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두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두허는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쓰촨성을 흐르는 강으로, 민강과 합류하여 양쯔강으로 흘러든다. 다두허는 험준한 산악 지형을 지나며, 주요 지류로는 칭이강 등이 있다. 역사적으로 다두허는 루딩교를 통해 건너는 것이 중요했으며, 중국 공산당의 대장정 과정에서 루딩교 전투가 벌어지기도 했다. 현재 다두허는 수력 발전을 위해 개발되어 댐 건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칭하이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칭하이성의 강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쓰촨성의 강 - 장강
장강은 티베트고원에서 발원하여 동중국해로 흐르는 중국 최장의 강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긴 강으로, 중국 내륙 수운의 중심축이며 양쯔강으로도 알려져 있지만, 댐 건설과 환경 오염으로 생태계가 위협받고 있다. - 쓰촨성의 강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진사강
진사강은 사금이 많이 채취되어 붙여진 이름으로, 장강의 상류를 가리키며 칭하이성에서 발원하여 티베트와 쓰촨 성의 경계를 이루며 흐르다 민강과 합류하여 장강이 되고, 현재는 대규모 댐 건설로 세계 최대 수력 발전소 밀집 지역이 되었다. - 장강의 지류 - 황푸강
황푸강은 상하이시를 가로지르며 푸시와 푸둥을 나누는 경계 역할을 하고 창장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상하이의 주요 식수원이자 교통로인 강이다.
다두허 | |
---|---|
개요 | |
![]() | |
원어 명칭 | 중국어: 이족어: 티베트어: |
지리 | |
발원지 위치 | 달락 현, 칭하이 성 |
하구 위치 | 러산 시, 쓰촐 성 민 강 |
길이 | 1,062 km |
발원지 고도 | 4,579 m |
평균 방류량 | 1,760 m³/s |
유역 면적 | 92,000 km² |
추가 정보 (일본어 문서 기반) | |
길이 (일본어 문서) | 1,155 km |
수원 | 칭하이 성 |
하구 | 민 강 |
유역 | 중국 |
한국어 문서 기반 | |
광역 계 | 민 강장 강 수계 |
2. 지리
민강·다두허 유역은 대부분 험한 산악 지대이다. 다두허의 원류는 둬커허(多柯河) 및 마얼커허(麻爾柯河)이며, 이들은 합류해 다진촨(大金川)이 된다. 다진촨은 샤오진촨(小金川)과 합류해 다두허가 된다. 이 외에도 청이 강(284km), 숴모허(梭磨河), 자오무쭈허(脚木足河) 등이 다두허의 주요 지류이다.[2]
2. 1. 유로
칭하이성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남부의 바옌커라 산맥 남쪽 기슭에서 발원하여 쓰촨성으로 들어간다.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의 다쉐 산맥과 충라이 산맥 사이를 남쪽으로 흐른다. 쓰촨성에서는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야안 시, 량산 이족 자치주, 러산 시를 흐른다. 야안 남부에서 크게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러산 시에서 민강과 합류한다. 유역은 대부분 험준한 산악 지대이다.[2]

다두허의 원류는 둬커허(多柯河) 및 마얼커허(麻爾柯河)이며, 합류하여 다진촨(大金川)이 되고, 샤오진촨(小金川)과 합류하여 다두허가 된다. 그 외의 큰 지류로는 청이 강(284km), 숴모허(梭磨河), 자오무쭈허(脚木足河) 등이 있다.[2]
서쪽의 도고강과 동쪽의 마르코강은 모두 칭하이 성의 바얀 카라 산맥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쓰촨 성으로 들어간다. 두 줄기는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서 만나 다진촨(大金川|큰 금강중국어)으로 계속 남쪽으로 흐른다. 여기서 강은 서쪽의 다쉐산맥과 동쪽의 충라이산맥 사이로 흐른다. 단바 현에서 다진촨은 샤오진촨(小金川|작은 금강중국어)과 만나 합쳐져 다두허가 된다. 다두허는 루딩을 거쳐 계속 남쪽으로 흐르다 스몐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한위안 동쪽에서 다두허는 다두허 협곡(大渡河峡谷|다두허 협곡중국어)으로 들어가 어메이 산 바로 아래의 쓰촨 분지 저지대에 도달한다.[2]

다두허는 칭이강 지류를 받아들여 러산에서 민강과 만난다. 다두허는 민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더 많은 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더 먼 기원을 가지고 있어 민강 수계의 진정한 본류로 간주된다.[3]
2. 2. 수계
민강·다두허 유역은 칭하이성 위수 티베트족 자치주 남부의 바옌커라 산맥 남쪽 기슭에서 시작하여 쓰촨성으로 들어간다.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의 다쉐 산맥과 충라이 산맥 사이를 남쪽으로 흐르며,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야안 시, 량산 이족 자치주, 러산 시를 지난다. 야안 남부에서 크게 동쪽으로 방향을 틀어 러산에서 민강과 합류한다. 유역은 대부분 험준한 산악 지대이다.[2]다두허의 원류는 둬커허(多柯河) 및 마얼커허(麻爾柯河)이며, 합류하여 다진촨(大金川)이 되고, 샤오진촨(小金川)과 합류하여 다두허가 된다. 그 외의 큰 지류로는 청이 강(284km), 숴모허(梭磨河), 자오무쭈허(脚木足河) 등이 있다.[2]
서쪽의 도고강과 동쪽의 마르코강은 모두 칭하이 성의 바얀 카라 산맥에서 남동쪽으로 흘러 쓰촨 성으로 들어간다. 두 강은 아바 티베트족 창족 자치주에서 만나 '''다진촨'''(大金川|큰 금강중국어)으로 계속 남쪽으로 흐른다.[2] 여기서 강은 서쪽의 다쉐산맥과 동쪽의 충라이산맥 사이로 흐른다. 단바 현에서 다진촨은 샤오진촨(小金川|작은 금강중국어)과 만나 합쳐져 다두허가 된다. 다두허는 루딩을 거쳐 계속 남쪽으로 흐르다 스몐에서 동쪽으로 방향을 튼다. 한위안 동쪽에서 다두허는 다두허 협곡(大渡河峡谷|중국어)으로 들어가 어메이 산 바로 아래의 쓰촨 분지 저지대에 도달한다.[2]
다두허는 칭이강 지류를 받아들여 러산에서 민강과 만난다. 다두허는 민강과 합류하는 지점에서 더 많은 유량을 가지고 있으며 더 먼 기원을 가지고 있어 민강 수계의 진정한 본류로 간주된다.[3] 두 강이 합류한 지점에서 민강은 다시 120km를 흘러 이빈에서 양쯔강과 만난다.
3. 역사
다두허는 물살이 빠르고 수량도 많아 예로부터 사람들이 건너기 어려웠다. 다두강은 서쪽의 전통적인 티베트와 동쪽의 역사적 중국 사이의 과도 지역으로, 오랫동안 변경 지역으로 여겨져 많은 분쟁이 발생했다. 티베트인에게 다두강은 역사적인 캄 지역의 일부이며, 중국 전통에서 다두강은 쓰촨 문화의 최서단 부분을 형성한다.[4] 캉딩은 티베트와 중국 사이의 역사적인 무역 거점으로 다두강 유역에 위치해 있다.
상류 다두강 유역은 전통적으로 18개의 걀롱 공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언어인 걀롱어는 티베트버마어족 언어군에서 독특한 분파이다.[5]
803년에 완공된 러산 대불은 다두강과 민강의 합류 지점에 있는 바위에 새겨진 대형 불상으로, 오늘날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3. 1. 근현대사
강희제 시대에 쓰촨에서 시캉·시짱 방면으로의 교통을 위해 야안 서쪽의 루딩에 길이 100m가 넘는 현수교인 루딩교(노정교)가 건설되어 다두허를 건너는 것이 용이해졌다.[4]1863년 태평천국의 익왕 석달개는 쓰촨 성에 진출한 후 다두허를 건너지 못하고 청군에 퇴로가 끊어져 항복했다. 1935년 5월, 중국 공산당은 대장정 도중에 다두허를 건너기 위해 22명의 결사대를 조직해 루딩 교를 중국 국민당 수비군으로부터 빼앗아 횡단에 성공했다고 한다. 1950년에는 루딩 교 북쪽으로 촨짱 공로라는 큰 철교가 완성되어 루딩 교는 사적으로서 보존되고 있다.

1786년 캉딩-루딩 지진은 다두강에 산사태 댐을 일으켰다. 9일 후인 1786년 6월 10일, 댐이 무너져 발생한 홍수는 1400km 하류까지 이어졌고 10만 명이 사망했다. 이 사건은 기록상 두 번째로 치명적인 산사태 재해이다.[6]
4. 댐 건설 현황
다두허는 주로 수력 발전을 위해 대규모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2014년 3월 현재 총 26개의 댐이 건설되었거나, 건설 중이거나, 계획되어 있다.[7][8]
4. 1. 주요 댐 목록
댐 이름 | 상태 | 발전량(MW) |
---|---|---|
안구 댐 | 건설 중 | 320 |
파화사 댐 | 계획 | 240 |
사완 댐 | 건설 중 | 480 |
통제자 댐 | 완공 | 600 |
공주이 댐 | 완공 | 770 |
사평 댐 | 계획 | 630 |
전두파 댐 | 계획 | 950 |
신계구 댐 | 건설 중 | 660 |
푸부거우 댐 | 완공 | 3,600 |
노응암 댐 | 계획 | 640 |
용두석 댐 | 완공 | 700 |
대강산 댐 | 건설 중 | 2,600 |
영량보 댐 | 계획 | 1,200 |
노정 댐 | 완공 | 920 |
황금평 댐 | 건설 중 | 850 |
창하 댐 | 건설 중 | 2,600 |
후자이옌 댐 | 건설 중 | 1,700 |
단바 댐 | 계획 | 1,300 |
파디 댐 | 계획 | 800 |
안녕 댐 | 계획 | 380 |
금천 댐 | 계획 | 860 |
쌍강구 댐 | 건설 중 | 2,000 |
부사구 댐 | 계획 | 360 |
대위 댐 | 계획 | 270 |
발라 댐 | 계획 | 740 |
하얼하 댐 | 계획 | 540 |
5. 문화
중국 뮤지컬 동방홍의 노래 중 하나는 "다두허를 건너서"라는 제목을 가지고 있다. 1980년 중국 영화 제목은 대도하이다.
참조
[1]
서적
Qinghai Sheng Dituce
Star Map Press
2012
[2]
서적
Atlas of China
SinoMaps Press
2006
[3]
뉴스
中科院确定长江一级支流岷江全长为1279千米
http://news.sina.com[...]
Xinhua
2013-12-28
[4]
서적
A Historical Atlas of Tibe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5
[5]
서적
Rgyalrong Conservation and Change: Social Change On the Margins of Tibet
2014
[6]
간행물
Landslide triggers and types
A. A. Balkema Publishers
2002
[7]
웹사이트
INTERACTIVE: Mapping China's "Dam Rush"
http://www.wilsoncen[...]
Wilson Center
2014-06-15
[8]
웹사이트
The Last Report on China's Rivers
https://www.scribd.c[...]
China's Rivers Report
2014-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