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나슈리 카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나슈리 카툰은 흠찰부 출신으로, 원나라 태평왕 엘 테무르의 딸이자 원 혜종의 첫 번째 황후였다. 엘 테무르가 권력을 잡으면서 황실과 연을 맺었고, 혜종 즉위 후 황후가 되었으나, 형제들의 반역 모의에 연루되어 황후 자리에서 폐위되었다. 이후 바얀에 의해 체포되어 사형당했다. 다나슈리는 고려 출신 기황후를 질투하여 구타하는 등 가혹행위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며, 드라마 기황후에 등장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형된 몽골 사람 - 오굴 카미시 카툰
    오굴 카이미시는 13세기 몽골 제국 귀유크 칸의 황후이자 섭정이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과 몽케 칸과의 대립으로 암살 음모 혐의를 받아 처형당하며 오고타이 가문과 툴루이 가문의 권력 다툼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사형된 몽골 사람 - 불루간 카툰
    원나라 성종 테무르의 황후인 불루간 카툰은 바야우트 부족 출신으로 성총의 총애를 받았으나, 성종 사후 안서왕 아난다를 옹립하려다 실패하여 폐위되어 살해당하고 폐황후로 기록되었다.
  • 1335년 사망 - 모리요시 친왕
    모리요시 친왕은 고다이고 천황의 아들로, 천태종 승려, 반 막부 세력, 겐코의 난 활약, 요시노 거병 등의 행적을 보였으나, 아시카가 다다요시에게 살해당했다.
  • 1335년 사망 - 아부 사이드 (일 칸국)
    아부 사이드는 일 칸국의 9대 칸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권신 추반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강화하려 했으나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일 칸국 멸망의 원인이 되었다.
다나슈리 카툰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대카툰 (대원 정궁황후)
바야우트 다나슈리 ()
로마자 표기Bayaut Danashiri
통치 정보
작위몽골 대카툰 (대원 정궁황후)
재위 기간1333년 - 1335년
전임자달리예테미시 카툰
후임자바얀 후투그 카툰
생애
출생1320년
사망1335년
사망 장소허페이, 원 제국
가족 관계
왕조몽골 제국
가문바야우트씨
아버지태평왕 엘 테무르
배우자토곤테무르 우카가투 칸
자녀마하
기타 정보
종교대승 불교

2. 생애

다나슈리는 흠찰부 출신으로, 태평왕 엘 테무르의 딸이었다. 생년은 알려지지 않았다. 엘 테무르원 무종 때부터 황실과 인연을 맺었고, 진종 계열을 몰락시킨 뒤 문종을 황제로 옹립하는 등 막강한 권력을 행사했다. 다나슈리는 결혼 후 아이를 낳지 못했다.

1333년 7월, 혜종엘 테무르의 보좌 아래 황제로 즉위했고, 다나슈리는 혜종의 첫 황후가 되었다. 1334년에는 정식 황후로 책봉되었다.

2. 1. 권력 투쟁과 몰락

다나슈리는 흠찰부 출신으로, 태평왕 엘 테무르의 딸이었다. 엘 테무르원 무종 때부터 황실과 인연을 맺었고, 진종 계열을 몰락시킨 뒤 문종을 황제로 옹립했다. 그러나 문종은 명종에게 제위를 양보했다가 갑작스럽게 독살당했고, 엘 테무르는 명종 독살의 배후로 의심받았다. 그는 자신의 딸 다나슈리를 명종의 아들 토곤테무르와 결혼시켰으나, 토곤테무르가 명종 독살의 책임을 물을까 두려워했다.[11]

1333년 7월, 원 혜종이 즉위하면서 다나슈리는 황후가 되었고, 1334년 정식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1335년, 오빠 텡기스메르키트 바얀에 의해 반란 혐의로 처형되면서, 다나슈리 역시 폐위되어 궁에서 쫓겨났다. 이후 개평부(開平府, 현재 내몽골 자치구 다륜현 서북부)에서 평민으로 지내다가 메르키트 바얀이 보낸 독약을 받고 사망했다.[11]

엘 테무르는 예순 테무르 사후 토크 테무르를 옹립하여 천력의 난을 일으킨 인물이다. 그는 내란에서 승리하고, 토크 테무르의 형 코실라를 독살하는 등의 공으로 토크 테무르를 즉위시켜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다.

그러나 자야가투 카안은 죽기 직전 코실라를 독살하고 즉위한 것을 후회하며 코실라의 아들 토곤 테무르를 후계자로 지명했다. 엘 테무르자야가투 카안의 아들 엘 테구스를 옹립하려 했으나, 황후 부다시리와 바얀은 유언을 내세워 이를 반대했다. 결국 타협안으로 토곤 테무르의 동생 린친발이 즉위했으나, 한 달여 만에 사망하고 엘 테무르마저 사망하면서 토곤 테무르가 즉위하게 되었다.

엘 테무르의 뒤를 이은 탄키슈는 여전히 강력한 세력을 가지고 있었고, 우카아투 카안 즉위 2개월 후 자신의 여동생 다나슈리를 황후로 삼아 권세를 이어가려 했다.[4][5]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바얀의 지위는 확고해졌고, 엘 테무르 가문의 권세는 약화되었다. 1335년, 탄키슈는 몽케 가문의 콩코 테무르 등과 쿠데타를 계획했으나, 담왕 체체크투의 고발로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탄키슈의 동생 타라카이만이 다나슈리에게 도망쳤으나, 결국 살해되었다. 바얀은 다나슈리 역시 반역에 연루되었다고 주장하며 체포했다.

다나슈리는 우카아투 카안에게 구원을 요청했으나, 원 혜종은 "너의 형제들이 대역을 꾀했는데, 어찌 너를 구할 수 있겠느냐"라며 거절했다. 다나슈리는 황후 지위를 박탈당하고 개평의 민가에 유폐되었으며,[6] 2개월 후 바얀의 명으로 독살당했다. 다나슈리의 죽음으로 엘 테무르 가문은 완전히 몰락했다.[7][8][9]

2. 2. 기황후와의 관계

다나슈리는 성정이 매우 잔악무도했으며, 고려인 출신으로 남편의 후궁인 기황후를 질투하여 별 이유 없이 채찍질을 하고 인두로 지지는 등 구타와 가혹행위를 일삼았다.[1] 다나슈리가 기황후를 모욕하고 무자비하게 구타한 것은 여러 몽골과 중국 민담, 전설에 전해 내려오고 있다.[1]

3.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엘 테무르
오빠텡기스
동생타라카이
남편원 순제



다나슈리의 아버지 엘 테무르는 예순 테무르 사후 토크 테무르를 옹립하여 천력의 난을 일으킨 장본인이다. 내란의 승리와 코실라 독살 등의 공적으로 엘 테무르는 막강한 권세를 누렸다.[4][5]

그러나, 바얀의 세력이 강해지면서 엘 테무르 가문의 권세는 약해졌다. 1335년 형제인 탕키슈는 쿠데타를 계획했지만, 사전에 발각되어 처형되었다. 탕키슈의 동생 타라카이는 다나슈리에게 의탁했지만, 결국 살해되었다. 바얀은 다나슈리 역시 체포했다.[6]

다나시리는 원 순제에게 구원을 요청했지만, 원 순제는 이를 거절했다. 다나시리는 황후 지위를 박탈당하고, 개평에서 독살되었다.[7][8][9]

4. 다나슈리가 등장한 작품

5. 킵차크부 쿠르스만 가계


  • '''킵차크 국왕 쿠르스만'''
  • * 킵차크 국왕 발투차크
  • ** '''승왕 토토가크'''(Tudγaγ|투드가그mn)

정원대장군·북정원수 타가찰(Taγačar|타가차르mn)
어위하 박아적 타이·부카
'''구용군왕 총우르'''
* 무략장군 세빈추·부카
* 자덕대부 엘치·부카
* '''태평왕 엘 테무르'''
** '''중서좌승상 탕키슈'''
** 타라카이
** '''황후 다나시리'''
* 선휘원사 사둔
* 란유소감 엘 투칼
* 태희종인원사 다리
* 부베칸
무략장군 베르케·부카
무덕장군 테무르·부카
무략장군 카르치
무덕장군 요리크·테무르(Yoliγ temür|욜리그 테무르mn)
소용대장군 다르굴반

참조

[1]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M.E. Sharpe 2014-03-13
[2] 서적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Tang Through Ming, 618-1644 M.E. Sharpe 2014-03-13
[3] 서적 ᠮᠣᠩᠭᠣᠯ ᠤᠨ ᠶᠡᠬᠡ ᠶᠤᠸᠠᠨ ᠤᠯᠤᠰ ᠤᠨ ᠲᠡᠦᠬᠡ Улаанбаатар 2010
[4] 논문 元史』巻38順帝本紀1,「[至順四年八月]是月、立燕鉄木児女伯牙吾氏為皇后」
[5] 논문 元史』巻114列伝1后妃伝「順帝答納失里皇后、欽察氏、太師平王燕鉄木児之女。至順四年、立為后。元統二年、授冊宝、其冊文曰『天之元統二気、配莫厚於坤儀。月之道循右行、明周貞於乾曜。若昔帝王之宅後、居多輔相之世勲。蓋選徳於亢宗、亦疇庸於先正。造周資任・姒之化、興漢表馬・鄧之功。咨爾皇后欽察氏、雍粛恵慈、謙裕静淑。乃祖乃父、夙堅翼亮之心。於国於家、実獲修斉之助。朕纘丕図之初載、親承太后之睿謨。眷我元臣、簡茲碩媛。相厳禋而率典、奉慈極以愉顔。用彰褘翟之華、式著旂常之旧。令摂太尉某官授以玉冊宝章、命爾為皇后。備成嘉礼、宏賁太猷。於戯嵩高生賢、予篤懐於良佐、『関雎』正始、爾勉嗣於徽音。永錫寿康、昭示悠久』。」
[6] 논문 元史』巻38順帝本紀1,「[至元元年五月]庚辰、伯顔奏唐其勢及其弟塔剌海謀逆、誅之。執皇后伯牙吾氏幽於別所。大霖雨」
[7] 논문 元史』巻38順帝本紀1,「[至元元年秋七月]壬午、伯顔殺皇后伯牙吾氏於開平民舎」
[8] 논문 元史』巻114列伝1后妃伝「三年、后兄御史大夫唐其勢以謀逆誅、弟塔剌海走匿后宮、后以衣蔽之、因遷后出宮、丞相伯顔鴆后於開平民舎」
[9] 논문 元史』巻138列伝25燕鉄木児伝,「初、唐其勢事敗被擒、攀折殿檻不肯出。塔剌海走匿皇后坐下、后蔽之以衣、左右曳出斬之、血濺后衣。伯顔奏曰『豈有兄弟為逆而皇后党之者』。並執后。后呼帝曰『陛下救我』。帝曰『汝兄弟為逆、豈能相救邪』。乃遷皇后出宮、尋酖之于開平民舎、遂簿録唐其勢家」
[10] 문서 명나라에서 편찬한 《원사(元史)》에선 타나실리 부녀를 킵차크 씨(欽察氏)로 표기하고 있고, 중화민국에서 재편찬한 《신원사(新元史)》에선 바야우트 씨(伯岳吾氏)로 표기하고 있다.
[11] 문서 짐새의 깃털을 술에 우려 추출한 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