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카하라 나오히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카하라 나오히로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주빌로 이와타, 보카 주니어스,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수원 삼성 블루윙즈, 시미즈 S-펄스 등 여러 팀에서 활약했다. 2002년 J1 리그에서 득점왕과 MVP를 수상했으며,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 득점왕을 차지했다. 2015년 오키나와 SV를 창단하여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하다가 2023년에 은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1의 일본인 축구 선수 - 구니모토 다카히로
구니모토 다카히로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유스 출신으로 일왕배 최연소 득점 기록을 세웠으나, K리그1 우승 후 음주운전으로 계약 해지되는 등 여러 논란 속에서도 다양한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가고 있는 일본 축구 선수이다. - K리그1의 일본인 축구 선수 - 다카하기 요지로
다카하기 요지로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산프레체 히로시마 유소년 팀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해 J리그, A리그, K리그 등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J리그 베스트 11, FA컵 MVP 등을 수상했고 일본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으며 동일본 대지진 이후 고향을 위한 사회 공헌 활동에도 참여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리향옥
리향옥은 FIFA 여자 월드컵, 올림픽 등 다양한 국제 대회의 심판으로 활동했으며, 2002년 아시안 게임 등에서 골을 기록했다. - 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 참가 선수 - 이동국
이동국은 1998년 포항 스틸러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독일 리그를 거쳐 K리그 최다 득점 기록을 세우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다카하라 나오히로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풀네임 | 다카하라 나오히로 |
출생일 | 1979년 6월 4일 |
출생지 | 일본 시즈오카현 미시마시 |
키 | 1.81m |
포지션 | 포워드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시미즈 히가시 고등학교 (1995-1997) |
클럽 | 주빌로 이와타 (1998-2002) → 보카 주니어스 (임대) (2001) 함부르크 (2002-2006) 프랑크푸르트 (2006-2008)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8-2010)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임대) (2010) 시미즈 에스펄스 (2011-2012) 도쿄 베르디 (2013-2014) SC 사가미하라 (2014-2015) 오키나와 SV (2016-2023) |
출장 및 득점 (클럽) | 주빌로 이와타: 105경기 58골 보카 주니어스: 6경기 1골 함부르크: 97경기 13골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38경기 12골 우라와 레즈: 63경기 10골 수원 삼성 블루윙즈: 12경기 4골 시미즈 에스펄스: 46경기 9골 도쿄 베르디: 41경기 11골 SC 사가미하라: 54경기 11골 오키나와 SV: 62경기 30골 |
총 출장 및 득점 (클럽) | 464경기 129골 |
클럽 최종 업데이트 | 2023년 12월 31일, 13:22 (UTC)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일본 U-17 (1995): 3경기 1골 일본 U-20 (1998-1999): 16경기 16골 일본 U-23 (1998-2000): 11경기 4골 |
국가대표 | 일본 (2000-2008): 57경기 23골 |
감독 경력 | |
감독 클럽 | 오키나와 SV (2016-2019) (선수 겸임) 오키나와 SV (2021-2023) (선수 겸임) |
수상 내역 | |
주빌로 이와타 | J1리그 우승 (1999) J1리그 우승 (2002) J1리그 준우승 (1998) J1리그 준우승 (2001) J리그컵 우승 (1998) J리그컵 준우승 (2001) |
시미즈 에스펄스 | J리그컵 준우승 (2012) |
일본 | AFC 아시안컵 우승 (2000년 레바논) |
FIFA U-20 월드컵 | FIFA U-20 월드컵 준우승 (1999년 나이지리아) |
AFC U-19 챔피언십 | AFC U-19 챔피언십 준우승 (1998년 태국) |
AFC U-16 챔피언십 | AFC U-17 챔피언십 우승 (1994년 카타르) |
2. 선수 경력
다카하라 나오히로는 일본의 축구 선수로, 주빌로 이와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하여 보카 주니어스, 함부르크, 프랑크푸르트 등 해외 리그에서도 활약했다.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를 거쳐 수원 삼성 블루윙즈에서 임대 선수로 뛰기도 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일본 대표로 출전하였으나, 2002년 FIFA 월드컵에는 정맥 혈전 색전증으로 인해 참가하지 못하였다. 2006년 월드컵과 2007 아시안컵에 출전하였으며, 특히 2007 아시안컵에서는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클럽 경력
구단 | 기간 |
---|---|
주빌로 이와타 | 1998년 - 2002년 |
보카 주니어스 (임대) | 2001년 |
함부르크 | 2003년 - 2006년 |
프랑크푸르트 | 2006년 - 2008년 1월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 2008년 - 2010년 |
수원 삼성 블루윙즈 (임대) | 2010년 7월 - 2010년 12월 |
시미즈 에스펄스 | 2011년 - 2012년 |
도쿄 베르디 | 2013년 - 2014년 |
SC 사가미하라 (임대) | 2014년 3월 - 2014년 12월 |
SC 사가미하라 | 2015년 |
오키나와 SV | 2016년 - 2023년 |
국가대표팀 경력
대회명 | 참가 자격 | 비고 |
---|---|---|
1994년 AFC U-16 챔피언십 | U-16, U-17 일본 대표 | 우승 |
199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 U-16, U-17 일본 대표 | 조별 리그 탈락, 1골 |
199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U-19, U-20 일본 대표 | 준우승 |
199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U-19, U-20 일본 대표 | 준우승, 3골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 U-23 | 8강, 3골 |
2000년 AFC 아시안컵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우승, 5골 |
2006년 FIFA 월드컵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조별 리그 3경기 출전 |
2007년 AFC 아시안컵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6경기 4골 (공동 득점왕)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통산 57경기 23골[8] |
2. 1. 클럽 경력
일본의 축구 팀 주빌로 이와타에서 선수 생활을 시작해 아르헨티나의 보카 주니어스로 임대되었고, 독일의 함부르크와 프랑크푸르트를 거쳤다. 2008년 1월, 프랑크푸르트에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로 이적했는데, 이때 이적료는 170만달러이었다.[4]2009년 우라와의 감독으로 취임한 폴커 핑케 감독의 스타일과 맞지 않아 불화를 겪었고, 이듬해 7월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임대되었다.
그 후, 일본으로 돌아와 시미즈 S-펄스와 계약했다. 이후 J2 리그 클럽 도쿄 베르디(2013–14)와 J3 리그 클럽 SC 사가미하라(2014–15)에서 뛰었다.
2015년 12월, 유도 선수 노무라 타다히로와 함께 오키나와 SV를 창단했다.[5] 그는 구단 회장 겸 선수로 활동하며 팀 주장을 맡았다.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주빌로 이와타 | 1998 | J1리그 / J. 리그 디비전 1 | 20 | 5 | 2 | 0 | 6 | 4 | – | 28 | 9 | |
1999 | 21 | 9 | 3 | 1 | 1 | 0 | – | 25 | 10 | |||
2000 | 24 | 10 | 0 | 0 | 2 | 0 | – | 26 | 10 | |||
2001 | 13 | 8 | 0 | 0 | 2 | 2 | – | 15 | 10 | |||
2002 | 27 | 26 | 3 | 0 | 0 | 0 | – | 30 | 26 | |||
합계 | 105 | 58 | 8 | 1 | 11 | 6 | – | 124 | 65 | |||
보카 주니어스 | 2001–02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6 | 1 | – | – | 1 | 0 | 7 | 1 | ||
함부르크 SV | 2002–03 | 분데스리가 | 16 | 3 | – | – | – | 16 | 3 | |||
2003–04 | 29 | 2 | 3 | 1 | 3 | 1 | 2 | 0 | 37 | 4 | ||
2004–05 | 31 | 7 | 1 | 0 | – | 1 | 0 | 33 | 7 | |||
2005–06 | 21 | 1 | 2 | 1 | – | 10 | 0 | 33 | 2 | |||
합계 | 97 | 13 | 6 | 2 | 3 | 1 | 13 | 0 | 119 | 16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2006–07 | 분데스리가 | 30 | 11 | 4 | 4 | – | 5 | 2 | 39 | 17 | |
2007–08 | 8 | 1 | 2 | 0 | – | – | 10 | 1 | ||||
합계 | 38 | 12 | 6 | 4 | – | 5 | 2 | 49 | 18 | |||
우라와 레즈 | 2008 | J1리그 디비전 1 | 27 | 6 | 1 | 0 | 3 | 1 | 4 | 1 | 35 | 8 |
2009 | 32 | 4 | 0 | 0 | 8 | 2 | – | 40 | 6 | |||
2010 | 4 | 0 | 0 | 0 | 1 | 1 | – | 5 | 1 | |||
합계 | 63 | 10 | 1 | 0 | 12 | 4 | 4 | 1 | 80 | 15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0 | K리그 | 12 | 4 | 1 | 0 | – | 1 | 0 | 14 | 4 | |
시미즈 S-펄스 | 2011 | J1리그 디비전 1 | 28 | 8 | 1 | 0 | 4 | 1 | – | 25 | 9 | |
2012 | 18 | 1 | 0 | 0 | 2 | 0 | – | 20 | 1 | |||
합계 | 46 | 9 | 1 | 0 | 6 | 1 | – | 53 | 10 | |||
도쿄 베르디 | 2013 | J2리그 | 41 | 11 | 0 | 0 | – | – | 41 | 11 | ||
2014 | 0 | 0 | 0 | 0 | – | – | 0 | 0 | ||||
합계 | 41 | 11 | 0 | 0 | – | – | 41 | 11 | ||||
SC 사가미하라 | 2014 | J3리그 | 21 | 5 | 0 | 0 | – | – | 21 | 5 | ||
2015 | 33 | 6 | 0 | 0 | – | – | 33 | 6 | ||||
합계 | 54 | 11 | 0 | 0 | – | – | 54 | 11 | ||||
오키나와 SV | 2018 | 규슈 사커 리그 | 17 | 11 | – | 17 | 11 | |||||
2019 | 11 | 7 | 2 | 1 | – | 19 | 8 | |||||
2020 | 4 | 5 | 1 | 0 | – | 5 | 5 | |||||
2021 | 15 | 5 | 1 | 0 | – | 16 | 5 | |||||
2022 | 13 | 2 | 1 | 0 | – | 14 | 2 | |||||
2023 | 일본 풋볼 리그 | 2 | 0 | 0 | 0 | – | 2 | 0 | ||||
합계 | 68 | 30 | 5 | 1 | – | 73 | 31 | |||||
통산 기록 | 530 | 159 | 28 | 8 | 32 | 12 | 24 | 3 | 614 | 182 |
2. 1. 1. 주빌로 이와타 (1998-2002)
1998년 주빌로 이와타에 입단하여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47] 그 해 3월 21일 개막전 (교토전)에서 교체 출전하며 J리그 데뷔전을 치렀다. 1998년, 소속팀 주빌로 이와타는 J리그컵에서 우승했고, 다카하라는 뉴 히어로 상을 수상했다. 1999년에는 J1 리그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또한, 팀은 1999-2000 AFC 챔피언스 리그와 2000-01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는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2001년 J1 리그 1st 스테이지 13라운드 요코하마 F. 마리노스전에서 우승을 결정짓는 연장 V 골을 넣었다.[13] 같은 해 8월 보카 주니어스로 임대 이적하여 6경기에서 1골을 기록했다.
2002년, 이코노미 클래스 증후군 발병 후 복귀하여 나카야마 마사시와의 콤비 플레이로 많은 골을 기록하며 2002년 J1 리그에서 득점왕(26골)과 MVP를 차지하며 팀의 리그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 1. 2. 보카 주니어스 (2001-2002)
2001년 8월, 다카하라는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의 보카 주니어스로 임대 이적하여,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에서 뛴 최초의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2] 보카 주니어스에서 6경기 1골을 기록하였다. 같은 해 12월, 토요타 컵 출전이 기대되었으나, 직전에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2002년 초, 아르헨티나의 경제 상황 악화로 인해 보카 주니어스와의 계약이 해지되었다.2. 1. 3. 함부르크 SV (2003-2006)
2002 시즌 후, 다카하라는 함부르크 SV로 이적했다. 2003년 1월 하노버 96과의 2-2 무승부 경기에서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치렀는데, 이는 오쿠데라 야스히코와 오자키 카즈오에 이어 분데스리가에서 뛴 세 번째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3] 첫 해에 올리버 칸이 소속된 FC 바이에른 뮌헨을 상대로 득점을 기록하는 등, 리그전 16경기(선발 12경기)에서 3득점을 기록했다. 이듬해 2003-04 시즌에는 리그전 29경기(선발 22경기)에 출전했으나 2득점에 그쳤다. 2004-05 시즌, 토마스 돌이 감독으로 취임하면서 시즌 초반에는 선발에서 제외되었지만, 6라운드 헤르타 BSC전에서 2득점을 기록하며 주전 자리를 차지했다. 리그전 31경기(선발 26경기)에 출전하여 공격수 중 최다인 7득점을 기록했다. 이듬해 2005-06 시즌에는 리그전 21경기(선발 6경기) 출전, 1득점으로 시즌을 마쳤다. 2006년 12월 3일, 알레마니아 아헨과의 경기에서 분데스리가 첫 해트트릭을 기록했다.2. 1. 4.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06-2008)
2002 한일 월드컵 시즌 후, 다카하라는 함부르크 SV로 이적했다. 2003년 1월 하노버 96과의 경기에서 분데스리가 데뷔전을 치렀는데, 이는 오쿠데라 야스히코와 오자키 카즈오에 이어 분데스리가에서 뛴 세 번째 일본인 선수가 되었다.[3] 2006년 12월 3일에는 알레마니아 아헨과의 경기에서 분데스리가 첫 해트트릭을 기록했다.2008년 1월, 그는 약 1억 8천만 엔(170만달러)의 이적료로 우라와 레즈로 이적했다.[4]
2. 1. 5.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2008-2010)
2008년 1월, 다카하라는 약 1억 8천만 엔(170만달러)의 이적료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로 이적했다.[4] 2009년 우라와의 감독으로 취임한 폴커 핑케 감독의 스타일과 맞지 않아 불화를 겪었고, 이듬해 7월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임대되었다.2. 1. 6.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0)
2009년 우라와의 감독으로 취임한 폴커 핑케 감독의 스타일과 맞지 않아 불화를 겪었고, 이듬해 7월 수원 삼성 블루윙즈로 임대되었다.[47] 2010년 7월 31일 광주 상무를 상대로 후반 39분 교체 투입되며 데뷔전을 치렀고, 8월 29일 FC 서울 전에서 후반 39분에 데뷔골을 터뜨린데 이어 45분에 추가골을 기록하여 2-2로 비기던 경기를 4-2로 승리하는데 일조하였으며, 이 경기에서 MVP를 차지하였다.[47]2. 1. 7. 시미즈 S-펄스 (2011-2012)
2011년, 다카하라는 일본으로 돌아와 시미즈 S-펄스와 계약했다.2. 1. 8. 도쿄 베르디 (2013-2014)
2011년, 다카하라는 시미즈 S-펄스와 계약했다. 이후, 그는 J2 리그 클럽 도쿄 베르디(2013–2014)에서 활동했다.[5]2. 1. 9. SC 사가미하라 (2014-2015)
다카하라는 2011년 시미즈 S-펄스와 계약하며 일본으로 돌아왔다. 이후 J2 리그의 도쿄 베르디(2013-2014)와 J3 리그의 SC 사가미하라(2014-2015)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5]2. 1. 10. 오키나와 SV (2016-2023)
2015년 12월, 다카하라는 유도 선수 노무라 타다히로와 함께 오키나와 SV를 창단했다.[5] 그는 구단 회장 겸 선수로 활동하며 팀의 주장을 맡았다. 2022년 11월 27일, 2022년 일본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에서 FC 가리야를 4-0으로 꺾고 준우승을 차지하면서,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일본 풋볼 리그 승격을 이끌었다. 이 경기에 후반 교체 선수로 출전했다. 2023년 8월 31일, 다카하라는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한다고 발표했다.[6]2. 2. 국가대표팀 경력
다카하라는 1994년 AFC U-16 챔피언십과 199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일본 U-17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하여, 1995년 U-17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 1999년 4월에는 일본 U-20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1999년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 참가, 7경기 모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준우승에 기여했다.2000년 2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2000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2월 13일 싱가포르를 상대로 데뷔, 3경기 3골을 기록하며 2000년 아시안컵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9월에는 일본 U-23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2000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하여 4경기에서 3골을 기록했다. 10월 2000년 아시안컵에서는 5경기 5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우승을 이끌었으나, 폐 질환 (정맥 혈전증)으로 2002년 FIFA 월드컵에는 출전하지 못했다.
2002년 월드컵 이후, 2003년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다. 이후 일정 문제로 대표팀 소집이 줄었지만, 선발될 때마다 주전으로 활약했다. 2006년 2006년 월드컵에 일본 대표팀으로 3경기 모두 출전했다. 2007년 아시안컵에서는 6경기 4골을 기록, 이라크의 유니스 마무드, 사우디아라비아의 야세르 알카타니와 함께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 2008년까지 일본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57경기에 출전하여 23골을 기록했다.[8]
2. 2. 1. 청소년 대표팀
다카하라는 1994년 AFC U-16 챔피언십과 199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일본 U-17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1] 1995년 U-17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는 3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1998년 아시안 게임 축구와 199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일본 U-20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고, 1999년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는 7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준우승에 기여했다.[1]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에는 일본 U-23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하여 4경기에서 3골을 기록했다.[1]
대회명 | 참가 자격 | 비고 |
---|---|---|
1994년 AFC U-16 챔피언십 | U-16, U-17 일본 대표 | 우승 |
1995년 FIFA U-17 세계 축구 선수권 대회 | U-16, U-17 일본 대표 | 조별 리그 탈락 |
199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U-19, U-20 일본 대표 | 준우승 |
199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U-19, U-20 일본 대표 | 준우승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 U-23 | 8강 |
2. 2. 2. 성인 대표팀
2000년 2월, 다카하라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발탁되어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 참가했다. 2월 13일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국가대표 데뷔전을 치렀고, 이 예선에서 3경기에 출전하여 3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2000년 AFC 아시안컵 본선 진출에 기여했다.[8]10월에는 2000년 AFC 아시안컵에 출전하여 5경기에서 5골을 기록하며 일본의 우승을 이끌었다.[8] 그러나 폐 질환 (정맥 혈전증)으로 인해 대한민국과 일본이 공동 개최한 2002년 FIFA 월드컵에는 참가하지 못했다.
2002년 월드컵 이후,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에 출전했다. 이후 일정 문제로 대표팀 소집이 줄었지만, 발탁될 때마다 주전으로 활약했다. 2006년에는 2006년 FIFA 월드컵에 일본 대표팀으로 선발되어 조별 리그 3경기에 모두 출전했다.[8]
2007년 AFC 아시안컵에서는 6경기에 출전하여 4골을 기록, 이라크의 유니스 마무드, 사우디아라비아의 야세르 알카타니와 함께 공동 득점왕에 올랐다.[8] 특히 카타르와의 첫 경기에서 득점하여 1-1 무승부를 기록했고, 아랍에미리트와의 경기에서는 2골을 기록하며 이비차 오심 감독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호주와의 8강전에서는 동점골을 터뜨려 승부를 승부차기로 이끌었다. 비록 승부차기에서 실축했지만, 골키퍼 가와구치 요시카쓰의 선방으로 일본은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사우디 아라비아에게 3-2로 패했다.
2008년까지 다카하라는 일본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총 57경기에 출전하여 23골을 기록했다.[8]
국가대표팀 | 연도 | 출장 | 골 |
---|---|---|---|
일본 | 2000 | 11 | 8 |
2001 | 4 | 0 | |
2002 | 4 | 1 | |
2003 | 8 | 2 | |
2004 | 5 | 1 | |
2005 | 7 | 2 | |
2006 | 5 | 3 | |
2007 | 9 | 6 | |
2008 | 4 | 0 | |
합계 | 57 | 23 |
No. | 날짜 | 경기장 | 상대 | 점수 | 결과 | 대회 |
---|---|---|---|---|---|---|
1 | 2000년 2월 16일 | 마카오 | 브루나이 | 9–0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2 | ||||||
3 | 2000년 2월 20일 | 마카오 | 마카오 | 3–0 | 200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
4 | 2000년 10월 14일 | 시돈, 레바논 | 사우디아라비아 | 4–1 | 2000년 AFC 아시안컵 | |
5 | 2000년 10월 17일 | 시돈, 레바논 | 우즈베키스탄 | 8–1 | 2000년 AFC 아시안컵 | |
6 | ||||||
7 | ||||||
8 | 2000년 10월 24일 | 베이루트, 레바논 | 이라크 | 4–1 | 2000년 AFC 아시안컵 | |
9 | 2002년 3월 27일 | 우치, 폴란드 | 폴란드 | 2–0 | 친선 경기 | |
10 | 2003년 8월 20일 | 도쿄, 일본 | 나이지리아 | 3–0 | 친선 경기 | |
11 | ||||||
12 | 2004년 3월 31일 | 잘란 베사르, 싱가포르 | 싱가포르 | 2–1 | 2006년 FIFA 월드컵 예선 | |
13 | 2005년 9월 7일 | 리후, 일본 | 온두라스 | 5–4 | 친선 경기 | |
14 | 2005년 10월 8일 | 리가, 라트비아 | 라트비아 | 2–2 | 친선 경기 | |
15 | 2006년 2월 28일 | 도르트문트, 독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2–2 | 친선 경기 | |
16 | 2006년 5월 30일 | 레버쿠젠, 독일 | 독일 | 2–2 | 친선 경기 | |
17 | ||||||
18 | 2007년 3월 24일 | 요코하마, 일본 | 페루 | 2–0 | 친선 경기 | |
19 | 2007년 6월 1일 | 후쿠로이, 일본 | 몬테네그로 | 2–0 | 친선 경기 | |
20 | 2007년 7월 9일 | 하노이, 베트남 | 카타르 | 1–1 | 2007년 AFC 아시안컵 | |
21 | 2007년 7월 13일 | 하노이, 베트남 | 아랍에미리트 | 3–1 | 2007년 AFC 아시안컵 | |
22 | ||||||
23 | 2007년 7월 21일 | 하노이, 베트남 | 오스트레일리아 | 1–1 | 2007년 AFC 아시안컵 |
3. 지도자 경력
구단 시작 종료 기록 승 무 패 오키나와 SV 2016년 2월 1일 2020년 1월 31일 colspan="4" | 오키나와 SV 2021년 7월 29일 현재 colspan="4" | 합계 colspan="4" |
4. 수상 내역
다음은 다카하라 나오히로가 선수 시절과 은퇴 이후 받은 개인 수상 내역이다.
- 199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1]
- 1998년 J리그컵 뉴히어로상[1]
- 2000년 AFC 아시안컵 올스타 팀[1]
- 2007년 AFC 아시안컵 올스타 팀[1]
- 2002년 J리그 MVP[1]
- 2002년 J리그 득점왕[1]
- 2002년 J리그 베스트 XI[1]
- 2007년 AFC 아시안컵 득점왕[1]
- 2007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vs. UAE (조별리그), vs. 호주 (8강전)[1]
4. 1. 클럽
다카하라 나오히로는 선수 시절 다양한 클럽에서 활동하며 여러 대회에서 우승을 경험했다. 주요 우승 경력은 다음과 같다.클럽 | 대회 | 우승 연도 |
---|---|---|
주빌로 이와타 | J리그 디비전 1 | 1999, 2002 |
나비스코컵 | 1998 | |
제록스 슈퍼컵 | 2000 |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1998-99 | |
아시안 슈퍼컵 | 1999 | |
함부르거 SV | DFB-리가포칼 | 2003 |
UEFA 인터토토컵 | 2005 | |
오키나와 SV | 규슈 사커 리그 | 2019, 2021, 2022 |
클럽 | 시즌 | 리그 | 국내 컵 | 리그 컵 | 대륙 대회 | 합계 | ||||||
---|---|---|---|---|---|---|---|---|---|---|---|---|
디비전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출장 | 득점 | ||
주빌로 이와타 | 1998 | J1리그 / J. 리그 디비전 1 | 20 | 5 | 2 | 0 | 6 | 4 | – | 28 | 9 | |
1999 | 21 | 9 | 3 | 1 | 1 | 0 | – | 25 | 10 | |||
2000 | 24 | 10 | 0 | 0 | 2 | 0 | – | 26 | 10 | |||
2001 | 13 | 8 | 0 | 0 | 2 | 2 | – | 15 | 10 | |||
2002 | 27 | 26 | 3 | 0 | 0 | 0 | – | 30 | 26 | |||
합계 | 105 | 58 | 8 | 1 | 11 | 6 | – | 124 | 65 | |||
보카 주니어스 | 2001–02 | 아르헨티나 프리메라 디비시온 | 6 | 1 | – | – | 1 | 0 | 7 | 1 | ||
함부르크 SV | 2002–03 | 분데스리가 | 16 | 3 | – | – | – | 16 | 3 | |||
2003–04 | 29 | 2 | 3 | 1 | 3 | 1 | 2 | 0 | 37 | 4 | ||
2004–05 | 31 | 7 | 1 | 0 | – | 1 | 0 | 33 | 7 | |||
2005–06 | 21 | 1 | 2 | 1 | – | 10 | 0 | 33 | 2 | |||
합계 | 97 | 13 | 6 | 2 | 3 | 1 | 13 | 0 | 119 | 16 |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2006–07 | 분데스리가 | 30 | 11 | 4 | 4 | – | 5 | 2 | 39 | 17 | |
2007–08 | 8 | 1 | 2 | 0 | – | – | 10 | 1 | ||||
합계 | 38 | 12 | 6 | 4 | – | 5 | 2 | 49 | 18 | |||
우라와 레즈 | 2008 | J1리그 디비전 1 | 27 | 6 | 1 | 0 | 3 | 1 | 4 | 1 | 35 | 8 |
2009 | 32 | 4 | 0 | 0 | 8 | 2 | – | 40 | 6 | |||
2010 | 4 | 0 | 0 | 0 | 1 | 1 | – | 5 | 1 | |||
합계 | 63 | 10 | 1 | 0 | 12 | 4 | 4 | 1 | 80 | 15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2010 | K리그 | 12 | 4 | 1 | 0 | – | 1 | 0 | 14 | 4 | |
시미즈 S-펄스 | 2011 | J1리그 디비전 1 | 28 | 8 | 1 | 0 | 4 | 1 | – | 25 | 9 | |
2012 | 18 | 1 | 0 | 0 | 2 | 0 | – | 20 | 1 | |||
합계 | 46 | 9 | 1 | 0 | 6 | 1 | – | 53 | 10 | |||
도쿄 베르디 | 2013 | J2리그 | 41 | 11 | 0 | 0 | – | – | 41 | 11 | ||
2014 | 0 | 0 | 0 | 0 | – | – | 0 | 0 | ||||
합계 | 41 | 11 | 0 | 0 | – | – | 41 | 11 | ||||
SC 사가미하라 | 2014 | J3리그 | 21 | 5 | 0 | 0 | – | – | 21 | 5 | ||
2015 | 33 | 6 | 0 | 0 | – | – | 33 | 6 | ||||
합계 | 54 | 11 | 0 | 0 | – | – | 54 | 11 | ||||
오키나와 SV | 2018 | 규슈 사커 리그 | 17 | 11 | – | 17 | 11 | |||||
2019 | 11 | 7 | 2 | 1 | – | 19 | 8 | |||||
2020 | 4 | 5 | 1 | 0 | – | 5 | 5 | |||||
2021 | 15 | 5 | 1 | 0 | – | 16 | 5 | |||||
2022 | 13 | 2 | 1 | 0 | – | 14 | 2 | |||||
2023 | 일본 풋볼 리그 | 2 | 0 | 0 | 0 | – | 2 | 0 | ||||
합계 | 68 | 30 | 5 | 1 | – | 73 | 31 | |||||
통산 기록 | 530 | 159 | 28 | 8 | 32 | 12 | 24 | 3 | 614 | 182 |
4. 2. 국가대표팀
대회 | 결과 | 비고 |
---|---|---|
1994년 AFC U-16 챔피언십 | 우승 | AFC U-17 축구 선수권 대회 |
1998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 준우승 |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199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준우승 | FIFA U-20 월드컵 |
2000년 AFC 아시안컵 | 우승 | AFC 아시안컵, 올스타 팀 |
2007년 AFC 아시안컵 | 4위 | AFC 아시안컵, 득점왕, 올스타 팀, 맨 오브 더 매치: vs. UAE (조별리그), vs. 호주 (8강전) |
다카하라 나오히로는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다양한 연령별 대표팀과 성인 대표팀에서 활약하며 주요 대회에서 우승과 준우승을 기록했다.
4. 3. 개인
- J리그 득점왕 : 2002[1]
- J리그 MVP : 2002[1]
- J리그 베스트 XI : 2002[1]
- 나비스코컵 뉴히어로상 : 1998[1]
- 아시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득점왕 : 1998[1]
- AFC 아시안컵 득점왕 : 2007[1]
- AFC 아시안컵 올스타 팀 : 2000, 2007[1]
- 2007년 AFC 아시안컵 맨 오브 더 매치 : vs. UAE (조별리그), vs. 호주 (8강전)[1]
# | 개최 연월일 | 개최지 | 상대팀 | 승패 | 경기 개요 |
---|---|---|---|---|---|
1. | 2000년 2월 16일 | 중국 | 브루나이 | ○ 9-0 | AFC 아시안컵 2000 예선 |
2. | |||||
3. | 2000년 2월 20일 | 마카오 | ○ 3-0 | ||
4. | 2000년 10월 14일 | 레바논 | 사우디아라비아 | ○ 4-1 | AFC 아시안컵 2000 |
5. | 2000년 10월 17일 | 우즈베키스탄 | ○ 8-1 | ||
6. | |||||
7. | |||||
8. | 2000년 10월 24일 | 이라크 | ○ 4-1 | ||
9. | 2002년 3월 27일 | 폴란드 | 폴란드 | ○ 2-0 | 친선 경기 |
10. | 2003년 8월 20일 | 일본 | 나이지리아 | ○ 3-0 | 기린 챌린지 컵 2003 |
11. | |||||
12. | 2004년 3월 31일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 2-1 | 200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예선 |
13. | 2005년 9월 7일 | 일본 | 온두라스 | ○ 5-4 | 기린 챌린지 컵 2005 |
14. | 2005년 10월 8일 | 일본 | 라트비아 | △ 2-2 | 친선 경기 |
15. | 2006년 2월 28일 | 독일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2-2 | 친선 경기 |
16. | 2006년 5월 30일 | 독일 | 독일 | △ 2-2 | 친선 경기 |
17. | |||||
18. | 2007년 3월 24일 | 일본 | 페루 | ○ 2-0 | 기린컵 축구 2007 |
19. | |||||
20. | 2007년 7월 9일 | 베트남 | 카타르 | △ 1-1 | AFC 아시안컵 2007 |
21. | 2007년 7월 13일 | 아랍에미리트 | ○ 3-1 | ||
22. | |||||
23. | 2007년 7월 21일 | 오스트레일리아 | △ 1-1 (PK 4-3) |
참조
[1]
웹사이트
2006 FIFA World Cup Germany: List of Players: Japan
https://www.fifadata[...]
FIFA
2014-03-21
[2]
웹사이트
Spreading Their Wings: Japanese Soccer Stars Seek Success Overseas
http://web-japan.org[...]
2011-10-20
[3]
뉴스
Takahara struggles in Hamburg SV debut
https://www.japantim[...]
2003-01-27
[4]
웹사이트
Takahara leaves Eintracht
https://web.archive.[...]
2008-01-04
[5]
웹사이트
沖縄SV立ち上げの高原は「代表兼監督兼選手」…県3部スタートも将来的なJリーグ入り視野
http://web.gekisaka.[...]
[6]
웹사이트
髙原直泰選手 今シーズンで選手引退のお知らせ
https://www.okinawas[...]
2023-08-31
[7]
웹사이트
Takahara suffering lung disease again
https://web.archive.[...]
ESPN
2004-05-31
[8]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9]
서적
J1&J2&J3選手名鑑 2015 (NSK MOOK)
https://www.amazon.c[...]
Nippon Sports Kikaku Publishing inc./日本スポーツ企画出版社
2015-02-14
[10]
웹사이트
Valencia 0-0 Hamburg (Aggregate: 0 - 1)
https://web.archive.[...]
uefa.com
[11]
웹사이트
高原 直泰 TAKAHARA Naohiro - 日本代表 - JFA
http://www.jfa.or.jp[...]
[12]
웹사이트
다카하라
https://portal.kleag[...]
[13]
웹사이트
試合日程・結果:2001 J1 1st 第13節:横浜F・マリノス vs ジュビロ磐田 {{!}} ジュビロ磐田 Jubilo IWATA
https://www.jubilo-i[...]
[14]
뉴스
로이터 통신
2008-01-06
[15]
문서
겐을 맡는 것이 목적이지만, 본인 왈 「자신에게는 한 자릿수 번호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한다.
[16]
웹사이트
高原移籍は去年決定…開幕前から構想外
https://web.archive.[...]
[17]
웹사이트
高原直泰、水原三星ブルーウィングスに完全移籍
http://www.urawa-red[...]
2010-07-23
[18]
뉴스
浦和高原ソウルと折り合わず急転水原三星
https://www.nikkansp[...]
2010-07-20
[19]
뉴스
高原、水原三星にレンタルでなく完全移籍
https://www.nikkansp[...]
2010-07-24
[20]
웹사이트
taka19: ヤバイ!
http://taka19.blogsp[...]
TAKA19.COM(公式サイト)
2010-08-28
[21]
웹사이트
taka19: シーズン終了
http://taka19.blogsp[...]
TAKA19.COM(公式サイト)
2010-11-07
[22]
뉴스
元日本代表・高原の清水移籍が決定
http://www.daily.co.[...]
2010-12-23
[23]
뉴스
高原2発!日独韓アルゼンチン リーグ通算100号!…清水
https://web.archive.[...]
2011-05-23
[24]
웹사이트
「自分にも意地がある」、高原が古巣・浦和から魂のダイビングヘッド
https://web.gekisaka[...]
[25]
웹사이트
高原直泰選手 来季契約非更新について
http://www.s-pulse.c[...]
2012-12-11
[26]
웹사이트
高原直泰選手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www.verdy.co.[...]
2013-01-14
[27]
뉴스
高原 J3相模原移籍の背景に東京Vの深刻な資金難も
https://www.sponichi[...]
2014-03-21
[28]
뉴스
J3・相模原へ移籍決めた高原直泰、理由は「出場機会を求めて」
https://www.soccer-k[...]
2014-03-25
[29]
웹사이트
東京ヴェルディ 高原直泰選手 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www.sc-sagami[...]
2014-03-21
[30]
웹사이트
高原 直泰選手 期限付き移籍期間満了ならびに完全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www.sc-sagami[...]
2015-01-19
[31]
뉴스
「楽しいサッカーで勝つ」SC相模原、新体制発表-高原キャプテン就任も
http://machida.keiza[...]
2015-01-23
[32]
뉴스
J3第13節…相模原FW高原が鮮やか無回転FK弾、町田が山口の連勝を5でストップ
http://web.gekisaka.[...]
2015-05-25
[33]
뉴스
元代表・高原直泰の挑戦 沖縄で新クラブ設立、選手獲得へ名刺配りの日々
https://www.sponichi[...]
2015-12-20
[34]
뉴스
沖縄SV立ち上げの高原は「代表兼監督兼選手」…県3部スタートも将来的なJリーグ入り視野
http://web.gekisaka.[...]
2015-12-07
[35]
웹사이트
山本浩正氏 トップチーム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okinawas[...]
2020-01-09
[36]
웹사이트
元日本代表FW高原直泰がJFL初ゴール!J1から都道府県リーグのカテゴリーで得点を記録!
https://nordot.app/1[...]
2023-07-03
[37]
웹사이트
TOP 髙原直泰選手 今シーズンで選手引退のお知らせ
https://www.okinawas[...]
2023-08-31
[38]
뉴스
高原直泰の現役ラストマッチに密着。「監督はやらない! 社長業に専念して頑張るよ」
https://wpb.shueisha[...]
週プレNEWS
2023-12-13
[39]
뉴스
「お金にならないと意味がない」元サッカー日本代表・高原直泰43歳は今…沖縄でコーヒー農家になっていた「年間5000杯分が目標です」
https://number.bunsh[...]
Number Web
2022-07-09
[40]
문서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오버에이지로 출전 예정이었으나, 같은 증상이 재발하여 출전을 포기했다.
[41]
서적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30) サッカーの大常識
株式会社ポプラ社
2006
[42]
웹사이트
高原が2発 W杯直前、ドイツが震えた/復刻 - 日本代表
https://www.nikkansp[...]
2023-08-15
[43]
웹사이트
https://www.nikkansp[...]
[44]
웹사이트
https://www.sponichi[...]
[45]
서적
これだけは知っておきたい(30) サッカーの大常識
株式会社ポプラ社
2006
[46]
뉴스
虎四ミーティング~限界への挑戦記~ 高原直泰(SC相模原)<前編>「突然の病を乗り越えたストライカー」
https://gendai.media[...]
現代ビジネス
2014-05-09
[47]
웹인용
'다카하라 2골' 수원, 서울 4-2 제압… 5연승 질주
http://xportsnews.ha[...]
엑스포츠뉴스
2010-08-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