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비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비자는 창원시에서 운영했던 공공 자전거 대여 시스템이다. 7단 변속기와 GPS를 갖춘 자전거를 도입했으나, 사용 요금 문제로 운영이 중단되었다. 초기에는 중국산 자전거를 사용하다가, 2010년 삼천리자전거와 공동 개발한 국산 자전거로 교체했다. 누비자 자전거는 알루미늄 합금 프레임, 광폭 타이어, LED 전조등, 자체 발전 후미등 등의 특징을 갖췄으며, 터미널 간 자전거 배분을 위해 운반 트럭을 이용했다. 이용을 위해서는 만 15세 이상이어야 하며, 마이비, 캐시비 카드 또는 '자전거 사랑' 카드가 필요했다. 요금은 가입 기간에 따라 다르며, 90분 초과 시 추가 요금이 부과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전거 - 상주자전거박물관
    상주자전거박물관은 대한민국 상주시에 위치하며, 자전거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고 알리기 위해 설립되어 다양한 자전거 전시와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 자전거 - 투르 드 코리아
    투르 드 코리아는 대한민국에서 개최되는 국제 사이클 대회이며, 약 1500km의 코스로 진행되고, 아시아에서 가장 긴 사이클 대회이다.
  • 창원시 - MBC경남 창원방송
    MBC경남 창원방송은 1969년 KBC경남방송으로 개국하여 마산문화방송, MBC경남으로 변경되었으며, TV방송과 라디오 방송을 운영하며 중부경남과 부산 일부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한다.
  • 창원시 - 창원극동방송
    창원극동방송은 1995년 개국하여 창원시와 인근 지역에 FM 98.1MHz와 FM 92.5MHz로 기독교 복음을 전하고 지역 사회를 위한 사회 공헌 활동을 하는 방송국이다.
  • 창원시의 교통 - 남해고속도로
    남해고속도로는 전라남도 영암군에서 부산광역시를 잇는 총 연장 273.17km의 고속도로 10호선으로, 1973년 개통 이후 확장 공사와 노선 변경을 거쳐 현재 전 구간 4차선 이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구간별로 차로 수와 제한속도가 다르다.
  • 창원시의 교통 - 마산 - 거제 연결도로
    마산 - 거제 연결도로는 창원시와 거제시를 잇는 도로 건설 사업으로, 해저터널 방식으로 건설되어 물류 운송의 편의를 제공할 예정이다.
누비자
기본 정보
누비자
누비자
명칭누비자
종류공공 자전거
운영창원시
관리창원시설공단
시스템
스테이션 수201개소
자전거 보유 대수4,780대
역사
개통2008년 10월
특징
특징창원시에서 운영하는 공영 자전거 시스템이다.
시민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자전거를 빌리고 반납하는 장소를 스테이션이라고 부른다.
회원제와 비회원제로 운영된다.
경륜공단에서 관리한다.
관련 기사
관련 기사창원시 시민공영자전거 명칭 '누비자'
한층 업그레이드된 창원자전거 '누비자' 타보세요
창원 공영자전거 `누비자' 경륜공단서 관리
창원~마산~진해 자전거 길 만든다

2. 누비자의 특징

누비자는 창원시에서 운영하는 공공 자전거 시스템이다. 초기에는 중국에서 수입한 무겁고 고장이 잦은 자전거를 사용했으나, 이후 삼천리자전거와 공동 개발한 국산 자전거로 교체하여 내구성과 편의성을 높였다. 자전거 분실 방지를 위해 GPS(위성 항법 장치)를 도입했으나 운영상의 문제로 중단되었다. 또한, 이용자들이 터미널에 자전거가 없어 불편을 겪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운반 트럭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재배치하고 있다.

2. 1. 자전거

누비자 자전거는 7단 변속기를 탑재하고, 자전거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해 위치 추적이 가능한 GPS(위성 항법 장치)를 도입하였으나 사용 요금 부담으로 인해 운영이 중단되었다.

초기에 도입한 자전거는 중국에서 기본 자전거를 수입해 각종 부품을 장착한 것이었는데, 무게가 20kg로 무겁고 고장이 잦아 국산으로 교체할 계획을 세웠다.[5] 2010년 7월부터 삼천리자전거와 창원시가 공동 개발한 새로운 자전거를 도입했다.[6] 새 자전거는 내구성 강화를 위해 프레임을 고급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제작하고 프레임 직경을 기존 55mm에서 57mm로 키웠으며, 펑크 방지를 위해 전기자전거용 광폭 타이어를 장착했다. 또한 알루미늄 페달을 달아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강화했고, 야간 전방 시야 확보를 위해 일반형 전조등을 LED 듀얼 전조등으로 교체했으며, LED 후미 점멸등을 부착했다. 후미 점멸등은 누비자 주행 시 자체 생산되는 전력을 이용하는 것으로, 국내 최초로 개발한 것이다.

터미널에 자전거가 없어 이용을 못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운반 트럭을 이용해 자전거가 많은 터미널에서 부족한 터미널로 누비자를 배분하고 있다.

2. 2. 터미널

터미널에 자전거가 없어 이용을 못하는 경우를 막기 위해 운반 트럭을 이용해 자전거가 많은 터미널에서 부족한 터미널로 누비자를 배분하고 있다.

3. 이용 방법

누비자 이용을 마치려면 자전거를 터미널의 보관대에 갖다놓으면 자동으로 반납 처리된다.

3. 1. 이용 자격

누비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만 15세 이상이어야 하며, 마이비, 캐시비 카드나 '자전거 사랑'(신용카드, 체크카드 두 종류가 있음)이 필요하다. 마이비, 캐시비 카드 소지자는 누비자 홈페이지나 시청 또는 읍·면·동 사무소를 방문 후 신청서를 작성해 가입을 신청한 다음 가까운 누비자 터미널에 등록하면 누비자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이비, 캐시비 카드가 없다면 경남은행 지점을 통해 ‘자전거 사랑 카드’를 발급받은 다음, 홈페이지나 누비자 터미널에서 이용료를 결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관내 외국인은 외국인등록증을 소유했다면 운영센터를 직접 방문해 회원가입을 하면 이용할 수 있다.

1일권 이용자(비회원)는 터미널에 마련된 키오스크(kiosk)에서 ‘1일 이용권 서비스 가입’ 버튼을 눌러 즉석에서 요금을 결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이용을 마치려면 자전거를 터미널의 보관대에 갖다놓으면 자동으로 반납 처리된다.

3. 2. 회원 가입

누비자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만 15세 이상이어야 하며, 마이비, 캐시비 카드나 '자전거 사랑'(신용카드, 체크카드 두 종류가 있음)이 필요하다. 마이비, 캐시비 카드 소지자는 누비자 홈페이지나 시청 또는 읍·면·동 사무소를 방문 후 신청서를 작성해 가입을 신청한 다음 가까운 누비자 터미널에 등록하면 누비자를 이용할 수 있다.

마이비, 캐시비 카드가 없다면 경남은행 지점을 통해 ‘자전거 사랑 카드’를 발급받은 다음, 홈페이지나 누비자 터미널에서 이용료를 결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외국인의 경우 외국인등록증을 소유했다면 운영센터를 직접 방문해 회원가입을 하면 이용할 수 있다.

1일권 이용자(비회원)는 터미널에 마련된 키오스크(kiosk)에서 ‘1일 이용권 서비스 가입’ 버튼을 눌러 즉석에서 요금을 결제하면 이용할 수 있다.

3. 3. 비회원 이용

만 15세 이상이면 누비자를 이용할 수 있으며, 비회원은 터미널에 있는 키오스크(kiosk)에서 '1일 이용권 서비스 가입' 버튼을 눌러 바로 요금을 결제하고 이용할 수 있다.[1]

3. 4. 반납

이용을 마치려면 자전거를 터미널의 보관대에 갖다놓으면 자동으로 반납 처리된다.

4. 이용 요금

누비자는 가입 기간별로 회원비가 다르게 책정되어 있다.

기간연회원 (365일)반기회원(180일)월회원 (30일)주회원 (7일)관광객용 (1일)
요금30000KRW18000KRW4000KRW2000KRW1000KRW



회원과 비회원은 대여 후 90분까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초과할 경우 추가 요금이 부과된다.

4. 1. 요금 체계

누비자는 가입 기간별로 회원비가 다르게 책정되어 있다. 회원과 비회원은 대여 후 90분까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초과할 경우 30분당 회원은 500KRW, 비회원은 1000KRW이 부과된다. 1회 최대 대여시간인 3시간을 초과할 경우 이용에 제한이 있다. (반납하면 재사용 가능) 특히 비회원은 초과 시 6억이 추가 과금되며, 자전거를 반납하면 반환된다.[1]

누비자 요금 체계[1]
기간연회원 (365일)반기회원(180일)월회원 (30일)주회원 (7일)관광객용 (1일)
요금30000KRW18000KRW4000KRW2000KRW1000KRW


4. 2. 추가 요금

누비자는 회원과 비회원 모두 대여 후 90분까지는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를 초과하면 30분당 회원은 500KRW, 비회원은 1000KRW이 부과된다. 1회 최대 대여 시간인 3시간을 초과하면 이용에 제한이 있지만, 반납 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비회원의 경우, 3시간을 초과하면 600000KRW이 추가로 과금되지만, 자전거를 반납하면 이 금액은 반환된다.

참조

[1] 뉴스 창원시 시민공영자전거 명칭 '누비자' http://www.gnnews.co[...] 경남일보 2008-09-09
[2] 뉴스 한층 업그레이드된 창원자전거 '누비자' 타보세요 https://web.archive.[...] 뉴시스 2011-06-15
[3] 뉴스 창원 공영자전거 `누비자' 경륜공단서 관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0-01-19
[4] 뉴스 창원~마산~진해 자전거 길 만든다 http://article.joins[...] 중앙일보 2010-04-11
[5] 뉴스 창원시 신형 누비자 국산으로 교체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9-09-05
[6] 뉴스 창원 공영자전거 '누비자' 명품화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10-07-28
[7] 웹사이트 창원시 명예도로 주소정보누리집(도로명주소안내시스템) 창원시 도로노선의(지정) 고시 (2017년 6월 20일 지정) https://www.juso.go.[...]
[8]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