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뉴질랜드의 HIV/AID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뉴질랜드의 HIV/AIDS는 뉴질랜드 내 HIV/AIDS 관련 현황을 설명한다. 1984년 뉴질랜드에서 AIDS 관련 질환으로 인한 첫 번째 사망이 기록되었고, 1985년 수혈 감염으로 HIV/AIDS에 걸린 이브 반 그래프호스트의 사례는 뉴질랜드 내 AIDS에 대한 인지도를 높였다. 뉴질랜드 보건부는 HIV/AIDS를 포함한 보건 문제를 다루며, 뉴질랜드 에이즈 재단, 바디 포지티브, 포지티브 여성, INA 재단,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 등이 관련 단체로 활동하고 있다. 의약품 관리청은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보조금을 지원하며, 2018년 뉴질랜드는 HIV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노출 전 예방 요법 약물을 공적으로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HIV/AIDS - 오스트레일리아의 HIV/AIDS
    오스트레일리아의 HIV/AIDS는 1980년대 초 보고된 이후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으로 관리 가능한 만성 질환으로 인식되어 예방 및 조기 진단 프로그램 강화, 차별 금지 법률 시행 등의 노력이 이루어졌으며, 2022년 기준 약 29,000명이 HIV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 나라별 HIV/AIDS - 대만의 HIV/AIDS
    대만의 HIV/AIDS는 1984년 처음 보고된 이후 성 접촉과 주사기 공동 사용이 주요 감염 경로였으나, 정부의 예방 노력으로 2018년 이후 신규 감염 사례가 감소 추세에 있으며, 사회적 낙인과 의료 접근성 문제가 남아있다.
  • 범유행 - 후천면역결핍증후군
    후천면역결핍증후군(AIDS)은 인간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으로 발생하며, 면역 체계 손상으로 기회 감염에 취약해지고 항레트로바이러스 치료를 통해 질병 진행을 늦출 수 있는 질병이다.
  • 범유행 - 코로나19 범유행
    코로나19 범유행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전 세계적 대유행으로, WHO가 팬데믹을 선포하고 각국이 대응했으나 변이 바이러스 등장으로 장기화되었으며, 2023년 5월 세계 보건 비상사태에서 격하되었지만 여전히 범유행으로 지칭된다.
뉴질랜드의 HIV/AIDS
질병 정보
질병 이름후천성 면역 결핍 증후군 (AIDS)
원인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감염
증상면역 체계 손상으로 인한 각종 감염 및 질병 발생 가능성 증가
진단HIV 항체 검사, 바이러스 RNA 검사 등
치료항레트로바이러스 요법 (ART)을 통해 바이러스 억제 및 면역 기능 유지
예방안전한 성관계, 주사 바늘 공유 금지, 수직 감염 예방 (임산부 치료) 등
뉴질랜드의 HIV/AIDS 현황
진단 감소 추세HIV 진단 건수가 크게 감소
정부 발표2020년 3월, HIV 진단 건수 감소 발표 뉴질랜드 정부 발표
UNAIDS 보고서뉴질랜드의 HIV/AIDS 현황에 대한 UNAIDS 보고서
UN 보고서2014년 1월 - 2014년 12월 뉴질랜드 UNGASS 국가 진도 보고서 뉴질랜드 UNGASS 국가 진도 보고서

2. 역사

뉴질랜드에서 AIDS 관련 질환으로 인한 첫 번째 사망은 1984년 4월 뉴플리머스에서 기록되었다.[3][4]

1985년, 이브 반 그래프호스트는 감염된 혈액 수혈로 HIV/AIDS에 걸려 호주에서 따돌림을 당했다. 가족은 뉴질랜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1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비참한 상황은 뉴질랜드에서 AIDS에 대한 인지도를 상당히 높였다.

2. 1. 초기 HIV/AIDS 유입과 사회적 인식

뉴질랜드에서 AIDS 관련 질환으로 인한 첫 번째 사망은 1984년 4월 뉴플리머스에서 기록되었다.[3][4]

1985년, 이브 반 그래프호스트는 감염된 혈액 수혈로 HIV/AIDS에 걸려 호주에서 따돌림을 당했다. 가족은 뉴질랜드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1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그녀의 사망 당시, 그녀의 비참한 상황은 뉴질랜드에서 AIDS에 대한 인지도를 상당히 높였다.

3. 관련 단체

뉴질랜드의 HIV/AIDS 관련 단체는 다음과 같다.


  • 보건부: HIV/AIDS를 포함한 보건 문제를 다루는 정부 부처이다.
  • 버넷 재단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 에이즈 재단): 브루스 버넷을 기리기 위해 2022년에 이름을 변경했으며,[5] 등록된 자선 신탁으로서 남성 동성애자의 에이즈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Inc.): 뉴질랜드의 HIV 감염인을 위한 지원 및 네트워크 조직이다.[6]
  • 포지티브 여성(Positive Women): HIV 양성 여성들을 돌보는 서비스이다.[7]
  • INA 재단: HIV와 양쪽 부모가 HIV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살아남은 아피하카로 인해 유아기에 HIV로 사망한 임마누엘과 노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마오리 카우파파 조직이다.[8]
  •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 1987년에 시작되었으며 1988년 보건부와 "HIV 및 에이즈에 중점"을 둔 계약을 체결했다.[9]
  • 뉴질랜드 가족 계획 성 건강 클리닉[10]

3. 1. 정부 기관

보건부는 HIV/AIDS를 포함한 보건 문제를 다루는 정부 부처이다.

버넷 재단 아오테아로아는 브루스 버넷을 기리기 위해 2022년에 뉴질랜드 에이즈 재단에서 이름을 변경했다.[5] 이 재단은 등록된 자선 신탁이며, 가장 위험한 집단인 남성 동성애자의 에이즈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HIV 감염인을 돕는 다른 단체로는 뉴질랜드의 HIV 감염인을 위한 지원 및 네트워크 조직인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Inc.)[6]와 HIV 양성 여성들을 돌보는 서비스인 포지티브 여성(Positive Women)이 있다.[7]

INA 재단은 HIV와 양쪽 부모가 HIV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살아남은 아피하카로 인해 유아기에 HIV로 사망한 임마누엘과 노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마오리 카우파파 조직이다.[8]

지원을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기관으로는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과 뉴질랜드 가족 계획 성 건강 클리닉이 있다.[9][10]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은 1987년에 시작되었으며 1988년 보건부와 "HIV 및 에이즈에 중점"을 둔 계약을 체결했다.[9]

3. 2. 비영리 단체

뉴질랜드 에이즈 재단은 브루스 버넷을 기리기 위해 2022년에 버넷 재단 아오테아로아로 이름을 변경했다.[5] 이는 등록된 자선 신탁이며, 남성 동성애자와 같이 에이즈에 가장 취약한 집단에 대한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HIV 감염인을 돕는 다른 단체로는 뉴질랜드의 HIV 감염인을 위한 지원 및 네트워크 조직인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Inc.)[6]와 HIV 양성 여성들을 지원하는 서비스인 포지티브 여성(Positive Women)이 있다.[7]

INA 재단은 HIV와 양쪽 부모가 HIV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살아남은 아피하카로 인해 유아기에 HIV로 사망한 임마누엘과 노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마오리 카우파파 조직이다.[8]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과 뉴질랜드 가족 계획 성 건강 클리닉 또한 HIV/AIDS 관련 지원과 정보를 제공한다.[9][10]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은 1987년에 설립되었으며, 1988년 보건부와 "HIV 및 에이즈에 중점"을 둔 계약을 체결했다.[9]

3. 3. 기타 단체

브루스 버넷을 기리기 위해 2022년에 이름을 버넷 재단 아오테아로아로 변경한 뉴질랜드 에이즈 재단은 등록된 자선 신탁이며, 남성 동성애자의 에이즈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5] HIV 감염인을 돕는 다른 단체로는 뉴질랜드의 HIV 감염인을 위한 지원 및 네트워크 조직인 바디 포지티브(Body Positive Inc.)[6]와 HIV 양성 여성들을 돌보는 서비스인 포지티브 여성(Positive Women)이 있다.[7]

INA 재단은 HIV와 양쪽 부모가 HIV를 가지고 있었음에도 살아남은 아피하카로 인해 유아기에 HIV로 사망한 임마누엘과 노엘의 이름을 따서 명명된 마오리 카우파파 조직이다.[8]

지원을 제공하고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기관으로는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과 뉴질랜드 가족 계획 성 건강 클리닉이 있다.[9][10] 뉴질랜드 매춘부 연합은 1987년에 시작되었으며 1988년 보건부와 "HIV 및 에이즈에 중점"을 둔 계약을 체결했다.[9]

4.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

의약품 관리청(Pharmac)은 국가 보조 의약품 일정을 관리하며, 2014년 기준으로 HIV/AIDS 확진 환자 또는 노출 후 예방 요법을 위해 21가지의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에 보조금을 지원했다.[1] 2018년 3월, 뉴질랜드는 HIV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노출 전 예방 요법(PrEP) 약물 공적 지원을 시작한 세계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1]

4. 1. 약물 보조금 지원

의약품 관리청(Pharmac)은 국가 보조 의약품 일정을 관리한다. 2014년 기준으로, HIV/AIDS 확진 환자 또는 노출 후 예방 요법을 위해 21가지의 서로 다른 항레트로바이러스 약물이 보조금 지원을 받았다.[1]

2018년 3월, 뉴질랜드는 HIV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노출 전 예방 요법 약물을 공적으로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1]

4. 2. 노출 전 예방 요법(PrEP) 공적 지원

2018년 3월, 뉴질랜드는 HIV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들을 위한 노출 전 예방 요법(PrEP) 약물을 공적으로 지원하는 세계 최초의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UNGASS Country Progress Report New Zealand: Reporting Period: January 2014 – December 2014 http://www.unaids.or[...] 2015-04
[2] 웹사이트 Major reduction in numbers of people diagnosed with HIV http://www.beehive.g[...] 2020-03-21
[3] 웹사이트 Eyewitness News - year in review, broadcast 21/12/1984 https://www.ngataong[...] 2022-10-16
[4] 웹사이트 The HIV/AIDS Epidemic: towards a New Zealand strategy https://www.moh.govt[...] 2022-10-16
[5] 웹사이트 Our Story https://www.burnettf[...] 2023-06-18
[6] 웹사이트 Body Positive Inc. https://www.bodyposi[...] 2023-06-18
[7] 웹사이트 Home {{!}} Positive Women https://positivewome[...] 2023-06-18
[8] 웹사이트 INA {{!}} Gay Line Wellington https://www.gayline.[...] 2023-06-18
[9] 웹사이트 NZPC > New Zealand Prostitutes Collective https://www.nzpc.org[...] 2023-06-18
[10] 웹사이트 HIV And AIDS - Family Planning https://www.familypl[...] 2023-06-18
[11] 웹사이트 NZ ahead of the pack in funding revolutionary HIV-prevention drug PrEP https://www.nzaf.org[...] 2018-02-07
[12] 웹인용 New Zealand - UNADIS https://www.unaids.o[...] UNAIDS 2021-10-13
[13] 뉴스 UNGASS Country Progress Report New Zealand: Reporting Period: January 2014 – December 2014 http://www.unaids.or[...] 2015-04
[14] 웹인용 Major reduction in numbers of people diagnosed with HIV http://www.beehive.g[...] 2021-10-06
[15] 문서 UNAIDS factsheet http://data.unaids.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