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3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863년은 태평천국 13년, 청나라 동치 2년, 일본 분큐 3년, 조선 철종 14년 등이며, 간지는 계해이다. 1월 1일,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이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고,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런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 미국 남북 전쟁이 격화되어 게티즈버그 전투가 벌어졌으며, 뉴욕 징병거부 폭동이 발생했다. 주요 인물로는 피에르 드 쿠베르탱, 헨리 포드, 에드바르 뭉크 등이 태어났고, 김병연, 스톤월 잭슨, 야코프 그림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63년 - 챈슬러즈빌 전투
챈슬러즈빌 전투는 1863년 버지니아주 스포칠베이니아 카운티에서 남부 연합의 로버트 E. 리 장군이 북군의 조지프 후커 소장을 상대로 승리한 미국 남북 전쟁의 전투로, 리 장군의 뛰어난 전술적 기량을 보여주었으나 스톤월 잭슨과 같은 핵심 지휘관을 잃었고 게티즈버그 전역으로 이어져 남북 전쟁의 흐름에 영향을 미쳤다. - 1863년 - 그리어슨의 기습
그리어슨의 기습은 남북 전쟁 중 북군이 미시시피주를 종단하며 남부 연합군의 후방을 교란하고 빅스버그 포위전을 지원한 작전으로, 북군은 경미한 피해를 입었지만 남군은 상당한 피해를 입어 그랜트의 빅스버그 공략에 기여했다.
1863년 | |
---|---|
1863년 | |
인문학 | |
애니메이션 | 애니메이션 |
고고학 | 고고학 |
건축 | 건축 |
미술 | 미술 |
문학 | 문학 |
시 | 시 |
음악 | 음악 |
국가별 | |
오스트레일리아 | 오스트레일리아 |
벨기에 | 벨기에 |
브라질 | 브라질 |
불가리아 | 불가리아 |
캐나다 | 캐나다 |
중국 | 중국 |
덴마크 | 덴마크 |
프랑스 | 프랑스 |
독일 | 독일 |
이탈리아 | 이탈리아 |
멕시코 | 멕시코 |
네덜란드 | 네덜란드 |
뉴질랜드 | 뉴질랜드 |
노르웨이 | 노르웨이 |
필리핀 | 필리핀 |
포르투갈 | 포르투갈 |
러시아 | 러시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스페인 | 스페인 |
스웨덴 | 스웨덴 |
영국 | 영국 |
미국 | 미국 |
베네수엘라 | 베네수엘라 |
기타 주제 | |
철도 운송 | 철도 운송 |
과학 | 과학 |
스포츠 | 스포츠 |
지도자 목록 | |
주권 국가 | 주권 국가 |
국가 지도자 | 주권 국가 지도자 |
속령 총독 | 영토 총독 |
종교 지도자 | 종교 지도자 |
법률 | 법률 |
출생 및 사망 | |
출생 | 출생 |
사망 | 사망 |
설립 및 해체 | |
설립 | 설립 |
해체 | 해체 |
작품 | |
작품 | 작품 |
2. 연호 및 기년
- 태평천국 13년
- 청 동치 2년
- 일본 분큐 3년
- 응우옌 왕조 뜨득 16년
- 류큐 왕국 쇼타이왕 16년
- 조선 철종 14년
- 간지 계해
- 황기 2523년
- 단기 4196년
- 불멸기원 2405년 - 2406년
- 이슬람력 1279년 7월 10일 - 1280년 7월 20일
- 유대력 5623년 4월 10일 - 5624년 4월 21일
- 수정율리우스일(MJD) 1506 - 1870
- 릴리우스일(LD) 102347 - 102711
3. 주요 사건
1월 10일 - 세계 최초의 지하철인 런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3]
2월 17일 - 앙리 뒤낭의 주도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5인 위원회"가 첫 회의를 열었는데, 이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설립으로 여겨진다.[4]
8월 15일~17일 - 가고시마 포격: 1862년 나마무기 사건 이후 영국 왕립 해군이 보복으로 일본 가고시마 시를 포격했다.
1863년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중요한 해였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은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게티즈버그 전투와 빅스버그 포위전은 북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조선에서는 철종 재위 기간으로, 세도 정치의 폐단이 극심해 민생이 어려웠다. 같은 해 일본에서는 존왕양이 운동이 격화되면서 막부 세력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메이지 유신의 발판이 되었다.
3. 1. 미국 남북 전쟁
1863년은 미국 남북 전쟁에서 중요한 해였다.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의 노예 해방 선언은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게티즈버그 전투와 빅스버그 포위전은 북군의 승리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1월 1일, 링컨 대통령은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하여 남부 연합의 노예제 폐지를 공식적인 전쟁 목표로 삼았다. 이로 인해 수백만 명의 노예들이 해방되었고, 이는 미국의 재건 시대로 이어졌다.[1]
4월 30일부터 5월 4일까지 챈슬러즈빌 전투가 벌어졌다. 6월에는 게티즈버그 전역이 시작되어 브랜디역 전투(6월 9일), 2차 윈체스터 전투(6월 13일~6월 15일), 앨디 전투(6월 17일), 미들버그 전투(6월 17일~6월 19일), 어퍼빌 전투(6월 21일), 하노버 전투(6월 30일) 등이 연이어 일어났다.
7월 1일부터 7월 3일까지 벌어진 게티즈버그 전투는 남북 전쟁의 분수령이 되는 전투였다. 이 전투에서 북군은 남군의 침공을 격퇴하였으며, 이는 남북 전쟁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투로 기록되었다. 같은 기간 동안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환으로 칼라일 전투(7월 1일), 헌터스타운 전투(7월 2일), 페어필드 전투(7월 3일)도 벌어졌다. 이후에도 윌리엄스포트 전투(7월 6일~7월 16일), 본스보로 전투(7월 8일), 매너서스 갭 전투(7월 23일)가 이어졌다.
7월 13일부터 7월 16일까지는 뉴욕 징병거부 폭동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8월 8일, 로버트 E. 리는 게티즈버그 전투 패배에 책임을 지고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제퍼슨 데이비스 대통령은 이를 거부했다.
10월 15일에는 최초의 잠수함 CSS 헌리가 시험 도중 침몰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1월 19일, 링컨 대통령은 게티즈버그 연설을 통해 전쟁의 의미를 되새기고 국민들의 단결을 호소했다.[1]
3. 1. 1. 1월
1월 1일 - 링컨 미국 대통령이 노예 해방 선언을 발표했다.[1] 이 선언으로 미합중국 남부 연합에서의 노예 제도 폐지가 공식적인 전쟁 목표가 되었고, 전국 400만 명의 노예 중 310만 명이 해방을 선포받았다. 즉시 5만 명이 해방되었고, 나머지는 북군의 진격과 함께 해방되었다. 이 사건은 미국의 재건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1] 같은 날, 미국에서 홈스테드법에 따른 최초의 토지 할당 신청이 이루어졌다.1월 2일 - 전 세계적인 화학 제조업체인 호이스트의 전신인 마이스터 루치우스 타르 페어벤파브리크 (''Teerfarbenfabrik Meister Lucius'')가 독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 교외에 설립되었다.
1월 4일 - 기독교계 천년왕국주의 교회인 신사도교회가 독일 함부르크에 설립되었다.
1월 7일 - 스위스의 티치노주 베드레토 마을이 눈사태로 인해 일부가 파괴되고 29명이 사망했다.[2]
1월 8일
- 요크셔 카운티 크리켓 클럽이 잉글랜드 셰필드의 아델피 호텔에서 설립되었다.
- 미국 남북 전쟁: 스프링필드 제2 전투가 미주리주 스프링필드 근처에서 벌어졌다. 에그버트 B. 브라운 장군이 이끄는 미주리 민병대가 남부 연합군 존 S. 마르마듀크 장군과 18 아칸소 보병 연대를 물리치고 연합군이 승리했다.
- 미국에서 대륙 횡단 철도 건설 착공
1월 9일 - 세계 최초의 지하철이 런던에서 개통되었다.
1월 10일 - 런던 지하철의 첫 번째 구간 (패딩턴 ~ 패링던 스트리트)이 공식적으로 개통되었다.[3]

1월 11일
- 미국 남북 전쟁: 아칸소 포스트 전투 – 존 맥클레어낸드 장군과 데이비드 딕슨 포터 제독이 이끄는 연합군이 아칸소 강을 점령했다.
- 스위스 티치노주 로카르노의 산탄토니오 교회 지붕이 눈 무게를 견디지 못하고 무너져 47명이 사망했다.[2]
1월 15일 - 프랑스의 멕시코 간섭: 프랑스군이 베라크루스를 폭격했다.
1월 21일 - 아담 오펠이 오펠 AG를 설립했다.
1월 22일 - 폴란드, 리투아니아, 벨라루스에서 러시아 제국의 지배에 대한 1월 봉기가 발발했다. 이 민족 운동의 목표는 폴란드-리투아니아 연합을 러시아 점령에서 해방하는 것이었다.
1월 29일 - 미국 원주민 전쟁 – 베어 리버 학살: 패트릭 에드워드 코너 장군이 이끄는 미국 육군이 아이다호 준주에서 쇼쇼니족의 추장 베어 헌터와 부족원들을 학살했다.
1월 31일 - 쥘 베른의 첫 번째 모험 소설인 ''기구를 타고 5주간'' (''Cinq semaines en ballon'')이 파리에서 출판되었다.
3. 1. 2. 4월 - 5월
4월 30일 - 미국 남북 전쟁의 챈슬러즈빌 전투가 시작되어 5월 4일까지 이어졌다.3. 1. 3. 6월
6월 9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브랜디역 전투[6]6월 13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2차 윈체스터 전투 (~ 6월 15일)[6]
6월 17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앨디 전투[6]
6월 17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미들버그 전투 (~ 6월 19일)[6]
6월 21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어퍼빌 전투[6]
6월 30일 - 미국 남북전쟁 게티즈버그 전역: 하노버 전투[6]
3. 1. 4. 7월
- 7월 1일 - 미국 남북 전쟁의 분수령이 되는 게티스버그 전투가 시작되었다(~ 7월 3일).[7] 같은 날,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칼라일 전투가 벌어졌다.
- 7월 2일 - 미국 남북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헌터스타운 전투가 벌어졌다.
- 7월 3일 - 미국 남북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페어필드 전투가 벌어졌다. 게티스버그 전투가 종료되었다.
- 7월 6일 - 미국 남북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윌리엄스포트 전투가 벌어졌다.(~ 7월 16일)
- 7월 8일 - 미국 남북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본스보로 전투가 벌어졌다.
- 7월 13일 - 뉴욕 징병거부 폭동 발생.(~ 7월 16일) 이 폭동은 미국 역사상 최악의 폭동으로 여겨지며, 약 120명이 사망했다.[7]
- 7월 23일 - 미국 남북전쟁 중 게티즈버그 전역의 일부로 매너서스 갭 전투가 벌어졌다.
3. 1. 5. 8월
로버트 E. 리는 게티즈버그 전투 패배에 책임을 지고 제퍼슨 데이비스 남부 동맹 대통령에게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데이비스는 이를 거절했다.[11]3. 1. 6. 10월
10월 15일 - 미국 남북전쟁 시기, 최초의 잠수함 CSS 헌리가 시험 도중 침몰했고, 이 사건으로 개발자 호레이스 H. 헌리가 사망했다.[7]3. 1. 7. 11월
11월 19일 - 남북 전쟁: 에이브러햄 링컨 미국 대통령이 게티즈버그 연설을 했다.[1]3. 2. 국제 정세
- 1월 10일 - 런던 지하철의 첫 번째 구간 (패딩턴 ~ 패링던 스트리트)이 공식적으로 개통되면서, 세계 최초의 지하철이 개통되었다.[3]
- 2월 17일 - 앙리 뒤낭의 주도로 스위스 제네바에서 "5인 위원회"가 첫 회의를 열었는데, 이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의 설립으로 여겨진다.[4]
- 8월 15일~17일 - 가고시마 포격: 1862년 나마무기 사건 이후 영국 왕립 해군이 보복으로 일본 가고시마 시를 포격했다.
3. 3. 조선과 일본
1863년 조선은 철종 재위 기간으로, 세도 정치의 폐단이 극심해 민생이 어려웠다. 같은 해 일본에서는 존왕양이 운동이 격화되면서 막부 세력과의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메이지 유신의 발판이 되었다.3. 3. 1. 일본의 주요 사건
- 4월 21일 -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쇼군으로써는 229년 만에 상락하였다.[20]
- 4월 28일 - 고메이 천황이 가모 신사로 행행하였다.[20]
- 4월 30일 - 신센구미가 결성되었다.[20]
- 6월 25일 - 시모노세키 전쟁: 조슈번이 미국 상선 펜브로크호를 포격하였다.[20]
- 7월 8일 - 시모노세키 전쟁: 조슈번이 프랑스 군함 킨샨호를 포격하였다.[20]
- 7월 11일 - 시모노세키 전쟁: 조슈번이 네덜란드 군함 메두사호를 포격하였다.[20]
- 7월 16일 - 시모노세키 전쟁: 미국 함선 와이오밍호가 보복 포격을 가하였다.[20]
- 7월 20일 - 시모노세키 전쟁: 프랑스 함대가 보복 포격을 가하였다.[20]
- 7월 22일 - 조슈번에서 다카스기 신사쿠 등이 기병대를 편성하였다.[20]
- 8월 17일 - 덴추구미의 변이 발생하였다.[20]
- 8월 18일 - 8월 18일의 정변이 발생하였다.[20]
- 8월 19일 - 8월 18일의 정변으로 인해 조정에서 배제된 7경이 조슈로 망명하였다. (7경 낙향)[20]
- 10월 14일 - 이쿠노의 변이 발생하였다.[20]
4. 탄생
- 5월 14일 - 존 찰스 필즈, 캐나다의 수학자.[2]
- 11월 7일 - 피에트로 마스카니,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4]
- 11월 11일 - 폴 시냐크, 프랑스의 화가.[5]
- 11월 29일 - 아나톨 데이브레르, 프랑스의 사형집행인.[6]
- 12월 16일 - 조지 산타야나, 미국의 철학자, 시인, 평론가.[9]
4. 1. 주요 인물
5. 사망
- 1월 1일 - 윌리엄 B. 렌쇼, 미국 해군 장교 (전사) (1816년~)
- 2월 7일 - 윌리엄 파쿠아슨 버넷, 영국 준장 (익사) (1815년~)
- 2월 10일 - 에마 캐서린 엠버리, 미국 작가 (1806년~)
- 4월 1일 - 야코프 슈타이너, 스위스 수학자 (1796년~)
- 4월 10일 - 조반니 바티스타 아미치, 이탈리아 천문학자, 현미경학자, 식물학자 (1786년~)
- 4월 21일 - 로버트 베이츠온 제1대 남작, 아일랜드 귀족 (1782년~)
- 5월 7일 - 얼 반 도른, 미국 남부 연합군 장군 (피살) (1820년~)
- 6월 7일 - 안토니오 발레로 데 베르나베, 라틴 아메리카 해방자 (1790년~)

- 6월 9일 - 도스트 무함마드 칸, 카불 에미르, 칸다하르 국왕 (1793년~)
- 6월 24일 - 조지 엘리엇 경, 영국 제독 (1784년~)
- 6월 26일 - 앤드류 헐 푸트, 미국 제독 (1800년~)
- 7월 1일 - 존 F. 레이놀즈, 미군 장군 (전사) (1820년~)
- 7월 5일 - 루이스 아미스테드, 미국 남부 연합군 장군 (전상) (1817년~)
- 7월 10일 - 클레멘트 클라크 무어, 미국 작가이자 교사 (1779년~)
- 7월 18일 - 로버트 굴드 쇼, 미국 북부 연합군 장교 (전사) (1837년~)
- 7월 21일 - 요제피나 카블리크, 체코 식물학자이자 고생물학자 (1787년~)
- 7월 26일 - 샘 휴스턴, 텍사스 공화국 초대 대통령 (1793년~)
- 8월 1일 - 진드 카우르, 인도 왕족, 펀자브의 마하라니 (1817년~)
- 8월 13일 - 외젠 들라크루아, 프랑스 화가 (1798년~)

- 9월 17일 - 알프레드 드 비뉴, 프랑스 작가 (1797년~)
- 9월 21일 - 벤저민 하딘 헬름, 남부 연합 정치인이자 장군 (전상) (1831년~)
- 10월 13일 - 필립 앙투안 도르나노, 프랑스 원수 (1784년~)
- 11월 2일 - 시어도어 주다, 미국 철도 기술자 (황열병) (1826년~)
- 11월 13일 -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 멕시코 대통령(1855년-1857년) (전사) (1812년~)
- 11월 15일 - 프레데리크 7세, 덴마크 국왕 (1808년~)
- 12월 2일 - 제인 피어스, 제15대 미국 영부인 (1806년~)
- 12월 13일 - 크리스티안 프리드리히 헤벨, 독일 작가 (1813년~)
- 12월 16일 - 존 버포드, 미군 장군 (1826년~)
- 12월 24일 - 윌리엄 메이크피스 새커리, 영국 소설가 (1811년~)
- 3월 24일 - 나가이 가가쿠, 장주번사 (1819년~)
- 4월 4일 - 루트비히 그림, 화가 (1790년~)
- 5월 1일 - 마쓰다이라 나리사이, 마쓰에번 제9대 번주 (1815년~)
- 5월 14일 - 페르디난트 바이어, 작곡가·피아니스트 (1803년~)
- 7월 5일 - 아네가코지 기미토모, 공경 (1839년~)
- 7월 11일 - 타나카 신베에, 사쓰마번사 (1832년~)
- 7월 25일 - 오가타 고안, 의사·란학자 (1810년~)
- 8월 1일 - 미나사키 겐포, 란학자 (1799년~)
- 8월 27일 - 아이자와 마사시사이, 미토번의 유학자 (1782년~)
- 10월 30일 - 세리자와 가모, 미부 낭사(신선조) 초대 국장 (?)
- 11월 8일 - 요시무라 코타로, 텐추구 총재 (1837년~)
5. 1. 주요 인물
참조
[1]
서적
The Fiery Trial: Abraham Lincoln and American Slavery
Norton
[2]
서적
Resoconto del C.omitato cantonale di Soccorso intorno ai sussidi raccolti e distribuiti pei danni cagionati dalle nevi nel gennaio 1863
Tip. Cantonale
[3]
서적
The People's Chronology
Thomson Gale
[4]
서적
History of the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Volume I: From Solferino to Tsushima
Henry Dunant Institute
[5]
서적
Penguin Pocket On This Day
Penguin Reference Library
[6]
백과사전
Ridvan
https://archive.org/[...]
Oneworld Publications
[7]
서적
The H. L. Hunley: the Secret Hope of the Confederacy
https://archive.org/[...]
Hill and Wang
[8]
웹사이트
Letters Patent annexing the Northern Territory to South Australia, 1863
http://www.foundingd[...]
[9]
웹사이트
The Valuev Circular and Censorship of Ukrainian Publications in the Russian Empire (1863-1876): Intention and Practice.
https://www.academia[...]
2024-04-01
[10]
서적
Suomen historia 5
Weilin + Göös
[11]
웹사이트
History of Bayer
https://www.bayer.co[...]
2023-01-11
[12]
서적
Clippers: the ships that shaped the world
Malbay Publishing
[13]
뉴스
Keltaristilippumme! Suomen lipuksi oli tyrkyllä monenlaisia yritelmiä - katso kuvat
https://www.iltaleht[...]
[14]
간행물
Railroad — Western Railroad Company
http://www.historync[...]
2010-02-01
[15]
서적
The Shipwreck of Their Hopes: The Battles for Chattanoog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6]
서적
Opéra-Comique: A Sourcebook
https://books.google[...]
Cambridge Scholars Publishing
2010-04-16
[17]
서적
The Guinness Railway Book
Guinness Books
1989
[18]
웹사이트
Pierre, baron de Coubertin Biography, Olympics, & Facts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2-04-15
[19]
웹사이트
IGNACIO COMONFORT
https://web.archive.[...]
Presidency de la Republica de Mexico
2019-05-30
[20]
뉴스
107年目のアメリカの良心 救われた難破の483人 カーター米公使「ささやかな恩返し」
朝日新聞
197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