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시포곤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시포곤과는 다시포곤목에 속하는 과로, 킹기아아과와 다시포고네아과로 분류된다. 킹기아아과에는 킹기아속과 박스테리아속이 있으며, 각 속은 단일 종으로 구성된다. 다시포고네아과에는 칼렉타시아속과 다시포곤속이 포함된다. 연구를 통해 다시포곤과의 단계통군 특성이 확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파파야과
    파파야과는 십자화목에 속하는 목본 또는 초본 식물 과로, 손바닥 모양의 잎과 측막태좌에 다수의 종자가 붙는 특징을 가지며, 주로 아메리카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6개의 속을 포함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다시포곤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킹기아 오스트랄리스, 크랜본 왕립 식물원
킹기아 오스트랄리스, 크랜본 왕립 식물원
학명다시포곤과
다시포곤과 분포도
분포도
분류
식물계
문 (계통군)속씨식물군
강 (계통군)외떡잎식물군
아강 (계통군)닭의장풀군
종려목
박스테리아속 (Baxteria R. Br.)
칼렉타시아속 (Calectasia R. Br.)
다시포곤속 (Dasypogon R. Br.)
킹기아속 (Kingia R. Br.)

2. 분류

연구를 통해 이 분류군의 단계통군 특성이 확인되었다.[6] 다시포곤과는 2개의 분류로 나뉜다.[11]


  • 킹기아아과
  • 다시포곤아과

2. 1. 킹기아아과


  • 킹기아속(''Kingia'') R. 브라운 - ''Kingia australis'' 단일 종
  • 박스테리아속(''Baxteria'') R. 브라운 - ''Baxteria australis'' 단일 종[11]

2. 2. 다시포곤아과


  • 킹기아속(''Kingia'') R. Br.|R. 브라운la - Kingia australis|킹기아 아우스트랄리스la (단일 종)
  • 박스테리아속(''Baxteria'') R. Br.|R. 브라운la - Baxteria australis|박스테리아 아우스트랄리스la (단일 종)
  • 칼렉타시아속 (''Calectasia'') R.Br.|R. 브라운la
  • 다시포곤속(''Dasypogon'' R.Br.|R. 브라운la)
[11]

3. 계통

연구를 통해 이 분류군의 단계통군 특성이 확인되었다.[6] 다음은 이 과의 계통수이다.[7]

{| class="wikitable"

|-

! 다시포곤과

|-

|

{| class="wikitable"

|-

|

칼렉타시아
다시포곤



|-

|

박스테리아속
킹기아속



|}

|}

참조

[1] 논문 The number of known plants species in the world and its annual increase http://biotaxa.org/P[...]
[2]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3] 논문 Monocot plastid phylogenomics, timeline, net rates of species diversification, the power of multi-gene analyses, and a functional model for the origin of monocots 2018-11
[4] 논문 Phylogenomics and the rise of the angiosperms https://www.nature.c[...]
[5]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6] 논문 Plastid genomes reveal support for deep phylogenetic relationships and extensive rate variation among palms and other commelinid monocots
[7] 논문 Systematic Placement of Dasypogonaceae Among Commelinid Monocots: Evidence from Flowers and Fruits https://www.jstor.or[...] 2012
[8]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http://www3.intersci[...] 2013-06-26
[9]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V http://onlinelibrary[...] 2016-04-10
[10] 웹사이트 Dasypogonaceae in apweb http://www.mobot.org[...] 2015-11-11
[11] 웹사이트 Dasypogonaceae in apweb http://www.mobot.org[...] 2014-10-01
[12]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