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님라부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님라부스는 몸길이가 1.2m에 달했던 멸종된 고양이과 동물로, 날렵한 몸매와 카라칼과 유사한 발을 가졌다. 매복 사냥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며, 다른 가짜 검치호랑이와 경쟁했다. 님라부스 두개골에서 다른 동물의 송곳니에 의한 상처와 동종 간의 싸움 흔적이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리고세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스콸로돈
    스콸로돈은 멸종된 이빨고래의 속으로, 조상 고래와 현대 이빨고래의 특징을 모두 가지며, 원시적인 치열과 반향정위의 기원을 보이는 특징을 나타낸다.
  • 올리고세 북아메리카의 포유류 - 아르카에오테리움
    아르카에오테리움은 돼지, 고래, 하마와 먼 친척인 엔텔로돈과에 속하는 멸종된 육식성 포유류 속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올리고세 후기에서 미오세 초기까지 생존했으며, 튼튼한 뼈, 큰 머리, 강력한 턱을 가졌고, 하마와 고래와 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님라부스과 - 나노스밀루스
    나노스밀루스는 큰 안와, 작은 하악골 플랜지, 좁은 두개골, 덜 발달된 시상 능선을 가진 멸종된 고양이과 동물로, 날카로운 송곳니와 강력한 턱 근육, 짧고 튼튼한 다리를 통해 큰 먹이를 사냥하고 무리 생활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 님라부스과 - 디넬루루스
    디넬루루스는 1922년 명명된 멸종된 동물로, 가늘고 발가락 보행을 하며, 짧은 얼굴과 큰 콧구멍, 넓은 머리뼈와 원뿔형 이빨, 덜 발달된 검치를 가진 주행성 포식자로 추정된다.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코엘루루스
    코엘루루스는 쥐라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몸길이 약 2.4m, 몸무게 13~20kg 정도의 소형 수각류 공룡 속으로, 긴 목과 다리, 가느다란 몸체를 가지고 코엘루로사우루스류에 속하며,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는 불확실하지만 티라노사우루스상과와 관련이 있다는 주장도 있다.
  • 1879년 기재된 화석 분류군 - 브론토사우루스
    브론토사우루스는 오트니엘 찰스 마쉬가 1879년에 명명한 거대한 용각류 공룡으로, 한때 아파토사우루스와 동일 속으로 취급되어 사용이 중단되었으나 2015년 연구를 통해 유효한 속으로 재인정받았으며, "천둥 도마뱀"이라는 이름으로 대중문화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님라부스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N. brachyops 두개골
학명Nimravus
명명자Cope, 1879
모식종Nimravus brachyops
모식종 명명자Cope, 1879
화석 범위프리아보니아절 ~ 올리고세,
하위 분류
N. brachyops Cope, 1879
N. intermedius Filhol, 1872
N. mongoliensis (Gromova 1959)

2. 특징

님라부스는 몸길이가 1.2m 정도였으며, 날렵한 체형과 긴 등, 부분적으로 움츠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진 개와 같은 발을 가지고 있어 현대의 카라칼과 유사했을 것으로 보인다.[2] 현생 고양이과 동물처럼 매복하여 사냥을 했을 것이며, 호플로포네우스와 같은 다른 가검치호류와 경쟁했다.[4]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님라부스 두개골에는 에우즈밀루스의 검치 모양 송곳니와 일치하는 구멍이 발견되었는데, 상처가 아문 흔적으로 보아 공격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3] 다른 님라부스의 상완골에 검치가 박힌 님라부스 두개골 화석이 발견되어 동종 간의 치명적인 싸움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5][6]

님라부스(왼쪽)와 다른 터틀 코브 층 산 동물들의 복원도

2. 1. 신체적 특징

님라부스는 몸길이가 1.2m에 달했다. 날렵한 몸매를 지녔으며, 긴 등과 부분적으로 움츠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진 와 같은 발을 가지고 있어 현대의 카라칼과 비슷했을 것이다. 아마도 현대 고양이처럼 매복하여 새와 작은 포유류를 사냥했을 것이며, 쫓아가서 사냥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님라부스는 호플로포네우스와 같은 다른 가검치호류와 경쟁했다.[2]

오른쪽 송곳니가 다른 개체의 상완골을 관통하고 있는 ''N. brachyops''의 두개골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어떤 님라부스 두개골에는 전두부에 관통공이 있었는데, 그 구멍은 에우스밀루스의 검상견치의 크기와 완전히 일치했다. 그 님라부스 개체는 습격 후에도 살아남았던 것으로 보이며, 상처에는 치유의 흔적이 있었다. 네브래스카 산의 또 다른 님라부스 화석이 고생물학자 로렌 투히에 의해 1959년에 기술되었는데,[5] 그 화석은 님라부스 두개골의 검치가 다른 님라부스 개체의 상완골에 꽂혀 있어, 죽음에 이르게 한 종내 투쟁의 발생을 암시하고 있다.[6]

2. 2. 생태

''님라부스''는 몸길이가 약 1.2m였다. 날렵한 몸매를 지녔으며, 긴 등과 부분적으로 움츠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진 와 같은 발을 가지고 있어 현대의 카라칼과 비슷했을 것이다.[2] 아마도 현대 고양이처럼 매복하여 새와 작은 포유류를 사냥했을 것이며, 쫓아가서 사냥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님라부스는 호플로포네우스와 같은 다른 가짜 검치호랑이와 경쟁했다.[2]

2. 3. 병리학적 증거

북아메리카에서 발견된 ''님라부스''의 두개골에는 이마 부위에 구멍이 뚫려 있었는데, 이 구멍은 ''에우즈밀루스''의 검치 모양 송곳니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했다. 이 ''님라부스'' 개체는 상처가 아물었던 흔적이 있어 이 만남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3] 1959년 고생물학자 로렌 투히는 네브래스카에서 발견된 또 다른 ''님라부스'' 화석을 묘사했는데, 여기에는 다른 ''님라부스''의 상완골에 검치가 박힌 ''님라부스'' 두개골이 포함되어 있어 치명적인 동종 간의 싸움이 있었음을 나타낸다.[5][6]

참조

[1] 웹사이트 PBDB Taxon https://paleobiodb.o[...] 2024-07-22
[2]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3] 뉴스 The Dakota Badlands Used to Host Sabertoothed Pseudo-Cat Battles http://www.smithsoni[...]
[4] 서적 The Marshall Illustrated Encyclopedia of Dinosaurs and Prehistoric Animals Marshall Editions
[5] 간행물 The species of Nimravus (Carnivora, Felidae) https://hdl.handle.n[...] 1959
[6] 뉴스 The Dakota Badlands Used to Host Sabertoothed Pseudo-Cat Battles http://www.smithsoni[...]
[7] 서적 검치호랑이 시그마프레스
[8] 서적 검치호랑이 시그마프레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