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적투표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적투표제는 유권자가 여러 명의 후보에게 투표할 수 있으며, 각 후보에게 투표수를 분배할 수 있는 선거 방식이다. 이 제도는 소수 집단의 대표성을 보장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1853년 케이프 식민지에서 처음 채택된 이후 일리노이주 하원 의원 선출, 캐나다 토론토 시 위원회 선출 등 다양한 지역에서 활용되었다. 누적투표는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모든 표를 몰아주는 플럼프 투표와 같은 전략적 투표를 가능하게 하며, 기업 이사 선임에도 사용된다. 스위스, 독일, 미국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으며, 소수 대표를 보장하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사회의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거 제도 - 소선거구제
    소선거구제는 한 선거구에서 최다 득표자 1인을 당선시키는 방식으로, 정국 안정 등의 장점이 있으나 사표 발생, 지역주의 심화 등의 단점도 나타나며, 대한민국에서 선거제도 개혁 논의가 진행된다.
  • 선거 제도 - 다수대표제
    다수 대표제는 선거에서 다수 또는 과반수를 얻은 후보나 정당이 모든 의석을 차지하는 선거 제도로, 승자 독식의 원칙을 따르며, 신속한 상황 대처와 행정부-입법부 간 대립 감소에 기여하지만 소수 정당 의견 반영이 어렵고 사표가 많이 발생할 수 있다.
누적투표제
개요
유형다수 득표 시스템
사용처정부 선출
회사 이사회
기타 조직
장점소수 그룹의 대표성 증가 가능
전략적 투표 가능
단점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표의 수를 계산해야 함
전략적 투표가 복잡할 수 있음
관련 용어단기 이양식 투표 (STV)
추가 구성원 시스템 (MMP)
준례식 투표 시스템
상세 정보
정의유권자가 여러 후보에게 표를 분배할 수 있는 투표 시스템
작동 방식각 유권자는 투표할 수 있는 표의 총 수를 가짐
유권자는 한 후보에게 여러 표를 할당 가능
유권자는 모든 표를 한 후보에게 할당하거나 여러 후보에게 분산 가능
목적소수 그룹이 대표를 선출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
전략적 투표유권자는 특정 후보를 지지하기 위해 표를 전략적으로 분배해야 함
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표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
변형
제한 누적 투표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할당할 수 있는 표의 수에 제한이 있음
완전 누적 투표유권자가 모든 표를 한 후보에게 할당할 수 있음
사용 사례
정부 선출일부 국가 및 지역에서 사용
회사 이사회주주가 이사를 선출하는 데 사용
기타 조직다양한 조직에서 의사 결정에 사용
역사
기원19세기 영국에서 시작
미국1870년 일리노이 주에서 처음 사용
다른 주에서도 제한적으로 사용
현재 일부 지방 정부 및 회사에서 사용
대한민국1954년 제3대 총선에서 처음 도입
1960년 폐지
장단점
장점소수 그룹의 대표성 증가
전략적 투표를 통해 선호하는 후보 당선 가능성 증가
단점승리하기 위해 필요한 표의 수를 계산해야 함
전략적 투표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음
참고 자료
관련 문서단기 이양식 투표 (STV)
혼합 구성원 비례 대표제 (MMP)
준례식 투표 시스템
참고 자료FairVote - State Regulations on Cumulative Voting for Corporate Boards
Quadratic Voting as Efficient Corporate Governance
Quadratic Voting: How Mechanism Design Can Radicalize Democracy
기타
관련 프로젝트참여 예산제 (Toronto Housing)

2. 역사

누적투표제는 19세기 중반, 제임스 가스 마셜에 의해 제안되었다.[24] 초기에는 케이프 식민지[24]와 미국 일리노이주 등에서 채택되었다.[5]

1965년 미국 투표권법 제정 이후, 누적투표제는 미국에서 소수 집단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법원은 투표권법 위반 소송에서 누적투표제 사용을 명령하기도 했다.[9]

누적투표제는 워크숍 등에서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도출된 아이디어들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방법으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다중 투표"라고 불리며, 명목 집단 기법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식스 시그마 경영 전략에서 제안된 도구 중 하나이다.[14]

2. 1. 초기 역사

제임스 가스 마셜이 누적투표제를 추진했으며, 1853년 케이프 식민지의 제2원(하원)에서 채택되었다.[24] 1870년부터 1980년까지 일리노이주 하원 의원 선출에 사용되었고,[25][26][27][28] 19세기 후반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일부 학교 위원회를 선출하는 데 사용되었다.[6][7][8]

1904년부터 캐나다 토론토의 시 위원회를 선출하는 데에도 사용되었다. 1903년 9월 '비례대표 검토'에서는 누적 투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2. 2. 각국의 도입 사례

1870년부터 1980년 폐지될 때까지 일리노이주 하원 의원 선출에 누적투표제가 사용되었으며[5], 19세기 후반 영국스코틀랜드에서 일부 학교 위원회를 선출하는 데 사용되었다.[6][7][8]

1904년부터 캐나다 토론토의 시 위원회를 선출하는 데 누적투표제가 사용되었다. 1903년 9월 '비례대표 검토'에서는 누적 투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 통제 위원회에 적용되는 누적 투표는 각 유권자가 4표를 갖지만 각기 다른 후보에게 모두 줄 필요는 없다는 의미입니다. 원한다면 그렇게 할 수 있지만, 모든 4표를 한 후보에게 줄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몰표"가 이전 "블록" 투표 시스템보다 4배 더 강력해집니다. 이전에는 한 후보에게 "몰표"를 던지면 4표 중 3표를 버리는 꼴이었습니다. 이제 몰표를 던지든 아니든, 투표 권한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몰표는 올바른 방법입니다. 사실 비례대표제는 최고의 시스템에서 득표 이전을 위한 조항을 추가하여 한 후보에게 너무 많은 표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대표 방식입니다... 유권자가 4표 모두를 한 후보에게 줄 수 있도록 하는 것 외에도 누적 방식은 두 표를 한 후보에게, 두 표를 다른 후보에게 줄 수 있도록 하거나 세 표를 한 후보에게 주고 나머지 한 표를 다른 후보에게 줄 수 있습니다. 사실 4표를 원하는 대로 분배하거나 누적할 수 있습니다... 유권자의 4분의 1이 모든 표를 한 후보에게 몰표를 던지면, 나머지 4분의 3이 무엇을 선택하든 그 후보를 당선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누적 투표는 신중하게 사용하면 소수 대표를 허용합니다.[13]

2012년 3월 현재, 미국에서 50개 이상의 지역 사회가 누적투표제를 사용하고 있으며, 모두 1965년 전국 투표권법에 따라 제기된 소송의 결과이다.[9] 여기에는 시의회 절반을 위한 일리노이주 피오리아, 카운티 의회 및 학교 위원회를 위한 앨라배마주 칠턴 카운티, 학교 위원회 및 대학 이사회를 위한 텍사스주 아마릴로 등이 있다.[9] 법원은 때때로 미국의 투표권법에 따라 제기된 소송에서 구제 수단으로 그 사용을 강제한다. 이의 예로 2009년 뉴욕주 포트체스터에서 발생했으며,[10][11] 2010년 이사회를 위한 첫 누적투표 선거를 실시했다.[12]

2. 3. 미국 투표권법과의 관계

1965년 미국 투표권법 제정 이후, 미국에서는 소수 집단의 투표권을 보장하기 위한 소송 결과로 누적투표제가 채택된 사례가 있다.[9] 예를 들어, 일리노이주 피오리아에서는 시의회 절반을, 앨라배마주 칠턴 카운티에서는 카운티 의회 및 학교 위원회를, 텍사스주 아마릴로에서는 학교 위원회 및 대학 이사회를 누적투표제로 선출한다.[9]

법원은 때때로 미국의 투표권법에 따라 제기된 소송에서 구제 수단으로 누적투표제 사용을 강제하기도 한다. 2009년 뉴욕주 포트체스터에서는 법원 명령에 따라 2010년 이사회를 위한 첫 누적투표 선거가 실시되었다.[10][11][12]

3. 특징

누적 투표는 후보자에 대한 투표가 선거 제도에 따라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어 독일 함부르크 주의회에서는 누적 투표의 영향이 크지만, 헤센 주 기초의회 선거에서는 유권자가 주어진 투표수를 모두 사용하지 않거나 정당에 투표하면 명부 순서대로 우선 배정되기 때문에 명부 순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동등하고 균등한 투표에서 점수는 지지하는 모든 후보에게 균등하게 분배된다.


기업 환경에서 누적 투표 반대자들은 이사회가 분열되어 회사의 장기적인 이익에 해를 끼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사 임기 분산제를 사용하면 한 번에 선출되는 의석 수를 줄여 소수 파벌이 대표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17] 로버트의 회의 규칙 새로 개정판에 따르면, 단체는 정관에서 누적 투표를 채택할 수 있으며, "소수 집단은 해당 집단의 구성원인 단일 후보에게 투표하는 노력을 조정함으로써, 해당 후보를 이사회의 소수 구성원으로 선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명시되어 있다.[18]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하야시다 키타로는 단기 비이양식 투표를 일본 중의원 선거에 도입할 때 일리노이 주의 누적 투표를 참고했다.[33]

3. 1. 소수 대표 보장

누적 투표는 둘 이상의 의석이 채워지는 선거에서 유권자가 여러 표를 행사할 수 있도록 허용하며, 채워야 할 의석 수만큼 투표할 수 있고, 각 유권자는 선호하는 후보에게 여러 표를 줄 수 있는 제도이다. 소수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몰표를 던지면 입법 기관에서 대표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는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한 번 이상 투표할 수 없고, 50% 미만이더라도 최대 단일 블록이 선거구에서 선출된 모든 대표자를 통제할 수 있는 블록 투표와는 다르다.[17]

분수 투표 용지


스티커 도트 투표


누적 투표제의 옹호자들은 정치적 소수자와 인종적 소수자가 더 나은 대표성을 가질 자격이 있다고 주장한다. 소수 유권자들은 자신이 선택한 소수의 후보에게 표를 집중함으로써, 예를 들어 도시의 20%를 차지하는 같은 생각을 가진 유권자 집단은 5석 중 1석을 얻을 수 있도록 유리한 위치를 점할 수 있다. 모든 형태의 누적 투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한다 (단, 해당 소수의 후보가 동일한 선거에서 2명 이상 출마하는 경우, 표 분산으로 인해 해당 집단이 대표성을 얻지 못할 수 있다).[18]

누적 투표에서는 각 선거인에게 복수의 표가 주어지며, 선거인은 이 복수의 표를 후보자들에게 임의로 분배하여 투표할 수 있다. 즉, 누적 투표에서는 일부 표를 동일인에게 중복하여 투표할 수 있으며, 가지고 있는 표 전부를 한 명의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선자는 상대적인 득표수가 많은 순으로 결정된다.[23]

누적 투표의 특징은 선거인의 과반수 미만의 소수파에게도 대표를 선출할 권리를 부여한다는 점에 있다. 실제로, n석을 선출하는 선거에서, 전체 유권자가 보유한 표가 균등한 경우, 전체 유권자의 1/(n+1)을 초과하는 집단은 1명의 후보에게 표를 집중시킴으로써, 집단 밖의 유권자의 행동에 관계없이, 반드시 1명의 당선자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누적 투표는 소수 대표제로 분류된다.[24]

3. 2. 전략적 투표

누적 투표 선거에서 유권자는 투표를 배분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후보에게 모든 표를 몰아주는 집중 투표(Plumping) 전략을 사용하거나, 여러 후보에게 표를 분산하는 전략을 사용할 수 있다.

누적 투표는 소수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몰표를 던지면 대표성을 확보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한 번 이상 투표할 수 없는 블록 투표와는 다른 점이다. 하야시다 키타로는 단기 비이양식 투표를 일본 중의원 선거에 도입하면서, 일리노이주의 누적 투표를 참고했다[33]

후보에 대한 투표는 선거제도에 따라 다양하게 영향을 미친다. 독일 함부르크 주의회의 경우 누적투표의 영향이 큰 반면, 독일 헤센주 기초의회 선거의 경우 유권자가 주어진 투표수를 다 행사하지 않거나 정당에 투표한 경우 명부 순서로 우선 배정되기 때문에 명부 순서에 영향을 덜 미친다.

3. 2. 1. 집중 투표 (Plumping)

플럼프 투표는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모든 표를 몰아주는 것을 의미한다.[21] 18세기 초, 리처드 차일드 경은 1710년 에식스에서 득표의 90%를 이러한 "플럼퍼"로 얻어 당선되면서 이 문제가 격렬하게 논의되었다.[22]

3. 2. 2. 필요 득표수 (Quota)

선출에 필요한 투표수를 결정하는 공식은 드루프 쿼터라고 하며 다음과 같다.[24]

:투표수영어 / (의석수영어 + 1)

누적 투표는 선거인의 과반수 미만 소수파에게도 대표를 선출할 권리를 부여한다는 특징이 있다. 실제로 n석을 선출하는 선거에서 전체 유권자가 보유한 표가 균등한 경우, 전체 유권자의 1/(n+1)을 초과하는 집단은 1명의 후보에게 표를 집중하면 집단 밖 유권자의 행동과 관계없이 반드시 1명의 당선자를 낼 수 있다. 따라서 누적 투표는 소수 대표제로 분류된다.[24]

4. 투표 방식

누적 투표는 둘 이상의 의석을 채우는 선거에서 사용된다. 유권자는 여러 표를 행사할 수 있으며, 채워야 할 의석 수만큼 투표할 수 있다. 각 유권자는 선호하는 후보에게 여러 표를 줄 수 있는데, 이는 소수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몰표를 던져 대표성을 확보할 가능성을 높여준다. 이는 유권자가 한 후보에게 한 번 이상 투표할 수 없고, 50% 미만이더라도 최대 단일 블록이 선거구에서 선출된 모든 대표자를 통제할 수 있는 블록 투표와는 다르다.

누적 투표제는 유권자가 선택을 표시하는 방식과 유권자가 투표를 분산할 수 있는 정도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누적 투표에서는 각 선거인에게 복수의 표가 주어지며, 선거인은 이 복수의 표를 후보자들에게 임의로 분배하여 투표할 수 있다. 즉, 일부 표를 동일인에게 중복하여 투표할 수 있으며, 특히 가지고 있는 표 전부를 한 명의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선자는 상대적인 득표수가 많은 순으로 결정된다.[23]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 방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기업 투표 용지


4. 1. 기표 방식

누적투표는 유권자에게 주어진 투표권 수만큼 투표 용지에 기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후보별로 표를 분배하고 싶은 만큼 기표하면 되며, 한 후보에게 모든 표를 몰아주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은 직관적이고 투·개표가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유권자에게 부여된 표의 수가 많아지면 투표용지 제작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23]

누적 투표에서는 각 선거인에게 복수의 표가 주어지며, 선거인은 이 복수의 표를 후보자들에게 자유롭게 분배하여 투표할 수 있다. 즉, 일부 표를 동일인에게 중복하여 투표하거나, 가지고 있는 표 전부를 한 명의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하는 것도 가능하다.[23]

함부르크 주의회 선거가 이러한 기표 방식의 누적투표제를 사용하고 있다.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 방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4. 2. 숫자 기입 방식

숫자 기입 방식 누적투표제는 유권자에게 부여된 표를 후보별로 숫자를 기입하여 분배하는 방식이다. 숫자를 적는 것 외에는 다른 투표 방식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숫자 부여 방식의 경우 한 후보에게 투표할 수 있는 표의 수가 제한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기표 방식에 비해 직관적이지 않고 개표 과정이 복잡한 편이다. 복잡한 투표 과정 때문에 무효표가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되지만, 실제 숫자 기입 방식을 적용하고 있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 기초의회 선거의 무효표 비율과 기표 방식의 연방하원 선거의 무효표 비율을 비교하면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37]

유권자가 각 후보 옆에 원하는 점수를 기입하는 유사한 방식도 있다. 이 경우, 투표 용지에 적힌 점수를 유권자가 할당한 총 점수로 나누어 할당 비율의 합이 100%가 되도록 한다. 투표를 정규화해야 할 필요가 있어 손으로 개표하는 과정은 복잡하지만, 투표 절차를 단순화하고 각 유권자에게 최대의 유연성을 제공한다.

누적 투표에서는 각 선거인에게 복수의 표가 주어진다. 선거인은 이 복수의 표를 후보자들에게 임의로 분배하여 투표할 수 있다. 즉, 누적 투표에서는 일부 표를 동일인에게 중복하여 투표할 수 있다. 특히, 가지고 있는 표 전부를 한 명의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선자는 상대적인 득표수가 많은 순으로 결정된다.[23]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4. 3. 성명 중복 기입 방식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비어있는 투표용지를 받아 지지 후보의 이름을 쓰는 방식이다. 이때 지지 후보의 이름을 여러 번 쓰면 누적투표가 이루어진다.[38]

누적 투표에서는 각 선거인에게 복수의 표가 주어진다. 선거인은 이 복수의 표를 후보자들에게 임의로 분배하여 투표할 수 있다. 즉, 누적 투표에서는 일부 표를 동일인에게 중복하여 투표할 수 있으며, 특히 가지고 있는 표 전부를 한 명의 후보에게 집중하여 투표하는 것도 가능하다. 당선자는 상대적인 득표수가 많은 순으로 결정된다.[23]

4. 4. 점 투표 (Dot voting)

'''점 투표'''(Dot voting영어)는 '''다중 투표'''라고도 불리며,[15][16] 누적 투표의 한 방식이다. 유권자는 투표 용지에 있는 한 명 이상의 후보에게 분배할 수 있는 정해진 수의 점수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유권자는 원하는 후보에게 할당하려는 각 점수마다 하나의 표시를 한다.

점 투표에서 참가자는 제한된 수의 스티커 또는 펜으로 표시를 사용하여 선택한 옵션에 투표한다. 점 스티커가 가장 일반적이다. 이 스티커 투표 방식은 누적 투표의 한 형태이다.

점 투표는 현재 애자일(agile) 및 린(lean) 방법론을 채택한 팀에서 빠른 협업 의사 결정을 내리는 데 널리 사용된다. 예를 들어, 미국 일반 서비스 관리청의 18F 디지털 서비스 기관에서 승인한 방법 중 하나이며, 디자인 스프린트 방법론의 일부이다.

일반적으로 각 유권자에게 부여되는 점수는 당선 후보 수(채워야 할 의석 수)와 같다.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4. 5. 균등 분배 (Equal-and-even)

지지하는 모든 후보를 표시하면, 투표는 승인 투표와 같이 선호하는 후보에게 자동으로 균등하게 배분된다.[23] 유권자는 더 선호하는 후보에게 다른 수준의 지지를 줄 수 없어 유연성은 떨어지지만, 투표 용지 작성을 단순화한다.

투표 옵션
위와 같은 포인트식은 가장 많이 사용된다. 선거인은 세로 열마다 하나씩만 마크할 수 있다.


5. 활용 사례

누적투표제는 후보에 대한 투표가 선거 제도에 따라 다양하게 영향을 미치는 제도이다. 후보 투표의 영향력은 정당 명부 순서 변경 가능성이나 당선권 밖 후보의 당선 가능성으로 측정된다. 독일 함부르크 주의회는 명부투표와 선호투표 비율에 따라 선출이 분리되어 누적투표의 영향이 크지만, 헤센 주 기초의회 선거는 유권자가 투표수를 다 채우지 않거나 정당에 투표하면 명부 순서로 우선 배정되어 영향력이 적다.

노퍽섬 입법부는 노퍽섬에서 한 후보에게 모든 표를 줄 수 없는 누적 투표 방식을 사용한다.[5][6] 누적투표제는 7개 미국 주에서 의무화되었고, 기업 지배 구조에도 널리 쓰이며, 1870년부터 1980년까지 일리노이주 하원 선거에 사용되었다.[5][6] 1870년에서 1902년 사이에는 잉글랜드에서 1870년 초등 교육법에 따른 학교 운영위원회 선출에 사용되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미국 여러 지역에서 블록 투표 방식 소송 해결책으로 채택되었다.[19]

전략 투표를 통해 특정 수 후보 선출에 필요한 주식 수를 계산하고, 특정 주식을 가진 사람이 선출 가능한 후보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Bugzilla 설치에서는 누적 투표를 통해 가장 시급하게 수정해야 할 소프트웨어 버그를 결정한다.[20]

5. 1. 스위스

스위스의 경우 연방 의회를 비롯한 모든 수준의 의회에서 누적투표제가 사용되고 있다.[1] 스위스에서는 특정 후보에게 투표할 수 있는 표의 최대 수가 2표로 제한되어 있다.[1]

5. 2. 독일

독일 함부르크브레멘 주의회 선거와 전체 16개 주 중 12개 주의 기초의회 선거에 누적투표제가 사용되고 있다.[1] 함부르크 주의회의 경우 명부투표와 선호투표 비율에 따라 선출이 분리되어 있어 누적투표의 영향이 큰 반면, 헤센 주 기초의회 선거의 경우 유권자가 주어진 투표수를 다 행사하지 않거나 정당에 투표한 경우 명부 순서로 우선 배정되기 때문에 명부 순서에 영향을 덜 미친다.[1]

5. 3. 미국

미국에서는 50여개 커뮤니티에서 누적투표제를 사용하고 있다. 학교운영위원회나 대학운영위원회 선출에도 사용된다.[39] 1870년부터 1980년까지 일리노이주 하원 의원 선출에 사용되었으며[5], 1965년 전국 투표권법에 따라 제기된 소송의 결과로 여러 지역에서 채택되었다.

예를 들어, 일리노이주 피오리아에서는 시의회 절반을, 앨라배마주 칠턴 카운티에서는 카운티 의회 및 학교 위원회를, 텍사스주 아마릴로에서는 학교 위원회 및 대학 이사회를 누적투표제로 선출한다.[9] 2009년 뉴욕주 포트체스터에서는 법원의 명령으로 누적투표제가 도입되어 2010년에 첫 선거가 실시되었다.[10][11][12]

5. 4. 노퍽섬

오스트레일리아의 자치령인 노퍽섬 의회 선거에는 누적투표제가 실시되고 있다. 9명의 의원을 선출하며, 유권자는 9표를 행사할 수 있으나, 특정 후보에게는 최대 4표까지만 줄 수 있다.[5][6] 노퍽섬 입법부는 노퍽섬에서 유권자가 모든 표를 한 명의 후보에게 줄 수 없는 누적 투표 방식을 사용하여 선출된다.[19]

5. 5. 기업 이사 선임

누적투표는 주식회사에서 이사의 선임에 사용될 수 있다.

일본회사법 342조는 누적투표에 의한 이사 선임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여러 명의 이사 선임 시 정관에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주주로부터의 청구가 있는 경우, 1주당 선임할 이사의 수와 같은 수의 표를 갖는 누적투표에 의해 이사가 선출된다. 단, 일본 기업의 대부분은 정관을 통해 누적투표를 배제하고 있다.[34]

일본 주식회사의 누적투표는 미국법의 영향을 받은 1950년 상법 개정을 통해 도입되었다. 도입 초기부터 1974년 개정될 때까지는 정관에 의한 절대적 배제가 인정되지 않았으며, 발행 주식의 1/4을 소유한 주주의 청구에 대해서는 이에 응해야 했다.[35]

6. 비판 및 논쟁

누적투표제는 소수 주주의 권익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이사회 분열 및 소수 집단의 대표성 보장 문제와 관련된 비판과 논쟁도 존재한다.

6. 1. 이사회 분열

이사 임기 분산제를 사용하면 한 번에 선출되는 의석 수를 줄여 소수 파벌이 대표성을 확보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17] 기업 환경에서 누적 투표의 반대자들은 이사회가 분열되어 회사의 장기적인 이익에 해를 끼친다고 주장한다.

6. 2. 로버트 회의 규칙

로버트 회의 규칙 새로 개정판은 단체가 정관에서 누적투표제를 채택할 수 있다고 명시하며, "소수 집단은 해당 집단의 구성원인 단일 후보에게 투표하는 노력을 조정함으로써, 해당 후보를 이사회의 소수 구성원으로 선출할 수 있을 것이다."라고 언급한다.[18] 이는 누적투표제가 소수 집단의 대표성을 보장하는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웹사이트 Quadratic Voting as Efficient Corporate Governance {{!}} The University of Chicago Law Review https://lawreview.uc[...] 2024-07-01
[2] 간행물 Quadratic Voting: How Mechanism Design Can Radicalize Democracy https://www.aeaweb.o[...] 2018-05
[3] 웹사이트 FairVote - State Regulations on Cumulative Voting for Corporate Boards http://archive.fairv[...] 2016-10-18
[4] 웹사이트 Explanation of the Toronto Community Housing participatory budgeting process. http://www.torontoho[...]
[5] 웹사이트 Cumulative Voting: The great debate over Illinois' unique system of electing legislators: No----ii760912 http://www.lib.niu.e[...] Illinois Issues 1976-11-12
[6] 웹사이트 Daily Herald | Some say Quinn's '79 initiative created environment for corruption https://prev.dailyhe[...] Daily Herald (Arlington Heights) 2009-05-19
[7] 웹사이트 FairVote - Illinois' Drive to Revive Cumulative Voting http://archive.fairv[...] 2015-05-17
[8] 웹사이트 Homeowners Associations: CUMULATIVE VOTING http://www.ahrc.com/[...] 2003-08-02
[9] 뉴스 Two new faces join AC regents | Amarillo.com | Amarillo Globe-News http://amarillo.com/[...] Amarillo Globe-News 2008-05-11
[10] 웹사이트 FairVote.org | Port Chester will use Cumulative Voting http://www.fairvote.[...] 2015-05-17
[11] 뉴스 Landmark Port Chester Cumulative Voting Election to Be Set for June 2010 -- PORT CHESTER, N.Y., Dec. 17 /PRNewswire-USNewswire/ http://www.prnewswir[...] PR Newswire 2009-12-17
[12] 웹사이트 Page 2 http://portchestervo[...] 2015-05-17
[13] 문서 The Proportional Representation Review 1903-09
[14] 서적 The Certified Six Sigma Green Belt Handbook https://books.google[...] ASQ Quality Press 2008
[15] 웹사이트 Redirect http://my.safaribook[...]
[16] 서적 Facilitating with Ease! Jossey-Bass 2005
[17] 간행물 Cooperatives and Condominiums: Cumulative Voting Revisited http://www.stroock.c[...] New York Law Journal 2005-05-04
[18] 문서 Robert's Rules of Order Newly Revised
[19] 웹사이트 FairVote - Cumulative Voting http://archive.fairv[...] 2015-05-17
[20] 웹사이트 3.13. Voting https://www.bugzilla[...] 2015-05-17
[21]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22] 문서 The House of Commons 1690-1715
[23] 문서 比例代表法の研究 有斐閣 1925
[24] 문서 森口繁治 1925
[25] 웹사이트 Cumulative Voting: The great debate over Illinois' unique system of electing legislators: No----ii760912 http://www.lib.niu.e[...] Illinois Issues 1976-11-12
[26] 웹사이트 Daily Herald | Some say Quinn's '79 initiative created environment for corruption https://prev.dailyhe[...] Daily Herald 2009-05-19
[27] 웹사이트 FairVote - Illinois' Drive to Revive Cumulative Voting http://archive.fairv[...] 2015-05-17
[28] 웹사이트 Homeowners Associations: CUMULATIVE VOTING http://www.ahrc.com/[...] 2003-08-02
[29] 뉴스 Two new faces join AC regents | Amarillo.com | Amarillo Globe-News http://amarillo.com/[...] Amarillo Globe-News 2008-05-11
[30] 웹사이트 FairVote.org | Port Chester will use Cumulative Voting http://www.fairvote.[...] 2015-05-17
[31] 뉴스 Landmark Port Chester Cumulative Voting Election to Be Set for June 2010 -- PORT CHESTER, N.Y., Dec. 17 /PRNewswire-USNewswire/ http://www.prnewswir[...] PR Newswire 2009-12-17
[32] 웹사이트 Page 2 http://portchestervo[...] 2015-05-17
[33] 문서 改正衆議院議員選挙法釈義 東京専門学校出版部 1902
[34] 뉴스 ⽇経⾦融新聞 1998-06-11
[35] 간행물 累積投票制度に関する若干の考察 2010
[36] 간행물 Fair Representation Voting in the United States https://www.fairvote[...] Fair Vote
[37] 웹사이트 Kommunalwahlen in Baden-Württemberg http://www.politikun[...]
[38] 웨이백 스위스 포털 http://www.ch.ch/ebu[...] 2011-05-25
[39] 웹아카이브 Illinois drives to revive cumulative voting https://archive.toda[...] FairVote.org 2012-07-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