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나베 겐스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나베 겐스케는 1986년 닌텐도에 입사하여 비디오 게임 산업에서 활동한 게임 개발자이다. 미야모토 시게루 밑에서 게임 개발을 시작하여, 《패미컴 옛날 이야기 신·오니가시마》, 《젤다의 전설》 시리즈 등 초기 작품에 참여했다. 이후 외주 작품의 프로듀서로 활동하며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시리즈, 《MOTHER3》 등 다양한 게임 제작에 참여했다. 그는 닌텐도다움보다는 참신함을 추구하는 게임을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렉터 - 우치코시 코타로
우치코시 코타로는 1973년생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시나리오 작가, 게임 디렉터로서, 극한탈출 시리즈와 AI: 섬니움 파일즈 등의 대표작이 있으며, 코다카 카즈타카와 함께 투쿄 게임즈를 설립하여 독특한 스토리텔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디렉터 - 호리이 유지
호리이 유지는 일본의 게임 디자이너이자 작가, 만화 원작자로,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의 시나리오 및 게임 디자인을 담당하여 일본 롤플레잉 게임(RPG)의 전형을 확립했으며, 다양한 게임 제작과 감독을 거쳐 수상 경력과 함께 고향의 명예 시민으로 선정되었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 - 나카무라 코이치
나카무라 코이치는 1984년 춘소프트 프로그래머로 시작하여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를 개발하며 롤플레잉 게임 장르를 일본에 대중화시켰다. - 일본의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 - 아오누마 에이지
아오누마 에이지는 1988년 닌텐도에 입사하여 《젤다의 전설》 시리즈 개발을 주도하며 게임 시스템 디렉터, 감독, 프로듀서 등을 역임한 일본의 게임 개발자로서,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공로상과 프랑스 문화부 예술문화훈장을 수훈했다. - 닌텐도 사람 - 다지리 사토시
1965년 도쿄에서 태어난 다지리 사토시는 곤충 채집 경험과 아케이드 게임 열정을 바탕으로 게임 팬진 제작 및 게임프리크 설립 후 닌텐도 게임보이의 통신 기능을 활용한 포켓몬스터 시리즈를 통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이자 게임프리크의 회장이다. - 닌텐도 사람 - 미야모토 시게루
미야모토 시게루는 닌텐도에 입사하여 동키콩,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젤다의 전설 등 혁신적인 비디오 게임 시리즈를 기획 및 개발하며 비디오 게임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친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이자 프로듀서이며, AIAS 명예의 전당 헌액, 프랑스 예술문화훈장 슈발리에장 수훈 등 수많은 업적을 통해 비디오 게임계의 거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다나베 겐스케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다나베 겐스케 (田邊 賢輔) |
출생일 | 1963년 1월 26일 |
출생지 | 이케다시, 오사카부 |
직업 | 비디오 게임 프로듀서, 비디오 게임 디자이너 |
활동 기간 | 1986년–현재 |
고용주 | 닌텐도 |
학력 | 오사카 예술대학 예술학부 영상학과 졸업 |
주요 작품 | |
경력 | |
직책 | 닌텐도 SPD 프로덕션 그룹 3 매니저 (2004–2015) 닌텐도 EPD 프로덕션 그룹 6 매니저 (2015–2019) 닌텐도 EPD 선임 임원 (2019–현재) |
2. 경력
오사카 예술대학 예술학부 영상학과를 졸업한 후, 1986년 4월 닌텐도에 입사하며 비디오 게임 개발자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8][9] 초기에는 정보개발본부의 전신인 정보개발부에 소속되어 미야모토 시게루 밑에서 게임 개발에 참여했으며, 《젤다의 전설 시리즈》 등의 초기 작품에서는 시나리오 작성 및 연출을 담당하기도 했다.
이후 외주 작품 관리를 제안받아 외주 담당 크리에이터로서 활동하게 되었으며,[1][2] 2004년 신설된 기획개발본부로 이동하여 제3그룹 소속으로 다수의 외주 개발 프로젝트 프로듀서를 맡았다.[1][2] 그는 레트로 스튜디오, 넥스트 레벨 게임즈, Skip 등 국내외 여러 개발사와의 협력을 통해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시리즈, 《치비로보!》 시리즈와 같이 독창적인 게임들을 선보이는 데 기여했다.[1][2] 다나베는 닌텐도 내부 개발 대작과는 다른, 참신함을 내세운 게임 제작을 추구한다고 밝힌 바 있다.[1][2] 또한, 오랜 개발 기간을 거친 《MOTHER 3》 프로젝트에서는 기획 초기부터 참여하여 닌텐도 측 핵심 인물로서 개발을 이끌었다.[1][2]
2. 1. 닌텐도 입사 초기 (1986년 ~ 2000년)
영상 관련 일에 흥미를 느껴 오사카 예술대학 예술학부 영상학과에 진학했으며,[8] 졸업 후 1986년 4월 닌텐도에 입사하여 게임 개발 경력을 시작했다.[8][9] 입사 초기에는 정보개발부(현 정보개발본부)에 소속되어 미야모토 시게루 밑에서 게임 개발에 참여했다. 그가 처음으로 제작에 참여한 게임은 패미컴 디스크 시스템용 게임인 《패미컴 옛날 이야기 신·오니가시마》였다. 이후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1988)에서는 코스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젤다의 전설 시리즈에서는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1991)와 《젤다의 전설: 꿈을 꾸는 섬》(1993)의 시나리오를 포함한 연출을 담당했다. 또한 《슈퍼 마리오 RPG》(1996)에서는 시나리오 어드바이저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했다.이 시기 다나베 겐스케가 참여한 주요 게임은 다음과 같다.
연도 | 게임 | 담당 |
---|---|---|
1987 | 유메 코조: 두근두근 패닉 | 감독, 코스 디자인 |
1988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 |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 | 코스 디자인 | |
1991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 시나리오 작가 |
1993 | 젤다의 전설: 꿈을 꾸는 섬 | |
1994 | 스턴트 레이스 FX | 맵 디자인 |
커비의 드림 코스 | ||
슈퍼 마리오 요시 아일랜드 | 추가 지원 | |
1995 | 커비의 아발란치 | 닌텐도 스태프 |
별의 커비 2 | 맵 디자인 | |
커비의 블록 볼 | 슈퍼바이저 | |
1996 | 슈퍼 마리오 RPG | 시나리오 어드바이저 |
별의 커비 슈퍼 디럭스 | 어드바이저 | |
스타워즈: 제국의 그림자 | 일본어 텍스트 번역 | |
BS 슈퍼 마리오 USA 파워 챌린지 | 오리지널 디자인 | |
1998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스크립트 지원 |
1999 | 포켓몬 스냅 | 슈퍼바이저 |
2000 | 별의 커비 64 | 어시스턴트 매니저 |
2. 2. 외주 제작 관리 및 프로듀싱 (2000년대 이후)
한동안 게임 개발에 참여하지 않던 시기를 거치며, 회사로부터 "외주 작품을 담당해 보는 것이 어떻겠냐"는 제안을 받게 된다. 이를 계기로 다나베는 외주 제작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크리에이터로서 새로운 역할을 맡게 되었다.[1][2]2004년 닌텐도 내에 기획개발본부가 신설되자 해당 부서로 이동했으며, 제3그룹에 소속되어 외주 개발 작품의 프로듀서를 다수 담당하게 되었다.[1][2] 그는 주로 해외 개발사인 레트로 스튜디오(『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 등)나 넥스트 레벨 게임즈(『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시리즈 등)와의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프랜차이즈를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1][2] 또한 일본 내에서는 Skip(『치비로보!』 시리즈 등)나 Bampool(『신선하게 딴 팅글의 루피랜드』 등)과 같이 독특하고 개성 강한 게임을 만드는 회사들과 협력하여 참신한 작품들을 선보였다.[1][2]
다나베는 외주 제작에 대해 "외주 작품으로 닌텐도 내부에서 만드는 대작을 이기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닌텐도다움에 얽매이기보다는, 지금까지 없었던 참신함을 내세운 게임을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밝히며, 기존의 틀을 벗어난 새로운 시도를 중시하는 개발 철학을 보여주었다.[1][2]
특히 기획부터 발매까지 12년 이상이 걸린 『MOTHER3』 개발 과정에서 그의 역할이 두드러졌다. 다나베는 이토이 시게사토, 사카이 쇼고와 함께 초기 기획 단계부터 참여한 닌텐도 측의 유일한 핵심 인물이었다.[1][2] 개발 플랫폼이 닌텐도 64에서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변경되고 개발 스태프가 교체되는 등 여러 변화 속에서도, 외주 담당자로서 프로젝트에 지속적으로 참여하며 개발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다.[1][2]
3. 주요 작품
다나베 겐스케는 닌텐도에서 오랫동안 게임 개발에 참여해 온 인물이다. 1987년 꿈공장 도키도키 패닉의 디렉터를 시작으로, 초기에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 등에서 코스 디자인을,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등에서는 시나리오 작가를 맡았다.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주로 프로듀서로서 활동하며, 메트로이드 프라임, 페이퍼 마리오, 동키콩 컨트리, 루이지 맨션 등 닌텐도의 주요 프랜차이즈 개발을 이끌었다. 이 외에도 별의 커비 시리즈, 치비로보! 시리즈 등 다양한 게임 제작에 기여했다.
자세한 참여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게임
다나베 겐스케는 1987년 꿈공장 도키도키 패닉의 디렉터 및 코스 디자인을 시작으로 닌텐도에서 오랜 기간 게임 개발에 참여해왔다. 초기에는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 등에서 디렉터 및 코스 디자인을 담당했으며,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와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에서는 시나리오 작가로 활동하며 게임의 기틀을 다졌다.이후 슈퍼 마리오 RPG, 별의 커비 슈퍼디럭스, 포켓몬 스냅 등 다양한 게임에서 감독, 지도, 번역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하며 경험을 쌓았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주로 프로듀서로서 게임 개발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 페이퍼 마리오 RPG 이후의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 동키콩 컨트리 리턴즈 및 동키콩 컨트리 트로피컬 프리즈, 루이지 맨션 2 이후의 루이지 맨션 시리즈 등 닌텐도의 주요 프랜차이즈 게임 제작을 이끌었다.
그 외에도 별의 커비 시리즈, 치비로보! 시리즈, 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시리즈 등 다양한 장르와 시리즈의 게임 개발에 폭넓게 관여하며 닌텐도의 핵심 개발자 중 한 명으로 자리매김했다. 자세한 참여 작품 목록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1. 닌텐도 개발 게임
wikitext출시 연도 | 게임 | 역할 |
---|---|---|
1987 | 꿈공장 도키도키 패닉 | 디렉터, 코스 디자인 |
1988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2 | 디렉터, 코스 디자인 |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 | 코스 디자인 | |
1991 | 젤다의 전설 신들의 트라이포스 | 시나리오 라이터 |
1993 |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 시나리오 라이터 |
1994 | 스턴트 레이스 FX | 맵 디자인 |
커비 볼 | 맵 디자인 | |
동키콩 컨트리 | 추가 지원 | |
1995 | 커비의 눈사태 | 닌텐도 스태프 |
별의 커비 2 | 맵 디자인 | |
커비의 블록 볼 | 감독 | |
1996 | 슈퍼 마리오 RPG | 각본 지도 |
별의 커비 슈퍼디럭스 | 지도 | |
스타워즈: 섀도스 오브 디 엠파이어 | 일본어판 번역 | |
BS 슈퍼 마리오 USA 파워 챌린지 | 원작 디자인 | |
1998 | 젤다의 전설 시간의 오카리나 | 스크립트 지원 |
1999 | 포켓몬 스냅 | 감독 |
2000 | 별의 커비 64 | 보조 관리자 |
2001 | 햄스터 파라다이스 | 조언 |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 | 감독 | |
매지컬 배케이션 | 조언 | |
2002 | 동물번장 | 감독 |
햄스터 파라다이스 2 | 조언 | |
이터널 다크니스 | 감독 | |
메트로이드 프라임 | 공동 프로듀서 | |
2003 | 기프트피아 | 감독 |
햄스터 파라다이스 3 | 조언 | |
2004 | 페이퍼 마리오 RPG | 감독 |
메트로이드 프라임 2: 에코스 | 프로듀서 | |
2005 | 스타폭스: 어썰트 | 프로젝트 관리 |
터치! 커비 | 프로듀서 | |
치비로보! | 프로듀서 | |
가이스트 | 프로듀서 | |
돌격!! 패미콤 워즈 | 프로듀서 | |
메트로이드 프라임 핀볼 | 프로듀서 | |
슈퍼 마리오 스트라이커스 | 프로듀서 | |
Tottoko Hamtaro Nazo Nazo Q Kumonoue no ? Jou | 프로듀서 | |
2006 | 마더 3 | 프로듀서 |
매지컬 배케이션: 5개의 별이 나란히 설 때 | 프로듀서 | |
햇병아리 팅클의 장미빛 루피랜드 | 프로듀서 | |
마리오 vs. 동키콩 2: 미니미니의 대행진! | 프로듀서 | |
격투! 커스텀 로보 | 프로듀서 | |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 | 프로듀서 | |
익사이트 트럭 | 프로듀서 | |
메트로이드 프라임 헌터즈 | 프로듀서 | |
2007 | 슈퍼 페이퍼 마리오 | 프로듀서 |
마리오 파워 사커 | 프로듀서 | |
피어라! 치비 로보 | 프로듀서 | |
세타 | 프로듀서 | |
돌격!! 패미콤 워즈 VS | 프로듀서 | |
메트로이드 프라임 3: 커럽션 | 프로듀서 | |
2008 |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X | 프로듀서 |
캡틴 레인보 | 프로듀서 | |
미스터리 케이스 파일즈: 밀리언에어 | 프로듀서 | |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 프로듀서 | |
2009 | 피크로스 3D | 프로듀서 |
Picturebook Games: Pop-Up Pursuit | 프로듀서 | |
본사이 바버 | 프로듀서 | |
펀치 아웃!! | 프로듀서 | |
마리오 vs. 동키콩: 미니미니 재행진! | 프로듀서 | |
어서와! 치비 로보! 해피 리치 대청소! | 프로듀서 | |
사랑에 빠진 팅클의 사랑의 벌룬 트립 | 프로듀서 | |
록 앤 롤 클라이머 | 프로듀서 | |
메트로이드 프라임: 트릴로지 | 프로듀서 | |
숨은 소질을 깨우는 그림교실 | 프로듀서 | |
Picturebook Games: The Royal Bluff | 프로듀서 | |
익사이트바이크: 월드 레이스 | 프로듀서 | |
530 에코 슈터 | 프로듀서 | |
A Kappa's Trail | 프로듀서 | |
익사이트 맹머신 | 프로듀서 | |
2010 | 오라오라 클라이머 | 부 프로듀서 |
마리오 vs. 동키콩: 미니랜드 매이헴! | 프로듀서 | |
동키콩 컨트리 리턴즈 | 프로듀서 | |
2011 | 파일럿윙즈 리조트 | 프로듀서 |
미스터리 케이스 파일즈: 맬그레이브 사건 | 프로듀서 | |
모여라! 커비 | 시니어 프로듀서 | |
생물 만들기: 크리에이토이 | 프로듀서 | |
밀고 당기고 | 프로듀서 | |
2012 | 별의 커비 20주년 스페셜 컬렉션 | 프로듀서 |
Art Academy: Lessons for Everyone! | 프로듀서 | |
Freakyforms Deluxe: Your Creations, Alive! | 프로듀서 | |
Crashmo | 프로듀서 | |
더 롤링 웨스턴 | 프로듀서 | |
페이퍼 마리오 스티커 스타 | 프로듀서 | |
싱 파티 | 프로듀서 | |
2013 | 루이지 맨션 다크 문 | 특별 조언 |
게임 & 와리오 | 디렉팅 지원, 게임 디자인 | |
더 롤링 웨스턴: 최후의 호위꾼 | 프로듀서 | |
마리오 & 동키콩: 미니미니 카니발 | 프로듀서 | |
동키콩 컨트리 리턴즈 3D | 프로듀서 | |
실사로 치비 로보! | 프로듀서 | |
2014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for 닌텐도 3DS/Wii U | 원작 감독 (메트로이드 프라임) |
동키콩 컨트리 트로피컬 프리즈 | 프로듀서 | |
2015 | 터치! 커비 슈퍼 레인보 | 프로듀서 |
마리오 vs. 동키콩: 다함께 미니랜드 | 감독 | |
올가미 액션! 빙글빙글! 치비 로보! | 프로듀서 | |
마리오&루이지 RPG 페이퍼 마리오 MIX | 감독 | |
2016 | 미니 마리오 & 프렌즈: 아미보 챌린지 | 프로듀서 |
메트로이드 프라임: 페더레이션 포스 | 프로듀서 | |
페이퍼 마리오 컬러 스플래시 | 프로듀서 | |
2018 | 더 데드 하트 브레이커즈 | 프로듀서 |
메이드 인 와리오 고저스 | 프로듀서 | |
루이지 맨션 (닌텐도 3DS) | 프로듀서 | |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얼티밋 | 원작 감독 (메트로이드 프라임) | |
2019 | 루이지 맨션 3 | 프로듀서 |
2020 |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 | 프로듀서 |
2021 | 즐거움을 나눠라 메이드 인 와리오 | 프로듀서 |
슈퍼 닌텐도 월드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
2022 |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배틀 리그 | 프로듀서 |
2023 | 메트로이드 프라임 리마스터 | 프로듀서 |
와리오Ware: Move It! | 프로듀서 | |
2024 | 루이지 맨션 2 HD | 프로듀서 |
2025 | 메트로이드 프라임 4: 비욘드 | 프로듀서 |
3. 1. 2. 외주 제작 게임
시리즈 / 게임 | 역할 |
---|---|
메트로이드 프라임 시리즈 | 프로듀서 (메트로이드 프라임은 미키 켄지와 공동 프로듀서) |
마리오 스트라이커즈 시리즈 | 프로듀서 |
마리오 vs. 동키콩 시리즈 | 프로듀서, 감수(마리오 vs. 동키콩 모두의 미니 랜드) |
페이퍼 마리오 시리즈 | 감수(페이퍼 마리오 RPG), 프로듀서(슈퍼 페이퍼 마리오, 페이퍼 마리오 슈퍼 씰, 페이퍼 마리오 컬러 스플래시, 페이퍼 마리오: 종이접기 킹) |
루이지 맨션 시리즈 | 스페셜 어드바이스(루이지 맨션 다크 문), 프로듀서(루이지 맨션 3DS판, 루이지 맨션 3, 루이지 맨션 2 HD) |
별의 커비 시리즈 | 프로듀서(터치! 커비, 별의 커비 도팡 일당의 습격, 별의 커비 울트라 슈퍼 디럭스, 별의 커비 20주년 스페셜 컬렉션, 터치! 커비 슈퍼 레인보), 시니어 프로듀서(모여라! 커비) |
동키콩 시리즈 | 프로듀서(동키콩 리턴즈, 동키콩 리턴즈 3D, 동키콩 트로피컬 프리즈) |
메이드 인 와리오 시리즈 | 프로듀서(메이드 인 와리오 고져스, 즐거움을 나눠라 메이드 인 와리오, WarioWare: Move It!), 미니 게임 디렉션(게임 & 와리오) |
치비로보! 시리즈 | 프로듀서 |
모기타테 팅클의 장밋빛 루피 랜드 | 프로듀서 |
사랑에 빠진 팅클의 사랑의 벌룬 트립 | 프로듀서 |
MOTHER3 | 프로듀서 (카메오카 신이치와 공동) |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X | 프로듀서 |
캡틴 레인보 | 프로듀서 |
4. 기타
현재 영상 분야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로 테즈카 오사무를 꼽았다.
게임 제작자임에도 불구하고 게임은 거의 하지 않는다고 한다. 좋아하는 것은 기타 연주와 팝 음악 감상이다.
영상 작품 중에서는 히어로물을 좋아하며, 이러한 취향은 그의 작품에도 반영되었다. 예를 들어, 『작은 로봇!』에서는 갓차맨의 오마주로 "깃초맨"이라는 캐릭터를 만들 것을 제안했고[6], 『캡틴★레인보우』에서는 주인공의 변신 포즈를 직접 구상하기도 했다[7].
참조
[1]
웹사이트
Biographical Information: Kensuke Tanabe
https://www.webcitat[...]
Nintendo of America, Inc
2010-06
[2]
서적
Nintendo Official Guide Book – The Legend of Zelda: Link's Awakening
Shogakukan Inc
1993-07
[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1-11
[4]
웹사이트
E3 2004: Metroid Prime 2 Interview
http://cube.ign.com/[...]
IGN Entertainment, Inc
2011-01-11
[5]
간행물
N.O.M 2006年6月号 NO.98『もぎたてチンクルのばら色ルッピーランド』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よくこんな濃いゲーム作れたもんやなぁ
http://www.nintendo.[...]
[6]
간행물
N.O.M 2005年7月号 NO.84『ちびロボ!』開発スタッフインタビュー
http://www.nintendo.[...]
[7]
뉴스
『[[電撃DS&Wii]]』Vol.2に掲載された『キャプテン★レインボー』開発スタッフへのインタビュー記事より
[8]
웹인용
Biographical Information: Kensuke Tanabe
https://www.webcitat[...]
Nintendo of America, Inc
2010-06
[9]
웹인용
https://web.archive.[...]
2011-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