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치는 잉어과에 속하는 민물고기이다. 몸길이는 보통 30cm 정도이나 70cm에 달하는 것도 있다. 이 문서는 다음(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치속 - 어름치
어름치는 임진강, 한강, 금강 상류에 서식하는 대한민국 고유종으로, 저서성 무척추동물을 먹고 자갈탑을 만들어 알을 보호하는 특징이 있으며, 서식지 파괴와 수질 악화로 멸종 위기종 및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1776년 기재된 물고기 - 열빙어
열빙어는 극북 해역에 서식하며 회유하는 멸치목 열빙어과 어류로, 식용으로 이용될 뿐 아니라 대서양 대구의 주요 먹이가 되는 중요한 어종이지만, 최근 남획으로 자원 고갈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1776년 기재된 물고기 - 쐐기개복치
쐐기개복치는 은색 몸에 푸른색 줄무늬가 있고 개복치보다 가늘고 긴 형태를 띠며, 작은 물고기, 갑각류, 해파리를 먹는 육식성 어류로,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의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한국 남해에서도 발견된다. - 회유어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회유어 - 황어
황어는 잉어과에 속하는 회유어로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하며 잡식성이고 산란기에는 붉은 혼인색을 띠며 식용, 낚시 대상 등으로 활용된다.
누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Hemibarbus labeo |
명명자 | (Pallas, 1776)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조기어류강 |
목 | 잉어목 |
과 | 잉어과 |
아과 | 모래무지아과 |
속 | 누치속 |
종 | 누치 (H. labeo) |
이명 | |
다른 이름 | |
별칭 | 저뀌 대갈장군 |
2. 사용 방법
2. 1. 필수 매개변수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항목 제목을 입력한다.2. 2. 선택적 매개변수
optional parameter영어3. 틀 데이터
templatedata
{
"description":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을 기반으로 한 위키백과 문서를 표시할 때 쓰는 출처 표시용 틀",
"params": {
"제목": {
"aliases": [
"이름"
],
"label": "제목",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의 항목 제목",
"type": "string",
"required": true
},
"저자": {
"aliases": [
"지은이",
" 글쓴이"
],
"label": "저자",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사전을 쓴 저자",
"type": "string"
},
"주소": {
"label": "주소",
"description": "해당되는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항목이 있는 주소. 위키문헌에 저장되어 있어도 위키문법을 쓰지 않음",
"type": "string"
}
}
}
3. 1. 매개변수 설명
이 틀은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을 기반으로 한 위키백과 문서를 표시할 때 사용하는 출처 표시용 틀이다.매개변수 | 설명 |
---|---|
제목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항목 제목이다. |
저자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을 쓴 저자이다. |
주소 |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항목이 있는 주소이다. (위키 문법을 사용하지 않음) |
3. 1. 1. 제목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제목" 항목 내용을 기초로 작성되었다.[1]3. 1. 2. 저자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다.3. 1. 3. 주소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해당 항목 URL 주소이다.참조
[1]
웹인용
저뀌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2]
웹인용
대갈장군
https://stdict.korea[...]
표준국어대사전
2018-04-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