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파야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파야과는 6개의 속에 약 35종을 포함하는 식물 과이다. 아메리카 대륙에는 너도파파야속, 파파야속, Jacaratia, Jarilla가 분포하며, 아프리카에는 Cylicomorpha 속이 존재한다. 2016년 썬 등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파파야과는 모링가과와 자매군이며, 십자화목에 속한다. 파파야과 내에서는 Cylicomorpha, 파파야, Horovitzia, Jarilla, Jacaratia, Vasconcellea 속 사이에서 계통 관계가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파야과 - 파파야속
    파파야속은 과거 21종이 등재되었으나 현재는 분류학적 재검토를 거쳐 파파야를 포함한 일부 종만이 남아 있으며, 속명은 잎이나 열매가 무화과와 유사한 것에서 유래했다.
  • 파파야과 - 너도파파야속
    너도파파야속은 너도밤나무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산파파야, 바바코 등 여러 종을 포함하며 일부는 파파야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진달래아과
    진달래아과는 진달래속을 포함하는 식물 분류군으로, 가솔송족, 브리안투스족, 시로미족, 에리카족, 진달래족 등 5개의 족으로 구성된다.
  • 1829년 기재된 식물 - 수국과
    수국과는 마주나는 잎과 4~5개의 꽃잎을 가진 꽃이 특징이며, 삭과 또는 장과 열매를 맺는 식물 과로, 수국, 말발도리 등을 포함한 약 190종이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의 온대 및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 식물의 과 - 박과
    박과는 주로 덩굴성 한해살이 식물로, 잎은 어긋나고 꽃은 단성화이며, 오이, 수박, 호박, 멜론 등 채소 및 과일로 재배되거나 약재로 사용되는 페포 열매를 맺는 식물군이다.
  • 식물의 과 - 나한송과
    나한송과는 19개 속으로 분류되며, 잎 모양이 다양하고 암수딴그루인 경우가 많으며,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고 목재나 정원수로 이용되기도 한다.
파파야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파파야
파파야
학명Caricaceae
학명 명명자Dumort.
분류
식물계
문 (계통 분류군)속씨식물군
강 (계통 분류군)진정쌍떡잎식물군
아브라나목
하위 분류
카리카속
호로비치아속
야릴라속
자카라티아속
바스콘셀레아속
킬리코모르파속
설명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 너도파파야속(''Vasconcellea'' A.St.-Hil.) – 20종, 아메리카[5]
  • 파파야속(''Carica'' L.) – 4종, 아메리카[5]
  • ''Cylicomorpha'' Urb. – 2종, 아프리카[5]
  • ''Horovitzia'' V.M.Badillo[5]
  • ''Jacaratia'' A.DC. – 7종, 아메리카[5]
  • ''Jarilla'' Rusby – 3종, 아메리카[5]

6속에 약 35종이 속한다.[5]

  • ''Cylicomorpha'' - 2종, 아프리카 열대 지역
  • ''Carica'' - 파파야 1종, 중미
  • ''Horovitzia'' - 1종, 중미
  • ''Jarilla'' - 3종, 중미
  • ''Jacaratia'' - 8종, 중남미
  • ''Vasconcellea'' - 카리카, 바바코 등 20종, 중남미

2. 1. 아메리카 대륙

너도파파야속(Vasconcellea)은 20종, 파파야속(Carica)은 4종, Jacaratia는 7종, Jarilla는 3종이 아메리카에 분포한다.

2. 2. 아프리카

아프리카에는 ''Cylicomorpha'' Urb. 속에 2종이 존재한다.

3. 계통 분류

2016년 6월, 썬 등(Sun et al.)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7] 파파야과는 모링가과와 자매군이다. 십자화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십자화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림난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세트켈란투스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코이베를리니아과

|-

|

{| class="wikitable"

|-

| 살바도라과

|-

|

Batis maritima
Azima tetracantha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기로스테몬과

|-

|

{| class="wikitable"

|-

| (보스윅키아과)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펜타디플란드라과

|-

|

{| class="wikitable"

|-

| 카파리스과

|-

|



|}

|}

|}

|}

|}

|}

|}

|}

|}

|}

|}

파파야과 내에서는 *Cylicomorpha*, 파파야, *Horovitzia cnidoscoloides*, *Jarilla*, *Jacaratia*, *Vasconcellea* 속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가 나타난다.[5] 파파야과는 자체는 겨자나무과의 자매군이 된다.

3. 1. 2016년 썬 등의 계통 분류

2016년 6월, 썬 등(Sun et al.)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7] 파파야과는 모링가과와 자매군이다. 십자화목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wikitable

{| class="wikitable"

|-

| 십자화목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림난테스과

|-

|

{| class="wikitable"

|-

| 세트켈란투스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코이베를리니아과

|-

|

{| class="wikitable"

|-

| 살바도라과

|-

|

Batis maritima
Azima tetracantha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기로스테몬과

|-

|

{| class="wikitable"

|-

| (보스윅키아과)

|-

|



|}

|}

|-

|

{| class="wikitable"

|-

|



|-

|

{| class="wikitable"

|-

| 펜타디플란드라과

|-

|

{| class="wikitable"

|-

| 카파리스과

|-

|



|}

|}

|}

|}

|}

|}

|}

|}

|}

|}

|}

3. 2. 파파야과 내 계통 분류

2016년 6월, 썬 등(Sun et al.)의 계통 분류에 따르면 파파야과는 모링가과와 자매군이며, 십자화목 내에서는 다음과 같은 위치를 차지한다.[7]

파파야과 내에서는 *Cylicomorpha*, 파파야, *Horovitzia cnidoscoloides*, *Jarilla*, *Jacaratia*, *Vasconcellea* 속 사이에서 다음과 같은 계통 관계가 나타난다.[5]

4. 기타

참조

[1] 논문 An update of the Angiosperm Phylogeny Group classification for the orders and families of flowering plants: APG III.
[2] 논문 Correct names for some of the closest relatives of ''Carica papaya'': A review of the Mexican/Guatemalan genera ''Jarilla'' and ''Horovitzia'' https://www.pensoft.[...]
[3] 웹사이트 Home Page - BRAHMS Online http://herbaria.plan[...]
[4] 논문 A dated phylogeny of the papaya family (Caricaceae) reveals the crop's closest relatives and the family's biogeographic history
[5] 논문 A dated phylogeny of the papaya family (Caricaceae) reveals the crop’s closest relatives and the family’s biogeographic history
[6] 서적 Analyse des Familles des Plantes
[7] 간행물 Phylogeny of the Rosidae : A dense taxon sampling analysis https://www.researc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