요구자들 중에서 마리 공주의 후계자를 선택했다.[3] 그들은 새 통치자가 개신교 신자이기를 바랐고, 영토를 보호할 만큼 강하지만, 간섭하지 않을 만큼 멀리 떨어져 있기를 원했다. 프랑스 루이 14세는 프랑스 출신의 여러 왕위 계승 후보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지만, 1708년 뇌샤텔 주민들은 오렌지 가문과 나사우 가문을 통해 복잡한 방식으로 왕위 계승권을 주장한 프로이센의 개신교 국왕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를 선택했다. 그는 잔 드 로텔린의 후손도 아니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1708년부터 1806년까지, 그리고 1814년부터 1857년까지 프로이센 왕국과 개인적 동군연합 형태로 뇌샤텔 공국(Fürstentum Neuenburgde)을 통치했다. 나폴레옹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뇌샤텔 공작에서 해임하고, 자신의 참모총장인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임명했다. 1807년부터 뇌샤텔 공국은 나폴레옹의 대육군에 레인저 대대를 제공했으며, 이들은 노란색 제복 때문에 '카나리'(대서양 카나리아)라는 별명을 얻었다.[4] 해방 전쟁 이후인 1814년, 뇌샤텔 공국은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반환되었다.[4] 뇌샤텔 정부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엽기병 보병대대 설립을 요청했고,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814년 5월 19일 파리에서 "최고 내각 명령"을 통해 근위대 척탄병 대대를 설립했다.[4]

1년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뇌샤텔 공국이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했다. 당시 스위스 연방은 통합된 연방이 아니라 연합체였다. 이로써 뇌샤텔은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스위스 연방에 가입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주국이 되었다. 1848년, 평화 혁명이 일어나 뇌샤텔에 공화국이 수립되었고, 같은 해 스위스 연방도 연방으로 전환되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즉시 양보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반혁명 시도가 있었으며, 이는 1856-57년 뇌샤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결국 185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뇌샤텔 지역에 대한 군주제 주장을 포기했다.

1034년–1848년 뇌샤텔 통치자
이름통치 기간
울리히 1세 드 페니스1034–1070
망골드 1세1070–1097
망골드 2세?–1144
루돌프 1세?–1148
울리히 2세1148–1191
루돌프 2세1191–1196
베르톨트 1세1196–1259
울리히 3세1191–1225
베르톨트 1세1159–1263
루돌프 3세1259–1263
울리히 4세1263-?
앙리?-1283
아마데우스1283–1288
루돌프 4세1288–1343
루이 1세1343–1373
엘리자베트1373–1395
프라이부르크의 콘라트 4세1395–1424
장 드 프라이부르크1424–1458
하흐베르크-자우젠부르크의 루돌프 4세1458–1487
하흐베르크의 필립1487–1503
하흐베르크의 요하나1504–1512
스위스 연방1512–1529
하흐베르크의 요하나1529–1543
프랑수아 도를레앙-롱귀유1543–1548
레오노르 도를레앙-롱귀유1548–1573
앙리 1세1573–1595
앙리 2세1595–1663
장 루이 샤를1663–1668
샤를 파리1668–1672
장 루이 샤를1672–1694
네무르의 마리1694–1707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1707–1713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713–1740
프리드리히 2세1740–1786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786–1797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797–1806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1806–1814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814–1840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1840–1848/57
뇌샤텔 공화국1848년 3월 1일


2. 3. 나폴레옹 시대와 스위스 연방 가입

나폴레옹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를 뇌샤텔 공작에서 폐위시키고, 대신 자신의 참모총장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임명했다. 1807년부터 공국은 나폴레옹의 그랑 아르메에 레인저 대대를 제공했으며, 이들은 노란색 유니폼 때문에 ''카나리스''(즉, 카나리아)라는 별명을 얻었다.[4]

해방 전쟁 이후, 1814년 뇌샤텔 공국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반환되었다. 뇌샤텔 국무원은 1814년 5월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특별 대대인 샤쇠르 대대(Bataillon de Chasseurs)를 설립할 수 있도록 허가를 요청했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1814년 5월 19일 파리에서 발행된 "최고 내각 명령"(Allerhöchste Cabinets-Ordre, A.C.O.)을 통해 근위 소총병 대대(Bataillon des Tirailleurs de la Garde)를 설립했는데, 이는 그랑 아르메 내 뇌샤텔 대대와 같은 원칙을 따랐다. 뇌샤텔 국무원은 대대 장교 임명권을 가졌으며, 사령관은 군주가 선택하는 유일한 장교였다.[4]

1년 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뇌샤텔 공국이 스위스 연방에 정회원으로 가입하는 것을 허용했다. 당시 스위스 연방은 아직 통합된 연방이 아니라 연합 형태였다. 이로써 뇌샤텔은 공화국으로 구성된 스위스 주에 가입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주국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848년 평화 혁명이 일어나 공화국이 수립되고, 현대 스위스 연방이 연방으로 변모하면서 바뀌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즉시 양보하지 않아 여러 차례 반혁명 시도가 있었고, 이는 1856년-1857년의 뇌샤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결국 185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뇌샤텔 지역에 대한 군주제 주장을 포기했다.

2. 4. 공화국 수립과 뇌샤텔 위기

뇌샤텔은 현재의 스위스에서 공국으로 연방에 가입한 유일한 지역(1815년 5월 19일)이라는 독특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프랑스 설교가 기욤 파렐은 1530년 이 지역에 종교 개혁의 가르침을 전파했다. 1707년 오를레앙-롱귀유의 마리의 죽음으로 오를레앙-롱귀유 가문이 멸망했을 때, 뇌샤텔은 개신교였으며, 가톨릭 통치자에게 넘어가는 것을 피하려고 했다. 뇌샤텔 주민들은 15명의 청구자 중에서 마리 공주의 후계자를 선택했다. 그들은 새로운 왕자가 무엇보다도 개신교도이기를 바랐고, 또한 자신의 영토를 보호할 만큼 강해야 하지만, 그들을 내버려둘 만큼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어야 했다. 프랑스 루이 14세 국왕은 많은 프랑스계 왕위 계승자들을 적극적으로 지지했지만, 1708년 최종 결정에서 뇌샤텔 주민들은 오렌지 가문과 나사우를 통해 다소 복잡한 방식으로 권리를 주장한 개신교 국왕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를 지지했다.

프리드리히 1세와 그의 후계자들은 1708년부터 1806년까지, 그리고 1814년부터 1857년까지 인적 동군 연합으로 프로이센과 함께 뇌샤텔 공국(Fürstentum Neuenburgde)을 통치했다.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는 뇌샤텔 공작으로서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국왕을 폐위시키고 대신 그의 참모총장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를 임명했다. 1807년부터 이 공국은 나폴레옹의 그랑 아르메에 레인저 대대를 제공했다. 레인저들은 노란색 유니폼 때문에 ''카나리스''(즉, 카나리아)라는 별명을 얻었다.

1806년–1848년 뇌샤텔 통치자
이름통치 기간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1세1707–1713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1713–1740
프리드리히 2세1740–1786
프리드리히 빌헬름 2세1786–1797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797–1806
루이 알렉상드르 베르티에1806–1814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814–1840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1840–1848/57



해방 전쟁 이후, 이 공국은 1814년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에게 반환되었다.[4] 뇌샤텔 정부는 1814년 5월 그에게 특별 대대인 ''Bataillon de Chasseurs''를 그의 폐하를 위해 설립할 허가를 요청했다.[4] 그러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는 파리에서 1814년 5월 19일에 발행된 그의 "최고 내각 명령"(''Allerhöchste Cabinets-Ordre'', A.C.O.)에 따라, 그랑 아르메 내 뇌샤텔 대대와 같은 원칙에 따라 Bataillon des Tirailleurs de la Garde를 설립했다.[4] 뇌샤텔 국무원은 대대 장교 임명권을 가지고 있었다. 사령관은 군주가 선택한 대대의 유일한 장교였다.

일년 후, 그는 이 공국이 완전한 회원으로서 아직 통합된 연방이 아니라 연합인 스위스 연방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했다. 따라서 뇌샤텔은 완전히 공화국인 스위스 주에 가입한 최초이자 유일한 군주국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1848년 평화적인 혁명이 일어나 공화국이 수립되고 현대 스위스 연방이 연방으로 변모한 같은 해에 바뀌었다.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국왕은 즉시 양보하지 않았고, 여러 차례 반혁명 시도가 있었으며, 1856년-1857년의 뇌샤텔 사건으로 절정에 달했다. 1857년, 프리드리히 빌헬름은 마침내 이 지역에 대한 군주국의 주장을 포기했다.

3. 지리

뇌샤텔주는 스위스 서쪽 로만디 지역에 있으며, 쥐라산맥에도 위치하고 있다. 북동쪽으로는 베른주, 북서쪽으로는 프랑스 (부르고뉴-프란슈콩테)와 접해 있다. 뇌샤텔호는 주의 남동쪽에 있으며, 보주는 뇌샤텔주의 남서쪽에 위치한다. 주는 쥐라산맥 중앙에 위치하며, 뇌샤텔 호수는 남쪽 지역을, 두강은 북쪽 지역을 배수한다.

주는 일반적으로 세 지역으로 나뉜다. 포도 재배 지역은 호수를 따라 위치하고 있으며, 많은 포도밭이 있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레발레라고 불리는 지역은 더 북쪽에 위치한다. 뇌샤텔주의 가장 큰 두 계곡(뤼 계곡과 트라베르 계곡)은 이 지역에 있다. 두 계곡 모두 약 700m 고도에 있다. 주의 가장 높은 지역은 900m에서 1065m 고도의 뇌샤텔루아 산맥이다. 이 지역은 라쇼드퐁, 르로클 및 라브레빈의 긴 계곡으로 이루어져 있다.

뇌샤텔 호수 북쪽 해안, 보마르쿠스 항구에서 바라본 모습

4. 정치

뇌샤텔주는 스위스에서 여성에게 투표권을 부여한 최초의 주 중 하나이며(1959년), 5년 이상 주에 거주하는 거주 허가를 소지한 외국인에게도 투표권을 부여했고(2002년), 투표 연령을 18세로 낮추기도 했다.[5]

입법부인 뇌샤텔 대의회(Grand Council of Neuchâtel)는 115석으로 구성되며, 선거구를 구성하는 6개 지역의 인구 비례에 따라 배분된다. 6개 선거구는 뇌샤텔(35석), 부드리(Boudry, 25석), 발드트라베르(Val-de-Travers, 8석), 발드뤼(Val-de-Ruz, 10석), 르 로클(Le Locle, 10석), 라 쇼드퐁(La Chaux-de-Fonds, 27석)이다. 주 의회(State Council, 주 정부)는 5명의 "장관"으로 구성되며, 매년 순환으로 의장직을 맡아 사법, 보건 및 안전; 재정 및 사회복지; 공공경제; 지역 관리; 교육 및 문화 부서를 관리한다. 뇌샤텔 성(Château de Neuchâtel)에 청사를 두고 있는 주 당국은 4년마다 보통선거로 선출된다.

뇌샤텔 성(Château de Neuchâtel), 현재 주 정부 청사


주민들은 또한 4년마다 연방 의회 대표를 선출한다. 200명으로 구성된 국민의회(하원) 의원 5명과 46명으로 구성된 참사원(상원) 의원 2명을 선출한다.[5]

뇌샤텔주에서 1971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의회 선거에서 정당별 총 득표율[5]
정당이념197119751979198319871991199519992003200720112015
자유민주당자유주의24.322.420.619.420.422.525.720.514.812.726.924.4
기독교민주당기독교 민주주의*********3.33.53.6
사회민주당사회민주주의30.638.937.433.130.829.828.228.029.225.924.723.7
인민당스위스 민족주의********22.523.221.420.4
자유당스위스 자유주의16.022.126.430.930.027.125.224.014.413.2
복음주의 인민당기독교 민주주의*********1.2**
독립당사회자유주의**4.83.5********
녹색자유당녹색 자유주의***********3.4
보수민주당보수주의**********1.51.0
노동당사회주의13.79.87.74.23.85.27.16.93.09.210.412.2
녹색당녹색 정치***7.47.18.05.914.713.89.411.79.3
연대반자본주의*******2.72.2***
민주당국가 보수주의****3.46.42.52.3****
공화주의 운동우익 포퓰리즘10.1***********
연방 민주 연합기독교 우파******2.3*****
기타5.46.83.11.44.51.13.21.0*1.8*2.1
투표율 %48.347.243.343.737.438.131.934.050.450.242.441.8


5. 행정 구역

뇌샤텔주는 2018년까지 6개의 구(District)로 나뉘어 있었다.[9] 각 구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구(District)인구
(2015년 12월)[9]
면적 (1km2)중심 도시(Chef-lieu)기초자치단체 수
부드리40,525105.58km2부드리15
라쇼드퐁40,14392.94km2라쇼드퐁3
르로클14,506137.85km2르로클7
뇌샤텔53,77880.02km2뇌샤텔9
발드뤼즈17,082128.02km2세르니에16
발드트라베르12,073166.47km2발드트라베르3


5. 1. 구 (Districts)

뇌샤텔주의 구


2018년까지 뇌샤텔주는 6개의 구로 나뉘어 있었다. 2018년 1월 1일 구들은 해체되었고 모든 지자체들은 주 직할로 편입되었다.[11][6]

  • 부드리 (구청 소재지: 부드리)
  • 라쇼드퐁 (구청 소재지: 라쇼드퐁)
  • 르로클 (구청 소재지: 르로클)
  • 뇌샤텔 (구청 소재지: 뇌샤텔)
  • 발드뤼즈 (구청 소재지: 세르니에)
  • 발드트라베르 (구청 소재지: 발드트라베르)


2015년 12월 기준 뇌샤텔주의 구[9]
구(District)인구면적 (1km2)중심 도시(Chef-lieu)기초자치단체 수
부드리40,525105.58km2부드리15
라쇼드퐁40,14392.94km2라쇼드퐁3
르로클14,506137.85km2르로클7
뇌샤텔53,77880.02km2뇌샤텔9
발드뤼즈17,082128.02km2세르니에16
발드트라베르12,073166.47km2발드트라베르3


5. 2. 지자체 (Municipalities)

2021년 기준, 뇌샤텔주에는 27개의 지자체가 있다.[11][6]

뇌샤텔주는 다음 6개의 구(District)로 나뉜다.

구(District)인구
(2015년 12월)[9]
면적
(km²)
중심 도시(Chef-lieu)기초자치단체 수
부드리 (Boudry)40,525105.58km2부드리 (Boudry)15
라쇼드퐁 (La Chaux-de-Fonds)40,14392.94km2라쇼드퐁3
르로클 (Le Locle)14,506137.85km2르로클 (Le Locle)7
뇌샤텔 (Neuchâtel)53,77880.02km2뇌샤텔9
발드뤼 (Val-de-Ruz)17,082128.02km2셀니에 (Cernier)16
발드트라베르 (Val-de-Travers)12,073166.47km2발드트라베르 (Val-de-Travers)3
합계 (6)178,107710.88km2뇌샤텔53


6. 인구 통계

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라쇼드퐁


뇌샤텔주의 인구는 거의 전적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한다. 주는 역사적으로 강하게 개신교였지만, 최근 수십 년 동안 포르투갈이탈리아에서 로마 가톨릭 신자들이 유입되었다. 2000년 인구는 개신교 (38%)와 로마 가톨릭 (31%)으로 밀접하게 나뉘었다.[7]

2020년 기준, 175,894명의 주민이 뇌샤텔 호숫가를 따라 있는 여러 작은 마을과 도시에 상당히 고르게 분포되어 있다. 평균 인구 밀도는 ㎢당 209명이다. 뇌샤텔 (2020년 인구 : 33,455명)은 주의 수도이며 라쇼드퐁 (2020년 인구 : 36,915명)는 주에서 가장 큰 정착지이다. 주민의 약 38,000명, 또는 인구의 4분의 1보다 약간 적은 사람들이 외국 출신이다.

년도전체 인구스위스비스위스계전국
점유율
185070,75365,7734,9803.0%
1880102,74493,7918,9533.6%
1900126,279113,09013,1893.8%
1950128,152121,3576,7952.7%
1970169,173132,47836,6952.7%
2000167,949129,37738,5722.3%
2020175,8942.0%


7. 경제

뇌샤텔주는 네샤텔 호 해안을 따라 재배되는 와인과 압생트로 잘 알려져 있다. 발드트라베르는 압생트의 발상지로 유명하며, 현재 스위스와 전 세계적으로 다시 합법화되었다. 계곡에는 낙농과 가축 사육이 있지만, 뇌샤텔은 말 번식에 훌륭한 평판을 가지고 있다. 시계 제조는 주에서 잘 정립되어 있으며, 최근에는 훌륭한 역학과 마이크로칩 생산이 확립되고 있다.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Haute école Arc (베른, 쥐라 및 뇌샤텔을 대표)와 뇌샤텔 대학교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ruttoinlandsprodukt (BIP) nach Grossregion und Kanton - 2008-2018 Tabelle https://www.bfs.admi[...] 2023-07-01
[2]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 Geschlecht und Kantonen https://web.archive.[...] 2008-11-05
[3] 서적 Les chateaux neuchâtelois: anciens et modernes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Militaria: Die Neffschandeller am Schlesischen Busch Haude & Spener
[5] 보고서 Nationalratswahlen: Stärke der Parteien nach Kantonen (Schweiz = 100%) http://www.bfs.admin[...] Swiss Federal Statistical Office 2015
[6] 웹사이트 Amtliches Gemeindeverzeichnis der Schweiz https://www.bfs.admi[...] 2018-02-15
[7] 웹사이트 Wohnbevölkerung nach Religion http://www.bfs.admin[...]
[8] 웹사이트 Wallis https://hls-dhs-dss.[...]
[9] 웹사이트 Ständige und nicht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institutionellen Gliederungen, Geburtsort und Staatsangehörigkeit https://www.pxweb.bf[...] 스위스 연방 통계청 2017-01-27
[10] 웹사이트 Ständige Wohnbevölkerung nach Staatsangehörigkeit, Geschlecht und Kantonen http://www.bfs.admin[...] 2008-11-05
[11] 웹사이트 Amtliches Gemeindeverzeichnis der Schweiz https://www.bfs.admi[...] 2018-02-15
[12] 웹인용 Wallis https://hls-dhs-d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