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 필리베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 필리베르는 프랑스의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이다. 1970년 영화 제작자 르네 알리오와 함께 영화 일을 시작하여, 조감독으로 경력을 시작했다. 1978년 제라르 모르디야와 함께 다큐멘터리 영화 ''His Master's Voice''를 공동 연출했으며, 이후 다수의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했다. 특히, 2002년 개봉한 ''나의 사랑하는 선생님''으로 루이 델뤽상과 유럽 영화상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칸 영화제 등 유수의 영화제에 초청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회고전이 열리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낭시 출신 - 뤼시앵 페브르
뤼시앵 페브르는 마르크 블로크와 함께 아날 학파를 창시하여 총체적 역사와 심성사를 개척하고 다양한 사료 활용 및 학문 간 협력을 강조하며 20세기 역사학에 큰 영향을 미친 프랑스의 역사학자이다. - 낭시 출신 - 에드몽 드 공쿠르
에드몽 드 곤쿠르는 19세기 프랑스 작가이자 미술 수집가로서, 형 쥘과 함께 사실주의 문학에 기여하고, 로코코와 일본 미술에 대한 관심으로 18세기 프랑스와 극동 미술품을 수집했으며, 사후 곤쿠르 아카데미 설립에 기증하여 곤쿠르상을 수여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
라이너 베르너 파스빈더는 독일 바이에른 출신의 영화 감독, 극작가, 배우로, 브레히트와 누벨바그의 영향을 받아 사회 비판적인 영화들을 저예산으로 빠르게 제작하며 《페트라 폰 칸트의 쓰디쓴 눈물》,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나 3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황금곰상 수상 감독 - 장뤽 고다르
장 뤽 고다르는 프랑스 누벨바그 운동을 이끈 혁신적인 영화 감독으로, 정치적 메시지와 독창적인 편집 기법을 통해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영화 제작자 중 한 명으로 평가받는다. - 프랑스의 영화 감독 - 장피에르 멜빌
장피에르 멜빌은 프랑스 레지스탕스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로, 《사무라이》, 《붉은 원》 등 미니멀리스트 누아르 영화를 제작했으며,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프랑스의 영화 감독 - 장 비고
장 비고는 프랑스의 영화 감독으로, 무정부주의자 언론인의 아들이며, 《품행제로》와 《라탈랑트》를 연출했으나 폐결핵으로 사망 후 네오레알리스모에 영향을 미쳐 재평가받아 선구자로 추대되었다.
니콜라 필리베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콜라 필리베르 |
출생일 | 1951년 1월 10일 |
출생지 | 낭시 |
국적 | (프랑스) |
직업 | 영화 감독, 배우 |
활동 기간 | 1978년-현재 |
모교 | 그르노블 알프스 대학교 |
수상 | |
유럽 영화상 | 다큐멘터리상 2002년 《ぼくの好きな先生》 |
전미 영화 비평가 협회상 | 논픽션 작품상 2002년 《ぼくの好きな先生》 |
세자르상 | 편집상 2002년 《ぼくの好きな先生》 |
기타 수상 | 루이 델뤼크상 2002년 《ぼくの好きな先生》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정보 없음) |
2. 생애
니콜라 필리베르는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으로,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그는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사이의 경계를 탐구하는 작품 세계를 주로 다룬다.
2. 1. 초기 생애
필리베르는 프랑스 낭시에서 태어났다. 그르노블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1] 그의 아버지는 영화 강사였으며, 젊은 시절 아버지의 강연에 참석하면서 영화 산업에 종사하겠다는 생각을 굳혔다. 1970년 영화 제작자 르네 알리오와 함께 영화 일을 시작했다.[2] 그는 영화 ''Les Camisards''에서 견습생으로 시작하여[3], ''Rude Journée pour la reine'' (1973)[4], ''Moi, Pierre Rivière, ayant égorgé ma mère, ma sœur et mon frère...'' (1975)의 조감독을 맡았다.[5][6]2. 2. 영화 경력
니콜라 필리베르는 프랑스 낭시에서 태어나 그르노블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1] 영화 강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영화 산업에 종사하게 되었으며, 1970년 영화 제작자 르네 알리오와 함께 영화 일을 시작했다.[2] 그는 ''Les Camisards''에서 견습생으로 시작하여[3], ''Rude Journée pour la reine'' (1973)[4], ''Moi, Pierre Rivière, ayant égorgé ma mère, ma sœur et mon frère...'' (1975)에서 조감독을 맡았다.[5][6]1978년에는 제라르 모르디야와 함께 장편 다큐멘터리 ''His Master's Voice''를 공동 연출했는데,[7][8] 이 영화에서는 대규모 산업 그룹의 경영자 12명이 권력, 리더십, 위계, 노동조합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1985년부터 1987년까지 TV를 위해 산과 모험에 관한 여러 편의 영화를 제작한 후, 극장 배급용 장편 다큐멘터리 제작으로 전환했다. 대표작으로는 ''La Ville Louvre'' (1990), ''들리지 않는 땅'' (1992),[9] ''Un animal, des animaux'' (1995),[10] ''La Moindre des choses'' (1996),[11] 스트라스부르 국립 극장의 학생들과 함께 제작한 실험 영화 ''Qui sait?'' (1998) 등이 있다.
2001년에는 오베르뉴의 작은 마을에 있는 단일 학급 학교의 일상을 다룬 ''Être et avoir''(나의 사랑하는 선생님)를 제작했다. 이 영화는 2002년 루이 델뤽상을 수상했으며, 프랑스와 해외에서 흥행과 비평 모두 성공을 거두었다. 2002년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에 상영되기도 했다.[12]
''Retour en Normandie'' (2007)[13]에서는 30년 전 르네 알리오가 지역 농민들을 주연으로 제작한 이전 영화의 흔적을 다시 찾아갔다. 파리 식물원 동물원에서 제작된 ''네네트'' (2010)[14]는 36년 동안 갇혀 지낸 가장 유명한 주민인 여성 오랑우탄 네네트의 내밀한 초상화를 담았다.
''La Maison de la radio'' (2013)[15]는 파리에 있는 프랑스 라디오 본부의 중심부로 우리를 안내하며, 누가 그곳에 살고 있는지 알아내고 긴 복도의 미스터리를 발견하게 해준다.
지난 15년 동안 영국 영화 협회 (런던)와 뉴욕 현대 미술관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120개 이상의 필리베르 회고전 또는 '헌정' 행사가 열렸다.[16][17] 그는 영국 영화 협회의 2012년 설문 조사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를 지명하도록 초청받은 감독 중 한 명이었다.[18]
2012년 4월에 녹음된 인터뷰에서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로서의 동기, 영향 (아그네스 바르다 포함) 및 경력의 역사, 특히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사이의 '불침투성' 경계에 대해 프랑스어로 설명한다.[19]
필리베르는 주로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으로 유명하며, 1978년부터 9편의 영화를 감독했다. 『나의 사랑하는 선생님』은 2002년 제55회 칸 영화제 특별 초청작으로 출품되었고, 유럽 영화상에서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했다. 또한, 같은 작품으로 루이 델뤼크상도 수상했다. 2007년의 『옛날, 노르망디에서』는 제60회 칸 영화제 스페셜 스크리닝으로 상영되었고, 2007년 세자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부문에 노미네이트되는 등 다큐멘터리라는 장르를 넘어 평가받는 감독이다.
'''주요 작품:'''
연도 | 제목 | 비고 |
---|---|---|
1978 | 'His Masters Voice'' | 제라르 모르디야와 공동 연출 |
1990 | La Ville Louvre | |
1992 | 들리지 않는 땅 | |
1994 | 애니멀스 | |
1996 | 작은 것들 | |
1998 | Qui sait? | 스트라스부르 국립 극장 학생들과 공동 제작 |
2002 | 나의 사랑하는 선생님 | 루이 델뤽상 수상, 2002년 칸 영화제 비경쟁 부문 상영 |
2007 | 백 투 노르망디 | |
2010 | 네네트 | |
2013 | 코챔 라디오 | |
2018 | 이치 앤 에브리 모먼트 | |
2023 | 파리 아다망에서 만난 사람들 |
니콜라 필리베르는 프랑스의 영화 감독으로, 주로 다큐멘터리 영화를 제작해왔다. 그의 작품들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시선을 보여주며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대표작으로는 루브르 시티, 귀머거리의 나라, 마지막 수업, 아다망호에서 등이 있다.
3. 작품 목록
3. 1. 연도별 작품 목록
연도 | 한국어 제목 | 원제 | 비고 |
---|---|---|---|
1974 | Pas si méchant que ça | ||
1978 | La Voix de son maître | His Master's Voice영어 | |
1985 | Christophe | 단편 영화 | |
1987 | Trilogie pour un homme seul | Trilogy for One Man영어 | |
1988 | Le Come-back de Baquet | Baquet's Comeback영어, 단편 영화 | |
1988 | Vas-y Lapébie ! | Go for It, Lapébie!영어, 단편 영화 | |
1990 | 루브르 시티 | La Ville Louvre | 파리 루브르 박물관의 비밀 |
1992 | 귀머거리의 나라 | Le Pays des sourds | 소리가 없는 세상에서 |
1994 | 애니멀 | Un animal, des animaux | 동물, 동물들 |
1996 | 작은 것들 | La Moindre des choses | 사소한 것 |
1999 | 누가 알까? | Qui sait? | 우리들의 무대 |
2002 | 마지막 수업 | Être et avoir | 나의 사랑하는 선생님 |
2007 | 백 투 노르망디 | Retour en Normandie | 과거, 노르망디에서 |
2010 | 네네트 | Nénette | |
2013 | 라디오 하우스 | La Maison de la radio | 라 메종 드 라디오프랑스어 |
2018 | 이치 앤 에브리 모먼트 | De chaque instant | 인생, 지금 수행 중 |
2023 | 아다망호에서 | 'Sur lAdamant'' | 파리 아다망에서 만난 사람들, 아다망 호에 탑승하여 |
2024 | 아베로에스 & 로자 파크스에서 | Averroès & Rosa Parks | |
La Machine à écrire et autres sources de tracas[20] | The Typewriter and Other Headaches영어 |
4. 스타일 및 평가
필리베르는 일관된 주제보다는 스타일을 추구하는 감독으로 평가받는다. 古賀重樹|고가 시게키일본어 일본경제신문 편집위원은 필리베르에 대해 "일관된 것은 주제가 아닌 스타일"이라며, "'소리 없는 세상에서'의 청각 장애인들의 대화도, '인생, 지금 수련 중'의 간호사들의 훈련도 몸짓으로 이야기했다. 말로 설명하지 않고, 눈을 부릅뜨고, 귀를 기울인다. 성실하게 세계와 대치한다"고 평가했다.[21]
그는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자로서의 동기, 영향 (아녜스 바르다 포함) 및 경력의 역사, 특히 다큐멘터리와 드라마 사이의 '불침투성' 경계에 대해 설명하기도 했다.[19]
지난 15년 동안 영국 영화 협회(런던)와 뉴욕 현대 미술관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120개 이상의 필리베르 회고전 또는 '헌정' 행사가 열렸다.[16][17] 그는 영국 영화 협회의 2012년 설문 조사에서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영화를 지명하도록 초청받은 감독 중 한 명이었다.[18]
5. 수상
Nicolas Philibert프랑스어는 1978년부터 9편의 영화를 감독한 다큐멘터리 영화 감독이다. 2002년 제55회 칸 영화제에 특별 초청작으로 출품된 『나의 사랑하는 선생님』으로 유럽 영화상 다큐멘터리상과 루이 델뤼크상을 수상했다. 2007년에는 『옛날, 노르망디에서』가 제60회 칸 영화제 스페셜 스크리닝으로 상영되었고, 세자르상 최우수 다큐멘터리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Nicolas Philibert
https://iffr.com/e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Rotterdam
2023-03-04
[2]
웹사이트
René Allio at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3]
웹사이트
Les Camisards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4]
웹사이트
Rude Journée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5]
웹사이트
Moi Pierre Rivière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6]
웹사이트
Allocine on Philbert
http://www.allocine.[...]
Allocine
[7]
웹사이트
Gérard Mordillat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8]
웹사이트
His Master's Voice (La Voix de son maitre)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9]
웹사이트
Le pays des sourds (Land of the deaf)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10]
웹사이트
Un animal, des animaux (One animal, some animals)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11]
웹사이트
Moindre des choses on IMDB
https://www.imdb.com[...]
IMDB
[12]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o Be and to Have
http://www.festival-[...]
2009-11-03
[13]
웹사이트
Retour en Normandie (Return to Normandy)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14]
웹사이트
Nénette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15]
웹사이트
La Maison de la radio on Allocine
http://www.allocine.[...]
Allocine
[16]
웹사이트
Philibert at MOMA
http://www.moma.org/[...]
MOMA
[17]
웹사이트
Sabzian retrospective
http://sabzian.be/ta[...]
Sabzian
[18]
웹사이트
2012 BFI Greatest Film poll
https://web.archive.[...]
British Film Institute
[19]
웹사이트
Entretien avec Nicolas Philibert, réalisateur de "La nuit tombe sur la ménagerie"
https://www.youtube.[...]
Utube
2012-04
[20]
웹사이트
Machine à écrire et autres sources de tracas de Nicolas Philibert
https://www.bande-a-[...]
[21]
뉴스
シネマ万華鏡 アダマン号に乗って 豊かな個性と誠実に対峙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23-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