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혼마쓰 요시쓰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혼마쓰 요시쓰구는 센고쿠 시대의 무장으로, 니혼마쓰 가문의 15대 당주였다. 1552년에 태어나 1580년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다테 마사무네와의 갈등으로 인해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다테 마사무네의 침공으로 영지를 잃을 위기에 처하자 마사무네의 아버지인 다테 데루무네를 납치하려다 실패하여, 1585년 아부쿠마강변에서 마사무네에게 사살되었다. 그의 죽음은 이후 히토토리바시 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니혼마쓰씨 - 니혼마쓰성
니혼마쓰성은 후쿠시마현 니혼마쓰시에 있는 사다리꼴식 평산성으로, 무로마치 시대에 요새로 건설되어 센고쿠 시대에는 다테 마사무네와 니혼마쓰 가문의 갈등지였으며, 에도 시대 성주가 여러 번 바뀌었고 보신 전쟁 때 파괴되었으나 복원되어 국가 사적으로 지정, 현재는 공원으로 활용된다. - 1585년 사망 - 니와 나가히데
니와 나가히데는 센고쿠 시대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무장으로 오다 노부나가와 토요토미 히데요시를 섬기며 군사적 능력과 정치적 감각을 발휘, 아즈치 성 건설 총괄, 시즈가타케 전투 기여, 에치젠 국과 가가 국 통치 등으로 활약했다. - 1585년 사망 - 다테 데루무네
다테 데루무네는 1544년에 태어나 1585년에 사망한 다테 가문의 16대 당주이며, 세력 확장을 위해 노력하다가 아들에게 납치되어 살해당했다. - 1552년 출생 - 마테오 리치
마테오 리치는 16세기 예수회 선교사이자 학자로, 중국에서 유교적 가치관에 기반한 선교와 저술 활동을 통해 서양 학문과 기독교를 소개하고 중국 문화를 유럽에 알리는 데 기여했으며, 가경자로 선포되었다. - 1552년 출생 - 한백겸
한백겸은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고증학적 방법론을 통해 조선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여 실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정여립의 난 연루와 임진왜란 공훈 등의 부침을 겪었으나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기자정전 유적을 주장하는 등 후대 실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니혼마쓰 요시쓰구 | |
---|---|
기본 정보 | |
씨명 |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씨(ja) |
이름 | 니혼마쓰 요시쓰구 |
원어 이름 | 二本松 義継 |
아명 | 시치로(ja) |
시호 | 월봉원공(月峰円公) |
관위 | 사쿄노스케(ja) 우쿄다유(ja) 고즈케노스케(ja) |
영지 | 무쓰국 아다치군 니혼마쓰 성주( |
가문 | Ashikaga mon.svg |
가문 설명 | 해당사항 없음 |
생몰 | 출생: 덴분 21년(1552년) 사망: 덴쇼 13년 10월 8일(1585년 11월 29일) |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가계 | |
아버지 | 니혼마쓰 요시쿠니(ja) |
자녀 | 요시쓰나(ja) 요시타카(ja) |
배우자 | 정실: 신조 나오쓰구의 딸 |
추가 정보 | |
특기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2. 생애
덴분 21년(1552년) 니혼마쓰 요시쿠니의 적남으로 태어나, 쇼군 아시카가 요시아키에게서 「요시(義)」자를 받아 「요시쓰구(義継)」라 이름하였다. 덴쇼 8년(1580년) 아버지 요시쿠니의 사망으로 가독(家督)을 이어받아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가문의 15대 당주가 되었다.
덴쇼 13년(1585년) 다테 마사무네와의 갈등으로 인해 아부쿠마강변의 다카다하라(高田原|다카다하라일본어)에서 마사무네에게 따라잡혀 데루무네와 함께 사망했다. (이 사건을 아와노스의 변이라고 한다) 그의 나이는 34세였다. 요시쓰구의 죽음은 히토토리바시 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2. 1. 출생과 가독 상속
덴분 21년(1552년) 니혼마쓰 요시쿠니의 적남으로 태어났다. 아시카가 요시아키에게서 「요시(義)」 자를 받아 「요시쓰구(義継)」라 이름하였다. 덴쇼 8년(1580년) 아버지 요시쿠니가 사망하자 가독(家督)을 이어받아 니혼마쓰 하타케야마 가문의 15대 당주가 되었다.2. 2. 다테 마사무네와의 갈등
덴쇼 13년(1585년), 다테 마사무네가 그의 장인 다무라 기요아키와 함께 오우치 마사쓰나를 공격했다. 이때, 마사쓰나와 인척 관계였던 요시쓰구는 아시나 가문과 손잡고 마사쓰나를 지원하였다. 하지만 마사쓰나는 마사무네에게 크게 패하여 요시쓰구에게로 달아났고, 요시쓰구는 마사쓰나를 받아 주었다. 이 때문에 요시쓰구도 마사무네의 침공을 받게 되었다. 이어 다테 군은 요시쓰구의 영내로 쳐들어와 대부분을 점령하기에 이르렀다.결국 요시쓰구는 마사무네에게 항복을 약속하였으나, 니혼마쓰 가문의 영지 대부분을 빼앗을 생각이던 마사무네는 이를 거부했다. 게다가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 부근의 몇 안 되는 토지를 제외하고 니혼마쓰 가문의 영지를 전부 몰수하여, 요시쓰구가 센고쿠 다이묘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몰아넣으려고 했다. 당시 군사력 면에서 다테 군에 비해 열세였던 요시쓰구는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
이 조건은 마사무네의 아버지로, 당시 은거 중이었던 다테 데루무네와 다테 시게자네의 알선으로 완화되었다. 결국 마사무네는 아버지의 만류로, 점령한 땅의 일부를 요시쓰구에게 돌려주어야 했다. 하지만, 요시쓰구는 마사무네가 제시했던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마사무네에게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다. 그해 10월 8일, 요시쓰구는 데루무네에게 감사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그를 찾아갔다. 당시 마사무네는 매사냥을 나가 있었기 때문에, 미야모리 성에 있던 데루무네가 대신 요시쓰구와 회견을 가졌던 것이다. 그러나 일이 여의치가 않자, 요시쓰구는 데루무네를 납치하여 인질삼아 안전하게 니혼마쓰 성으로 데리고 돌아가려 했다(일설에는 칼을 갈고 있는 다테 군을 목격한 요시쓰구가 태도를 바꿨다고도 한다).
이때 매사냥을 나가 있던 마사무네는 이 소식을 듣고 즉시 요시쓰구를 추격했다. 결국 요시쓰구는 도중에 아부쿠마강변의 다카다하라(高田原|다카다하라일본어)에 이르러 마사무네에게 따라잡혔다. 그리고 데루무네와 함께 다테 군의 총격으로 사살되었다(최후를 각오한 요시쓰구가 데루무네를 살해하고 자살했다는 설도 있다. 혹은, 이때 데루무네와 함께 서로 찔러 죽었다고도 한다). 이때 요시쓰구의 나이는 34세였다. 마사무네는 요시쓰구의 시체를 남김없이 난도질하여 말로 질질 끌고 가서, 거성에 도착하자마자 이를 등나무 덩굴로 봉합하여 성벽 아래에 내걸었다고 한다. 이 사건은 약 2개월 뒤인 그해 11월 17일(1586년 1월 6일)에 벌어진 히토토리바시 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2. 3. 아와노스의 변
덴쇼 13년(1585년), 다테 마사무네가 그의 장인 다무라 기요아키와 함께 오우치 사다쓰나를 공격하자, 사다쓰나와 인척 관계에 있던 니혼마쓰 요시쓰구도 마사무네에게 공격받았다. 요시쓰구는 마사무네에게 항복을 요청했지만, 마사무네는 요시쓰구를 용서하지 않고 니혼마쓰 성 부근의 작은 토지를 제외한 모든 영지를 몰수하여 센고쿠 다이묘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까지 몰아넣으려 했다. 이 조건은 마사무네의 아버지이자 은거한 데루무네와 다테 시게자네의 알선으로 완화되었지만, 마사무네에게 깊은 원한을 품게 된 요시쓰구는 10월 8일 미야모리 성에 있던 데루무네에게 감사 인사를 하기 위해 찾아갔다가 데루무네를 납치하여 니혼마쓰 성으로 데려가려 했다.그러나 도중에 아부쿠마강변의 다카다하라(高田原|다카다하라일본어)에서 마사무네에게 따라잡혀 데루무네와 함께 다테 군의 총격으로 사살되었다고도 하고, 혹은 이때 데루무네와 함께 서로 찔러 죽었다고도 한다(아와노스의 변). 요시쓰구의 나이는 34세였다. 요시쓰구의 유해는 마사무네에 의해 토막 난 뒤, 등나무 덩굴로 묶여 끔찍하게 매달렸다고 한다.
2. 4. 요시쓰구의 죽음과 그 이후
덴쇼 13년(1585년), 다테 마사무네가 그의 장인 다무라 기요아키와 함께 오우치 마사쓰나를 공격하자, 요시쓰구는 마사무네에게 항복을 요청했다. 그러나 마사무네는 니혼마쓰 성 부근의 몇 안 되는 토지를 제외하고 니혼마쓰 가문의 영지를 전부 몰수하여, 요시쓰구가 센고쿠 다이묘로서의 지위를 유지할 수 없는 상황에까지 몰아넣으려고 했다. 당시 군사력 면에서 다테 군에 비해 열세였던 요시쓰구는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다.이 조건은 마사무네의 아버지로, 당시 은거 중이었던 다테 데루무네와 다테 시게자네의 알선으로 완화되었다. 결국 마사무네는 아버지의 만류로, 점령한 땅의 일부를 요시쓰구에게 돌려주어야 했다. 하지만, 요시쓰구는 마사무네가 제시했던 가혹한 조건으로 인해 마사무네에게 깊은 원한을 품게 되었다. 그해 10월 8일, 요시쓰구는 데루무네에게 감사 의사를 표시하기 위해 그를 찾아갔다. 당시 마사무네는 매사냥을 나가 있었기 때문에, 미야모리 성에 있던 데루무네가 대신 요시쓰구와 회견을 가졌던 것이다. 그러나 일이 여의치가 않자, 요시쓰구는 데루무네를 납치하여 인질삼아 안전하게 니혼마쓰 성으로 데리고 돌아가려 했다(일설에는 칼을 갈고 있는 다테 군을 목격한 요시쓰구가 태도를 바꿨다고도 한다).
이때 매사냥을 나가 있던 마사무네는 이 소식을 듣고, 즉시 요시쓰구를 추격했다. 결국, 요시쓰구는 도중에 아부쿠마강변의 다카다하라(高田原|다카다하라일본어)에 이르러 마사무네에게 따라잡혔다. 그리고 데루무네와 함께 다테 군의 총격으로 사살되었다(최후를 각오한 요시쓰구가 데루무네를 살해하고 자살했다는 설도 있다. 혹은, 이때 데루무네와 함께 서로 찔러 죽었다고도 한다). 이때 요시쓰구의 나이 34세였다. 마사무네는 요시쓰구의 시체를 남김없이 난도질하여 말로 질질 끌고 가서, 거성에 도착하자마자 이를 등나무 덩굴로 봉합하여 성벽 아래에 내걸었다고 한다. 이 사건은 약 2개월 뒤인 그해 11월 17일(1586년 1월 6일)에 벌어진 히토토리바시 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3. 대중문화 속의 니혼마쓰 요시쓰구
- 독안룡 정종|도쿠간류 마사무네일본어(1942년, 대영, 감독: 이나가키 히로, 배우: 토야마 만)
- 독안룡 정종|도쿠간류 마사무네일본어(1959년, 동영 교토, 감독: 하야시 코노, 배우: 산형훈)
- 독안룡 정종|도쿠간류 마사무네일본어(1987년, NHK 대하 드라마, 배우: 석전태랑)
- 사랑과 야망의 독안룡 다테 마사무네|아이토 야보노 도쿠간류 다테 마사무네일본어(1995년, TBS 대형 시대극 스페셜, 배우: 승부 연지)
참조
[1]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2]
웹사이트
二本松義継とは - コトバンク
https://kotobank.jp/[...]
2012-07-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