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의 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윗의 탑은 예루살렘에 위치한 역사적인 요새로, 여러 시대에 걸쳐 다양한 이름과 용도로 사용되었다. 5세기 비잔틴 기독교인들은 헤로데 탑을 다윗 왕의 궁전으로 여기고 "다윗의 탑"이라고 불렀으며, 아랍 시대에는 "미흐랍 다우드"로 불리기도 했다. 기원전 2세기에 건설된 이 요새는 하스몬 왕조, 헤로데 대왕, 로마, 십자군, 맘루크, 오스만 제국 시대를 거치며 증축 및 개축되었고, 19세기에는 현재의 미나레트를 "다윗의 탑"으로 지칭하게 되었다. 현재는 예루살렘 역사를 다루는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고고학적 유적도 발견되었다.
19세기까지 "다윗의 탑"이라는 명칭은 성채 전체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현재는 성채 남서쪽에 있는 오스만 시대에 만들어진 미나레트를 지칭하는 용어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예루살렘에는 기원전 8세기 말, 산헤립의 유다 침략에 대비하여 성벽이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성벽은 느헤미야기 3:8, 이사야서 22:9-10에 기록된 것일 수도 있다.[17][18]
2. 명칭
2. 1. 다윗의 탑: 헤로데 시대의 탑
5세기경 비잔틴 기독교인들은 이 탑이 다윗 왕의 궁전이라고 믿고 헤로데 탑에 '다윗의 탑'이라는 이름을 처음 사용했다.[7][1] 그들은 솔로몬이 지은 것으로 여겨지는 아가서 4장 4절의 "네 목은 다윗의 탑 같아서, 병기고로 건축되었고, 그 위에 방패 천 개, 용사의 방패가 다 달렸도다"라는 구절에서 "다윗의 탑"이라는 이름을 차용했다.[4]
2. 2. 아랍어 명칭
아랍어로는 برج القلعة|Burj al-Qalʾa|부르즈 알-칼라ar라고 불린다.[5] 초기 이슬람 시대와 아이유브 왕조 시대에는 Miḥrāb Dāwūd|미흐랍 다우드ar라고 알려졌다. 남쪽 성벽 안쪽에 세워진 알아크사 모스크 경내/템플 마운트에도 Miḥrāb Dāwūd|미흐랍 다우드ar라고 불리는 또 다른 미흐랍이 있다.[6]
3. 역사
기원전 2세기, 예루살렘은 서쪽 언덕까지 확장되었다. 해발 773m의 이 고지대는 시온산처럼 아르메니아인과 유대인이 거주했으며, 북쪽을 제외하고 험준한 계곡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가 "첫 번째 성벽"이라 부른 이 지역의 초기 거주는 기원전 150년경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였다.[19]
헤로데 대왕은 하스모네아 왕조와 싸워 권력을 잡은 후, 기원전 37-34년에 성벽에 세 개의 큰 탑을 추가했다. 그는 방어에 취약한 서쪽 언덕 북서쪽 모서리(현재 다윗의 탑 위치)에 탑을 세웠다. 이는 도시와 시온 언덕 근처 자신의 궁전을 보호하기 위함이었다. 가장 높은 탑(44m)은 형 파사엘을 기려 "파사엘"이라 명명했다. 다른 탑은 처형된 두 번째 왕비 마리아므네 1세의 이름을 따 "마리아므네", 세 번째 탑은 친구 이름을 따 "히피쿠스"라 불렀다. 요세푸스는 이 탑들을 "전 세계에서 가장 장엄한 것"이라 칭찬했다.[23] 세 탑 중 현재 기초만 남은 것은 파사엘 탑이거나, 발굴 조사한 고고학자 Hillel Geva에 따르면 히피쿠스 탑이다.[20]
로마와의 유대 전쟁 중 시몬 바르 코흐바는 이 탑을 거처로 삼았다.[21] 기원후 70년 예루살렘 공방전 후 로마는 예루살렘을 파괴했지만, 세 탑은 로마 군단 병영으로 사용되었다.
기원후 4세기 동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공인하며 성채에 수도사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5세기경 북동쪽 탑이 커지면서 '다윗의 탑'으로 불리게 되었는데,[19] 이는 아가서 4장 4절에 나오는 구절 때문이다.
헤로데 시대 탑과 성채 전체가 "다윗의 탑"으로 불린 것은 동로마 제국 시대 기독교인들이 이곳을 다윗 왕 궁전으로 믿었기 때문이다.[22] 다윗이 이 탑을 짓고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훔쳐봤다는 전설도 만들어졌다.[23]
638년 이슬람 제국이 예루살렘을 점령하면서 성채를 개조했다. 이 견고한 건물은 1099년 제1차 십자군 공격을 견뎌냈다.
십자군 시대에 수천 명의 순례자들이 야파 항구를 통해 예루살렘으로 순례했다. 성채는 예루살렘 왕국 궁전을 보호하는 역할도 했다.[24]
1187년 살라딘이 성채와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1239년 아이유브 왕조의 알-나시르 다우드가 십자군 주둔지를 공격, 성채를 파괴했다. 1244년 호라즘인들이 십자군을 몰아내고 도시를 파괴했다. 아이유브 왕조부터 맘루크 왕조 시대까지 성채는 여러 번 파괴되었다.[25]
1310년 맘루크 왕조의 나시르 무함마드가 성채를 재건, 현재 모습의 대부분이 이때 만들어졌다.[26]
1537년-1541년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가 성채를 증축했다. 400년간 터키군 주둔지로 사용되었다. 1635년-1655년 사이 미나레트가 있는 모스크(Mihrab el-Qal'a ed-Dawood|ar)가 성채 남서쪽 모서리 근처에 세워졌다. 19세기에 이 미나레트는 "다윗의 탑"이라는 이름을 물려받았다.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의 영국군이 예루살렘을 점령했다. 앨런비 장군은 성채 동문 밖 연단에서 예루살렘 점령을 공식 선포했다.
영국 위임통치 시대(1917~1948), 팔레스타인 고등판무관은 예루살렘 보호 협회를 설립, 도시 문화유산을 보호했다. 이 조직은 성채를 관리·수리하고, 콘서트, 자선 행사, 전시회 시설로 공개했다. 1930년대에는 팔레스타인 민속 박물관이 개관, 전통 공예품과 민족 의상을 전시했다.[27]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후 아랍 군단이 예루살렘 구시가지를 점령, 성채를 군사 시설로 되돌렸다.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에서 이스라엘 승리 후 성채는 문화 시설로 돌아왔다.
3. 1.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
기원전 150년경, 하스모네아 왕조 시대에 요세푸스가 "제1 성벽"이라고 부른 것이 건설되면서 예루살렘 옛 성벽은 서쪽 언덕으로 더욱 확장되었다.[7] 이 지역은 현대 아르메니아인 거리와 유대인 거리 그리고 시온산을 포함하는 고지대로, 북쪽을 제외한 모든 면이 가파른 계곡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3. 2. 헤로데 시대의 탑
헤로데 대왕은 하스모네아 왕조로부터 권력을 빼앗은 후 기원전 37년에서 34년 사이에 이 요새에 세 개의 거대한 탑을 추가했다. 그는 이 탑들을 서쪽 언덕의 취약한 북서쪽 모서리, 현재 성채가 위치한 곳에 건설했다. 그의 목적은 도시를 방어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온산 근처에 있는 자신의 왕궁을 보호하는 것이기도 했다. 헤로데는 그중 가장 높은 탑(높이 44m)의 이름을 그의 형 파사엘의 이름을 따서 지었는데, 그는 감금 중 자살했다. 또 다른 탑은 그의 두 번째 아내 마리아므네 1세의 이름을 따서 마리아므네라고 불렸는데, 헤로데는 그녀를 처형하고 탑 서쪽의 동굴에 묻었다. 그는 세 번째 탑의 이름을 그의 친구 중 한 명인 히피쿠스의 이름을 따서 지었다. 세 개의 탑 중 오늘날 하나의 탑 기초만 남아 있는데, 파사엘 탑이거나, 성채를 발굴한 고고학자 힐렐 게바(Hillel Geva)가 주장한 바와 같이 히피쿠스 탑이다.[8] 헤로데 시대의 석재 장석(ashlars) 16단 정도가 지면에서부터 남아 있으며, 그 위에 후대에 더 작은 돌들이 추가되어 헤로데 시대 탑의 남은 기둥 높이가 상당히 높아졌다.
제1차 유대-로마 전쟁 중 시몬 바르 기오라는 이 탑을 그의 거주지로 삼았다.[9] 기원후 70년 로마에 의한 예루살렘 함락 이후, 세 개의 탑은 로마 군단이 정복한 요새의 위력을 증명하는 기념물로 보존되었고, 그곳은 로마 군대의 병영으로 사용되었다.
3. 3. 로마, 비잔틴 시대
기원전 2세기에 예루살렘 시가지는 서쪽 언덕까지 더욱 확장되었다. 해발 773m의 고지대로, 시온산과 마찬가지로 아르메니아인과 유대인이 거주했으며, 북쪽을 제외하고는 험준한 계곡으로 둘러싸여 있었다. 이 지역에 처음 사람이 거주한 것은 플라비우스 요세푸스가 말하는 "첫 번째 성벽"이 건설된 기원전 150년경 하스몬 왕조 시대였다.[19]
헤로데 대왕(헤로데 왕)은 하스몬 왕조와 싸운 후 권력을 잡고, 기원전 37-34년에 성벽에 세 개의 대규모 탑을 증축했다. 그는 방어의 약점인 서쪽 언덕의 북서쪽 모서리에 그것들을 세웠는데, 그곳이 현재 다윗의 탑이 있는 곳이다. 또한 그것은 도시를 보호하기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시온 언덕 근처에 있던 그의 자신의 궁전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그는 44m나 되는 가장 높은 탑을, 한때 적에게 붙잡혀 자살한 형을 기리며 "파사엘"이라고 명명했다. 또 다른 탑은 헤로데가 처형하고 탑 서쪽 동굴에 매장한 두 번째 왕비의 이름을 따서 "마리아므네"라고 불렸다. 그리고 세 번째 탑은 그의 친구 중 한 명의 이름을 따서 "히피쿠스"라고 명명했다.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이 시대의 탑을 "전 세계에서 가장 장엄한 것"이라고 칭찬했다.[23] 세 개의 탑 중 현재까지 기초가 남아 있는 것은 하나뿐이며, 그것은 파사엘의 탑이거나, 또는 여기서 발굴 조사를 한 고고학자 Hillel Geva에 따르면 히피쿠스의 탑 중 하나이다.[20]
로마와의 유대 전쟁 중에 시몬 바르 코흐바는 이 탑을 그의 거처로 삼았다.[21] 기원후 70년의 예루살렘 포위 공격 후, 로마는 예루살렘을 파괴했지만, 세 개의 탑은 로마군이 정복한 요새의 견고함을 보여주는 증거로 남아 로마 병사들의 병영으로 사용되었다.
기원후 4세기에 동로마 제국이 기독교를 공인 종교로 삼자, 성채에서도 수도사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댄 바하트에 따르면, "기원후 5세기경 북동쪽 탑이 더 커지면서 '다윗의 탑'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9] 그 이름은 다윗 왕의 아들 솔로몬이 썼다고 여겨지는 아가서에 나온다.
당시에도 남아 있던 헤로데 시대의 탑, 그리고 성채 전체가 "다윗의 탑"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이 동로마 제국 시대, 이곳을 다윗 왕의 궁전이라고 믿은 기독교인들에 의한 것이며,[22] 다윗이 이 탑을 짓고 충신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의 목욕 장면을 훔쳐 본 것도 이 탑에서였다는 전설이 만들어졌다.[23]
3. 4. 초기 이슬람, 십자군, 아이유브 왕조 시대
638년 예루살렘의 아랍 정복 이후, 새로운 이슬람 지배자들은 성채를 보수했다. 이 강력한 구조물은 1099년 십자군의 공격을 견뎌냈고, 수비대가 도시 밖으로 안전하게 통과할 것을 보장받았을 때만 항복했다.
십자군 시대 동안 수천 명의 순례자들이 야파 항구를 통해 예루살렘으로 순례를 떠났다. 십자군은 순례자들을 도적의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성채를 활용했다. 성채는 또한 성채 남쪽에 바로 위치한 십자군 예루살렘 왕의 새로 세운 궁전을 보호했다.[11]
1187년, 술탄 살라딘은 성채를 포함한 도시를 함락시켰다. 1239년 카락의 아이유브 왕조의 에미르인 안나시르 다우드는 십자군 수비대를 공격하여 성채를 파괴했다. 1244년 1244년 도시 포위 공격에서 호라즘인들은 십자군을 예루살렘에서 마지막으로 패퇴시키고 추방했으며, 그 과정에서 도시 전체를 파괴했다. 맘루크는 1260년에 성채를 파괴했다.[25]
3. 5. 맘루크와 오스만 제국 시대의 성채
1310년, 맘루크 왕조의 술탄 알-나시르 무함마드 이븐 칼라운이 성채를 재건축하여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했다.[12]
1537년부터 1541년까지 오스만 제국 술탄 술레이만 1세가 성채를 확장했는데, 그의 건축가들이 대형 입구를 설계했고, 그 뒤에는 대포 진지가 있었다. 400년 동안 이 성채는 터키군의 주둔지 역할을 했다. 오스만인들은 또한 성채 남서쪽 모서리 근처에 '다윗 요새의 기도 벽감'으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모스크(Mihrab el-Qal'a ed-Dawood|ar)를 설치했고,[13] 1635년에서 1655년 사이에 미나레트를 세웠다. 19세기에는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는 눈에 띄는 미나레트를 일반적으로 "다윗의 탑"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성채 내부에는 적어도 두 개의 모스크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14]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에드먼드 앨런비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이 예루살렘을 함락시켰다. 앨런비는 성채 동쪽 외문의 플랫폼에 서서 공식적으로 이 사실을 선포했다.
3. 6. 영국과 요르단 통치 시대
영국 통치 시대(1917~1948) 동안, 팔레스타인 고등판무관은 도시의 문화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예루살렘 보호 협회를 설립했다. 이 단체는 성채를 청소하고 개조하여 지역 예술가들의 콘서트, 자선 행사, 전시회를 위한 장소로 일반에 공개했다. 1930년대에는 성채에 팔레스타인 민속 박물관이 개관하여 전통 공예품과 의복을 전시했다.[15]
1948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이후, 아랍 군단은 예루살렘을 점령하고 성채를 휴전선 너머 유대인 예루살렘을 압도적으로 내려다보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는 군사적 요충지로 되돌렸다. 성채는 1967년까지 이 역할을 유지했다.[15]
4. 다윗의 탑 박물관
예루살렘 역사 다윗의 탑 박물관은 1989년 예루살렘 재단에 의해 개관되었다. 원래 요새의 여러 방들에 위치한 이 박물관에는 2,7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고고학적 유적이 있는 안뜰이 포함되어 있다.
전시물은 가나안 도시로서의 시작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4,000년에 걸친 예루살렘의 역사를 보여준다. 지도, 비디오, 홀로그램, 그림 및 모형을 사용하여 전시실 각각은 다양한 통치자 아래 예루살렘을 묘사한다. 방문객들은 또한 성벽으로 올라갈 수 있으며, 이곳에서는 예루살렘 구시가와 신시가의 360도 전망을 감상할 수 있다.
2002년 기준으로 예루살렘 재단은 350만 명이 넘는 방문객들이 이 박물관을 방문했다고 보고했다.
5. 고고학
2010년, 예후다 라푸아노(Yehudah Rapuano)가 이스라엘 고대유물청(IAA)을 대표하여 현장 조사를 실시했다.[16]
참조
[1]
서적
The Holy Land: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from Earliest Times to 1700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4
[2]
서적
Ariel D.T. and De Groot A. eds. Excavations in the City of David Directed by Yigal Shiloh, 3. Stratigraphical, Environmental, and Other Reports (Qedem 33). Jerusalem 1992.
https://www.academia[...]
[3]
학술지
The Citadel of Jerusalem: A Case Study in the Cultural Appropriation of Archaeology in Palestine
University College London (UCL), Institute of Archaeology, Heritage Studies Section
[4]
웹사이트
Song of Songs 4:4
https://www.biblegat[...]
2024-12-07
[5]
웹사이트
مبادرة لتكنولوجيا الواقع الإفتراضي في مختبر الإبتكار الجديد في متحف برج قلعة القدس
http://ar.timesofisr[...]
2020-10-17
[6]
서적
Medieval Jerusalem and Islamic Worship: Holy Places, Ceremonies, Pilgrimage
https://books.google[...]
Brill
1995
[7]
서적
Cities Through the Looking Glass: Esays on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Biblical Urbanism
Eisenbraunds
2007
[8]
문서
The 'Tower of David' – Phasael or Hippicus?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81
[9]
서적
The Jewish War
[10]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2 Samuel 5:11, 2 Samuel 11, 2 Samuel 16:22 -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Updated Edition
https://www.biblegat[...]
2024-12-07
[11]
서적
Crusader Jerusalem (Map 11)
http://www.appuntisu[...]
2015-10-20
[12]
웹사이트
The Citadel: Position
http://www.enjoyjeru[...]
[13]
웹사이트
al-Qal'a Mosque (Masjid Mehrab e Dawud)
https://madainprojec[...]
2020-06-14
[14]
웹사이트
Tower of David Mosques
https://madainprojec[...]
2019-12-05
[15]
웹사이트
Tower of David: History of a Citadel
http://www.towerofda[...]
[16]
웹사이트
Excavators and Excavations Permit for Year 2010
http://www.antiquiti[...]
[17]
서적
Jerusalem: an archaeological biography
Random House
[18]
서적
Jewish Quarter Excavations in the Old City of Jerusalem: The finds from areas A, W and X-2 : final report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
서적
Cities Through the Looking Glass: Esays on the History and Archaeology of Biblical Urbanism
https://books.google[...]
Eisenbraunds
2007
[20]
학술지
The 'Tower of David'—Phasael or Hippicus?
Israel Exploration Society
1981
[21]
서적
유다 전쟁
[22]
서적
The Holy Land
[23]
서적
地球の歩き方 E05 イスラエル
ダイヤモンド社
[24]
서적
Crusader Jerusalem (Map 11)
2015-10-20
[25]
서적
The Holy Land: An Oxford Archaeological Guide from Earliest Times to 1700
Oxford University Press
[26]
웹사이트
http://www.enjoyjeru[...]
[27]
웹사이트
Towerofdavid.org.il
http://www.towerofda[...]
2007-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