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타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스타파는 2011년 전국언론노동조합 산하 민실위의 프로젝트로 시작된 대한민국의 탐사보도 매체이다. 해직 언론인들을 중심으로 공중파 방송, 라디오, 보도전문채널 출신 저널리스트들과 1인 미디어들이 참여하여, 사회적 이슈를 제기하는 심층 보도를 해왔다. 2012년 재정 독립을 위한 회원 모집을 시작으로, 비영리 민간단체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로 전환하여 국정원, 재벌, 경제 문제, 사회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탐사 보도를 진행하고 있다. 주요 보도 내용으로는 국정원의 대선 개입 폭로, 조세피난처 한국인 명단 공개,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의 부실 대응 비판 등이 있으며, 관련 영화 제작 및 유튜브 채널 운영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뉴스타파는 다양한 언론 관련 상을 수상하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대안언론 -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
미디어협동조합 국민TV는 2012년 대선 이후 언론 보도 편향성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설립된 미디어 협동조합으로, 팟빵 앱 등을 통해 TV와 라디오 방송을 시청취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사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국민TV 홈페이지에서 방송 안내를 확인할 수 있다. - 대한민국의 대안언론 - 나는 꼼수다
나는 꼼수다는 김어준, 김용민, 정봉주, 주진우가 진행한 팟캐스트 방송으로 이명박 정부 관련 이슈를 다루며 인기를 얻었지만 선정적 비판, 허위 사실 유포, 편향성 논란도 있는 방송이다. - 인터넷 방송 - 멀티캐스트
멀티캐스트는 IP 네트워크에서 송신자 한 명이 특정 그룹의 여러 수신자에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네트워크가 패킷을 복제하여 전달하며, UDP 프로토콜과 IGMP를 사용해 그룹 멤버십을 관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인터넷 방송 - 웹캐스트
웹캐스트는 인터넷을 통해 오디오나 비디오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방송 방식으로, 초기 웹 카메라를 이용한 정지 화면 전송에서 스트리밍 비디오 방식으로 발전하여 현재는 주요 방송사 및 라디오 방송국에서 자체 방송을 제공하며 결혼식 웹캐스팅인 웨드캐스트와 장례식 웹캐스팅도 증가하고 있다. - 탐사보도 - 프로퍼블리카
프로퍼블리카는 권력 남용 고발과 공공의 이익 기여를 목표로 2007년 설립된 미국의 비영리 탐사보도 매체로, 심층적인 탐사보도를 통해 사회 문제를 조명하고 여러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했으며, 데이터 기반 저널리즘을 강화하고 있다. - 탐사보도 - PD수첩
PD수첩은 MBC의 대표적인 탐사보도 프로그램으로, 사회 부조리와 권력형 비리, 민감한 현안들을 심층 취재하여 고발하며 사회적 파장을 일으키고 대한민국 사회에 질문을 던지는 프로그램이다.
뉴스타파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방송명 | 뉴스타파 |
원제 | newstapa |
장르 | 심층 탐사보도 / 데이터 저널리즘 |
방송 분량 | 수시 |
방송 시간 | 수시 |
방송 채널 | KBS 1라디오, 홈페이지, 팟캐스트, 유튜브, 다음팟 시민방송 |
방송 기간 | 2012년 1월 27일 ~ 2012년 7월 6일 (시즌1) 2012년 8월 17일 ~ 2012년 12월 14일(시즌2) 2013년 3월 1일 ~ (시즌3) |
진행 | 노종면 전 YTN 기자(시즌 1) 김일란 영화감독(시즌 2) 최승호 전 MBC PD(시즌 3~ 2017.9.) |
외부 링크 | 뉴스타파 |
비고 | 現 김용진 뉴스타파 대표 |
관련 정보 | |
관련 기사 | 日韓記者が問う権力とメディア あす立大でシンポ (일한 기자, 권력과 미디어를 묻다. 아스 릿쿄대에서 심포지엄) 「パラダイス文書」に北朝鮮女性実業家の名前 経済制裁を逃れか (파라다이스 문서에 북한 여성 실업가의 이름, 경제 제재를 피했나) ついに我慢がならず立ち上がった‘ニュース打破’"初回放送からショッキング" (드디어 참지 못하고 일어선 '뉴스 타파' "첫 방송부터 쇼킹") ≪ニュース打破≫初回放送4日間で30万回照会 (≪뉴스 타파≫ 첫 방송 4일간 30만 회 조회) 大統領選直前の「虚偽報道」都市開発不正疑惑の中心人物ら捜査=韓国検察 (대통령 선거 직전의 '허위 보도' 도시 개발 부정 의혹의 중심 인물들 수사 = 한국 검찰) |
2. 역사
2011년 11월, 전국언론노동조합 산하 민실위가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민실위 내 제작단을 조직했다. 이근행 MBC PD, 노종면 YTN 기자 등 해직 언론인과 변상욱 CBS 대기자, 박중석 기자(당시 KBS 기자), 박대용 기자(당시 춘천MBC 기자) 등 공중파 방송과 라디오, 보도전문채널에서 활동한 전·현직 저널리스트들이 함께 했으며, 미디어몽구 김정환_(언론인) 등 1인 미디어들도 참여했다. 프로젝트 구상에서 첫 방송까지는 두 달 정도 걸렸다. 뉴스타파라는 이름은 공모를 통해 정해졌는데, '참깨뉴스'가 될 뻔했으나 단 1표 차이로 '뉴스타파'가 되었다. '99뉴스', '쫄지마 뉴스', '레알뉴스', '참꼼뉴스'도 후보에 올랐었다. 신영복 성공회대 석좌교수가 제호를 만들어 기부했다.
2. 1. 창립 배경 및 초기 활동 (2011~2012)
2011년 11월, 전국언론노동조합 산하 민실위가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민실위 내 제작단을 조직했다. 이근행 MBC PD(2014년 1월 1일 MBC 복귀), 노종면 YTN 기자 등 해직 언론인과 변상욱 CBS 대기자, 박중석 기자(당시 KBS 기자), 박대용 기자(당시 춘천MBC 기자) 등 공중파 방송과 라디오, 보도전문채널에서 활동한 전·현직 저널리스트들이 뜻을 함께 했으며, 미디어몽구 김정환_(언론인) 등 1인 미디어들도 참여했다. 프로젝트 구상에서 첫 방송까지 걸린 기간은 두 달여에 불과했다. 뉴스타파라는 명칭은 공모를 통해 확정됐다. 제호가 현재의 '뉴스타파'가 아닌 '참깨뉴스'가 될 뻔했다. 단 1표의 근소한 차이였다. '99뉴스', '쫄지마 뉴스', '레알뉴스', '참꼼뉴스'도 물망에 올랐었다. 성공회대 신영복 석좌교수가 제호를 만들어 기부했다.2012년 1월 27일 첫 방송된 '10.26 재보궐선거 투표소 변경의혹' 기사는 큰 파장을 일으키며, 뉴스타파를 세상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이어 제주 해군기지 관련 강정마을을 2회 특집방송으로 다뤘고, 4대강 정비 사업의 진실 등 기존의 공중파에서는 볼 수 없었던 진실을 발굴해 사회적 이슈로 이끌어내는 데 기여했다.
칼럼을 담당한 변상욱 CBS 대기자와 노종면 전 YTN 아나운서/기자(앵커), 박대용 기자 등 시즌 1 제작에 참여한 일부 언론인들이 각각 소속사와 노조로 완전 복귀하면서 시즌 1이 종료됐다.
2. 2. 시즌 2: 재정 독립 및 제작진 보강 (2012)
뉴스타파는 시즌 2를 준비하면서 [https://web.archive.org/web/20120711123247/http://www.newstapa.com/113 뉴스타파 홈페이지]에서 정기/일시 회원을 모집해 재정적인 독립을 추진했다. 2012년 7월 6일, 40대 강모씨가 첫 회원으로 가입한 것을 시작으로 불과 사흘만에 회원수가 1000명을 넘었고, 시즌 2 첫 방송이 나간 8월 17일에는 3340명으로 늘어났다.[15]뉴스타파는 노종면 전 YTN 기자를 대신해 김일란 감독을 앵커로, 최경영 당시 KBS 기자를 취재 담당으로 영입하는 등 제작진을 보강하고 프로그램 정비를 마친 뒤 2012년 8월 17일 시즌 2를 시작했다.[15] 회원들의 후원으로 카메라 등 방송장비가 하나둘 갖춰졌고, 황일송 전 국민일보 해직기자가 취재진으로 합류했다.
뉴스타파는 시즌 2에서 이명박 정부의 실정과 함께 대선을 앞두고 각 언론사들의 불공정한 보도 관행을 주로 다뤘다. 집전화 또는 휴대전화를 주로 사용하는 유권자의 정치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여론조사의 허와 실, 다카키 마사오와 6억원 등은 시청자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12월 14일 38회 방송을 끝으로 시즌 2를 마감했다.
2. 3. 시즌 3: 비영리 단체로의 전환 및 확장 (2013~)
2013년 3월 1일부터 뉴스타파 시즌 3가 시작되었다. 시즌 3부터는 영구적인 조직을 갖추면서 시즌제의 의미가 사라졌다.뉴스타파는 한국형 프로퍼블리카를 표방하는 비영리 민간단체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로 출범하였다. 김용진 전 KBS 탐사보도팀장이 데스크 겸 대표를 맡았고, 앵커는 최승호 전 MBC PD수첩 PD가 맡았다.[16] 권혜진 전 동아일보 기자와 YTN 출신 최기훈 기자도 뉴스타파에 합류하였다.
2012년 대통령 선거 이후 후원자가 5,000여 명에서 2만 7100여 명으로 늘어났고, 일시납 회원 등을 포함하면 후원회원 수가 3만 명을 넘어섰다. 2013년 1월에는 신입 공채 8명(취재기자 4명, 촬영기자 2명, PD 2명)을 선발해 파견 인력을 포함, 제작 인력이 26명으로 늘었다.
프로그램은 뉴스 중심의 '뉴스타파'(뉴스타파 N)과 매거진 형태의 시사프로그램(뉴스타파 M), 비정기적으로 주요 이슈를 30분 이상의 분량으로 다루는 '뉴스타파 S (스페셜)'로 편성했다.
지식채널e를 제작했던 김진혁 전 EBS PD(해직된 현 한예종 교수)가 뉴스타파 화요판 미니 다큐 제작자로 참여하기도 하였다.[17]
최승호 PD는 2017년 12월 MBC 사장으로 내정되면서 사장 임기를 마치면 뉴스타파로 복귀할 것을 약속하였고, 2020년 5월 뉴스타파 PD로 취재현장에 복귀하였다.
3. 주요 보도
뉴스타파는 2012년 1월 27일 '10.26 재보궐선거 투표소 변경 의혹' 기사로 큰 파장을 일으키며 알려졌다.[15] 이후 제주 해군기지 관련 강정마을 특집 방송, 4대강 진실 등 기존 공중파에서 다루지 않던 내용을 보도하며 사회적 이슈를 만들었다.[15]
변상욱 CBS 대기자, 노종면 전 YTN 앵커 등이 참여한 시즌 1 종료 후, 뉴스타파는 홈페이지에서 회원 모집을 통해 재정적 독립을 추진했다.[15] 2012년 7월 6일 첫 회원 가입 시작 후 사흘 만에 1,000명, 시즌 2 첫 방송일(8월 17일)에는 3,340명을 넘었다.[15]
김일란 감독(앵커), 최경영 당시 KBS 기자(취재), 황일송 전 국민일보 해직 기자 등이 합류하며 2012년 8월 17일 시즌 2를 시작했다.[15] 시즌 2에서는 이명박 정부 실정과 대선 관련 언론사들의 불공정 보도를 주로 다루었다.[15]
2013년 3월 1일, 뉴스타파는 시즌 3를 시작하며 비영리 민간단체 '한국탐사저널리즘센터'로 출범했다.[16] 김용진 전 KBS 탐사보도팀장이 대표, 최승호 전 MBC PD수첩 PD가 앵커를 맡았고, 권혜진 박사(전 동아일보 기자), YTN 출신 최기훈 기자도 합류했다.[16] 대통령 선거 이후 후원자가 2만 7,100여 명으로 늘고, 신입 공채 8명을 선발했다.[16] 프로그램은 '뉴스타파 N', '뉴스타파 M', '뉴스타파 S'로 편성되었다.[16]
최승호 PD는 2017년 12월 MBC 사장으로 내정된 후, 2020년 5월 뉴스타파 PD로 복귀하였다.[16]
2020년 기준, 정규 프로그램 없이 비정기적 보도물을 공개하고 있으며, 독립 PD 다큐멘터리 목격자들을 2015년부터 내놓고 있다.[17] 2016년 영화 자백, 2017년 영화 공범자들, 2019년 영화 김복동, 월성을 제작, 극장 개봉했다.[17]
3. 1. 국정원 및 권력 감시
- 국정원 대선 개입
2013년 뉴스타파는 국가정보원(이하 국정원)의 대통령 선거 트위터 여론조작 개입을 폭로했다.[1] 3월부터 5월까지 10여 차례에 걸쳐 국정원 심리전단 요원들이 여론조작에 사용한 트위터 계정 600여 개를 추적하고, 이들 계정이 대선 기간 수십만 건의 여론 조작용 게시물을 트위터에 올렸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폭로했다.[1] 사회 연결망 분석을 통해 유력 계정 10개를 주축으로 한 10개 그룹을 추출했으며, 이들 주요 계정 가운데 하나는 국정원 심리전단 요원 43살 이 모 씨가 사용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1] 검찰 수사 결과 뉴스타파의 보도는 대부분 사실로 확인되었으며, 10개 주요 계정 가운데 7개는 국정원 직원이 직접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다.[1] 검찰은 대선에 개입한 것이 유력한 5만여 개의 트윗을 증거로 제출했으며, 윤석열 특별수사팀장은 "트위터를 이용한 선거개입이 유례를 찾기 힘든 중대 선거범죄"라고 단언했다.[1] 원세훈 국정원장과 대북심리전단장 등 관련된 인사들은 결국 공직선거법 위반과 공무원 중립 위반으로 실형을 받았다.[1]
-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
2013년부터 2014년까지 이른바 '서울시 공무원 간첩 조작 사건'으로 불리는 유우성 씨 사건을 집중적으로 탐사 보도했다.[2] 뉴스타파는 유 씨를 간첩으로 몰아가기 위해 검찰과 국정원이 증거로 제출한 중국 출입경 기록과 삼합변방검사참 답변서가 국정원이 조작해 검찰에 제출했다는 사실을 잇따라 폭로했으며, 이는 재판 과정에서 중국 측의 공문으로 사실로 확인되면서 큰 파문을 불러일으켰다.[2] 뉴스타파의 보도로 국정원은 탈북자를 관리하던 중앙합동신문센터를 북한이탈주민보호센터로 이름을 바꾸고 인권침해 소지를 없앨 수 있도록 제도 개선을 약속하였다.[2] 유우성 씨는 국정원의 간첩 증거 조작 사실이 알려지면서 무죄로 석방됐으며, 보도 10개월 만에 간첩 조작에 관여했던 국정원 대공수사팀 과장 등 직원들이 모두 징역형을 선고받았다.[2]
- 윤석열 검찰총장 관련 의혹
2019년 윤석열 검찰총장 후보자가 청문회장에서 '윤우진 뇌물 사건'과 관련해 과거와 다른 발언을 하고 있다는 녹음파일을 공개해 큰 파란을 일으켰다.[3] 2020년에는 '윤우진 뇌물 사건'에 윤 총장이 연루돼 있었다는 보도를 내놓아 큰 주목을 받았다.[4]
- 한명숙 뇌물 사건
2020년 유죄 판결로 끝이 난 이른바 '한명숙 뇌물 사건'의 당사자인 한만호 씨가 비망록을 통해 검찰의 압박으로 거짓으로 법정 진술을 했었다는 내용을 보도했다.[5] 이어 한 씨의 진술 번복을 뒤집기 위해 죄수 3명을 회유하고 설득해 위증하게 만들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5] 한 전 총리와의 유죄 문제와는 별개로 당시 검찰의 수사 과정에 심각한 불법행위가 있었다는 문제를 제기하면서 정치권에도 큰 파장을 일으켰다.[5]
3. 2. 재벌 및 경제 문제
-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 조세피난처'''[2]: 국제탐사보도언론인협회(ICIJ)와 협력하여 조세회피처에 재산을 은닉한 한국인 명단을 공개했다. 특히 전두환 전 대통령의 장남 전재국이 페이퍼 컴퍼니를 설립한 사실을 폭로하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2] 이 보도 이후, 국회는 '전두환 추징법안'을 통과시켜 추징금 시효를 연장했고, 전재국은 추징금 납부를 약속했다.[2]
- '''삼성 이건희 회장 성매매 의혹'''[7]: 이건희 회장의 성매매 정황이 담긴 동영상을 공개하고, 삼성 그룹 차원의 개입 의혹을 제기했다. 이는 국내 최대 재벌 총수의 도덕성 문제로 이어져 큰 비판을 받았다.[7]
- '''삼성 장충기 문자'''[12]: 삼성 미래전략실 장충기 사장이 사회 각계 인사들과 주고받은 문자 메시지를 공개하여, 삼성의 광범위한 로비 실태를 폭로했다. 정부 고위직, 국회의원, 법조계, 언론계 인사 등이 삼성과 결탁하여 이권을 챙기고 채용을 청탁하는 등 공생 관계를 맺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12]
- '''양진호 웹하드 카르텔'''[14]: 웹하드 업체 위디스크의 실소유주 양진호 회장의 직원 폭행, 불법 음란물 유통 등 범죄 행위를 폭로했다. 이 보도는 사회적 공분을 일으켜 경찰과 검찰 수사로 이어졌고, 양진호는 징역 7년을 선고받았다.[14]
- '''박수환 로비스트 문자'''[15]: 홍보대행사 뉴스컴 박수환 대표의 문자 메시지를 공개하여, 기업과 언론 간의 유착 관계를 폭로했다. 박수환이 기업과 언론 사이에서 채용 청탁과 기사 거래를 주선하고 중개한 정황이 드러났다.[15]
3. 3. 사회 및 기타
- 2014년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의 부실한 대응과 언론의 왜곡 보도를 비판하고, 참사 진상 규명에 힘썼다.[14] 대부분의 언론이 정부 발표대로 구조 작업이 잘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하던 시점에, 뉴스타파는 해경이 용량이 부족한 공업용 공기 주입기 1대로 세월호 선체에 공기를 주입하는 쇼를 펼쳤다는 사실과 물때를 맞추지 못해 잠수 구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사실 등을 보도했다.[15]
- 2015년 4월 세월호 참사 1주기 특집에서 지지부진한 실종자 수색을 은폐하려 했던 정부와 인양을 둘러싼 해경의 거짓말을 폭로하여 한국PD대상 TV시사다큐부문 작품상을 받았다.[16]
- 2017년에는 세월호 화물칸 차량 블랙박스 영상을 입수, 공개하여 외부 충격 없이 해수 유입으로 복원성이 나빠졌을 가능성을 제시하여 한국방송기자대상 뉴스 부문을 수상했다.[18]
- 2014년 친일과 망각으로 친일 후손들의 발자취를 추적하고 진정한 심판과 용서를 위한 해법을 다뤄 호평을 받았다. [15]
- 2016년 나경원 의원의 장애인 딸이 성신여자대학교 실용음악학과 장애인 전형에서 다른 장애인에 비해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을 폭로했다.[17] 나 의원이 취재 기자를 명예훼손으로 고소했으나, 법원은 무죄를 선고했다.[17] 항소심 재판부는 "어머니의 신분에 힘입어 특별한 혜택을 받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검찰의 항소를 기각했다.[17]
- 2018년 독일 공영방송 NDR 등 18개국 23개 언론사와의 국제 공조 취재를 통해 사이비 학술단체인 와셋(WASET)과 오믹스(OMICS)가 돈을 받고 엉터리 논문을 학술지에 실어주는 장사를 하고 있다는 사실을 폭로했다.[21] 학계에 만연해 있던 연구비 낭비와 연구 실적 부풀리기가 드러나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교육부가 실태 조사를 펼쳤고, 가짜 학술대회에 참가한 국내 연구자 수가 1,300명이 넘는 것으로 드러났다.[21] 정부는 문제가 된 연구 기관의 주요 보직자를 징계하고 연구비를 환수하는 등 후속 조치에 착수했다.[21]
- 2017년 국회개혁, 정책자료집인가 표절자료집인가 연속 보도를 통해 안상수, 홍문표 등 일부 국회의원들이 다른 연구 보고서를 표절해 자료집을 내고 국회로부터 예산을 타간 사실을 폭로했다.[19] 이후에도 뉴스타파는 행정 소송을 통해 국회가 공개를 거부했던 국회의원들의 정책 개발 용역비 집행 내역을 공개받았으며, 2020년까지 후속 보도를 통해 의원들이 '세금 도둑'처럼 국회 예산을 빼가고 있다고 지적했다.[19] 보도에서 표절이 들통난 상당수 의원들이 국회 예산을 반납했으며, 국회는 정책 개발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투명하게 공개하기로 제도를 바꾸는 성과를 이끌어냈다.[19]
4. 시청 규모
2020년 6월 1일 기준 뉴스타파의 유튜브 누적 시청 건수는 이며, 유튜브 고정 구독자 수는 55만 2천 명이다. 트위터 팔로워 수는 59만 1,877명, 페이스북 페이지 팬 수는 20만 8,814명, 카카오스토리 구독자 수는 14만 3,736명,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는 7만 5,285명이다.[22]
2016년 7월 21일 방송된 '삼성 이건희 성매매 의혹.. 그룹 차원 개입?' 방송분은 조회수 천만이 넘으면서 뉴스타파 역사상 가장 많은 시청 횟수를 기록하였다.
플랫폼 | 구독자/팔로워/팬 수 (2020년 6월 1일 기준) |
---|---|
유튜브 | (누적 시청), 55만 2천 명 (구독자) |
트위터 | 59만 1,877명 |
페이스북 | 20만 8,814명 |
카카오스토리 | 14만 3,736명 |
인스타그램 | 7만 5,285명 |
5. 제작진
시즌 | 직책 | 이름 |
---|---|---|
시즌 1 | PD | 이근행[18] |
앵커 | 노종면[19][20][21] | |
칼럼 | 변상욱 | |
취재 | 박중석, 정유신, 박대용, 조성현, 김정민 | |
영상 | 권석재, 미디어몽구, 김현익 | |
기술 | 정대웅 | |
기타 | 최윤원(편집), 최유리(리서처), 이명선, 김민아(내레이션) | |
시즌 2 | PD | 이근행 |
앵커 | 김일란(31회 제외), 박중석(31회) | |
칼럼 | 최용익 | |
취재 | 최경영, 황일송, 박중석, 문근아, 김재영, 조성현, 윤성희 | |
촬영 | 미디어몽구 | |
기술 | 정대웅 | |
편집 | 최윤원 | |
기타 | 김혜정(작가), 김현익(행정), 이장현, 신동윤(AD), 최유리(CG), 김민아(내레이션), 김경옥(타이틀음악) | |
시즌 3 | ||
대표 | 김용진 | |
이전 앵커 | 최승호[16] | |
이전 EP | 이근행 | |
취재 기자 | 최기훈, 황일송, 박중석, 한상진, 김경래, 김성수, 심인보, 조현미, 오대양, 홍여진, 강민수, 김지윤, 임선응, 강현석, 홍우람, 강혜인, 조원일, 홍주환, 이명주 | |
PD | 최승호, 송원근, 신동윤, 김새봄 | |
데이터 기자 | 최윤원, 김강민, 연다혜, 임송이 | |
촬영 기자 | 정형민, 최형석, 김기철, 신영철, 오준식, 이상찬 | |
편집 | 정지성, 윤석민, 박서영 | |
기타 | 신학림(전문위원), 이정호, 이은용(객원기자), 박종화, 이도현, 허현재(뉴미디어), 정동우(CG), 김성근, 정은아, 조연우(경영), 장광연, 박수진(회원), 이주호(음악) |
6. 수상 내역
뉴스타파는 다수의 상을 수상하며 그 공로를 인정받았다. 주요 수상 내역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상 이름 | 주최 |
---|---|---|
2012년 | 안종필 자유언론상 | 안종필 자유언론상 위원회 |
2012년 | 투명 사회상 | 한국투명성기구 |
2012년 | 송건호 언론상 | 송건호 언론재단 |
2012년 | 세상을 밝게 만드는 사람들 상 | 환경재단 |
2012년 | 노근리 평화상 | 노근리국제평화재단 |
2013년 |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3년 | 한국방송기자대상 공로상 | 방송기자연합회, 한국방송학회 |
2013년 | 디지털 유산 어워드 네티즌인기상 | 다음세대재단 |
2013년 | 한국온라인저널리즘어워드 특별상 | 한국온라인편집기자협회 |
2013년 | 한국 카톨릭 매스컴상 인터넷부문상 | 천주교 주교회의 매스컴위원회 |
2013년 | 국제 엠네스티 언론상 특별상 | 국제엠네스티 한국지부 |
2013년 | 올해의 호루라기상 언론상 | 호루라기재단 |
2013년 | 민주시민언론상 본상 | 민주언론시민연합 |
2014년 |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4년 | 한국기자상 특별상 | 한국기자협회 |
2014년 | 통일언론상 대상 | 한국기자협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PD연합회 |
2014년 | 리영희상 | 리영희 재단 |
2014년 | 호루라기 언론상 | 호루라기 재단 |
2015년 | 미디어공공성 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5년 | 탈핵공감상 | 2015 탈핵 어워드 선정위원회 |
2015년 | 언론인권상 특별상 | 언론인권센터 |
2015년 | 임종국상 | 임종국선생기념사업회 |
2016년 |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6년 | 안종필 자유언론상 | 동아자유언론투쟁위원회 |
2016년 | NCCK 인권상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인권센터 |
2016년 |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
2017년 | 사람사는세상 영화제 세상상 | 노무현재단 |
2017년 | 휴먼테크놀로지 어워드 사회공공부문 우수상 | 사람과 디지털 연구소 |
2017년 | 만해언론상 탐사기획보도 부문 | 한국불교언론인협회 |
2017년 | 국제앰네스티 언론상 | 국제앰네스티 한국지부 |
2017년 | 올해의 호루라기 언론상 | 호루라기재단 |
2018년 |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8년 | 올해의 호루라기 언론상 | 호루라기재단 |
2018년 | 한국 데이터저널리즘 어워드 '올해의 오픈 데이터 상' | 데이터저널리즘코리아,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 연구센터 |
2019년 | 미디어공공성포럼 언론상 | 미디어공공성포럼 |
2019년 | 올해의 양성평등문화콘텐츠상 | 문화체육관광부 |
2019년 | 안종필 자유언론상 특별상 |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 |
2019년 | 강덕경상 | 정의기억연대 |
2019년 | 민주언론상 특별상 | 전국언론노동조합 |
- 그 외에도 한국PD연합회 이달의 PD상, 방송기자연합회 이달의 방송기자상, 민주언론시민연합 이달의 좋은 온라인보도상 및 이달의 좋은 보도상, 한국언론학회 및 서울대 언론정보연구소 SNU팩트체크센터의 한국팩트체크대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首都圏】日韓記者が問う権力とメディア あす立大でシンポ
http://www.tokyo-np.[...]
中日新聞社
2018-08-30
[2]
웹사이트
「パラダイス文書」に北朝鮮女性実業家の名前 経済制裁を逃れか
https://www.iza.ne.j[...]
産業経済新聞社
2018-08-30
[3]
웹사이트
ついに我慢がならず立ち上がった‘ニュース打破’"初回放送からショッキング"
http://japan.hani.co[...]
2018-08-30
[4]
웹사이트
≪ニュース打破≫初回放送4日間で30万回照会
http://japan.hani.co[...]
2018-08-30
[5]
웹사이트
大統領選直前の「虚偽報道」都市開発不正疑惑の中心人物ら捜査=韓国検察
https://jp.yna.co.kr[...]
2023-11-18
[6]
문서
전직 KBS 기자로 활동하였다.
[7]
뉴스
광고를 하느니 문 닫겠다
https://news.naver.c[...]
시사IN
2013-06-19
[8]
뉴스
진짜 뉴스 '뉴스타파'가 온다
https://news.naver.c[...]
노컷뉴스
2012-01-18
[9]
뉴스
방송기자상 받은 MBC 기자들 어디 갔나
https://news.naver.c[...]
미디어오늘
2017-04-15
[10]
뉴스
못 참겠다 나선 ‘뉴스타파’ “첫방송부터 쇼킹할 것”
http://www.hani.co.k[...]
한겨레
2012-01-20
[11]
뉴스
뉴스타파 호평 봇물 “기존 뉴스와 차원 달라, 자발적 시청료 내고파”
http://www.newsen.co[...]
뉴스엔
2012-01-28
[12]
뉴스
나꼼수 영상판 '뉴스타파' 첫방송 호평 봇물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2-01-28
[13]
뉴스
뉴스타파 첫 방송…"나꼼수 신화 재현하나?"
http://news.cnbnews.[...]
CNBNEWS
2012-01-28
[14]
뉴스
뉴스타파 첫 방송 앞으로 “성역 없는 취재 보도” 기대
http://nanumnews.com[...]
나눔뉴스
2012-01-29
[15]
뉴스
김일란 앵커 ‘뉴스타파’ 데뷔, “저 지금 잘하고 있나요?”
http://www.mediatoda[...]
미디어오늘
2012-08-17
[16]
뉴스
‘뉴스타파’ 시즌3, 최승호·김용진 합류
https://news.v.daum.[...]
[17]
웹인용
보도자료
https://web.archive.[...]
2013-09-04
[18]
뉴스
(이근행의 편지) ‘프로퍼블리카’의 길, 현장으로
http://www.pdjournal[...]
PD저널
2012-02-22
[19]
뉴스
이슈앤토크가 만난 사람, `뉴스타파`의 노종면 기자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12-02-08
[20]
뉴스
노종면① “<뉴스타파>인기, 기존 뉴스에 대한 ‘불만’과 ‘갈증’때문”
http://polinews.co.k[...]
폴리뉴스
2012-02-22
[21]
뉴스
노종면② “복직투쟁, 싸워서 반드시 내 자리 찾을 것”
http://polinews.co.k[...]
폴리뉴스
2012-02-22
[22]
뉴스
'뉴스타파' '나꼽살' '리셋KBS'… 팟캐스트 전성시대
http://weekly.hankoo[...]
주간한국
2012-04-26
[23]
뉴스
뉴스타파 ‘이달의 PD상’ 수상
http://www.journalis[...]
한국기자협회
2012-05-17
[24]
뉴스
"<뉴스타파> 제작진, 안종필 자유언론상 수상"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12-10-24
[25]
뉴스
한홍구 교수와 ‘뉴스타파’, 올해의 송건호 언론상
http://www.mediaus.c[...]
미디어스
2012-12-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