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비드 (트라페준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비드는 1460년부터 1461년까지 트라페준타 제국의 마지막 황제였다. 그는 1408년에 태어나 1458년에 형 요한네스 4세가 오스만 제국에 항복하면서 볼모로 보내졌다가 1459년 형의 죽음으로 황제가 되었다.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기 위해 십자군을 준비하려 했으나 실패하고, 1461년 8월 15일 오스만 술탄 메흐메트 2세에게 항복했다. 십자군을 시도한 것에 격분한 메흐메트 2세의 명령으로 처형되었으며, 2013년 동방 정교회에서 시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408년 출생 - 쇼시타쓰왕
    쇼시타쓰왕은 1187년 오키나와섬을 통일하고 류큐 왕국을 건국한 인물로서, 1187년부터 1260년까지 슌텐 왕조를 다스렸다.
  • 1408년 출생 - 피에르 당부아즈
    피에르 당부아즈는 프랑스의 귀족, 군인, 외교관으로 샤를 7세 치세에 고문과 시종으로, 오를레앙 공성전에서 잔 다르크 측에 합류하여 활약했으며, 루이 11세 시기에는 로마 교황청 대사, 쇼몽 등 여러 지역의 영주였고, 17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1491년 부르주에 세워진 클라라 수녀회 수녀원에 안치되었다.
  • 트라페준타 황제 - 알렉시오스 1세 (트라페준타)
    알렉시오스 1세 메가스 콤네노스는 1204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시기에 트라페준타를 점령하고 트라페준타 제국을 건국한 초대 황제이며, 조지아 여왕의 지원으로 영토를 확장했지만 룸 술탄국과의 전쟁에서 패배하는 등 굴곡진 통치 후 1222년 사망하여 사위에게 황위를 계승했다.
  • 트라페준타 황제 - 마누일 1세 메가스 콤니노스
    마누일 1세 메가스 콤니노스는 1238년 트라페주스 제국의 황제가 되어 몽골 제국 지배하에서 제국 안정을 위해 노력, 시노페 탈환을 통해 흑해 해상 강국 발판을 마련하고 아야 소피아 성당 재건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으나, 몽골 제국에 대한 조공과 후계 구도 혼란은 부정적 평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다비드 (트라페준타)
기본 정보
현대 종교 [[이콘]]에 묘사된 다비드 메가스 콤네노스
다비드 메가스 콤네노스, 현대 종교 이콘에 묘사됨
칭호동방과 페라테이아의 황제이자 전제군주
왕조콤네노스 왕조
아버지알렉시우스 4세 메가스 콤네노스
어머니테오도라 칸타쿠제네
출생 추정 연도1408년경
사망일1463년 11월 1일
사망 장소콘스탄티노폴리스, 오스만 제국 (현재의 이스탄불, 튀르키예)
통치
트레비존드 황제재위 시작: 1460년 4월
재위 종료: 1461년 8월 15일
이전: 알렉시우스 5세
이후: 없음, 트레비존드 함락
배우자 및 자녀
배우자마리아
헬레나 칸타쿠제네
자녀바실리오스 메가스 콤네노스
마누엘 메가스 콤네노스
안나 메갈레 콤네네
게오르기오스 메가스 콤네노스
딸 1명

2. 생애

1456년 오스만 제국이 쳐들어와 제국을 거의 무너뜨릴 정도에 이르자, 형 트라페주스의 요한네스 4세는 항복하면서 1458년에 다비드를 볼모로 보냈다.[1]

1459년 형이 죽자 다비드는 황제가 되었다.[1] 그는 주변 이슬람 국가들과 공존하려던 형과는 달리, 오스만 제국을 물리치고 제국의 독립을 지키기 위해 십자군을 준비하고자 했다. 그러나 이는 시대착오적인 생각이었고, 제국은 오랜 동맹국 조지아 왕국뿐만 아니라 동방 정교회를 믿는 서방 국가들과 신성로마제국, 교황청에게도 외면당했다. 결국 제국은 풍전등화의 위험에 직면했고, 1460년 오스만 제국의 대규모 침략이 시작되었다. 제국군은 산발적으로 저항했으나, 1461년 8월 15일 다비드는 메흐메트 2세에게 항복했다.[12]

십자군 시도에 격분한 메흐메트 2세는 비잔티움 황실 관련자들을 처형하라는 지시를 내렸고, 다비드는 황태자와 함께 처형되었다. 그의 두 딸은 오스만 제국의 하렘(후궁)과 조지아 영주 부인이 되었다가 얼마 못 가 처형되었으며, 무슬림으로 변장해 살아남은 아들 게오르기오스는 조지아로 탈출했으나 이후 행방은 알 수 없다.

2. 1. 초기 생애

그는 1408년 알렉시오스 메가스 콤네노스와 테오도라 칸타쿠제노스 사이에서 태어났다.[1] 1456년 오스만 제국이 쳐들어와 제국을 거의 무너뜨릴 정도에 이르자, 그의 형 트라페주스의 요한네스 4세는 항복하면서 1458년에 그를 볼모로 보냈다.[1]

1459년 형이 죽자 그는 황제가 되었다.[1]

2. 2. 즉위와 통치

1459년 형 요안네스 4세가 죽자 다비드가 트라페준타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요안네스 4세는 조카 알렉시우스 5세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2] 알렉시우스는 미성년자였다. 라오니코스 칼코콘딜레스에 따르면, 다비드는 카바시타노이 ''아르콘테스''의 지원을 받아 어린 황제를 밀어내고 스스로 왕위를 차지했다.[3]

다비드는 형의 정책을 이어받아 동쪽의 조지아 군주들과 아크 코윤루의 우준 하산과 동맹을 맺고, 시노프, 카라만의 무슬림 통치자들과도 동맹을 맺으려 했다.[4]

1460년 10월, 루도비코 다 볼로냐라는 인물이 프리드리히 3세의 궁정에 나타나 페르시아와 조지아의 대사들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을 제안했다.[5] 피렌체에서는 다비드의 특사라고 주장하는 미켈레 알리기에리가 피렌체와 트라페준타 사이에 조약을 협상하여 무역 조건을 승인했다.[6] 그러나 이러한 서방의 지원은 확고하지 않았다.

다비드는 오스만 제국의 술탄에게 조공 감면을 요청하면서 우준 하산의 사절을 통해 오만한 요구를 했다. 메흐메트 2세는 이에 분노하여 1461년 여름, 함대와 군대를 이끌고 트라페준타를 공격했다.[10]

2. 3. 트라페주스 제국의 멸망

1459년 형 요안 4세가 사망하면서 다비드는 트라페주스 제국의 황제가 되었다. 요안 4세는 조카 알렉시우스 5세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알렉시우스는 미성년자였기 때문에 다비드가 카바시타노이 ''아르콘테스''의 지원을 받아 황제 자리에 올랐다.[2][3]

1453년 오스만 투르크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메흐메트 2세가 이끄는 오스만 제국의 위협은 더욱 커졌다. 다비드는 형 요안 4세가 맺었던 동맹, 즉 동쪽의 조지아 군주들과 아크 코윤루의 우준 하산과의 동맹에 의존했다.[4] 또한 시노프, 카라만의 무슬림 통치자들도 동맹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4]

1460년 10월, 루도비코 다 볼로냐라는 인물이 프리드리히 3세의 궁정에 나타나 페르시아와 조지아의 대사들을 동반했다. 이들은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동맹에 참여하려는 여러 세력의 서한을 가지고 있었다. 이 중에는 다비드의 특사라고 주장하는 미켈레 알리기에리도 있었는데, 그는 피렌체와 트라페준타 사이에 조약을 협상하여 무역 조건을 승인받았다.[6]

그러나 서방의 지원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다비드는 메흐메트 2세에게 조공 감면을 요청했고, 이는 오히려 메흐메트 2세의 분노를 샀다. 1461년 여름, 메흐메트 2세는 직접 군대를 이끌고 트라페준타로 진격했다. 그는 쾨이류 히사르를 함락시키고 우준 하산의 어머니 사라 하툰을 통해 평화 조약을 맺었지만, 트라페준타에 대한 공격은 멈추지 않았다.[11]

메흐메트 2세의 함대는 7월 초 트라페준타에 상륙하여 도시를 포위했다. 한 달 넘게 이어진 포위 끝에, 다비드는 ''프로토베스티아리오스'' 조지 아미루체스의 권고로 항복을 결정했다.[12] 1461년 8월 15일, 다비드는 가족과 재산을 지키고 트라키아에서 은퇴하는 조건으로 메흐메트 2세에게 항복했다.[12] 이로써 트라페준트 제국은 멸망하고, 비잔틴 제국의 전통도 종말을 맞이했다.[12]

2. 4. 몰락 이후

1461년 8월 15일, 다비드가 오스만 술탄 메흐메트 2세에게 항복하면서 트라페준타 제국은 멸망했고,[12] 이로써 비잔티움 제국의 마지막 잔재도 사라졌다. 다비드는 가족과 함께 콘스탄티노플로 이송되었고, 백성들은 뿔뿔이 흩어졌다. 일부는 술탄의 신하가 되었고, 일부는 콘스탄티노플로 이주했으며, 나머지는 트라페준타 외곽에서 살게 되었다. 젊은이들은 예니체리로 징집되었고, 오스만 해군 제독이 도시에 남았다.[13]

다비드는 아드리아노폴에 정착하여 스트루마 강 유역의 영지에서 매년 를 받았다.[14] 그러나 콤네노스 가문의 후손인 그는 오스만 제국에 대한 저항 세력의 중심이 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샀다. 결국 메흐메트 2세는 그를 제거할 구실을 찾았다.

2년 후, 다비드의 조카 데스피나 하툰(테오도라)이 보낸 편지가 문제가 되었다. 이 편지는 다비드의 아들이나 조카를 보내달라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조지 아미루체스가 이를 메흐메트 2세에게 넘겼다.[16] 테오도르 스판두네스는 이 편지가 술탄의 명령으로 조작되었다고 주장했지만, 진위 여부와 관계없이 결과는 같았다. 메흐메트는 다비드와 그의 세 아들, 그리고 조카를 투옥했다.[17]

1463년 3월 26일, 다비드와 그의 아들들은 투옥되었고,[18] 11월 1일 처형되었다.[18] 소프로니오스 1세 총대주교는 다비드가 콘스탄티노플에 도착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세 아들과 함께" 살해되었다고 기록했다.[18]

다비드의 딸 안나는 자가노스 파샤와 결혼했으나,[20] 개종을 거부하여 살해당했다는 이야기가 있다.[21] 다비드의 형 알렉산더의 아내 마리아 가틸루시오는 하렘에 들어갔다.[22]

테오도르 스판두네스에 따르면, 마리아의 아들 알렉시오스는 살아남아 갈라타 성벽 밖에서 "베이의 아들"로 불렸다고 한다. 과부가 된 황후 헬레나 칸타쿠제네는 남편과 아들의 장례 비용으로 큰 벌금을 물고 가난하게 살았다. 막내아들 게오르기오스는 무슬림으로 자랐지만, 조지아로 탈출하여 기독교로 다시 개종하고 조지아 공주와 결혼했다.[23]

3. 가족

배우자자녀
고티아의 마리아자녀 없음
헬레나 칸타쿠지네



다비드의 딸 중 한 명은 다디아니 가문 출신의 구리엘리 통치자의 아내로서 그보다 오래 살았다. 후대 구리엘리는 다비드와 그의 조상인 수십 명의 황제들로부터 계보를 주장했다.[18]

역사가 워렌 트레드골드에 따르면 다비드에게는 일곱 아들이 있었고, 그 중 여섯 명이 처형되었으며, 나머지 한 명은 게오르기로 추정된다.[24]

4. 시성

동방 정교회에서 2013년 7월 10일에 시성되었다. 축일은 11월 1일이다. 상징은 십자가와 두루마리이다.

5. 대중문화

로렌스 스쿤오버의 소설 ''윤이 나는 칼날''에서 다비드는 부수적인 인물로 등장하며, 모험심이 강하지만 외교적으로 예리한 젊은이로 묘사된다.[25] 도로시 더넷의 소설 니콜로 가문 시리즈의 두 번째 책인 ''양의 샘''에는 다비드와 트라페준타의 함락이 묘사되어 있다.

참조

[1] 뉴스 Canonization of New Saints by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www.omhksea.o[...] Ecumenical Patriarchate - Orthodox Metropolitanate of Hong Kong and South East Asia 2013-08-02
[2] 논문 "La descendance d'Alexis IV, empereur de Trébizonde. Contribution à la prosopographie des Grands Comnènes" http://www.persee.fr[...] Chicago: Argonaut
[3] 서적 The Histories Cambridge: Dumbarton Oaks Medieval Library
[4] 서적 The Fall of Constantinople London: Cambridge
[5] 논문 "Ludovico da Bologna and the Georgian and Anatolian Embassy of 1460-1461"
[6] 논문 "Ludovico da Bologna"
[7] 논문 "Ludovico da Bologna"
[8] 논문 "Ludovico da Bologna"
[9] 서적 Trebizond
[10] 서적 Fall
[11] 서적 Fall
[12] 서적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서적 Fall
[14] 서적 Trebizond
[15] 논문 "The Interpolations in the ''Histories'' of Laonikos Chalkokondyles" http://grbs.library.[...]
[16] 서적 The Histories
[17] 서적 Trebizond
[18] 논문 "The Chronology of Trebizond" https://www.jstor.or[...]
[19] 간행물 Die letzen Tage der Grosskomnen 1937
[20] 문서 Filiam Trapezunti regis Annam.... connube junxit Zagano
[21] 서적 Mehmed the Conqueror and His Ti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2] 서적 The Histories
[23] 서적 Fall
[24] 서적 A History of the Byzantine State and Societ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5] 서적 The Burnished Blade https://archive.org/[...] Macmillan 2014-01-31
[26] 뉴스 Canonization of New Saints by the Ecumenical Patriarchate http://www.omhksea.o[...] Ecumenical Patriarchate - Orthodox Metropolitanate of Hong Kong and South East Asia 2013-08-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