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천리자전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천리자전거는 1944년 경성정공으로 창업하여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자전거 3000리호를 출시한 기업이다. 1968년 자전거 최초 KS마크를 획득하고, 1979년 기아산업 자전거 부문이 분사하여 삼천리자공(주)로 출범했다. 1985년 기아그룹에서 분리·독립, 1987년 국내 최초 자전거 연간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며, 1991년 자체 브랜드 레스포를 시판했다. 이후 스포츠 자전거 브랜드 블랙캣, 아팔란치아, 첼로 등을 론칭하고,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퍼스널 모빌리티 영역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팬텀, 아팔란치아, 레스포, 첼로 등 다양한 브랜드의 자전거를 생산하며, 본사는 서울특별시 강남구에, 의왕공장은 경기도 의왕시에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전거 회사 - A2B
A2B는 2008년 설립되어 Hero Eco에 인수된 전동 자전거 브랜드로, 유럽 제조 시설 이전, Electric Bicycle Network 인수, 인도 시장 진출 등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강화하며 다양한 전동 자전거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1997년 대전 둔산동에 동양백화점 둔산점 타임월드로 개점하여, 한화그룹에 인수된 후 현재의 이름으로 운영 중인 백화점이다. - 1979년 설립된 기업 - 롯데리아
롯데리아는 1972년 신격호가 일본에서 설립한 패스트푸드 프랜차이즈로,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매장망을 구축하고 새우버거와 김치버거 등 다양한 메뉴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며, 2023년 젠쇼홀딩스에 매각되었다.
삼천리자전거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삼천리 |
![]() | |
산업 | 자전거 |
설립일 | 1944년 |
창립일 | 1979년 3월 23일 (삼천리자공) |
설립일 | 1982년 9월 (삼천리자전거공업) |
설립일 | 2004년 1월 (삼천리자전거) |
이전 회사 | 기아산업㈜ 자전거 사업부 |
해체일 | 1982년 9월 (삼천리자공) |
해체일 | 2004년 1월 (삼천리자전거공업) |
형태 | 주식회사 |
본사 | 강남구, 대한민국 |
본사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대로 274 (서초동, 3000타워) |
직원 수 | 190명 (2011년 기준) |
최고 경영자 | 김석환 |
웹사이트 | 삼천리자전거 공식 웹사이트 |
웹사이트 | samchuly.co.kr |
주식 정보 | |
상장일 | 1995년 1월 4일 |
추가 정보 | |
서비스 | 자전거 생산 및 판매 |
2. 역사
1944년 삼천리자전거의 전신인 경성정공이 창업된 이후, 대한민국 자전거 산업은 꾸준히 발전해왔다. 1952년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자전거 '3000리호'가 출시되었고, 1968년에는 자전거 업계 최초로 KS마크를 획득했다. 1979년 기아산업에서 분사하여 삼천리자공(주)로 출범했으며, 1984년 삼천리자전거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다.
1985년 기아그룹에서 분리 독립한 후, 1987년 국내 최초로 연간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고 1천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했다. 1991년 자체 브랜드 '레스포'를 출시했고, 1996년에는 스포츠 자전거 브랜드 '블랙캣', '아팔란치아', '첼로'를 론칭했다.
2007년 국내 최초로 연간 판매 100만 대를 돌파했으며, 2008년 참좋은여행 편입, 첼로스포츠 인수 합병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2009년 이명박 대통령의 자전거 육성 정책에 따라 경기도 의왕시에 새 자전거 공장을 건설하기 시작하여[4], 2010년 준공 후 국산 전기자전거 '그리니티'를 출시했다.
2011년 컬러 커스텀 바이크 '메트로', 2013년 다기능 세발 자전거 '샘트라이크'를 출시했다. 2018년 O2O 서비스 '삼바몰'을 오픈하고, 2020년 퍼스널 모빌리티 영역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2. 1. 1944-1964: 창업과 성장
1944년 12월, 김철호는 기아자동차의 창업주로, 삼천리자전거의 전신인 경성정공을 설립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의 자전거 부품 생산 기업으로, 사실상 한국 자전거 산업의 시작이었다. 1945년 1월까지 경성정공은 자체 공장에서 체인, 허브, 크랭크, 페달 및 기타 부품을 생산했다. 1952년 4월, 한국 전쟁 중에 대한민국 최초의 완제품 자전거인 '3000리호'를 출시했다. 이는 에르네스트 미쇼가 프랑스에서 자전거를 대량 생산하기 시작한 지 85년 후의 일이었다.2. 2. 1965-1984: 수출 확대와 산업화
1965년 삼천리자전거는 미국에 자전거를 처음으로 수출했다.[1] 1968년에는 자전거 업계 최초로 KS마크를 획득했다.[2] 1970년대 박정희 대통령이 시흥 공장을 방문하여 산업화를 독려했고, 미국 수출이 연간 10만 대 수준으로 크게 늘었다.[3] 1979년 기아산업에서 자전거 부문이 분사되어 삼천리자공(주)이 설립되었다.[4] 1980년대에는 연간 평균 수출량이 30만 대에 이르렀다.[5] 1982년 뉴델리 아시안 게임에서 국산 자전거 '골드원'이 금메달을 땄다.[6] 1984년 삼천리자공(주)에서 삼천리자전거주식회사로 회사 이름을 바꾸고, 유아용 자전거 '패트롤'과 성인용 자전거 '버팔로'를 출시했다.2. 3. 1985-2007: 국내 1위 도약과 브랜드 다각화
1985년 기아그룹에서 분리·독립하였다.[4] 1987년 국내 최초로 자전거 연간 생산 100만 대를 돌파하였고, 1천만 불 수출의 탑을 수상하였다.[4] 같은 해, 양산시에 위치한 공장에서 100만 대의 자전거를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듬해인 서울 올림픽이 열린 해에는 미국에만 200만 대 이상의 자전거를 수출했다.1991년에는 기존의 '3000리호' 브랜드를 대체하는 자체 브랜드 '레스포'를 출시했다.[4] 레스포는 제1회 SBS 광고대상 산업정밀기기 부문에서 수상하였다.[4] 1995년에는 ISO 9001 인증을 획득하였다.[4]
1996년에는 스포츠 자전거 브랜드인 '블랙캣', '아팔란치아', '첼로'를 출시했다.[4] 2005년에는 옥천군에 있던 삼천리자전거 옥천공장이 폐쇄되었다.[4] 2007년에는 국내 최초로 자전거 연간 판매 100만 대를 돌파하였다.[4]
2. 4. 2008-현재: 친환경 정책 부응과 사업 확장
2008년, 대한민국 정부는 친환경 녹색 정책을 추진하면서 5,200km 이상의 자전거 도로 및 길 건설, 4대강 정비 사업을 통한 주요 강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연결 자전거 도로 건설 계획을 발표했다.[4] 이러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삼천리자전거는 고급 자전거 생산을 검토했고, 여행사업부 '참좋은여행'을 편입하고 첼로 스포츠를 인수 합병했다.2009년, 이명박 대통령의 자전거 육성 정책 발표에 따라 경기도 의왕시에 연간 30만 대 생산 규모의 신규 자전거 공장 건설을 추진했다.[4] 이 공장은 고객 맞춤형 자전거 제작 능력을 갖추고 있다. 2010년에는 의왕공장을 준공하고 첫 국산 전기자전거 '그리니티'를 출시했다.
2011년에는 컬러 커스텀 바이크 '메트로'를, 2013년에는 다기능 세발 자전거 '샘트라이크'를 출시했다. 2018년에는 O2O 서비스 '삼바몰(삼천리 바이크 몰)'을 오픈했으며, 2020년에는 전기자전거, 전동킥보드 등 퍼스널 모빌리티 영역으로 제품 라인업을 확장했다.
3. 브랜드
삼천리자전거는 다양한 자전거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주요 브랜드는 다음과 같다:
- 팬텀(Phantom): 전기자전거 전문 브랜드이다.
- 아팔란치아(Appalanchia): 스포츠 사이클링 브랜드이다.
- 레스포(Lespo): 1991년 만들어진 생활자전거 브랜드이다.
- 첼로(Cello): 선수용 경기 자전거 브랜드이다.
- 하운드(Hound): 젊은 층 대상 인터넷 판매용 브랜드이다.
- 넥스트(Next): 보급형 생활자전거 브랜드였으나 2013년 단종되었다.
- 메트로(Metro):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 앙드레 김(Andre Kim): 디자이너 앙드레 김 협업 디자인 자전거이다.
3. 1. 레스포 (Lespo)
1991년에 만들어진 생활자전거 브랜드이다. 레저(Leisure)와 스포츠(Sports)의 합성어이다.[5] 여성용 자전거, 산악 자전거, 전문 사이클 선수를 위한 자전거를 취급한다.3. 2. 아팔란치아 (Appalanchia)
스포츠 사이클링 브랜드이다. 국민MTB '칼라스' 시리즈, 국민로드 'XRS' 시리즈 등을 만들었다. 취미로 본격적인 라이딩을 시작하는 입문자들에게 인기 있는 자전거 브랜드이다.[5]3. 3. 첼로 (Cello)
첼로(Cello)는 '퍼포먼스 자전거'라고도 불리는 선수용 경기 자전거 브랜드이다. 삼천리자전거 브랜드와 분리되어 별도로 운영되며, 고가의 카본 제품 위주로 라인업이 구성되어 있다.3. 4. 팬텀 (Phantom)
2010년 국내 첫 전기자전거 출시 이후, 2019년 본격적으로 라인업이 확장되었다. 현재 20여 종의 다양한 전기자전거를 생산하여 폭넓은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다. 안전하고 AS가 쉬워 인기 있는 브랜드이다.3. 5. 하운드 (Hound)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인터넷 판매용 브랜드이다.3. 6. 메트로 (Metro)
메트로는 하이브리드 모델이며, 프레임, 휠, 핸들 등 다양한 개인 커스텀이 가능한 브랜드이다.3. 7. 앙드레 김 (Andre Kim)
앙드레 김이 삼천리자전거와 협업하여 디자인한 자전거이다. 프랑스의 루이비통 자전거, 샤넬 자전거와 같은 패션 자전거의 일종으로 대한민국 디자이너가 처음으로 디자인한 패션 콜라보레이션 상품이다.[6] 자전거 프레임에는 나무의 줄기, 꽃, 용 무늬 등 앙드레 김이 의상에 애용하는 자연적인 모티브가 그려져 있다.[6] 아동용, 여성용, 미니벨로, MTB 등의 제품들이 출시되었다.[6]3. 8. 넥스트 (Next)
넥스트(Next)는 보급형 생활 자전거 브랜드이다.[5] 대량 유통을 하는 브랜드로, 입문용 및 여성용 자전거와 같은 일반 자전거를 취급한다. 2013년에 단종되었으며, 현재 레스포로 통합되었다.[5]4. 광고 모델
연도 | 모델 |
---|---|
1981년 ~ 1982년 | 신양균 |
1990년 ~ 1993년 | 손지창 |
1994년 ~ 1996년 | 서태지와 아이들 |
1998년 ~ 2000년 | 핑클 |
2011년 | 한효주 |
2012년 | 유아인 |
2014년 ~ 2015년 | 김영광 |
2016년 ~ 2017년 | 류준열 |
2018년 | 강소라 |
2019년 | 조보아 |
5. 사업장
5. 1. 본사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445 (삼성동, 본솔빌딩)5. 2. 의왕공장
경기도 의왕시 고래들길 57 (오전동 150-10)에 위치한다.참조
[1]
웹사이트
Folding Bike - MarcleLeisure.co.uk
http://www.marclelei[...]
[2]
웹사이트
SAMCHULY BICYCLE CO.,LTD. - South Korean Suppliers and Products
http://www.gobizkore[...]
[3]
웹사이트
products from korea
http://wopeclub.kote[...]
[4]
뉴스
삼천리자전거 국내 생산기지 다시 짓는다
http://economy.hanko[...]
서울경제
2009-12-10
[5]
뉴스
자전거 전성시대의 '명품 전쟁' 토종 명가 삼천리 vs MTB 개척자 코렉스
http://m-economy.cho[...]
조선일보
[6]
뉴스
앙드레김 자전거 나왔다
http://news.mk.co.kr[...]
매일경제
2009-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