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색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색성은 결정성 물질이 빛의 편광 방향에 따라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현상이다.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이 용어는 1854년 빌헬름 하이딩거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 다색성은 빛의 흡수가 결정 내 광축에 대한 각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발생하며, 이방성 결정에서 복굴절 현상으로 인해 서로 다른 색상이 나타난다. 광물학 및 보석학에서 다색성은 광물과 보석의 식별 및 분류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색성을 띠는 광물에는 자수정, 전기석, 아쿠아마린, 알렉산드라이트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크로미즘 - 폴리아닐린
폴리아닐린은 아닐린 중합으로 얻어지는 전도성 고분자로, 류코에메랄딘, 에메랄딘, 퍼니그라닐린의 산화 상태에 따라 전기적 특성과 색상이 다르며, 특히 에메랄딘은 높은 전도성을 가져 염료에서 전도성 고분자로 재조명되어 다양한 분야에 응용 및 연구되고 있다. - 크로미즘 - 색도
색도는 색채 과학에서 색의 질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휘도와 분리된 두 개의 차원으로 표현되며 색상과 채도를 포함한다. - 광물학 - 결정
결정은 원자들이 주기적으로 배열된 고체 물질로, 단위세포의 반복적인 배열, 219가지 결정 대칭성, 7가지 결정계로 특징지어지며, 다양한 화학 결합과 이방성으로 특별한 특성을 나타내 결정학 연구의 대상이 된다. - 광물학 - 광석
광석은 유용한 광물을 포함하는 암석으로, 유용한 광물을 분리하는 과정을 거쳐 맥석은 광미가 되며, 금, 은, 구리, 철 등 주요 광석 광물이 있으며, 광상으로 분류되고 채굴 과정을 거쳐 국제적으로 거래된다.
다색성 | |
---|---|
개요 | |
종류 | 이색성 (dichroism): 두 가지 색으로 보이는 현상 삼색성 (trichroism): 세 가지 색으로 보이는 현상 |
설명 | 결정의 방향에 따라 다른 색깔을 띠는 광학 현상이다. |
상세 정보 | |
정의 | 다색성은 일부 광물에서 나타나는 광학적 현상으로, 결정의 다른 축을 통해 빛이 관찰될 때 다른 색상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
원인 | 다색성은 빛이 결정의 다양한 경로를 통과할 때 빛의 흡수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 현상은 광물의 결정 구조와 화학 조성에 의해 결정된다. |
관찰 방법 | 편광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할 수 있다. 다색성은 보석 감정 및 광물 식별에 유용한 도구로 사용된다. |
광학적 특성 | |
종류 | 이방성 광물에서 관찰되는 현상이다. 등방성 광물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
관련 용어 | 복굴절 (birefringence) 간섭색 (interference color) |
활용 | |
응용 분야 | 광물 식별 보석 감정 암석학 연구 |
2. 어원
다색성(Pleochroism)이라는 용어는 그리스어 πλέων|플레온grc(더 많은)과 χρῶμα|크로마grc(색)에서 유래되었다.[2] 1854년 독일 광물학자 빌헬름 하이딩거가 처음 사용했으며,[2] 영어로는 같은 해 지질학자 제임스 데이나가 최초로 사용했다.[3]
등방성을 띠지 않는 결정은 빛의 방향에 따라 광학적 성질이 달라진다. 전기장의 방향은 빛의 편광을 결정하며, 결정은 이 각도가 변경되면 다르게 반응한다. 이러한 종류의 결정은 하나 또는 두 개의 광축을 가지고 있다. 결정 내에서 빛의 흡수가 광축에 대한 각도에 따라 달라지면 다색성이 나타난다.[4]
다색성은 광물학 및 보석학에서 광물 및 보석 식별에 매우 유용한 도구인데, 서로 다른 각도에서 보이는 색의 수를 통해 가능한 결정 구조를 식별하여 분류를 돕기 때문이다. 서로 매우 유사한 광물이라도 다색성 색상 배치가 매우 다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광물의 박편을 사용하여 편광 투과 광선 하에서 광물현미경으로 검사한다.[8] 이 속성을 사용하여 광물을 식별하는 또 다른 장치는 이색경이다.[8] 다른 성질이 매우 유사한 광물에서 다색성의 색상 조합이 크게 다른 경우가 많으므로, 다색성은 광물학에서 광물 식별에 매우 유용한 성질이다. 광물의 박편을 사용하여 투과형 편광 현미경으로 분석한다.[14]
다색성을 띠는 광물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대표적인 다색성 광물로는 무정장석과 전기석 등이 있으며, 카메라 렌즈 앞에서 직선 편광자를 회전시키면 다색성을 관찰할 수 있다.
3. 원리
등방성을 띠지 않는 결정은 복굴절 현상을 보인다. 복굴절은 서로 다른 편광을 가진 빛이 결정에 의해 다른 양으로 굴절되어 결정 내부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따르는 현상이다. 분할된 빛의 구성 요소는 광물 내에서 서로 다른 경로를 따르고 서로 다른 속도로 이동한다. 광물을 어떤 각도로 관찰하면, 경로와 편광의 일부 조합을 따르는 빛이 존재하며, 각 빛은 서로 다른 색상을 흡수한다. 다른 각도에서는 결정을 통과하는 빛이 다른 빛 경로와 편광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각각 고유한 색상을 가진다. 따라서 광물을 다른 각도에서 볼 때 빛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갖게 되어 돌이 서로 다른 색상으로 보이게 된다.
정방정계, 삼방정계, 육방정계 광물은 두 가지 색상만 나타낼 수 있으며 이색성이라고 한다. 사방정계, 단사정계, 삼사정계 결정은 세 가지 색상을 나타낼 수 있으며 삼색성이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광축을 가진 자마노는 3차원 공간에서 세 가지 다른 방향으로 배향될 때 빨간색, 노란색 또는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다.[5] 등축정계 광물은 다색성을 나타낼 수 없다.[1][6] 전기석은 강한 다색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색성 색상은 빛이 주 광학 벡터와 평행하게 편광될 때 최대가 된다. 축은 방향에 대해 X, Y, Z로 지정되고, 굴절률의 크기에 대해 알파, 베타, 감마로 지정된다. 이러한 축은 원추경 간섭 무늬에서 결정의 모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두 개의 광축이 있는 경우, 축의 예각 이등분선은 양의 광물에 대해 Z를 제공하고 음의 광물에 대해 X를 제공하며, 둔각 이등분선은 대체 축(X 또는 Z)을 제공한다. 이에 수직인 것은 Y축이다. 색상은 각 방향에 평행한 편광으로 측정된다. 흡수 공식은 X < Y < Z의 형태로 각 축에 평행한 흡수량을 기록하며, 가장 왼쪽에 가장 적은 흡수량이 있고 가장 오른쪽에 가장 많은 흡수량이 있다.[7]
4. 광물학 및 보석학에서의 활용
5. 다색성을 띠는 광물
5. 1. 보라색 및 자주색 계열
5. 2. 파란색 계열
광물 | 다색성 |
---|---|
아쿠아마린 | 투명/밝은 파란색, 또는 밝은 파란색/어두운 파란색 |
알렉산드라이트 | 어두운 적자색/주황색/녹색 |
애퍼타이트 | 파란색-노란색/파란색-무색 |
베니토아이트 | 무색/어두운 파란색 |
아이올라이트 | 옅은 노란색/자색/옅은 파란색 |
강옥 | 어두운 자청색/밝은 청록색 |
탄자나이트 (조이사이트) | 파란색/적자색/황록색 |
토파즈 | 무색/옅은 파란색/분홍색 |
전기석 | 어두운 파란색/밝은 파란색 |
조이사이트 | 파란색/적자색/황록색 |
지르콘 | 파란색/투명/회색 |
5. 3. 녹색 계열
광물 | 다색성 강도 | 색상 |
---|---|---|
알렉산드라이트 | 강함 | 짙은 적색 / 오렌지색 / 녹색 |
안달루사이트 | 강함 | 갈색-녹색 / 짙은 적색 |
강옥 | 강함 | 녹색 / 황록색 |
에메랄드 | 강함 | 녹색 / 청록색 |
감람석 | 낮음 | 황록색 / 녹색 / 무색 |
티타나이트 | 중간 | 갈색-녹색 / 청록색 |
전기석 | 강함 | 청록색 / 갈색-녹색 / 황록색 |
지르콘 | 낮음 | 녹갈색 / 녹색 |
코르네루핀 | 강함 | 녹색 / 옅은 황갈색 / 적갈색 |
히데나이트 | 강함 | 청록색 / 에메랄드 그린 / 황록색 |
5. 4. 노란색 계열
광물 | 다색성 강도 | 색상 |
---|---|---|
황수정 | 매우 약함 | 옅은 노란색의 다양한 음영 |
금록석 | 매우 약함 | 적황색 / 황록색 / 녹색 |
강옥 | 약함 | 노란색 / 옅은 노란색 |
단백석 | 약함 | 매우 옅은 노란색 / 옅은 노란색 |
카솔라이트 | 약함 | 옅은 노란색 / 회색 |
정장석 | 약함 | 옅은 노란색의 다양한 음영 |
페나사이트 | 중간 | 무색 / 황색-오렌지색 |
스포듀민 | 중간 | 옅은 노란색의 다양한 음영 |
토파즈 | 중간 | 황갈색 / 노란색 / 황색-오렌지색 |
전기석 | 중간 | 옅은 노란색 / 짙은 노란색 |
지르콘 | 약함 | 황갈색 / 노란색 |
혼블렌드 | 강함 | 밝은 녹색 / 짙은 녹색 / 노란색 / 갈색 |
세그니타이트 | 약함 | 옅은 노란색 ~ 중간 노란색 |
5. 5. 갈색 및 주황색 계열
광물 | 다색성 색상 |
---|---|
강옥 (강함) | 황갈색 / 오렌지색 |
토파즈 (중간) | 황갈색 / 칙칙한 갈황색 |
전기석 (매우 낮음) | 짙은 갈색 / 밝은 갈색 |
지르콘 (매우 약함) | 갈적색 / 갈황색 |
흑운모 (중간) | 갈색 |
5. 6. 붉은색 및 분홍색 계열
광물 | 다색성 |
---|---|
알렉산드라이트 (강함) | 짙은 빨강 / 주황 / 녹색 |
안달루사이트 (강함) | 짙은 빨강 / 갈색-빨강 |
강옥 (강함) | 자주색-빨강 / 주황-빨강 |
모거나이트 (중간) | 밝은 빨강 / 붉은 보라색 |
전기석 (강함) | 짙은 빨강 / 밝은 빨강 |
지르콘 (중간) | 보라색 / 적갈색 |
참조
[1]
웹사이트
Pleochroism in minerals
http://webmineral.co[...]
[2]
문서
Oxford English Dictionary
2006
[3]
문서
Merriam Webster
[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Optical Crystallography
Holt, Rinehart and Winston
[5]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Optical Crystallography
Holt, Rinehart and Winston
[6]
웹사이트
The Pleochroic Minerals
http://www.galleries[...]
[7]
서적
Optical Mineralogy
https://archive.org/[...]
McGraw Hill Book Company
[8]
웹사이트
What is gemstone pleochroism?
http://www.gemsociet[...]
International Gem Society
2015-02-28
[9]
웹사이트
Webmineral: Pleochroism in minerals
https://webmineral.c[...]
2012-04-17
[10]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Optical Crystallography
Holt, Rinehart and Winston
[11]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Methods of Optical Crystallography
Holt, Rinehart and Winston
[12]
웹사이트
The Pleochroic Minerals
http://www.galleries[...]
2012-04-25
[13]
서적
Optical Mineralogy
McGraw Hill Book Company
[14]
웹사이트
偏光顕微鏡の原理と鉱物鑑定
http://www.osaka-kyo[...]
大阪教育大学
2012-04-25
[15]
논문
On the pleochroism of amethyst quartz and its absorption spectra
[16]
서적
Gemstones of the World: Newly Revised & Expanded Fourth Edition
Sterling Publishing Company, In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