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스 카첸바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스 카첸바흐(1922–2012)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법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그는 존 F. 케네디 행정부에서 법무부 차관, 린든 B. 존슨 행정부에서 법무장관과 국무차관을 역임했다. 법무장관 재임 중 베트남 전쟁 확전에 관여했으며, 케네디 암살 사건 조사에 참여했다. 이후 IBM의 법률 고문으로 활동했고, 201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첸바흐가 - 존 카첸바흐
존 카첸바흐는 스릴러 소설 작가로서, 여러 작품으로 다양한 상 후보에 올랐으며, 그의 소설은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미국의 법무부 부장관 - 워런 크리스토퍼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 워런 크리스토퍼는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국무장관을 지냈고, 법조계와 정계에서 다양한 경력을 쌓았으며, 국무장관 재임 중 NATO 확장과 중동 평화 협상 등에 관여했고, 로스앤젤레스 경찰 개혁과 대통령 선거 재검표 과정에도 참여했다. - 미국의 법무부 부장관 - 에릭 홀더
에릭 홀더는 미국의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버락 오바마 행정부에서 제82대 미국 법무장관을 역임했으며 미국 역사상 최초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법무장관이다.
니콜라스 카첸바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니콜라스 드벨빌 카첸바흐 |
출생일 | 1922년 1월 17일 |
출생지 |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
사망일 | 2012년 5월 8일 |
사망지 | 미국 뉴저지주 스킬먼 |
정당 | 미국 민주당 |
배우자 | 리디아 킹 펠프스 스토크스 |
자녀 | 4명 (존 카첸바흐 포함) |
친척 | 에드워드 L. 카첸바흐 (아버지) 마리 힐슨 카첸바흐 (어머니) |
학력 | 프린스턴 대학교 (문학사) 예일 대학교 (법학사) 베일리얼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
군사 복무 | |
소속 | 미국 육군 |
부대 | 미국 육군 항공대 제8공군 |
참전 전투 | 제2차 세계 대전 |
공직 | |
직위 | 제24대 미국 국무부 차관 |
대통령 |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 1966년 11월 28일 |
임기 종료 | 1969년 1월 20일 |
이전 담당자 | 조지 볼 |
다음 담당자 | 엘리엇 리처드슨 |
공직 2 | |
직위 | 제65대 미국 법무부 장관 |
대통령 |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 1964년 9월 4일 |
임기 종료 | 1966년 11월 28일 |
임시 임기 시작 | 1964년 9월 4일 |
임시 임기 종료 | 1965년 2월 11일 |
부장관 | 램지 클라크 |
이전 담당자 | 로버트 F. 케네디 |
다음 담당자 | 램지 클라크 |
공직 3 | |
직위 | 제7대 미국 법무부 부장관 |
대통령 | 존 F. 케네디 린든 B. 존슨 |
임기 시작 | 1962년 4월 16일 |
임기 종료 | 1965년 1월 28일 |
이전 담당자 | 바이런 화이트 |
다음 담당자 | 램지 클라크 |
2. 초기 생애 및 교육
니콜라스 카첸바흐는 1922년 1월 17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에서 태어나 뉴저지주 트렌턴에서 자랐다.[1][2] 그의 아버지 에드워드 L. 카첸바흐는 뉴저지주 법무장관을 지냈으며, 어머니 마리 힐슨 카첸바흐는 뉴저지주 교육위원회 첫 여성 회장이었다. 그의 삼촌 프랭크 S. 카첸바흐는 뉴저지주 트렌턴 시장과 뉴저지주 대법원 판사를 역임했다. 카첸바흐는 어머니의 증조할아버지이자 카지미에시 푸와스키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와 1778년 트렌턴에 정착한 프랑스 의사인 니콜라 드 벨빌(1753~1831)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2] 그는 성공회 신자로 자랐으며,[3][4] 부분적으로 독일계 혈통이었다.[5]
1950년부터 1952년까지 미 공군 장관 법률자문실의 법률고문을 역임했다.[12] 카첸바흐는 1950년부터 1951년까지 럿거스 로스쿨 교수진으로 활동했으며, 1952년부터 1956년까지 예일 대학교 법학과 부교수,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법학과 교수를 역임했다.[12]
필립스 엑서터 아카데미를 거쳐 프린스턴 대학교에 입학했다. 1941년 진주만 공격 직후 미국군에 입대하여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 육군 항공대에서 복무했다. 북아프리카의 제381 폭격비행대대 제310 폭격단에서 항법사로 배치되었으며, 1943년 2월 23일 그의 B-25 미첼 폭격기가 북아프리카 해안 지중해 상공에서 격추되어 2년 이상 이탈리아와 독일의 포로 수용소에서 생활했다. 슈탈락 루프트 III에 수용되었을 당시에는 ''영미법 원리''를 바탕으로 비공식적인 수업을 운영하기도 했다.[6][7][8]
1945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는데, 이는 그가 포로 생활 중 읽은 500권이 넘는 책에 대한 학점을 대학 측에서 인정한 부분적 결과였다.[6] 졸업 논문은 "소규모 강철 공식: 역사적 평가"였다.[9] 1947년 예일 법과대학에서 우등으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예일 법률 저널''의 편집장을 역임했다.[10] 1947년부터 1949년까지 옥스퍼드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에서 로드 장학금 수혜자로 공부했다.
1946년 6월 8일, 리디아 킹 필립스 스톡스와 결혼했으며, 결혼식은 그녀의 삼촌이자 전 워싱턴 국립 대성당의 대성당 참사회원이었던 앤슨 필립스 스톡스가 집례했다. 그녀의 아버지는 신문 특파원이자 허버트 후버의 비서였던 해롤드 필립스 스톡스였다.[11]
1950년 뉴저지주 변호사 자격을, 1955년 코네티컷주 변호사 자격을 취득했다. 1950년 카첸바흐, 길디아, 루드너 법률회사의 동업자였다. 1950년부터 1952년까지 공군 장관의 법률 고문을 역임했고, 1952년에는 예일 대학교 법학 조교수, 시카고 대학교 법학 교수로 재직했다.
3. 정부 경력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 법무부의 법률자문실 법무차관보로, 그리고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법무부 차관으로 일했다. 케네디 대통령 암살 후에도 카첸바흐는 존슨 행정부에서 계속 근무했다. 1965년 2월 11일, 존슨 대통령은 카첸바흐를 제65대 법무장관으로 임명했으며, 그는 1966년 10월 2일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다.[12] 이후 1966년부터 1969년까지 국무차관을 역임했다.[12] 국무차관으로 재직하던 중, 그는 1967년 USS ''리버티''호 사건에 대해 "이스라엘이 자신들이 공격한 것이 미국의 배라는 것을 몰랐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2]
2008년 9월, 카첸바흐는 정부 근무 시절에 대한 회고록인 "그중 일부는 재미있었다: RFK와 LBJ와 함께 일하며(Some of It Was Fun: Working with RFK and LBJ)" (W. W. Norton)를 출판했다.[12]
3. 1. 초기 경력
니콜라스 카첸바흐는 1950년부터 1952년까지 미 공군 장관 법률자문실의 법률고문을 역임했다.[12] 1950년부터 1951년까지 럿거스 로스쿨 교수진으로 활동했으며, 1952년부터 1956년까지 예일 대학교 법학과 부교수,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법학과 교수를 역임했다.[12]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 법무부의 법률자문실 법무차관보로,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법무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12] 존슨 대통령은 1965년 2월 11일 카첸바흐를 제65대 법무장관으로 임명했으며, 그는 1966년 10월 2일까지 그 직책을 수행했다.[12] 1966년부터 1969년까지 국무차관을 역임했다.[12] 국무차관으로 재직하던 중, 1967년 USS ''리버티''호 사건에 대해 언급했다.[12]
2008년 9월, 카첸바흐는 정부 근무 시절에 대한 회고록인 "그중 일부는 재미있었다: RFK와 LBJ와 함께 일하며(Some of It Was Fun: Working with RFK and LBJ)"를 출판했다.[12]
3. 2. 케네디 행정부
1950년부터 1952년까지 미 공군 장관 법률자문실의 법률고문을 역임했다. 카첸바흐는 1950년부터 1951년까지 럿거스 로스쿨 교수진으로 활동했으며, 1952년부터 1956년까지 예일 대학교 법학과 부교수, 1956년부터 1960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법학과 교수를 역임했다.[12]
1961년부터 1962년까지 미국 법무부의 법률자문실 법무차관보로, 1962년 존 F. 케네디 대통령에 의해 법무부 차관으로 임명되었다. 1962년 10월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해상봉쇄에 따른 법적 조치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두 달 후 피그스 만 사건으로 카스트로에게 붙잡힌 포로의 석방을 요구하는 협상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12]
1963년 앨라배마 대학교에서 조지 월리스 주지사가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막으려 했을 때, 카첸바흐는 법무부 간부로서 두 학생의 입학을 허용하도록 했다.[12]
3. 3. 학교 현관 앞의 저항
1963년 6월 11일, 카첸바흐는 미국 민권 운동에서 가장 유명한 사건 중 하나인 "학교 현관 앞의 저항" 사건에 주요 참여자였다.[13] 앨라배마주 주지사 조지 월리스는 앨라배마 대학교의 포스터 강당 앞에서 두 흑인 학생 비비안 말론과 제임스 후드의 입학을 막으려 했다. 월리스는 앨라배마 주방위군 사령관 헨리 V. 그레이엄의 명령에 따라 수 시간 후 물러났다.[14]
카첸바흐는 1961년 케네디 행정부에서 법무차관보가 되었고, 1962년부터는 법무부 차관이 되었다. 1962년 10월 쿠바 미사일 위기 당시 해상봉쇄에 따른 법적 조치와 관련하여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또한 두 달 후 피그스 만 사건으로 카스트로에게 붙잡힌 포로의 석방을 요구하는 협상단의 일원으로 활동했다.
케네디 행정부 재임 중 카첸바흐는 남부 지역 대학에서의 인종차별 철폐를 위해 노력했다. 1963년 조지 월리스가 앨라배마 대학교에 주방위군을 배치하고 직접 대학 정문 앞에 나타나 흑인 학생들의 입학을 저지하려 했을 때, 카첸바흐는 법무부 간부로서 두 흑인 학생과 함께 대통령 포고령을 읽어 두 사람의 입학을 허용하도록 했다.
3. 4. 존슨 행정부
법무부 차관으로 재직 중이던 1963년 11월 22일 케네디 암살 사건이 발생했다. 이틀 뒤 J.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은 카첸바흐를 방문하여 오스왈드가 암살범이라고 단정 지었다고 전했다. 암살 사건 3일 후, 카첸바흐는 존슨 대통령의 특별 보좌관 윌리엄 D. 모이어에게 메모를 보내 오스왈드가 암살자라는 점을 대중에게 확신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후버는 존슨의 측근에게 보낸 메모에서 오스왈드가 진정한 암살자라는 것을 대중에게 납득시키기 위한 발표가 필요하다는 데 카첸바흐도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메모들은 정부가 암살 사건의 진상 은폐를 모의했음을 보여주는 공적 문서로, 카첸바흐와 후버는 워런 위원회 설립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1964년 3월 로버트 F. 케네디가 법무장관직을 사임하자 카첸바흐는 법무장관 대행이 되었고, 1965년 2월 11일 존슨 대통령은 카첸바흐를 제65대 법무장관으로 임명했다. 그는 톤킨만 결의에 따라 존슨 대통령에게 미군을 베트남에 파병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베트남 전쟁의 확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1966년 10월 2일 카첸바흐는 법무장관직을 사임하고 국무차관에 임명되었으며, 1969년까지 재직했다. 국무차관으로 재직하던 중 1967년 USS ''리버티''호 사건에 대해 "이스라엘이 자신들이 공격한 것이 미국의 배라는 것을 몰랐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2] 1968년 1월 푸에르토리코호 사건이 발생하자, 그는 국무부 차관으로서 북한과의 협상에 나섰으나, 북한의 강경한 태도로 난항을 겪었다. 결국 미국의 정보 활동을 인정하는 사과문에 서명함으로써 인질 석방에 성공했다.
3. 5. 존 F. 케네디 암살 조사
존 F. 케네디 암살 이후, 카첸바흐는 워런 위원회 설립으로 이어진 자문을 제공했다.[15] 1963년 11월 25일, 그는 존슨의 백악관 보좌관 빌 모이어스에게 암살 사건을 조사하기 위한 대통령 위원회 설립을 권고하는 메모를 보냈다.[15][16] 음모론에 대한 추측을 불식시키기 위해 카첸바흐는 FBI 조사 결과를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15][16] 그는 "국민들은 오스왈드가 암살자였고, 아직 도주 중인 공범이 없다는 사실에 만족해야 합니다."라고 적었다.[16]
카첸바흐의 메모 4일 후, 존슨은 미국 대법원장을 포함한 전국적으로 저명한 인물들을 위원회에 임명했다.[15][16] 음모론자들은 나중에 1994년 국가문서기록관리청이 공개한 수천 개의 파일 중 하나인 이 메모를 정부의 은폐의 첫 징후라고 불렀다.[15][16]
1963년 11월 24일, J. 에드거 후버 FBI 국장은 닉슨을 방문하여 오스왈드가 암살범이라고 단정 지었다고 전했다. 암살 사건 3일 후, 닉슨은 존슨 대통령의 특별 보좌관 윌리엄 D. 모이어에게 대중에게 오스왈드가 암살자이며,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을 것이라는 점을 확신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 또한 후버는 존슨의 측근에게 오스왈드가 진정한 암살자라는 것을 대중에게 납득시키기 위해 어떤 발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닉슨도 같은 생각이라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 이러한 메모들은 정부가 암살 사건의 진상 은폐를 모의했음을 가장 잘 보여주는 공적 문서이며, 닉슨과 후버는 워런 위원회 설립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3. 6. 베트남 전쟁과 푸에블로호 사건
케네디 암살 사건 3일 후, 닉슨은 존슨 대통령의 특별 보좌관 윌리엄 D. 모이어에게 오스왈드가 암살자이며, 재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을 것이라는 점을 확신시켜야 한다는 내용의 메모를 보냈다. 또한 J. 에드거 후버 FBI 국장에게도 같은 내용의 메모를 보냈으며, 이러한 메모들은 정부가 암살 사건의 진상 은폐를 모의했음을 보여주는 공적 문서이다. 닉슨과 후버는 워런 위원회 설립에 주요한 역할을 했다.
1965년부터 법무장관을 역임한 그는 톤킨만 결의에 따라 존슨 대통령에게 미군을 베트남에 파병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하며 베트남 전쟁의 확전에 적극적인 역할을 했다. 이후 그는 협상을 통한 전쟁 해결을 주장했다.
1966년 국무부 차관이 된 닉슨은, 1968년 1월 푸에블로호 사건이 발생하자 북한과의 협상에 나섰다. 그는 베트남 전쟁의 확전을 막기 위해 군사 행동이 아닌 외교적 해결을 목표로 끈기있게 협상을 계속했지만, 북한의 강경한 태도로 인해 난항을 겪었다. 결국 미국의 정보 활동을 인정하는 사과문에 서명함으로써 인질을 석방하는 데 성공했다. 1969년, 그는 국방부 차관을 사임하고 민간으로 돌아갔다.
4. 이후 경력
니콜라스 카첸바흐는 1969년 정부를 떠나 IBM에 합류하여 법률 고문으로 일했으며, 미국 법무부가 IBM의 해체를 요구하며 제기한 장기간에 걸친 독점금지 소송을 담당했다.[17] 그는 크래버스, 스웨인 & 무어의 변호사인 토마스 배어와 함께 13년간 이 거대 컴퓨터 회사를 위해 소송을 진행했고, 결국 정부가 1982년 소송을 취하하기로 결정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이후 카첸바흐는 유럽연합이 제기한 소송에 맞서 싸웠다. 그는 FBI가 활약했던 IBM 산업 스파이 사건 당시 IBM 부사장이었다.
1980년 카첸바흐는 워터게이트 사건의 "딥 스로트"로 밝혀진 후 FBI 부국장이 된 W. 마크 펠트의 변호를 위해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지방법원에 증언했다.[17] 그는 미국 시민에 대한 불법 도청을 지시한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1998년 12월 8일에는 클린턴 대통령 탄핵 여부를 심의하기 위한 하원 사법위원회 청문회에서 클린턴 대통령을 대변하여 증언했다.[20]
1986년 IBM에서 은퇴하고 뉴저지에 있는 라이커, 댄지그, 셰러, 하일랜드 & 페레티 법률회사의 파트너가 되었다.[17] 1991년에는 파산 위기에 처한 뱅크 오브 크레딧 앤드 커머스 인터내셔널(BCCI)의 회장으로 임명되었다.[18] 1996년 12월 카첸바흐는 클린턴/고어 후보에 투표한 뉴저지의 15명의 선거인단 중 한 명이었다.[19]
2002년 7월 카첸바흐는 MCI 커뮤니케이션 이사회에 합류했다.[21] 2004년 3월 MCI가 채프터 11 파산 보호에서 벗어난 후 MCI 이사회의 비상임 회장으로 선출되었다.[21] MCI는 나중에 베라이즌과 합병되었다. 2004년 3월, MCI 회장에 취임했다.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22]와 미국 철학 학회 회원이었다.[23]
카첸바흐와 그의 아내 리디아는 뉴저지주 프린스턴 지역에 은퇴했으며,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티스버리의 마서스 비니어드에 여름 별장을 가지고 있었다.[24] 그의 아들은 작가인 존 카첸바흐이고, 그의 딸 마리아 역시 출판된 소설가이다.[25]
2010년 4월 W. 윌러드 위르츠가 사망한 후 카첸바흐는 미국 전직 내각 구성원 중 최고령 생존자가 되었다. 카첸바흐는 2012년 5월 8일 90세의 나이로 몽고메리 타운십의 스킬먼() 지역 자택에서 사망했다.[26][27] .
5. 사망
카첸바흐는 2012년 5월 8일 90세의 나이로 뉴저지주 몽고메리 타운십의 스킬먼 지역 자택에서 사망했다.[26][27] 2010년 4월 W. 윌러드 위르츠가 사망한 후 카첸바흐는 미국 전직 내각 구성원 중 최고령 생존자가 되었다. 그는 1969년 정부를 떠나 IBM에 합류하여 법률 고문으로 일했으며, 미국 법무부가 IBM의 해체를 요구하며 제기한 장기간에 걸친 독점금지 소송을 담당했다.[17] 그는 크래버스, 스웨인 & 무어의 변호사인 토마스 배어와 함께 13년간 이 거대 컴퓨터 회사를 위해 소송을 진행했고, 결국 정부가 1982년 소송을 취하하기로 결정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이후 카첸바흐는 유럽연합이 제기한 소송에 맞서 싸웠다. 1986년 IBM에서 은퇴하고 뉴저지에 있는 라이커, 댄지그, 셰러, 하일랜드 & 페레티 법률회사의 파트너가 되었다.[17]
1980년 카첸바흐는 워터게이트 사건의 "딥 스로트"로 밝혀진 후 FBI 부국장이 된 W. 마크 펠트의 변호를 위해 미국 컬럼비아 특별구 지방법원에 증언했다. 그는 미국 시민에 대한 불법 도청을 지시한 혐의로 기소되어 유죄 판결을 받았다. 또한 그는 1998년 12월 8일 클린턴 대통령 탄핵 여부를 심의하기 위한 하원 사법위원회 청문회에서 클린턴 대통령을 대변하여 증언했다.[20]
카첸바흐와 그의 아내 리디아는 뉴저지주 프린스턴 지역에 은퇴했으며, 매사추세츠주 웨스트 티스버리의 마서스 비니어드에 여름 별장을 가지고 있었다.[24] 그의 아들은 작가인 존 카첸바흐이고, 그의 딸 마리아 역시 출판된 소설가이다.[25]
6. 저서
wikitext
- Some of It Was Fun: Working with RFK and LBJ영어, 2008년, W.W. 노턴, 뉴욕, ISBN 978-0-393-06725-5
참조
[1]
서적
Lineage Book
https://books.google[...]
National Society of the Daughters of the American Revolution
1901
[2]
웹사이트
Trenton Old & New
http://trentonhistor[...]
2008-06-27
[3]
서적
Current Biography Yearbook
https://books.google[...]
H. W. Wilson Company
1966-10-21
[4]
웹사이트
Background on Nicholas Katzenbach – Video
http://bigthink.com/[...]
2013-06-27
[5]
뉴스
New Attorney General; Nicholas deBelleville Katzenbach
https://www.nytimes.[...]
1965-10-21
[6]
간행물
Lives: Nicholas deB. Katzenbach '43
http://paw.princeton[...]
2013-02-06
[7]
서적
The Sicilian Judge: Anthony Alaimo, an American Hero
https://books.google[...]
Mercer University Press
2008
[8]
웹사이트
Letter from Katzenbach at TPM Cafe 2009
http://tpmcafe.talki[...]
[9]
간행물
The Little Steel Formula - An Historical Appraisal
https://catalog.prin[...]
[10]
간행물
CIVIL AND CRIMINAL CONTEMPT IN THE FEDERAL COURTS
https://digitalcommo[...]
[11]
뉴스
Nuptials are Held for Lydia Stokes
https://www.nytimes.[...]
1947-06-09
[12]
서적
The Attack on the Liberty: The Untold Story of Israel's Deadly 1967 Assault on a U.S. Spy Ship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09-06-02
[13]
웹사이트
Nicholas Katzenbach, Unsung Hero of America's Desegregation
https://www.theatlan[...]
Theatlantic.com
2012-05-09
[14]
뉴스
Alabama segregation date approaches
https://www.usatoday[...]
2003-06-08
[15]
뉴스
Nicholas Katzenbach dies at 90; attorney general under Johnson
https://www.latimes.[...]
2012-05-10
[16]
뉴스
Nicholas Katzenbach, JFK and LBJ aide, dead at 90
http://www.politico.[...]
2012-05-09
[17]
웹사이트
Riker Danzig firm history
http://www.riker.com[...]
[18]
서적
The Cambridge Dictionary of American Biography
Th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19]
웹사이트
1996 Electoral College Votes
https://www.archives[...]
2006-12-21
[20]
웹사이트
Transcript: Statement of former Attorney General Katzenbach – December 8, 1998
http://www.cnn.com/A[...]
[21]
웹사이트
MCI Board Of Directors Elects Nicholas Katzenbach As Non-Executive Chairman; Michael Capellas Now President and CEO
https://www.verizon.[...]
MCI
2004-03-16
[22]
웹사이트
Nicholas DeBelleville Katzenbach
https://www.amacad.o[...]
[2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24]
웹사이트
Land Bank adds beach, pasture
http://www.mvtimes.c[...]
2007-03-29
[25]
뉴스
Interview with Maria Katzenbach
https://www.washingt[...]
1978-01-15
[26]
뉴스
Nicholas Katzenbach, 90, Dies; Policy Maker at '60s Turning Points
https://www.nytimes.[...]
2012-05-10
[27]
뉴스
Nicholas Katzenbach, 1960s Political Shaper, Dies at 90
http://www.nytimes.c[...]
2012-05-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