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시 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이시 댄스는 일본 홋카이도 출신의 DJ로, 삿포로를 기반으로 활동하며 2006년 첫 정규 앨범을 발매하며 데뷔했다. 그는 2008년부터 도쿄에서도 활동 영역을 넓혔으며, 오지은과 협연하는 등 한국과도 인연을 맺었다. 다수의 정규 앨범과 커버, 리믹스, 믹스 CD를 발매했으며, 2008년 발매된 커버 앨범 《the 지브리 set》은 오리콘 차트 12위를 기록했다. 또한, 프로듀싱과 리믹스 작업에도 참여하며 음악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우스 음악가 - 미스터 스크러프
미스터 스크러프는 영국의 DJ이자 프로듀서, 일러스트레이터로서, 롭스 레코드에서 데뷔 후 닌자 튠으로 이적하여 앨범 발매와 대표곡 "Get a Move On!"의 광고 사용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감자 스타일' 일러스트레이션 제작 및 차(Tea) 사업 운영 등 다방면에서 활동한다. - 하우스 음악가 - MONDO GROSSO
MONDO GROSSO는 1991년 교토에서 결성되어 오사와 신이치가 리더를 맡았던 밴드로, 멤버 탈퇴 후 오사와의 개인 프로젝트로 전환되어 다양한 아티스트와 협업하며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일본의 디스크자키 - 츠무기 리사
츠무기 리사는 2017년 데뷔한 일본의 성우로, BanG Dream!과 D4DJ 프로젝트에 참여했으며, 2024년 솔로 데뷔했다. - 일본의 디스크자키 - 키시타니 고로
키시타니 고로는 1983년 극단에서 연기를 시작하여 드라마, 영화, 무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는 일본의 배우이자 영화 감독, 연출가이다. - 일본의 전자 음악가 - 야노 아키코
야노 아키코는 1955년 도쿄에서 태어난 일본의 싱어송라이터이자 피아니스트로, 1976년 데뷔 후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옐로 매직 오케스트라, 지브리 스튜디오 등과 협업하고 사카모토 류이치 등 유명 뮤지션과 협연하며 일본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의 전자 음악가 - 오노 요코
오노 요코는 일본계 미국인 전위 예술가, 음악가, 영화 제작자, 작가로서 플럭서스 운동 참여, 개념 미술과 퍼포먼스 아트 선구자, "컷 피스"와 『그레이프프루트』 등의 대표작, 실험 영화 제작, 존 레논과의 협업, 평화 운동가 활동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술 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인정받았다.
다이시 댄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스즈키 다이시 |
출생 | 1976년 |
출생지 | 삿포로시 기타구 |
국적 | 일본 |
활동 시기 | 2006년 ~ 현재 |
장르 | 하우스 디스코 |
직업 | 음악 프로듀서 DJ 리미키서 |
레이블 | Apt./new World Records (2006년 – 2009년) 어반 사운드 프로젝트 (2008년 – 2012년) UNIVERSAL J (2012년 – 2014년) 어반 사운드 프로젝트/스페이스 샤워 뮤직 (2013년 – ) |
관련 활동 | 콜드피트 DJ 가와사키 프리템포 Kat McDowell 나카시마 미카 스튜디오 아파트먼트 무크 빅뱅 |
인스타그램 | instagram.com/daishidance666 |
유튜브 정보 | |
채널 이름 | DAISHIDANCE |
채널 URL | DAISHIDANCE 유튜브 채널 |
활동 기간 | 2007년 - |
장르 | 음악 |
구독자 수 | 약 2.4만 명 |
조회수 | 약 914.1만 회 |
통계 업데이트 날짜 | 2023년 4월 15일 |
2. 음악 경력
일본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현재까지도 삿포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다.[4] 삿포로의 클럽 프레셔스 홀(Precious Hall)에서 레지던스 DJ로 활동하며 인지도를 높였다. 2006년 7월 인디 레이블 APT.에서 첫 정규 앨범 《the P.I.A.N.O set》을 발매하며 데뷔했고, 2007년에는 두 번째 정규 앨범 《Melodies Melodies》를 발표했다.
2008년부터는 활동 무대를 도쿄도 롯폰기의 클럽 옐로(CLUB YELLOW)로 확장했으며, Studio Apartment의 모리타 마사노리와 함께 'MUSeUM'이라는 이름의 정기 이벤트를 열기도 했다. 또한 FreeTEMPO 등 다른 아티스트들과도 많은 행사에 참여했다. 같은 해 5월부터는 도쿄 신키바의 클럽 ageHa에서 'POOL HOUSE'라는 정기 파티를 담당했으며, 이후에는 아레나에서 레귤러 파티 'the L.O.N.G. set'을 진행하고 있다.
2008년 7월 2일에는 스튜디오 지브리 영화 음악을 리믹스한 앨범 《the 지브리 set》을 발매했다. 이 앨범은 오리콘 차트 12위에 오르고 3주간 순위를 유지했으며, 인디즈 연간 차트 3위를 기록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두었다.
2011년에는 일본의 DJ 도코토 미토미와 프로젝트 그룹 리미티드 익스프레스를 결성하여 베스트 앨범 《DAISHI DANCE & MITOMI TOKOTO project. Limited Express「PARTY LINE」》을 발매했다. 2012년에는 유니버설 J를 통해 메이저 데뷔를 하였다.
다이시 댄스의 음악은 초기에 멜로디컬하고 애수적인 하우스 뮤직이 특징이었으나, 2012년경부터는 EDM 색깔이 강해졌다. DJ로서는 턴테이블 3대를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스타일을 선보인다.
2. 1. 한국과의 관계
2009년 도쿄의 클럽 ageHa에서 한국의 가수 오지은과 협연했다. 2011년에는 걸그룹 레인보우의 곡 "To Me"와 걸그룹 애프터스쿨의 곡 "샴푸"를 프로듀싱하며 한국 아이돌 그룹과의 작업을 이어갔다. 2012년에는 오렌지 캬라멜의 곡 "밀크쉐이크"를 프로듀싱했다.3. 음반 활동
다이시 댄스는 2006년 첫 정규 앨범 ''The P.I.A.N.O set'' 발표 이후 꾸준히 정규 앨범을 발매해왔다. 이 외에도 지브리 애니메이션 음악 등을 커버한 앨범, 자신의 곡이나 다른 아티스트의 곡을 리믹스한 앨범, DJ 믹스셋을 담은 믹스 CD 등 다양한 형태의 음반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또한, 나카시마 미카, 하마사키 아유미 등 일본의 유명 아티스트는 물론, 한국의 레인보우, 애프터스쿨 등 아이돌 그룹 곡 작업에도 참여하는 등 프로듀서 및 리믹서로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자세한 음반 목록은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정규 앨범
발매일 | 제목 | 규격 품번 | 수록곡 | 비고 | |
---|---|---|---|---|---|
1집 | 2006년 7월 19일 | the P.I.A.N.O. set | NWR-2013 | 오리콘 최고 123위, 등장 횟수 6회 | |
2집 | 2007년 10월 3일 | MELODIES MELODIES | NWR-2025 | 오리콘 최고 23위, 등장 횟수 20회 | |
1집(신판) | 2009년 7월 8일 | the P.I.A.N.O. set(Re-Visited Edition) | XNNW-11006 | 오리콘 최고 287위 | |
3집 | 2009년 10월 7일 | Spectacle. | XNAE-10022 | 오리콘 최고 16위, 등장 횟수 14회 | |
3집(한정판) | 2010년 2월 2일 | Spectacle."UPDATE!_special limited set" | XNAE-10030B | 오리콘 최고 173위 | |
4집 | 2012년 11월 14일 | Wonder Tourism | UPCH-1895 | 오리콘 최고 41위, 등장 횟수 5회 | |
5집 | 2013년 9월 25일 | NEW PARTY! | UPCH-1947 | 오리콘 최고 72위, 등장 횟수 4회 | |
6집 | 2014년 8월 6일 | GEKIMORI | PECF-3093 | 오리콘 최고 58위, 등장 횟수 3회 |
3. 2. 커버 앨범
- '''The Ghibli Set''' (2008년 7월 2일)
- '''The Ghibli Set 2''' (2013년 12월 18일)
3. 3. 리믹스 앨범
- 《the ジブリ set》 (2008년 7월 2일)
- 《DAISHI DANCE remix.》 (2009년 1월 21일)
- 《DAISHI DANCE remix...2》 (2010년 11월 3일)
- 《the ジブリ set 2》 (2013년 12월 18일)
3. 4. 믹스 CD
- 《MYDJBOOTH DJ MIX 1》 (2010년 4월 28일)
- 《MYDJBOOTH DJ MIX 2》 (2011년 11월 9일)
- 《MYDJBOOTH DJ MIX 3》 (2013년 3월 27일)
- 《EDM LAND》 (2014년 5월 14일)
- 《Heartbeat presents SOUND MUSEUM VISION mixed by DAISHI DANCE》 (2014년 11월 26일)
3. 5. 베스트 앨범
3. 6. 프로젝트 앨범
발매일 | 제목 |
---|---|
2009년 6월 10일 | the BEAUTIFUL set |
2009년 12월 16일 | SAX@ARENA Feat. SHINJI TAKEDA / DAISHI DANCE |
2010년 8월 4일 | DAISHI DANCE×→Pia-no-jaC←「PIANO project.」 |
2011년 6월 1일 | DAISHI DANCE & MITOMI TOKOTO project. Limited Express「PARTY LINE」 |
2011년 10월 5일 | ALL IS FINE / DAISHI DANCE✕SHINJI TAKEDA |
2012년 4월 25일 | One Life / World Sketch & DAISHI DANCE |
2012년 9월 17일 | ''Dont Leave Without Me (feat. Sarah Howells) [2012 Remix]''' / DAISHI DANCE & Mitomi Tokoto |
2012년 11월 14일 | Take Me Hands feat. Cecile Corbel |
2014년 10월 5일 | 징기스칸 댄스 ~파이터스 오리지널 버전~ / N.C.B.B✕DAISHI DANCE |
2015년 11월 13일 | The Glow feat. Matt Cab |
2017년 7월 24일 | ''I Wont Be Alone''' / SWANKY TUNES & DAISHI DANCE & TORA |
2017년 8월 9일 | #WASSHOI |
2019년 8월 19일 | Strings Of Life / DAISHI DANCE, DJ TORA, LUKE DB |
2019년 9월 9일 | SAX@ARENA feat. Shinji Takeda / DAISHI DANCE, DJ TORA |
2020년 6월 29일 | Let There Be House / DAISHI DANCE & LUKE DB |
2021년 1월 1일 | Renovation. (ReBOOT2021) feat. Yoshida Brothers & 히메가미 |
2021년 1월 3일 | BODY FUNK / DJ TORA, SHADW, DAISHI DANCE |
2021년 2월 12일 | THE NINJA feat. HIMEKAMI |
2021년 11월 19일 | KTK67 / DAISHI DANCE & 히메가미 |
2022년 1월 1일 | SOUL OF JAPAN feat. HIMEKAMI / DJTORA, DAISHI DANCE, SHADW |
2022년 8월 10일 | THIRD EYE |
2023년 3월 22일 | Life, Dream, Love feat. Oh Jieun, 히메가미 / DAISHI DANCE, DE DE MOUSE |
3. 7. 참여 작품
다이시 댄스는 자신의 앨범 작업 외에도 프로듀싱, 리믹스, 피처링 등 다양한 방식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의 음악 작업에 참여했다. 자세한 프로듀싱 및 리믹스 참여 목록은 아래 하위 섹션을 참고한다.아래는 다이시 댄스가 다른 아티스트와 협업하거나 자신의 이름으로 발표한 주요 디지털 싱글 및 협업 음반 목록이다.
발매일 | 제목 |
---|---|
2009년 6월 10일 | the BEAUTIFUL set |
2009년 12월 16일 | SAX@ARENA Feat. SHINJI TAKEDA / DAISHI DANCE |
2011년 10월 5일 | ALL IS FINE / DAISHI DANCE✕SHINJI TAKEDA |
2012년 4월 25일 | One Life / World Sketch & DAISHI DANCE |
2012년 9월 17일 | ''Dont Leave Without Me (feat. Sarah Howells) [2012 Remix]''' / DAISHI DANCE & Mitomi Tokoto |
2012년 11월 14일 | Take Me Hands feat. Cecile Corbel |
2014년 10월 5일 | 징기스칸 댄스 ~파이터스 오리지널 버전~ / N.C.B.B✕DAISHI DANCE |
2015년 11월 13일 | The Glow feat. Matt Cab |
2017년 7월 24일 | ''I Wont Be Alone''' / SWANKY TUNES & DAISHI DANCE & TORA |
2017년 8월 9일 | #WASSHOI |
2019년 8월 19일 | Strings Of Life / DAISHI DANCE, DJ TORA, LUKE DB |
2019년 9월 9일 | SAX@ARENA feat. Shinji Takeda / DAISHI DANCE, DJ TORA |
2020년 6월 29일 | Let There Be House / DAISHI DANCE & LUKE DB |
2021년 1월 1일 | Renovation. (ReBOOT2021) feat. Yoshida Brothers & 히메가미 |
2021년 1월 3일 | BODY FUNK / DJ TORA, SHADW, DAISHI DANCE |
2021년 2월 12일 | THE NINJA feat. HIMEKAMI |
2021년 11월 19일 | KTK67 / DAISHI DANCE & 히메가미 |
2022년 1월 1일 | SOUL OF JAPAN feat. HIMEKAMI / DJTORA, DAISHI DANCE, SHADW |
2022년 8월 10일 | THIRD EYE |
2023년 3월 22일 | Life, Dream, Love feat. Oh Jieun, 히메가미 / DAISHI DANCE, DE DE MOUSE |
3. 7. 1. 프로듀싱
다이시 댄스는 자신의 음악 작업 외에도 다양한 국내외 아티스트들의 곡 프로듀싱에 참여하며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본의 유명 아티스트들과의 협업이 두드러진다.또한 K팝 아티스트들과의 작업으로도 주목받았다. 2011년에는 걸그룹 레인보우의 히트곡 'To Me(내게로..)'와 애프터스쿨의 '샴푸'를 프로듀싱했으며, 2012년에는 오렌지 캬라멜의 '밀크쉐이크' 작업에 참여하며 한국 대중음악계에도 영향을 미쳤다.
다음은 다이시 댄스가 프로듀싱에 참여한 주요 곡 목록이다.
- 2008: 킨바라 치에코 – "Romance for Strings"
- 2008: Arvin Homa Aya – "Winter Love"
- 2010: 나카시마 미카 – "Memory"
- 2010: 카토 미리야 – "I Miss You"
- 2011: 레인보우 – "To Me(내게로..)"
- 2011: 애프터스쿨 – "샴푸"
- 2011: Mucc – "Arcadia"
- 2012: 노미야 마키 – "Sweet Soul Revue"
- 2012: 오렌지 캬라멜 – "밀크쉐이크"
- 2013: 카토 미리야 – "Nemurenu Yoru no Sei de"
- 2013: 카토 미리야 – "With U"
- 2014: 카토 미리야 – "Emotion"
- 2014: 하마사키 아유미 – "What is Forever Love"
- 2015: 하마사키 아유미 – "Sayonara (feat. SpeXial)"
3. 7. 2. 리믹스
- 2007: 악스웰 – "I Found You"
- 2007: Free Tempo – "Harmony"
- 2007: 마이클 그레이 – "The Weekend"
- 2007: 더블 – "Spring Love"
- 2008: 나카시마 미카 – "Sakura (하나가스미)"
- 2008: 마일리 사이러스 – "7 Things"
- 2008: 하마사키 아유미 – "Heaven"
- 2008: 킨바라 치에코 – "Romance for Strings"
- 2008: 겐키 로케츠 – "Star Surfer"
- 2008: 롤랜드 클락 presents 어반 소울 – "Life Time"
- 2009: Coldfeet – "Okay With Me"
- 2009: BWO – "Sunshine in the Rain"
- 2009: 메이 제이 – "Garden"
- 2009: JYJ – "Long Way"
- 2010: 미토미 토코토 – "That Ibiza Track"
- 2011: 마리에 디그비 – "Part Of Your World"
- 2013: 칼리 레이 젭슨 – "Call Me Maybe"
4. 차트 순위
2008년 7월 2일 발매한 앨범 "The Ghibli Set"은 스튜디오 지브리 영화 음악 12곡의 라이선스 리믹스를 수록했다. 이 앨범은 일본 오리콘 주간 앨범 차트에서 최고 12위를 기록했으며, 이 순위를 3주간 유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DAISHI DANCE MIXCD「EDM LAND」制作インタビュー
http://block.fm/news[...]
2014-06-21
[2]
웹사이트
Oricon Chart Official Website
http://www.oricon.co[...]
Oricon Inc.
2008-08-31
[3]
웹사이트
DAISHI DANCE MIXCD「EDM LAND」制作インタビュー
http://block.fm/news[...]
2014-06-21
[4]
웹사이트
DAISHI DANCE-プロフィール{{!}} 東京スタイル株式会社
https://www.tokyo-st[...]
2021-04-13
[5]
웹인용
DAISHI DANCE MIXCD「EDM LAND」制作インタビュー
http://block.fm/news[...]
2014-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