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은 패킷에 레이블을 추가하여 경로를 결정하는 기술이다. 1990년대에 개발되었으며, 초기에는 고속 스위칭을 목표로 했으나, 현재는 트래픽 관리 및 다양한 서비스 모델 지원에 주로 활용된다. MPLS는 IP 네트워크와 함께 작동하며, 트래픽 엔지니어링, 가상 사설망(VPN), 서비스 품질(QoS) 관리, 장애 복구, 멀티캐스트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MPLS는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LSR)와 레이블 엣지 라우터(LER)를 사용하여 작동하며, 레이블 배포 프로토콜(LDP) 또는 자원 예약 프로토콜(RSVP)을 통해 레이블 정보를 교환한다. MPLS는 ATM, 프레임 릴레이 등 다른 기술과 비교되며, RFC 3031, RFC 3032와 같은 표준화 문서를 통해 정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터널링 프로토콜 - IPsec
IPsec은 IP 네트워크에서 보안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토콜 스위트로서, 전송 모드와 터널 모드를 지원하며, AH, ESP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무결성, 인증, 기밀성을 제공하고, IKE 프로토콜을 통해 보안 연결을 설정 및 키를 교환하는 개방형 표준이다. - 터널링 프로토콜 - PPPoE
PPPoE는 이더넷을 통해 PPP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DSL과 같은 광대역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ISP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디스커버리 및 PPP 세션 단계를 거쳐 연결을 설정하며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인다. - 인터넷 표준 - DNSSEC
DNSSEC는 DNS의 보안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메인 정보에 디지털 서명을 추가하여 응답 레코드의 무결성을 보장하고 DNS 위장 공격을 막는 기술로, RRSIG, DNSKEY 등 다양한 리소스 레코드 유형을 사용하여 인증 체인을 구성하며 공개 키 암호 방식을 활용한다. - 인터넷 표준 - IPv6
IPv6는 IPv4 주소 고갈 문제를 해결하고자 개발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로, 128비트 주소 체계를 통해 사실상 무한대에 가까운 IP 주소를 제공하며, 주소 자동 설정, 패킷 처리 효율성 향상, 보안 기능 강화 등의 특징을 갖는다.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 |
---|---|
개요 | |
이름 |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
영어 |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약자 | MPLS |
유형 | 네트워크 프로토콜 |
기술적 세부 사항 | |
기능 | 데이터 패킷 전달 가속화 |
작동 방식 | 레이블 기반 경로 지정 |
주요 구성 요소 | 레이블 스위칭 라우터 (LSR) 레이블 배포 프로토콜 (LDP) |
프로토콜 스택 위치 | 2.5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 |
지원 프로토콜 | IP ATM 프레임 릴레이 |
응용 분야 | |
주요 사용 사례 | 가상 사설망 (VPN) 구축 서비스 품질 (QoS) 보장 트래픽 엔지니어링 |
서비스 제공업체 | 통신 사업자 및 대규모 네트워크 운영자 |
표준 및 규격 | |
관련 RFC | RFC 3031 RFC 3032 RFC 3036 |
장점 | |
성능 향상 | 라우팅 테이블 검색 감소 |
유연성 | 다양한 네트워크 토폴로지 지원 |
확장성 | 대규모 네트워크에 적합 |
단점 | |
복잡성 | 설정 및 유지 관리의 어려움 |
오버헤드 | 추가적인 레이블 처리 필요 |
관련 기술 | |
유사 기술 | ATM 프레임 릴레이 |
연관 기술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SDN)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 (NFV) |
기타 | |
개발 배경 | 기존 IP 라우팅의 한계 극복 |
현재 동향 | SDN과의 통합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활용 증가 |
2. 역사
MPLS 기술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발전하였다.
연도 | 내용 |
---|---|
1994년 | 도시바가 IETF BOF에 셀 스위치 라우터(CSR) 아이디어 제시 |
1995년 | 조지 바르게세(George Varghese)와 기리쉬 찬드란메논(Girish Chandranmenon)이 ACM SIGCOMM 연례 회의에서 레이블 스위칭 형태인 스레드 인덱스에 관한 논문 발표[4] |
1996년 | Ipsilon, 시스코(Cisco), IBM이 레이블 스위칭 계획 발표 |
1997년 |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 MPLS 워킹 그룹 결성 |
1999년 | 최초의 MPLS VPN(L3VPN) 및 TE 배포 |
2000년 |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 |
2001년 | 최초의 MPLS Request for Comments(RFC) 발행 |
2002년 | AToM(L2VPN) |
2004년 | GMPLS; 대규모 L3VPN |
2006년 | 대규모 TE "Harsh" |
2007년 | 대규모 L2VPN |
2009년 | 레이블 스위칭 멀티캐스트 |
2011년 | MPLS 전송 프로파일 |
초기에는 고속 스위치 구현을 위한 기술로 개발이 되었으나, VLSI 및 전달 알고리즘 발전으로 IP 패킷의 하드웨어 전달이 가능해지면서, 현재는 여러 서비스 모델을 지원하고 트래픽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이 MPLS의 주요 장점으로 꼽힌다.
2. 1. 초기 아이디어 및 표준화
1990년대 중반, 도시바는 셀 스위치 라우터(CSR) 아이디어를 IETF BOF에 제시했다.[4] Ipsilon Networks는 ATM에서만 작동하는 'IP 스위칭' 기술을 제안했지만, 시장을 장악하지는 못했다. 시스코 시스템즈(Cisco Systems)는 ATM 전송에 국한되지 않는 '태그 스위칭'과 태그 분배 프로토콜(TDP)을 도입했다.[5][6] 이는 시스코의 독점 기술이었으나 '레이블 스위칭'으로 이름을 바꾸고 공개 표준화를 위해 인터넷 엔지니어링 태스크 포스(IETF)에 넘겨졌다. IETF는 1997년에 MPLS 워킹 그룹을 결성하여 표준화 작업을 시작했다.[7] 이 작업에는 여러 벤더들의 제안이 포함되었고, 이들의 기능을 결합한 컨센서스 프로토콜 개발이 진행되었다.[7]이후, 조지 바르게세(George Varghese)와 기리쉬 찬드란메논(Girish Chandranmenon)이 ACM SIGCOMM 연례 회의에서 발표한 스레드 인덱스에 관한 연구가 레이블 스위칭의 핵심 아이디어인 목적지 접두사를 나타내기 위해 레이블을 사용하는 방법을 발명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8]
2001년, 최초의 MPLS Request for Comments(RFC)가 발행되었다.
2. 2. 기술 발전 및 응용
1999년, 최초의 MPLS VPN (L3VPN) 및 트래픽 엔지니어링(TE)이 배포되었다.[7] 2000년대 초반에는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7] 및 AToM (L2VPN)[7] 기술이 발전하였다. 2004년에는 GMPLS가 등장하여 광 네트워크 제어 기능이 확장되었고, 대규모 L3VPN 기술도 발전하였다.[7] 2000년대 후반에는 대규모 네트워크를 위한 기술 발전이 이루어졌다.[7] 2011년, MPLS 전송 프로파일 (MPLS-TP)가 발표되어 전송망에서의 활용이 확대되었다.[7]MPLS는 여러 서비스 모델을 지원하고 트래픽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7] 동기식 광 네트워크(SONET/SDH)의 단순한 보호 링을 넘어선 강력한 복구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7]
MPLS는 OSI 7 계층 구조의 제2 계층 (L2; Layer 2) 데이터 링크 계층과, 제3 계층 (L3; Layer 3) 네트워크 계층의 중간에 위치하여 "레이어 2.5"라고 불리기도 한다. MPLS를 전송하는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는 이더넷, 비동기 전송 모드(ATM), POS (Packet over SDH/SONET) 등이 있다. 이 중, ATM은 가상 회선 식별자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MPLS에서의 레이블의 원형에 해당한다.
MPLS상에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포맷(클라이언트 프로토콜)으로는, IP 패킷, 이더넷, PPP 등이 있다. 이더넷, PPP 등의 다종의 레이어 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법은, Any Transport over MPLS (AToM)이라고도 불린다.
EoMPLS (Ethernet over MPLS)에 의해, 광역에서 이더넷 네트워크를 구성 가능하기 때문에, 광역 이더넷 서비스의 백본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MPLS상에 인터넷 익스체인지(IX)를 실현하는 서비스도 실용화되어 있다.
3. 동작 원리
MPLS는 OSI 모델의 계층 2(데이터 링크 계층)와 계층 3(네트워크 계층) 사이에 위치하여 "2.5 계층" 프로토콜이라고도 불린다. 통신 회선 기반 클라이언트와 데이터그램 서비스 모델을 제공하는 패킷 교환 클라이언트 모두에 대한 통합 데이터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IP 패킷, 비동기 전송 모드(ATM), 프레임 릴레이, 동기식 광 네트워크(SONET) 또는 이더넷 등 다양한 트래픽을 전송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2]
MPLS는 ATM의 강점과 약점을 고려하여 발전했으며, ATM보다 오버헤드를 줄이면서 가변 길이 프레임에 대한 연결 지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최신 광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해 ATM 셀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MPLS는 트래픽 엔지니어링(TE) 및 대역 외 제어를 보존하면서 ATM의 셀 스위칭 및 신호 프로토콜 부속물을 제거했다.[3]
MPLS 전송에는 이더넷, 비동기 전송 모드(ATM), POS (Packet over SDH/SONET) 등의 데이터 링크 계층이 사용된다. ATM은 가상 회선 식별자를 사용하는데, 이는 MPLS 레이블의 원형에 해당한다. MPLS상에는 IP 패킷, 이더넷, PPP 등(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이 전송된다. 이더넷, PPP 등의 다종 레이어 2 네트워크 구성 방법은 AToM(Any Transport over MPLS)이라고도 불린다.
MPLS 지원 통신 장치는 '''LSR''' (Label Switch Router,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이라고 불린다. MPLS 망 에지에 위치하는 장치는 '''LER''' (Label Edge Router, 레이블 에지 라우터)라고 부르며 구분하기도 한다.
MPLS에서는 라우팅과 포워딩이 구분되며, 라우팅에는 기존 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레이블 계층을 다층화하여 LSP를 다층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MPLS 개발 초기에는 IP 주소 기반 검색보다 MPLS 레이블 검색이 빠를 것이라는 계산이 있었지만, TCAM(삼치 연관 메모리) 이용으로 IP 주소 검색도 고정 시간 처리가 가능해져 고속 전송이라는 우위성은 없어졌다. 그러나 MPLS는 부가 기능에서 이점을 가진다.
3. 1. 레이블 스위칭
MPLS 네트워크에서 레이블은 데이터 패킷에 할당된다. 패킷 전달 결정은 패킷 자체를 검사할 필요 없이 이 레이블의 내용만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모든 유형의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모든 프로토콜을 통해 종단 간 회선을 만들 수 있다. 주요 이점은 특정 OSI 모델 데이터 링크 계층 (계층 2) 기술에 대한 종속성을 제거하고, 서로 다른 유형의 트래픽을 충족하기 위해 여러 계층 2 네트워크가 필요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2]MPLS는 하나 이상의 레이블을 포함하는 MPLS 헤더를 패킷 앞에 붙여서 작동한다. 이를 레이블 스택이라고 한다. 레이블 스택 내의 각 엔트리는 다음의 4개의 필드를 포함한다.[9]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레이블 | TC: 트래픽 클래스 (QoS와 ECN) | S: 바텀 오브 스택(Bottom-of-Stack) | TTL: Time-to-Live |
- 20비트 레이블 값. 값이 1인 레이블은 라우터 알림 레이블을 나타낸다.
- QoS 우선 순위 및 ECN(명시적 폭주 통지)를 위한 3비트 트래픽 클래스 필드.
- 1비트 바텀 오브 스택(bottom of stack) 플래그. 이 플래그가 설정되면 현재 레이블이 스택의 마지막 레이블임을 나타낸다.
- 8비트 TTL(Time to live) 필드.
이러한 MPLS 레이블이 지정된 패킷은 IP 라우팅 테이블에서 조회하는 대신 레이블을 기반으로 스위칭된다.
레이블이 지정된 패킷이 MPLS 라우터에 의해 수신되면 최상위 레이블이 검사된다. 레이블의 내용에 따라 패킷의 레이블 스택에 ''스왑'', ''푸시'' 또는 ''팝'' 연산이 수행된다.
- ''스왑'' 연산에서 레이블은 새 레이블로 교체되고 패킷은 새 레이블과 관련된 경로를 따라 전달된다.
- ''푸시'' 연산에서는 새 레이블이 기존 레이블 위에 푸시되어 패킷을 다른 MPLS 계층에 효과적으로 ''캡슐화''한다. 이는 MPLS 패킷의 계층적 라우팅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MPLS VPN에서 사용된다.
- ''팝'' 연산에서는 패킷에서 레이블이 제거되어 아래의 내부 레이블이 나타날 수 있다. 이 프로세스를 ''디캡슐레이션''이라고 한다. 팝된 레이블이 레이블 스택의 마지막 레이블인 경우 패킷은 MPLS 터널을 ''벗어난다''. 이는 출구 라우터 또는 마지막 홉에서 수행될 수 있다.
MPLS에서는, Label Switched Path('''LSP''')라고 불리는 경로를 구성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LSP는 한쪽 방향만의 경로이며,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LSP가 2개 필요하다.
포워딩은 라벨 교환 (Label Swapping)을 수반하는 전송이 된다. Label Swapping에서는,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도착한 패킷의 라벨을 다른 라벨로 교체(Swap)하고 출력 인터페이스로 송출한다. 이때 입력 인터페이스/입력 라벨의 쌍과 출력 인터페이스/출력 라벨의 쌍의 대응표는 라벨 테이블 (Label Table)이라고 불리며, LDP (Label Distribution Protocol), 라벨 배포 프로토콜나 RSVP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자원 예약 프로토콜 등의 라벨 배포 프로토콜에 의해 각 LSR에 배포된다.
3. 2. 레이블 스택
MPLS는 하나 이상의 레이블을 포함하는 MPLS 헤더를 패킷 앞에 붙여서 작동한다. 이를 레이블 스택이라고 한다. 레이블 스택 내의 각 엔트리는 다음 네 개의 필드를 포함한다.- 20비트 레이블 값.
- QoS 우선 순위 및 ECN(명시적 폭주 통지)를 위한 3비트 트래픽 클래스 필드.
- 1비트 스택 하단(bottom of stack) 플래그.
- 8비트 TTL(Time to live) 필드.
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레이블 | TC (트래픽 클래스) | S (스택 하단) | TTL (Time-to-Live) |
; 레이블(Label)
: 값이 1인 레이블은 라우터 알림 레이블을 나타낸다.
; 트래픽 클래스(Traffic Class, TC)
: QoS (서비스 품질) 우선 순위 및 ECN (명시적 혼잡 알림) 필드이다. 2009년 이전에는 이 필드를 EXP라고 불렀다.[9]
; 스택 하단(Bottom of Stack, S)
: 이 플래그가 설정되면 현재 레이블이 스택의 마지막 레이블임을 나타낸다.
; 생존 시간(Time to Live, TTL)
: 생존 시간.
3. 3. 레이블 배포 프로토콜
레이블 배포 프로토콜(LDP) 또는 자원 예약 프로토콜(RSVP)을 사용하여 LER과 LSR 간에 레이블을 배포한다. MPLS 네트워크의 LSR은 표준화된 절차를 사용하여 서로 레이블 및 도달 가능성 정보를 정기적으로 교환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전체 그림을 구축한 다음 해당 정보를 사용하여 패킷을 전달한다.MPLS 경로 관리를 위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에는 레이블 배포 프로토콜(LDP)과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한 자원 예약 프로토콜(RSVP)의 확장인 RSVP-TE가 있다. MPLS 경로 관리에 사용 가능한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BGP)의 확장도 존재한다.
라우팅 정보 전달 후, LDP (Label Distribution Protocol), 라벨 배포 프로토콜이나 RSVP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자원 예약 프로토콜 등의 라벨 배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라벨 정보를 배포한다. RSVP는 원래 QoS용 리소스 예약 프로토콜이지만, 확장을 통해 MPLS의 라벨 배포에 사용된다. LDP는 프리픽스 기반의 라벨 배포이며, IGP로 얻어진 라우팅 테이블과 라벨 테이블을 일치시킨다. RSVP는 터널 기반의 라벨 배포이며, IGP로 얻어진 네트워크 토폴로지 위에 LSP에 의한 터널을 구성한다.
라벨 배포 전에는, I-BGP (BGP (Border Gateway Protocol), 경계 게이트웨이 프로토콜),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최단 경로 우선, IS-IS (Intermediate System to Intermediate System),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 등의 IGP에 의해 MPLS 도메인 내 라우팅 테이블이 모든 노드에서 일관성을 유지해야 한다. 도메인 내 라우팅을 OSPF로 수행하고, 타 AS (자율 시스템) 등 외부 도메인 정보를 I-BGP로 보더 라우터 간에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3. 4. LSP (Label-Switched Path)
레이블 스위치 경로(LSP)는 NMS 또는 LDP, RSVP-TE, BGP와 같은 신호 프로토콜에 의해 설정된 MPLS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경로이다.[12] 경로는 포워딩 등가 클래스(FEC)의 기준에 따라 설정된다. LSP는 여러 면에서 영구 가상 회선(PVC)과 다르지 않지만, 특정 레이어-2 기술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점이 다르다.LSP는 패킷에 어떤 레이블을 붙일지 결정하는 입구 라우터에서 시작된다. 패킷의 외부 레이블은 다른 레이블로 교환되고 다음 라우터로 전달된다. 경로의 마지막 라우터인 출구 라우터는 패킷에서 레이블을 제거하고 다음 계층(예: IPv4)의 헤더를 기반으로 패킷을 전달한다. LSP를 통한 패킷 전달은 상위 네트워크 계층에 대해 불투명하므로 LSP는 MPLS 터널이라고도 한다. 그 사이의 라우터를 전송 라우터 또는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LSR)라고 하며, 이들은 레이블만 교환하면 된다.
LSP는 단방향이다. 즉, 패킷이 MPLS 네트워크를 통해 한 종점에서 다른 종점으로 레이블 스위칭될 수 있다. 양방향 통신이 필요한 경우, 반대 방향으로 별도의 LSP를 설정해야 한다.
링크 보호를 고려할 때 LSP는 기본(작동), 보조(백업), 3차(최후의 수단 LSP)로 분류할 수 있다.
MPLS에서는, Label Switched Path (LSP)라고 불리는 경로를 구성하여 통신을 수행한다. LSP는 한쪽 방향만의 경로이며, 양방향 통신을 위해서는 LSP가 2개 필요하다.
3. 5. 라우터의 종류
MPLS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LSR''' (Label Switch Router,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이라고 불린다. MPLS 망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장치는 '''LER''' (Label Edge Router, 레이블 에지 라우터)라고 부르며 구분하기도 한다.[10]- '''레이블 스위치 라우터''' ('''LSR''', Label Switch Router) 또는 '''전송 라우터''': MPLS 네트워크 중간에 위치하며 레이블만을 기반으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LSR은 패킷을 수신하면 패킷 헤더에 포함된 레이블을 다음 홉과 레이블 정보 베이스에서 해당 패킷에 대한 레이블을 결정하는 인덱스로 사용한다. 패킷이 전달되기 전에 이전 레이블은 헤더에서 제거되고 새 레이블로 대체된다.
- '''레이블 에지 라우터''' ('''LER''', Label Edge Router): MPLS 네트워크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네트워크의 출입 지점 역할을 한다. LER은 들어오는 패킷에 MPLS 레이블을 추가하고 나가는 패킷에서 레이블을 제거한다. IP 데이터그램을 MPLS 도메인으로 전달할 때 LER은 라우팅 정보를 사용하여 부착할 적절한 레이블을 결정하고, 패킷에 레이블을 지정한 다음 레이블이 지정된 패킷을 MPLS 도메인으로 전달한다. MPLS 도메인을 종료할 예정인 레이블이 지정된 패킷을 수신하면 LER은 레이블을 제거하고 일반 IP 전달 규칙을 사용하여 결과 IP 패킷을 전달한다.
4. 기능 및 응용
MPLS는 레이블 스위치 경로(LSP)를 구성하여 통신하며, OSI 7 계층 구조에서 "레이어 2.5"라고 불린다. 이더넷, 비동기 전송 모드(ATM), POS 등 다양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IP 패킷, 이더넷, PPP 등 다양한 클라이언트 프로토콜을 전송할 수 있다. 특히, AToM(Any Transport over MPLS)을 통해 다양한 레이어 2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18]
EoMPLS(Ethernet over MPLS)를 이용하여 광역 이더넷 서비스를 구축하거나, MPLS 상에 인터넷 익스체인지(IX)를 실현하는 서비스도 가능하다. MPLS는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제공한다.[18]
- 트래픽 엔지니어링 (TE): LSP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하여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 가상 사설망 (VPN): MPLS 네트워크 위에 서로 통신이 불가능한 여러 IP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고 IP 주소 충돌을 방지한다.
- 서비스 품질 (QoS): LSP 단위로 대역폭 확보, 대역 제한, 우선순위 제어 등 다양한 QoS 제어를 수행한다.
- 장애 복구 (Fast Reroute): FRR 기능을 통해 50ms 이하의 빠른 장애 복구를 지원하여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 멀티캐스트: P-MP(Point-to-Multi-Point) LSP를 구성하여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4. 1. 트래픽 엔지니어링 (TE)
MPLS는 LSP(Label Switched Path, 레이블 스위치 경로)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여 트래픽을 분산하고 네트워크 자원 효율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기존 순수 IP 네트워크에서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가 혼잡하더라도 해당 경로를 선택했지만,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TE)을 사용하면 통과하는 링크의 RSVP 대역폭과 같은 제약 조건을 고려하여 가용 대역폭을 가진 최단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18]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은 최단 경로 우선 개방형(OSPF) 또는 중간 시스템-중간 시스템(IS-IS) 및 RSVP에 대한 TE 확장을 사용한다. 사용자는 링크 속성을 지정하고 특정 속성의 링크를 통해 터널을 라우팅하거나 라우팅하지 않도록 하는 특별한 요구 사항을 지정하여 자체 제약 조건을 정의할 수도 있다.[18]
MPLS-TE는 OSPF-TE, RSVP-TE, CR-LDP와 같이 OSPF, RSVP, LDP에 확장을 적용하여 제어 대상 네트워크(일반 데이터가 통과하는 네트워크)와는 별도의 회선으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통해 네트워크 혼잡이나 회선 이상이 네트워크 제어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네트워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4. 2. 가상 사설망 (VPN)
MPLS는 IP 네트워크의 도달성(Reachablity)을 완전히 제어할 수 있어, 하나의 MPLS 네트워크 위에 서로 통신이 불가능한 여러 개의 IP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다. 이 IP 네트워크들은 통신이 혼합되지 않아 높은 기밀성을 유지하며, 각 네트워크마다 IP 주소 공간이 독립적이므로 IP 주소 충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특성으로 IP-VPN이 구현된다.[18]MPLS 위에 이더넷망을 구축하는 VPLS(후술)나, 앞으로 등장할 수 있는 새로운 패킷망에서도 MPLS 레벨에서 도달성을 제어할 수 있다.
4. 3. 서비스 품질 (QoS)
MPLS영어 노드에서 LSP영어 단위로 대역폭 확보, 대역 제한, 우선순위 제어 등 다양한 QoS 제어를 수행한다.[12]4. 4. 장애 복구 (Fast Reroute)
MPLS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LSR(Label Switch Router, 라벨 스위치 라우터)라고 불리며, MPLS 망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장치는 LER(Label Edge Router, 라벨 엣지 라우터)라고 부르기도 한다.[19][21][22] FRR(Fast Reroute, 고속 우회) 기능을 통해 MPLS 네트워크에서 50ms 이하의 빠른 장애 복구를 지원한다.[19][21][22] 이는 IP망에서 복구 메커니즘이 사용될 때 복구에 몇 초가 걸리는 것과 비교하면 실시간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19][20][21]RFC4427 "Recovery (Protection and Restoration) Terminology form GMPLS"에 따르면, 장애 복구(Recovery)에는 사전에 예비 네트워크 자원을 확보해 두는 방식인 Protection과 사전 자원 확보를 하지 않는 방식인 Restoration이 있다. FRR에 의한 장애 복구는 Protection에 해당한다.
FRR에서는 보호 대상인 Primary LSP의 경로상에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지점(노드, 링크)을 우회하는 Protection용 LSP(Detour LSP)를 설정한다. 이때 Primary LSP에서 Detour LSP로 분기하는 노드를 PLR(Point of Local Repair, 로컬 복구 지점), Detour LSP가 Primary LSP로 다시 합류하는 노드를 MP(Merge Point, 병합 지점)라고 한다. MP에서는 Primary LSP용 라벨과 Detour LSP용 라벨을 모두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한다.
PLR-MP 간에 장애가 발생하면, PLR에서 송신 인터페이스와 송신 라벨을 Primary LSP용에서 Detour LSP용으로 전환하여 장애 복구를 수행한다. 장애 감지는 POS의 경우 SDH/SONET 알람, 이더넷의 경우 링크 다운 알람, 또는 RSVP Hello를 통해 이루어진다.
10GbE WAN-PHY의 경우 이더넷이지만, SDH/SONET의 10Gbps 신호(STM-64/OC-192)에 매핑되므로 SDH/SONET 기능을 통해 장애 감지가 가능하다. 광의 GbE(1000Base-SX/LX)에서도 8B10B 부호화의 부산물인 대역 외 신호를 이용하여 고속 링크 다운 검출을 할 수 있다.
MPLS가 아닌 IP망에도 이와 동등한 기능을 구현하려는 움직임(IP-FRR)이 있다.
4. 5. 멀티캐스트
P-MP(Point-to-Multi-Point) LSP를 구성하면 멀티캐스트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18]MPLS 설계에서 멀티캐스트는 이전에는 부차적인 고려 사항이었으나, Point-to-Multi-Point RSVP-TE의 도입으로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이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MPLS를 통해 광대역 비디오를 전송하려는 요구에 따른 것이었다.
IETF에 의해 허브 앤 스포크 멀티포인트 LSP (HSMP LSP) 또한 도입되었으며, 주로 멀티캐스트, 시간 동기화 등에 사용된다.
P-MP LSP를 사용하면 다양한 트래픽 엔지니어링 기능을 활용할 수 있고, 멀티캐스트 경로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향후 IP 멀티캐스트 보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5. GMPLS (Generalized MPLS)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은 원래 IP 네트워크에서 고성능 트래픽 전달 및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위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는 일반화된 MPLS(GMPLS)로 발전하여 SONET/SDH 네트워크 및 파장 스위치 광 네트워크와 같은 비 IP 네트워크에서도 LSP 생성을 허용하게 되었다.
MPLS에서는 각 데이터그램 내에 레이블 스택이라는 명시적인 레이블 식별자를 기재한다. 라우팅이나 레이블 배포 등의 아키텍처는 SDH/SONET에서의 타임 슬롯 위치나, WDM 통신에서의 빛의 파장과 같은 "암묵적인 레이블"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생각 하에 GMPLS로 확장되었다. GMPLS는 MPLS를 내포하는 개념이다.
5. 1. GMPLS의 확장
GMPLS는 SDH/SONET에서의 타임 슬롯 위치나 WDM 통신에서의 빛의 파장과 같은 "암묵적인 레이블"에도 적용될 수 있다. 초기에는 광 크로스 커넥트 (OXC, PXC) 제어가 주요 대상이었으나, 현재는 GFP/VCAT]/LCAS]와 같은 차세대 SDH/SONET 기능을 탑재하고, IP (POS), 이더넷, 파이버 채널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유연하게 수용, 전송, 경로 제어하는 장치군(MSxP)이 GMPLS의 주요 담당자가 되고 있다.MSxP는 Multi Service Switching Platform, Multi Service Transport Platform,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의 약칭이며, 그 기능의 차이에 따라 구분된다. MSTP 중에는 ROADM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나 PXC의 기능을 통합한 것도 있다.
5. 2. T-MPLS (Transport-MPLS)
GMPLS에 의해 확장된 SDH/SONET 등의 전송 노드(Transport Node)에 대한 제어성을, 전송망(Transport Network) 내에 한정하여 이용한다는 개념이 있으며, 이것은 T-MPLS(Transport-MPLS)라고 불린다. T-MPLS는 기존의 MPLS 망과의 연계는 고려하지 않고, 전송망 관리에만 GMPLS 아키텍처를 이용한다.6. IP와의 관계 및 비교
MPLS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을 포함하여 인터넷 프로토콜(IP) 및 라우팅 프로토콜과 함께 작동한다. MPLS LSP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지원하고, 주소 공간이 겹치는 계층 3(IP) 가상 사설망(VPN)을 전송하며, 가상 회선 에뮬레이션 에지 투 에지(PWE3)를 사용하여 다양한 전송 페이로드(IPv4, IPv6, ATM, 프레임 릴레이 등)를 전송할 수 있는 계층 2 가상 회선을 지원하는 동적이고 투명한 가상 네트워크를 제공한다.[18]
MPLS는 적절한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IPv4 및 IPv6 환경 모두에서 존재할 수 있다. MPLS상에 전송되는 통신 프로토콜/포맷(클라이언트 프로토콜)으로는 IP 패킷, 이더넷, PPP 등이 있다. 이더넷, PPP 등의 다종의 레이어 2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법은 Any Transport over MPLS (AToM)이라고도 불린다.
EoMPLS (Ethernet over MPLS)에 의해 광역에서 이더넷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광역 이더넷 서비스의 백본으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MPLS상에 인터넷 익스체인지(IX)를 실현하는 서비스도 실용화되어 있다.
MPLS를 지원하는 통신 장치는 '''LSR''' (Label Switch Router, 라벨 스위치 라우터)라고 불리며, MPLS망의 에지에 위치하는 장치는 '''LER''' (Label Edge Router, 라벨 엣지 라우터)라고 부르며 구분하기도 한다.
라벨 배포 전에는 I-BGP (BGP), OSPF, IS-IS, RIP 등의 IGP에 의해 MPLS 도메인 내의 라우팅 테이블이 모든 노드에서 일관성이 유지되고 있음을 전제로 한다. 도메인 내의 라우팅을 OSPF로 수행하고, 타 AS (자율 시스템) 등의 외부 도메인의 정보를 I-BGP에 의해 보더 라우터 간에 주고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6. 1. IP 라우팅과의 비교
MPLS는 순수 IP 네트워크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다른 특징을 가진다. 순수 IP 네트워크에서는 목적지까지의 최단 경로가 선택되지만, MPLS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사용하면 대역폭 등의 제약 조건을 고려하여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18]MPLS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라우팅 속도를 높이는 것이었다.[25] 그러나 ASIC, TCAM, CAM 기반 스위칭과 같은 새로운 스위칭 방법의 등장으로 일반 IPv4 패킷도 MPLS 레이블 패킷만큼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되었다.[26][27] 따라서 현재 MPLS의 주요 이점[28]은 제한된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IPv4 네트워크를 통한 레이어 3 또는 레이어 2 서비스 제공업체 유형의 VPN을 구현하는 것이다.[29]
MPLS에서는 라우팅과 포워딩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라우팅은 기존의 IP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던 IGP을 사용한다. 포워딩은 라벨 스왑(Label Swapping)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입력 인터페이스에 도착한 패킷의 라벨을 다른 라벨로 교체(Swap)하고 출력 인터페이스로 송출한다. 입력 인터페이스/입력 라벨과 출력 인터페이스/출력 라벨의 대응표는 라벨 테이블(Label Table)이라고 불리며, LDP나 RSVP 등의 라벨 배포 프로토콜에 의해 각 LSR에 배포된다.
MPLS 개발 초기에는 IP 주소 기반의 최장 일치(longest match) 검색보다 완전 일치로 충분한 MPLS 라벨 검색이 더 빠를 것이라고 예상되었다. 그러나 TCAM (Ternary Content Addressable Memory, 삼중 내용 주소화 기억 장치)의 등장으로 IP 주소 최장 일치도 고정 시간으로 처리 가능해지면서, 고속 전송이라는 우위성은 사라졌다.
6. 2. MPLS와 IP의 공존
MPLS는 IPv4 및 IPv6 환경 모두에서 존재할 수 있으며, 적절한 라우팅 프로토콜과 함께 사용된다.[25] MPLS 개발 초기에는 라우팅 속도를 높이는 것이 주요 목표였으나,[25] ASIC, TCAM, CAM 기반 스위칭과 같은 새로운 스위칭 방법이 등장하면서 현재는 일반 IPv4를 MPLS 레이블 패킷만큼 빠르게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이 목표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26][27]오늘날 MPLS의 주요 이점[28]은 트래픽 엔지니어링과 IPv4 네트워크를 통한 레이어 3 또는 레이어 2 VPN(가상 사설망) 서비스 제공이다.[29] MPLS는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IGP)을 포함한 인터넷 프로토콜(IP) 및 라우팅 프로토콜과 함께 작동한다. MPLS LSP는 트래픽 엔지니어링을 지원하고, 주소 공간이 겹치는 계층 3(IP) 가상 사설망(VPN)을 전송하며, 가상 회선 에뮬레이션 에지 투 에지(PWE3)를 사용하여 다양한 전송 페이로드(IPv4, IPv6, ATM, 프레임 릴레이 등)를 전송할 수 있는 계층 2 가상 회선을 지원하는 동적이고 투명한 가상 네트워크를 제공한다.[18]
7. 다른 기술과의 비교
프레임 릴레이는 통신 회사가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적게 제공하여 기존 물리적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이는 고객이 데이터 서비스를 전부 활용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통신 회사의 이러한 용량 과다 가입은 재정적으로 유리하지만, 전체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23]
비동기 전송 모드(ATM)와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은 모두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지향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두 기술은 전송 및 캡슐화 방식, 연결의 특성, IP 지원 여부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2]
MPLS는 가변 길이 패킷을 사용하는 반면, ATM은 고정 길이(53바이트) 셀을 사용한다. MPLS는 각 패킷의 헤더에 레이블을 추가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한다.[3]
MPLS 연결(LSP)은 단방향인 반면 ATM 가상 회선은 양방향이다.[24] MPLS는 레이블 스태킹을 통해 터널 내 터널을 만들 수 있지만, ATM은 단일 레벨 터널링만 지원한다.
MPLS는 IP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어 최신 라우터에서 MPLS와 IP를 모두 지원하므로 네트워크 운영에 유연성을 제공한다. 반면 ATM은 IP와 호환되지 않아 오늘날의 IP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3]
7. 1.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프레임 릴레이는 통신 회사가 고객에게 데이터 서비스를 과소 제공하여 기존 물리적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는 고객이 데이터 서비스를 100% 활용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통신 회사의 용량 과다 가입은 제공자에게는 재정적으로 유리하지만, 전체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23]통신 회사들은 종종 전용 회선의 더 저렴한 대안을 찾던 기업들에게 프레임 릴레이를 판매했다. 다양한 지역에서 프레임 릴레이의 사용은 정부 및 통신 회사의 정책에 크게 의존했다.[23]
많은 고객들이 프레임 릴레이에서 MPLS over IP 또는 이더넷으로 마이그레이션하여, 광역 네트워크의 비용 절감, 관리 용이성 및 성능 향상을 꾀했다.[23]
7. 2. ATM (Asynchronous Transfer Mode)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MPLS)과 비동기 전송 모드(ATM)은 모두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연결 지향 서비스를 제공한다. 두 기술 모두 종단점 간에 연결이 신호 처리되고, 경로의 각 노드에서 연결 상태가 유지되며, 캡슐화 기술을 사용하여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신호 프로토콜(MPLS의 RSVP/LDP 및 ATM의 PNNI)의 차이를 제외하고도 기술의 동작에는 여전히 상당한 차이가 있다.[2]가장 큰 차이점은 전송 및 캡슐화 방식에 있다. MPLS는 가변 길이 패킷으로 작동할 수 있지만 ATM은 고정 길이(53바이트) 셀을 사용한다. 패킷은 어댑테이션 계층을 사용하여 ATM 네트워크에서 분할, 전송 및 재조립되어야 하며, 이는 데이터 스트림에 상당한 복잡성과 오버헤드를 추가한다. 반면에 MPLS는 각 패킷의 헤더에 레이블을 추가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한다.[3]
연결의 특성에도 차이가 있다. MPLS 연결(LSP)은 단방향으로, 두 종단점 간에 데이터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한다. 종단점 간에 양방향 통신을 설정하려면 한 쌍의 LSP를 설정해야 한다. 두 개의 LSP가 사용되므로 순방향으로 흐르는 데이터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데이터와 다른 경로를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ATM 지점 간 연결(가상 회선)은 양방향으로, 동일한 경로를 통해 양방향으로 데이터가 흐르도록 허용한다.[24]
ATM과 MPLS는 모두 연결 내의 터널링을 지원한다. MPLS는 이를 위해 레이블 스태킹을 사용하고 ATM은 ''가상 경로''를 사용한다. MPLS는 여러 레이블을 스택하여 터널 내의 터널을 형성할 수 있다. ATM 가상 경로 식별자(VPI) 및 가상 회선 식별자(VCI)는 모두 셀 헤더에 함께 전달되므로 ATM은 단일 레벨의 터널링으로 제한된다.
MPLS가 ATM보다 갖는 가장 큰 장점은 처음부터 IP를 보완하도록 설계되었다는 것이다. 최신 라우터는 공통 인터페이스를 통해 MPLS와 IP를 기본적으로 모두 지원하여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네트워크 설계 및 운영에 있어 큰 유연성을 제공한다. ATM은 IP와의 비호환성으로 인해 복잡한 어댑테이션이 필요하므로 오늘날의 주로 IP 네트워크에 상대적으로 적합하지 않다.[3]
8. 관련 표준화 문서
MPLS와 관련된 주요 표준화 문서는 다음과 같다.
- RFC 3031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아키텍처): MPLS의 아키텍처를 설명하고 있다. NHLFE(다음 홉 레이블 전달 항목), ILM(수신 레이블 맵), FEC(전달 등가 클래스) 등 MPLS를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에 대한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 RFC 3032 (MPLS 레이블 스택 인코딩): 레이블 스택의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
8. 1. RFC 3031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아키텍처)은 MPLS의 아키텍처를 설명하는 문서이다. 이 문서에서는 NHLFE(다음 홉 레이블 전달 항목), ILM(수신 레이블 맵), FEC(전달 등가 클래스) 등 MPLS를 구성하는 중요한 개념들을 정의하고 있다.8. 2. RFC 3032
(MPLS 레이블 스택 인코딩)에서는 레이블 스택의 구조를 정의하고 있다.[3] MPLS 레이블 스택의 각 항목은 다음과 같은 네 개의 필드로 구성된다.00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레이블 | TC (트래픽 클래스) | S (스택 하단) | TTL (생존 시간) |
- 레이블: 20비트의 레이블 값을 포함한다. 값이 1인 레이블은 라우터 알림 레이블을 나타낸다.
- TC (트래픽 클래스): 3비트로, QoS 우선 순위 및 ECN 필드이다. 2009년 이전에는 EXP라고 불렸다.[9]
- S (스택 하단): 1비트로, 현재 레이블이 스택의 마지막 레이블임을 나타낸다.
- TTL (Time to Live): 8비트로, 생존 시간을 나타낸다.
이러한 MPLS 레이블이 지정된 패킷은 IP 라우팅 테이블에서 조회하는 대신 레이블을 기반으로 스위칭된다.
참조
[1]
웹사이트
What is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https://searchnetwor[...]
[2]
서적
MPLS Fundamentals
Cisco Press
2007
[3]
서적
Applied Data Communications (A Business-Oriented Approach)
Wiley
2004-01-12
[4]
간행물
Trading Packet Headers for Packet Processing
1995-10
[5]
학술지
Tag switching architecture overview
[6]
웹사이트
IETF - Tag Distribution Protocol (draft-doolan-tdp-spec-00)
https://tools.ietf.o[...]
1996-09
[7]
웹사이트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WG History
https://datatracker.[...]
[8]
서적
Computer Networks: A Systems Approach
https://book.systems[...]
2022
[9]
간행물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MPLS) Label Stack Entry: "EXP" Field Renamed to "Traffic Class" Field
https://tools.ietf.o[...]
IETF
2009-02
[10]
간행물
MPLS and VPN Architectures, Volume 1
Cisco Press
2002
[11]
웹사이트
Savecall - MPLS
http://www.savecall.[...]
Savecall telecommunication consulting company Germany
[12]
뉴스
Understanding MPLS Explicit and Implicit Null Labels
https://www.networkw[...]
2018-03-13
[13]
웹사이트
6PE FAQ: Why Does 6PE Use Two MPLS Labels in the Data Plane?
https://www.cisco.co[...]
2018-03-13
[14]
서적
Router security strategies : securing IP network traffic planes
Cisco Press
2008
[15]
웹사이트
Configuring Ultimate-Hop Popping for LSPs - Technical Documentation - Support - Juniper Networks
https://www.juniper.[...]
2018-03-13
[16]
학술지
MPLS Label Stack Encoding
https://tools.ietf.o[...]
2018-03-13
[17]
학술지
Removing a Restriction on the use of MPLS Explicit NULL
https://tools.ietf.o[...]
2018-03-13
[18]
서적
MPLS Fundamentals
Cisco Press
[19]
간행물
NPP: A Facility Based Computation Framework for Restoration Routing Using Aggregate Link Usage Information
http://cat.inist.fr/[...]
2005-02-02
[20]
간행물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munications, 2005. ICC 2005. 2005
[21]
간행물
Routing bandwidth guaranteed paths with local restoration in label switched networks
[22]
간행물
Proceedings IEEE INFOCOM 2001. Conference on Computer Communications. Twentieth Annual Joint Conference of the IEEE Computer and Communications Society (Cat. No.01CH37213)
[23]
웹사이트
A Study on Any Transport over MPLS (AToM)
http://www.icact.org[...]
2020-02-05
[24]
문서
ITU-T I.150 3.1.3.1
[25]
뉴스
Is MPLS faster?
https://www.802101.c[...]
2017-08-05
[26]
서적
Advanced MPLS design and implementation
Cisco Press
2002
[27]
웹사이트
An Informal Guide to the Engines of Packet Forwarding
https://forums.junip[...]
2018-12
[28]
웹사이트
MPLS for Dummies
https://archive.nano[...]
2010-06-13
[29]
서적
Juniper JNCIA Study Guide
http://www.surfer.ma[...]
Wiley
2003-06
[30]
서적
Foundations of modern networking : SDN, NFV, QoE, IoT, and Cloud
https://www.worldcat[...]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