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풋볼 리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일본 풋볼 리그(JFL)는 1999년 J리그 2부 리그(J2) 출범과 함께 시작된 일본의 4부 축구 리그이다. JFL은 이전 JFL에서 J2에 참가하지 못한 팀들과 지역 리그 승격팀을 포함하여 출범했으며, 2013년 J3 리그가 창설되면서 4부 리그로 변경되었다. 리그 형식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팀은 챔피언으로 결정된다. JFL은 J리그 팀의 J3 리그 참가를 돕는 역할을 하며, J3와 JFL 간의 승강 제도를 통해 리그 간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다. 2025년에는 총 16개 팀이 참가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K3리그 어드밴스
K3리그 어드밴스는 2017년 K3리그 분리 후 출범한 대한민국 4부 축구 리그로, 2016년 K3리그 상위 12개 팀이 참가하여 수도권에 구단이 집중되어 있으며 포천 시민축구단이 최다 우승팀이고 K4리그로 강등될 수 있다. - 아시아의 축구 4부 리그 - K4리그
K4리그는 2020년 내셔널리그와 K3리그를 통합하여 출범한 한국의 축구 리그로, 저변 확대와 유소년 육성을 목표하며 K3리그와 승강제를 통해 경쟁력 향상을 추구하고, 리저브팀 참가 허용, 팀 해체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지속 운영되며 K3리그 승격팀을 배출한다. - 일본의 축구 리그 - J1리그
J1리그는 1965년 일본 사커 리그로 시작하여 1993년 프로 리그로 출범한 일본 최상위 프로 축구 리그이며, 2024년 기준 20개 팀이 참가하고, 상위 팀은 AFC 챔피언스리그에 진출하며 하위 팀은 J2리그로 강등된다. - 일본의 축구 리그 - J2리그
J2리그는 일본 프로축구 2부 리그로, J1리그와 승강제를 통해 운영되며, 1999년 10개 클럽으로 시작하여 현재 20개 클럽이 참가, 상위 2팀은 J1리그로 자동 승격하고 하위 3팀은 J3리그로 강등되며, 리그 규모와 시스템은 변화를 거쳐 2026-27 시즌부터 추춘제로 변경될 예정이다. - 일본의 축구 대회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는 1921년 시작되어 잉글랜드 FA컵을 모델로 한 일본 축구 협회 주최 토너먼트 대회이며, 우승팀에게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 일본의 축구 대회 - 사이타마 시티컵
사이타마 시티컵은 사이타마시에서 스포츠 진흥과 국제 교류 활성화를 목표로 2003년에 시작된 친선 축구 대회로, J리그의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와 오미야 아르디자를 비롯해 세계적인 클럽들이 참가하며, 2009년 중단 이후 부정기적으로 재개되어 이어지고 있다.
일본 풋볼 리그 | |
---|---|
기본 정보 | |
![]() | |
국가 | 일본 |
대륙 연맹 | AFC |
창립 | 1999년 |
참가 구단 수 | 16 |
승격 | J3리그 |
강등 | 지역 리그 |
리그 단계 | 4 |
국내 컵 대회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 선수권 대회 |
최근 우승 구단 | 도치기 시티 FC (1회 우승) |
최근 시즌 | 2024 |
최다 우승 구단 | 혼다 FC (10회 우승)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현재 시즌 | 2025 |
리그 운영 법인 | |
명칭 | 일반 사단 법인 일본 풋볼 리그 (JAPAN FOOTBALL LEAGUE) |
단체 종류 | 일반 사단 법인 |
설립일 | 2010년 3월 1일 |
소재지 | 도쿄도 분쿄구 고라쿠 1초메 4번 18호 도요타 도쿄 빌딩 |
이사장 | 구와바라 가쓰요시 |
활동 지역 | 일본 |
활동 내용 | 일본 풋볼 리그 운영 |
2. 역사
1999 시즌에 J리그 2부(J2)가 출범하면서 일본 풋볼 리그가 시작되었다. 그 전까지 J리그는 1부 리그만 존재했고, 이전의 JFL은 2부 리그였다. 이전 JFL의 마지막 시즌에 참가한 16개 팀 중 9개 팀이 J2 참가를 결정하고 받아들여졌으며, 나머지 7개 팀과 요코가와 전기, 지역 리그 승격 시리즈 우승팀이 새로운 일본 풋볼 리그를 구성했다. 이 8개 팀과 요코하마 플뤼겔스와 요코하마 마리노스의 합병 이후 특별 케이스로 참가가 허용된 요코하마 FC가 1999년 첫 시즌에 참가했다.[5]
프로화를 고려하지 않은 아마추어 팀(기업 및 대학 축구부, 지역 아마추어 클럽 팀)에게는 유일한 전국 리그이자 최고 등급의 카테고리이다. 2014년에 J리그의 3부 리그인 J3리그가 발족한 이후, 장래 J리그 가맹을 목표로 하는 클럽을 중심으로 세미프로 계약을 맺거나, 클럽으로부터 고정 급여나 승리 수당 등의 개런티를 받으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부업으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클럽을 지원하는 스폰서 기업·단체로의 취업 알선을 받는 사원 선수 등으로 근무하는 선수, 아카데미·스쿨(하부 육성 조직)의 코치 등을 겸임하는 선수도 존재한다.[5]
일본 풋볼 리그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연도 | 대회 | 참가 팀 수 변화 | 주요 내용 |
---|---|---|---|
1999년 | 제1회 | 9팀 | 구 JFL을 대체하는 새로운 아마추어 전국 리그 시작. 미토 홀리호크 J리그 입회 승인. |
2000년 | 제2회 | 9팀 → 12팀 | 리그전 3라운드 → 2라운드 풀 리그 변경. 요코하마 FC J리그 입회 승인. |
2001년 | 제3회 | 12팀 → 16팀 | 연장 V골 폐지. |
2002년 | 제4회 | 16팀 → 18팀 | 2002 FIFA 월드컵 개최로 리그전 2라운드 → 1라운드 풀 리그 변경(임시 조치). JFL-지역 리그 간 교체 제도 도입. |
2003년 | 제5회 | 18팀 → 16팀 | 지야토코 축구부 JFL 퇴회. |
2004년 | 제6회 | 16팀 | 오츠카 제약 축구부(→도쿠시마 보르티스), 더스파 구사츠 J리그 입회 승인. 고쿠시칸 대학 축구부 JFL 퇴회. |
2005년 | 제7회 | 16팀 | 에히메 FC J리그 입회 승인. |
2006년 | 제8회 | 16팀 → 18팀 | 사가와 급행 도쿄 SC와 사가와 급행 오사카 SC 합병, 사가와 급행 SC로 JFL 참가. |
2007년 | 제9회 | 18팀 | 호쿠리쿠 전력 축구부 아로즈 호쿠리쿠와 YKK AP 축구부 합병, 카타레 토야마로 JFL 참가. 롯소 구마모토(→로아소 구마모토), FC 기후 J리그 입회 승인. |
2008년 | 제10회 | 18팀 | 토치기 SC, 카타레 토야마, 파지아노 오카야마 FC J리그 입회 승인. |
2009년 | 제11회 | 18팀 |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FC JFL 퇴회 발표. 뉴 웨이브 기타큐슈(→기라반츠 기타큐슈) J리그 입회 승인. |
2010년 | 제12회 | 18팀 | 일반 사단 법인 일본 풋볼 리그 설립. 가이나레 돗토리 J리그 입회 승인. |
2011년 | 제13회 | 18팀 | 제프 리저브즈 JFL 퇴회 발표. 일본 톱 리그 연계 기구 가맹. 마치다 젤비아, 마쓰모토 야마가 FC J리그 입회 승인. |
2012년 | 제14회 | 18팀 → 17팀 | J2・JFL 간의 교체 제도(J2・JFL 승강전) 도입. 알테 타카사키 JFL 퇴회. SAGAWA SHIGA FC JFL 퇴회 발표. V·파렌 나가사키 J리그 입회, 마치다 젤비아 J리그 회원 자격 상실 승인. |
2013년 | 제15회 | 17팀 → 18팀 | J3 발족. 카마타마레 사누키, AC 나가노 파르세이로, SC 사가미하라, FC 마치다 젤비아, 츠에겐 가나자와, 브라우브릿츠 아키타, FC 류큐, Y.S.C.C., 후지에다 MYFC,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FC J리그 입회 승인. |
2014년 | 제16회 | 18팀 → 14팀 | J3 발족으로 J2・JFL 간의 교체 제도(J2・JFL 승강전) 폐지. 2시즌제 부활 및 챔피언십 신설. 레노파 야마구치 FC J리그 입회. |
2015년 | 제17회 | 14팀 → 16팀 | SP 교토 FC JFL 퇴회.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J리그 입회. |
2016년 | 제18회 | 16팀 | 파지아노 오카야마 넥스트 JFL 퇴회. 홋카이도오비히로시에서 JFL 페스타 in 오비히로 개최. 아술 클라로 누마즈 J리그 입회. |
2018년 | 제20회 | 16팀 | 반포레 야마구치 J리그 입회. |
2019년 | 제21회 | 16팀 | 6년 만에 1스테이지제로 이행 및 챔피언십 폐지.[21] FC 이마바리 J리그 입회. |
2020년 | 제22회 | 16팀 |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리그전 1라운드 풀 리그 변경. 테게바자루 미야자키 J리그 입회. |
2021년 | 제23회 | 16팀 → 17팀 | 이와키 FC J리그 입회. |
2022년 | 제24회 | 17팀 → 16팀 | 나라 클럽, FC 오사카 J리그 입회. |
2023년 | 제25회 | 16팀 → 15팀 | J3・JFL 승강전 도입. FC 가구라 시마네 JFL 퇴회. |
2024년 | 제26회 | 15팀 → 16팀 | 소니 센다이 FC JFL 퇴회. 토치기 시티 FC J리그 입회. 고치 유나이티드 SC J3・JFL 승강전에서 승리하여 J리그 입회,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와 승강전에서 패한 Y.S.C.C. 요코하마 JFL 가맹. |
2. 1. 탄생과 초기 (1999-2005)
1999년,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가 2부제(J1, J2)로 전환하면서 1998년을 끝으로 재팬 풋볼 리그(구 JFL)가 종료되었다. 제7회 재팬 풋볼 리그에 참가했던 팀들 중 J2에 참가하지 않은 7팀과 전년 10월에 일본 축구 협회에 의해 참가가 승인된 요코가와 전기[11]를 포함한 총 8팀으로 '''일본 풋볼 리그'''(JFL)가 발족했다.그 후, 요코하마 FC가 특례로 JFL에서 준회원 자격으로 시작하는 것이 인정되어, 1999년의 제1회 대회는 9팀으로 리그전이 치러졌다.
원년 당시 9개 팀으로 시작한 JFL은, 그 후로도 참가 희망 팀을 받아들여 리그 참가 클럽 수를 꾸준히 늘여왔다.
2000년 제2회 대회에는 미토 홀리호크가 J2 참가로 인해 1팀 줄었으나, 지역 리그에서 4팀이 승격하여 12개 팀 체제가 되었다.
2001년 제3회 대회에는 요코하마 FC의 J2 승격으로 1팀이 줄었지만, 지역 리그에서 5팀이 승격하여 16개 팀으로 리그가 운영되었다.
2002년 제4회 대회에서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영향으로 18개 팀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이 아닌 1회전 단일 리그 경기를 하는 변칙적인 운영을 했다. 이듬해인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다시 16개 팀으로 운영되었다.
초창기 JFL에서는 혼다 FC를 비롯한 여러 아마추어 팀들이 우승 경쟁을 펼쳤다. 특히 혼다 FC는 제3회와 제4회 대회에서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아마추어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
그러나 2003년 제5회 대회에서 우승한 오츠카 FC가 J리그 승격을 목표로 하면서 변화가 시작되었다. 오츠카 FC는 2004년에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J리그 입성에 성공했다.
이후 J리그를 목표로 하는 팀들이 점차 실력을 키우면서 아마추어 팀들의 독주 체제가 무너지기 시작했다.
연도 | 대회 | 참가 팀 수 변화 | 주요 내용 |
---|---|---|---|
1999년 | 제1회 | 9팀 | 구 JFL을 대체하는 새로운 아마추어 전국 리그 시작. 미토 홀리호크 J리그 입회 승인. |
2000년 | 제2회 | 9팀 → 12팀 | 리그전 3라운드 → 2라운드 풀 리그 변경. 요코하마 FC J리그 입회 승인. |
2001년 | 제3회 | 12팀 → 16팀 | 연장 V골 폐지. |
2002년 | 제4회 | 16팀 → 18팀 | 2002 FIFA 월드컵 개최로 리그전 2라운드 → 1라운드 풀 리그 변경(임시 조치). JFL-지역 리그 간 교체 제도 도입. |
2003년 | 제5회 | 18팀 → 16팀 | 지야토코 축구부 JFL 퇴회. |
2004년 | 제6회 | 16팀 | 오츠카 제약 축구부(→도쿠시마 보르티스), 더스파 구사츠 J리그 입회 승인. 고쿠시칸 대학 축구부 JFL 퇴회. |
2005년 | 제7회 | 16팀 | 에히메 FC J리그 입회 승인. |
2. 2. J리그 승격과 리그 변화 (2006-2013)
2006년부터 J리그 참가를 희망하는 클럽이 증가함에 따라, JFL은 기존 16개 팀에서 18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초기 2년간은 요코하마 FC가 구 JFL 시대를 포함하여 최초로 리그 연패를 달성했다. 이후 혼다 FC를 비롯해 사가와큐빈토쿄축구부(佐川急便東京サッカー部), 사가와큐빈오사카축구부(佐川急便大阪サッカー部), YKK축구부(YKKサッカー部, 현・YKK AP 축구부(YKK APサッカー部)), 오츠카FC(大塚FC, 현・도쿠시마 보르티스) 등 아마추어 팀들이 우승 경쟁을 펼쳤다. 특히, 제3회와 제4회 대회에서는 혼다 FC가 2년 연속 우승을 차지하며 JFL 아마추어 팀의 전성기를 이끌었다.이러한 흐름에 변화를 가져온 것은 2003년 제5회 JFL에서 우승한 오츠카FC였다. 오츠카FC는 아마추어 팀 체제를 유지하면서도 2003년에 J리그 승격을 목표로 설정했고, 이듬해인 2004년에는 2년 연속 우승을 달성하며 J리그 입성에 큰 발판을 마련했다.
이 시기부터 J리그를 목표로 하는 팀들이 점차 실력을 키우며 아마추어 팀들의 아성을 무너뜨리기 시작했다. 원칙적으로 해당 연도 JFL 상위 2개 팀은 J리그 참가 의사가 있을 경우 J리그 참가 자격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J리그 참가 의사가 없거나 준회원 자격 클럽이 상위권을 차지할 경우 3위 팀도 자격을 얻는 경우가 있었다 (미토 홀리호크, 자스파구사츠 등).
JFL에서 J리그로 참가한 팀은 1999년 미토 홀리호크와 이듬해 2000년 요코하마 FC로 이어졌으나, 이후 2004년 오츠카FC와 자스파 구사츠가 J리그에 참가하기까지 3년간의 공백이 있었다.
그동안 JFL 상위 클럽 중 J리그 참가를 희망하는 팀이 나타나지 않아 J리그 클럽 수가 고정되는 상황이 이어졌지만, 2004년 도쿠시마 보르티스와 자스파 구사츠가 J리그 승격을 달성하면서 JFL 소속 다른 클럽들 사이에서도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팀들이 기존 JFL 상위권을 점하던 혼다 FC 등 아마추어 팀들의 성적을 넘어서게 되었다. 이는 JFL이 지향하던 아마추어 최고 리그라는 성격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6년부터는 J리그 준가맹 제도가 설치되었고(구 JFL 시대에도 이와 유사한 'J리그 준회원' 제도가 있었다), 2007년부터는 J리그 준가맹 클럽이 JFL 연간 순위 4위 이내에 들 경우 J리그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단, J2 소속 클럽 수가 22개 팀이 될 때까지의 잠정 조치).
2012년에는 J리그 디비전 2와의 승강제가 실시되어 V-바렌 나가사키가 J2로 승격되고 마치다 젤비아가 JFL로 강등되기도 했다.
2014년 J3리그가 창설되면서 JFL에 참가하던 J리그 준가맹 클럽들이 J3에 합류하게 되었고, JFL은 자동적으로 리그 시스템에서 4부 리그에 해당하게 되었다.
2. 3. J3리그 창설과 현재 (2014-현재)
2014년 J3리그가 창설되면서, 일본 풋볼 리그에 참여하고 있던 J리그 준가맹 클럽들이 J3에 참여하게 되었고, 자동적으로 리그 시스템에서 4부 리그에 해당하게 되었다.[17] 프로화를 고려하지 않는 기업, 대학 축구부, 지역 아마추어 클럽 팀에게는 유일한 전국 리그이자 최고 등급의 카테고리가 되었다.J3리그 발족에 따라, JFL 측은 2014년도 리그 참가 클럽 수를 12개 또는 14개 클럽으로 할 방침이라고 보도되었다.[12][13] JFL 참가 클럽 수 확보를 위해 2013년도 성적 하위 클럽의 지역 리그 강등은 실시하지 않고, 제37회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 상위 3개 클럽을 자동 승격시키기로 했다.[14]
이후, JFL에 가맹하는 준가맹 클럽 중 10개 클럽이 J3 라이센스를 취득하면서, JFL은 2014년도 신규 참가 희망 클럽을 모집했다.[16] 홋카이도를 제외한 전국 8개 지역에서 25개 클럽이 가맹 신청을 했고,[16] J3 가맹 클럽의 정식 결정 및 제37회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 12월 4일 JFL 참가 팀이 정식으로 결정되었다.[16]
2013년 11월 7일, JFL은 2014년 시즌 참가 팀 수를 14개로 발표했다.[17] JFL에서 J2·J3로 참가가 결정됨에 따라 10팀이 감소했고, JFL 신규 가입은 6팀이 되었다. 2013년 12월 4일, JFL 승격 팀 6팀이 발표되었다.[18]
2013년, J3리그 출범 전 해에 해당 연도 JFL에 참가한 18개 클럽 중 12개 클럽이 J리그 준가맹을 신청하면서 2014년 JFL 참가 클럽이 6개로 줄어든 것에 대해, JFL의 가토 게이조 전무이사는 "수년 동안은 어려운 운영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19]
2014년 J3리그 출범 이후, 일본 풋볼 리그는 다음과 같은 변화를 겪었다.
- 2014년 (제16회): 참가 팀 감소(18팀 → 14팀), 2시즌제 부활 및 챔피언십 신설, J2・JFL 간의 교체 제도(J2・JFL 승강전) 폐지. 레노파 야마구치 FC J리그 입회.
- 2015년 (제17회): 참가 팀 증가(14팀 → 16팀). SP 교토 FC JFL 퇴회,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FC J리그 입회.
- 2016년 (제18회): 파지아노 오카야마 넥스트 JFL 퇴회, 아술 클라로 누마즈 J리그 입회.
- 2018년 (제20회): 반포레 야마구치 J리그 입회.
- 2019년 (제21회): 6년 만에 1스테이지제로 이행 및 챔피언십 폐지.[21] FC 이마바리 J리그 입회.
- 2020년 (제22회): 코로나바이러스의 영향으로 리그전이 1라운드 풀 리그로 변경, 테게바자루 미야자키 J리그 입회.
- 2021년 (제23회): 참가 팀 증가(16팀 → 17팀). 이와키 FC J리그 입회.
- 2022년 (제24회): 참가 팀 감소(17팀 → 16팀). 나라 클럽, FC 오사카 J리그 입회.
- 2023년 (제25회): J3・JFL 승강전 도입. FC 가구라 시마네 JFL 퇴회, 참가 팀 감소(16팀 → 15팀).
- 2024년 (제26회): 참가 팀 증가(15팀 → 16팀). 소니 센다이 FC JFL 퇴회, 토치기 시티 FC J리그 입회, 고치 유나이티드 SC J3・JFL 승강전에서 승리하여 J리그 입회,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와 승강전에서 패한 Y.S.C.C. 요코하마 JFL 가맹.
3. J리그와의 관계
원칙적으로 해당 연도의 JFL 상위 2개 팀은 J리그 참가 의사가 있을 경우, J리그에 참가할 자격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J리그 참가 의사가 없는 팀이나 준회원 자격 클럽이 상위를 차지한 경우에는 3위라도 자격을 얻는 경우가 있다. (미토 홀리호크, 자스파구사츠 등)[1]
JFL에서 J리그로 참가한 팀은 1999년 미토 홀리호크, 2000년 요코하마 FC로 연속하여 있었으나, 그 후 2004년에 오츠카FC(大塚FC)와 자스파 쿠사츠(ザスパ草津)가 J리그로 참가하게 될 때까지 3년간의 공백이 있었다.
2004년에 도쿠시마 보르티스와 자스파 구사츠가 J리그 승격을 달성하면서, JFL에 소속된 다른 클럽들 사이에서도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팀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이로 인해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는 팀들이 혼다FC 등의 아마추어 팀들의 성적을 능가하게 되었고, 이는 JFL이 지향하던 아마추어 최고 리그의 성격이 변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2006년부터는 J리그 준가맹 제도가 설치되었고(구JFL 시대에도 이와 비슷한 'J리그 준회원'제도가 있었다), 2007년부터는 J리그 준가맹으로 JFL 연간 순위가 4위 이내라면 J리그에 참가할 자격이 주어졌다(단, J2 소속 클럽 수가 22팀이 될 때까지의 잠정 조치).
2012년 J리그 디비전 2와의 승강제 실시로 V-바렌 나가사키가 J2로 승격되고 마치다 젤비아가 일본 풋볼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다.
2014년 J3리그 창설로 일본 풋볼 리그에 참여하고 있던 J리그 준가맹 클럽들이 J3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자동적으로 리그 시스템에서 4부에 해당하는 리그가 되었다. J3 리그가 창설된 2013년 12월에 발표된 공식 문서에 따르면, J3 리그는 J리그의 3부 리그였다. J리그와 비 J리그 아마추어 리그는 서로 다른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J3 리그는 JFL과 동일한 수준으로 평가되었다.[1]
2014년에 J리그의 3부 리그인 J3리그가 발족한 이후, J리그 가맹을 목표로 하는 클럽을 중심으로 세미프로 계약, 즉 클럽으로부터 고정 급여나 승리 수당 등의 개런티를 받으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부업으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클럽을 지원하는 스폰서 기업·단체로의 취업 알선을 받는 사원 선수 등으로 근무하는 선수, 아카데미·스쿨(하부 육성 조직)의 코치 등을 겸임하는 선수가 존재한다.[5]
일본 축구 리그 구성의 최상위 카테고리인 일본 프로 축구 리그(J리그)와 JFL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J리그의 3부에 해당하는 J3리그 발족 시의 2013년 12월 공표 자료에서, J리그와 J리그 이외의 아마추어 리그는 별도의 계층 구조로 한 뒤, J3리그를 JFL과 동격으로 위치를 정하고 있다.[6][7] 또한, JFL 자신도 공식 사이트에서 리그 구성을 나타낸 자료에서 마찬가지의 인식을 하고 있었다.[8] 이것은, 2023년부터 시작되는 J3와 JFL의 승강 제도 도입 시의 레귤레이션에서도 "J리그에 입회" "(J리그) 회원 자격 상실"이라는 표현이 사용되고,[9] "J3로 승격" "JFL로 강등"이라는 표현은 사용되지 않았다.
한편, 2015년 4월에 개정된 J리그의 공표 자료 에서는 "JFL에서 J3로 최대 2개 클럽이 승격합니다" "J3에서의 순위가 좋지 않더라도 JFL로 강등되는 일은 없습니다"라고, JFL을 J3보다 하위의 리그(즉, 4부 리그 상당)로 간주하는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단, 동 자료에서도 J리그와 JFL 이하의 아마추어 카테고리의 계층 구조는 별도라는 점이 명기되어 있다).
4. 경기 방식
일본 풋볼 리그(JFL)는 프로화를 고려하지 않은 아마추어 팀(기업 및 대학 축구부, 지역 아마추어 클럽 팀)에게는 유일한 전국 리그이자 최고 등급의 카테고리이다.
2014년에 J리그의 3부 리그인 J3리그가 발족한 이후, 장래 J리그 가맹을 목표로 하는 클럽을 중심으로 세미프로 계약을 맺는 선수들이 존재한다. 이들은 클럽으로부터 고정 급여나 승리 수당 등의 개런티를 받으면서 경제적인 이유로 부업으로 아르바이트를 하거나, 클럽을 지원하는 스폰서 기업·단체로 취업 알선을 받는 사원 선수 등으로 근무하거나, 아카데미·스쿨(하부 육성 조직)의 코치 등을 겸임하기도 한다.[5]
J3 리그 발족 움직임에 따라, J3 발족 전의 3부 리그인 JFL은 2014년도에 12개 클럽 전후[12] 또는 14개 클럽[13]으로 운영될 방침이라고 보도되었다. JFL 측은 J3 창설로 인해 JFL 운영상 편성이 필요하게 된 경우, 클럽 수의 증감도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JFL 참가 클럽 수 확보를 위해 2013년도 성적 하위 클럽의 지역 리그 강등은 실시하지 않고, 제37회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 상위 3개 클럽을 자동 승격시켰다. 나머지 9개 클럽은 JFL 팀 수가 부족할 경우 4위 이하에서 보충하는 방안도 보도되었다.[14]
이후, JFL에 가맹하는 준가맹 클럽 중 10개 클럽이 J3 라이센스를 취득하면서, JFL은 2014년도 신규 참가 희망 클럽을 지역 리그 이하 클럽을 대상으로 모집했다.[16] 홋카이도를 제외한 전국 8개 지역에서 25개 클럽이 가맹을 신청했다.[16]
2013년 11월 7일, JFL은 2014년 시즌 참가 팀 수를 14개로 발표했다.[17] JFL에서 J2·J3 참가가 결정되면서 10팀이 감소했고, JFL 신규 가입은 6팀으로 결정되었다. 2013년 12월 4일, JFL 승격 팀 6팀이 발표되었다.[18]
JFL에 참가할 수 있는 팀은 JFA(일본 축구 협회)의 제1종 등록 팀(사회인·지역 클럽, 대학 등)이다.
2011년까지는 천황배 출전권 결정 등의 편의상 1회전 풀 리그(17경기)를 전반기와 후반기로 나누었지만, 순위 자체는 연간으로 결정되어 실질적으로는 1시즌제(2회전 풀 리그)였다. 2012년 역시 천황배 출전 결정은 1회 풀 리그 종료 시점(제17절)의 순위로 결정되었지만,[29] 절 수 표기에는 "전반기·후반기"를 사용하지 않고 J리그와 마찬가지로 1년 동안 통틀어 표시(최종은 제34절)했다.
대학교 팀은 구 JFL 시대인 1998년에 국사관 대학 축구부가 시험적으로 참가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1999년 제1회 JFL 개막 이후 대학 축구 연맹의 추천을 받으면 참가할 수 있는 규정이 정해졌다. 국사관 대학, 시즈오카 산업 대학, 류츠케이자이 대학이 참가한 바 있다.
당초 대학교 팀은 사회인 리그와 대학 리그에서 선수의 이중 등록(겸임)이 인정되었지만, 2010년 규약 개정으로 금지되었다. 이 때문에 2010년 시즌 류츠케이자이 대학은 "류츠케이자이 대학 풋볼 클럽"이라는 별도 클럽 팀을 편성해 참가했다. 전국 지역 축구 리그 결승 대회에서도 2009년까지 대학생 팀이 전국 대학 축구 연맹 추천으로 출전할 수 있었지만, 2010년 규약 개정으로 추천 출전이 불가능해졌다.
다만, 전국 대학 축구 연맹에 가맹하지 않고 각지 사회인 연맹에 사회인 팀으로 등록된 동호회나 2군 하부 팀의 참가는 허용되었다. 류츠케이자이 대학 축구부는 드래곤즈 류가사키라는 동호회 팀을 별도로 편성하여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참가시켰다.
2014년 제94회 천황배부터는 시드권이 "전회 천황배에 출전한 아마추어 팀 중 가장 성적이 우수한 팀"으로 변경되어 JFL 소속 팀 한정 시드권이 일시적으로 소멸되었다.[30] 그러나 2015년 제95회[31]부터 2019년 제99회까지 아마추어 시드는 대학과 격년 교체제가 되었다. 2020년 제100회 이후에는 JFL에서 전년도 성적을 기준으로 1팀이 선출된다.
4. 1. 리그 형식
일본 풋볼 리그(JFL)는 1999년(원년)에 9개 팀으로 시작하여 참가 팀을 꾸준히 늘려왔다. 2000년에는 12개 팀, 2001년에는 16개 팀으로 확대되었으며, 2002년에는 2002년 FIFA 월드컵의 영향으로 18개 팀이 1회전 단일 리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6] 2003년부터 2005년까지는 다시 16개 팀으로 운영되었다.2006년부터는 J리그 참가를 희망하는 클럽이 늘어나면서 18개 팀으로 확대되었다. 2008년까지는 시즌 전반기 1위 팀만 천황배에 진출하여 J2 클럽들과 3라운드부터 참가할 수 있었지만, 2010년에는 상위 3개 클럽까지 확대되었다. 2015년에는 전기 리그 우승팀만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4년부터 2018년까지는 아페르투라와 클라우수라 방식을 사용하여 각 단계의 우승팀이 플레이오프에서 챔피언십을 다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019년부터는 다시 단일 리그 테이블에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30경기를 치르는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경기 방식은 90분(전후반 각 45분)이며, 승패가 결정되지 않을 경우 무승부로 처리된다. 승점은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다.[6] 2000년까지는 90분 안에 승부가 나지 않을 경우 V골 방식의 연장전을 실시했으며, 이때의 승점은 "90분 승리 시 3점, 연장전 승리 시 2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었다.
2013년도까지, 그리고 2019년도 이후에는 리그전은 2회전(홈 앤드 어웨이)의 풀 리그 방식으로 1팀당 34경기를 치르며, 최종적으로 승점이 가장 많은 팀이 우승한다. 승점이 동점일 경우에는 "득실차 → 총 득점 → 직접 대결 성적 → 결정전" 순으로 결정한다.
2014년도부터 2018년도까지(2014년도는 14팀, 2015년도부터 2018년도는 16팀)는 2스테이지제로 진행되었다. 퍼스트 스테이지(전반기)·세컨드 스테이지(후반기) 각각 1경기 풀 리그를 실시하고(2014년 시즌은 13경기, 2015년 - 2018년은 15경기), 전후반기를 동일 팀이 우승한 경우에는 그대로 연간 우승, 다른 팀이 우승한 경우에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의 챔피언십(결승전)을 실시한다.
제15회 대회(2013년)까지는 천황배에서 JFL 소속 팀에 대한 "시드권"이 있어, 제17절 종료 시점의 1위 팀은 도도부현 예선이 면제되었다.
4. 2. 승강 제도
원칙적으로 해당 연도의 JFL 상위 2개 팀은 J리그 참가 의사가 있을 경우, J리그에 참가할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다만, J리그 참가 의사가 없거나 준회원 자격이 없는 클럽이 상위권을 차지한 경우에는 3위라도 자격을 얻는 경우가 있다(미토 홀리호크, 자스파구사츠 등).[1]JFL에서 J리그로 참가한 팀은 1999년 미토 홀리호크, 2000년 요코하마 FC로 연속하여 있었으나, 2004년 도쿠시마 보르티스와 자스파 구사츠가 J리그로 참가하기까지 3년간 공백이 있었다.[1]
2006년부터는 J리그 준가맹 제도가 설치되었다(구 JFL 시대에도 이와 비슷한 'J리그 준회원' 제도가 있었다).[1]
2012년 J2리그와의 승강제 실시로 V-바렌 나가사키가 J2로 승격되고 마치다 젤비아가 JFL로 강등되기도 했다.[1]
2014년 J3리그 창설로 JFL에 참여하고 있던 J리그 준가맹 클럽들이 J3에 참여하게 되었으며, 자동적으로 리그 시스템에서 4부에 해당하는 리그가 되었다.[1]
2023년부터 J3와의 승강제가 제도화되었다. JFL 소속 팀이 J리그에 가입하려면 다음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한다.[33]
- J리그 100년 구상 클럽으로 승인을 받는다.
- J리그 측으로부터 (설비, 경영 등에 관한) 심사를 받고, 이에 합격한다.
- JFL 리그전에서 원칙적으로 2위 이상의 성적을 거둔다.
J3와 JFL의 승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42]
- JFL 1위 클럽은 J3에 자동 입회한다. 이 경우 J3 20위 클럽은 JFL에 편입된다.
- JFL 2위 클럽은 J3의 클럽과 J3·JFL 승강전(홈 앤 어웨이 2경기)을 실시하고, 2경기 합계 승자가 J3 입회 또는 잔류한다.
- * JFL 2위 이내에 클럽 라이선스 교부 판정을 받은 팀이 2팀 들어간 경우, 상대는 J3 19위 클럽이다. JFL 1위 클럽이 클럽 라이선스 교부 판정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J3 20위 클럽과의 대결이 된다.
- JFL 1위, 2위 클럽 모두 클럽 라이선스 교부 판정을 받지 못한 경우에는 J3와 JFL의 승강을 실시하지 않는다.
JFL 최하위 팀은 지역 리그로 자동 강등되며, 15위 팀은 전국 지역 축구 챔피언스 리그 2위 팀과 강등/승격 플레이오프를 치른다.[32]
5. 참가 클럽
일본 풋볼 리그는 J리그 참가를 희망하는 팀들과 아마추어 팀들이 함께 경쟁하는 리그이다. 1999년 미토 홀리호크와 2000년 요코하마 FC가 J리그로 승격한 이후, 2004년 도쿠시마 보르티스와 자스파 구사츠가 승격하면서 JFL 내 다른 클럽들도 J리그 참가를 목표로 하게 되었다.
2006년에는 J리그 준가맹 제도가 도입되었고, 2007년부터는 JFL 연간 순위 4위 이내의 준가맹 클럽에게 J리그 참가 자격이 주어졌다(단, J2 클럽 수가 22팀이 될 때까지의 잠정 조치). 2012년에는 V-바렌 나가사키가 J2로 승격하고 마치다 젤비아가 JFL로 강등되는 등 J리그 디비전 2와의 승강제가 실시되기도 했다. 2014년 J3리그 창설로 J리그 준가맹 클럽들이 J3에 참여하면서 JFL은 자동적으로 4부 리그가 되었다.
JFL 클럽은 기업 소속, 독립 클럽, 기업의 2군 팀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2군 팀은 J리그 준회원 자격을 얻을 수 없으며, J리그로 승격할 수 없다.
과거 JFL에 참가했던 클럽들은 현재 J1, J2, J3 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일부 클럽은 해산되거나 다른 리그로 이동하기도 했다.
2025 시즌 일본 풋볼 리그에 참가하는 클럽은 다음과 같다.
클럽명 | JFL 참가 첫 시즌 | JFL 참가 시즌 | 연고지 | JFL 현재 참가 기간 | 최근 우승 | J.리그 진출 자격 기반 |
---|---|---|---|---|---|---|
아스카 FC | 2025 | 0 | 가시하라, 나라현 | 2025– | – | 아니요 |
아틀레티코 스즈카 | 2019 | 6 | 스즈카, 미에현 | 2019– | – | 아니요 |
브리오베카 우라야스 이치카와 | 2016 | 4 | 우라야스, 지바현 | 2023– | – | 아니요 |
크리에이션 신주쿠 | 2022 | 3 | 신주쿠, 도쿄도 | 2022– | – | 예 |
혼다 FC | 1999 | 26 | 하마마츠, 시즈오카현 | 1999– | 2023 | 아니요 |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 | 2025 | 0 | 모리오카, 이와테현 | 2025– | – | 예 |
마루야스 오카자키 | 2014 | 11 | 오카자키, 아이치현 | 2014– | – | 아니요 |
미네베아 미쓰미 | 2005 | 18 | 미야자키, 미야자키현 | 2009– | – | 아니요 |
오키나와 SV | 2023 | 2 | 우루마, 오키나와현 | 2023– | – | 아니요 |
레이락 시가 | 2008 | 17 | 구사쓰, 시가현 | 2008– | – | 예 |
레인미어 아오모리 | 2016 | 9 | 아오모리, 아오모리현 | 2016– | – | 예 |
티아모 히라카타 | 2021 | 4 | 히라카타, 오사카부 | 2021– | – | 아니요 |
베르티엔 미에 | 2017 | 8 | 구와나, 미에현 | 2017– | – | 예 |
베르스파 오이타 | 2012 | 13 | 벳푸, 오이타현 | 2012– | 2020 | 예 |
요코가와 무사시노 | 1999 | 26 | 무사시노, 도쿄도 | 1999– | – | 아니요 |
YSCC 요코하마 | 2012 | 2 | 요코하마, 가나가와현 | 2025– | – | 예 |
- 분홍색 배경은 최근 지역 리그 승격 토너먼트를 통해 승격한 클럽을 나타낸다.
- 회색 배경은 최근 J3에서 강등된 클럽을 나타낸다.
- "J.리그 진출 자격 기반"은 클럽이 J3 리그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실제로 라이선스를 보유한 클럽은 '''굵게''' 표시된다.
- 과거에는 J.리그에 참가하려는 클럽은 100년 구상 멤버십도 획득해야 했으나, 2023년부터는 J.리그 승격을 위해 이 자격이 필수는 아니다.
과거 JFL에 참가했던 클럽들은 현재 J1, J2, J3 리그 등 다양한 리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일부 클럽은 해산되거나 다른 리그로 이동하기도 했다. 과거 참가 클럽 목록은 다음과 같다.
클럽명 | JFL 첫 시즌 | JFL 시즌 수 | 연고지 | JFL 마지막 시즌 | JFL 마지막 우승 | 현재 리그 |
---|---|---|---|---|---|---|
알로스 호쿠리쿠 | 2000 | 8 | 도야마 | 2000–2007 | – | |
아르테 다카사키 | 2004 | 8 | 다카사키 | 2004–2011 | – | |
아줄 클라로 누마즈 | 2014 | 3 | 누마즈 | 2014–2016 | – | J3 |
교토 BAMB 1993 | 2000 | 4 | 교토 | 2000–2004 | – |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2007 | 7 | 아키타 | 2007–2013 | – | J2 |
코발토레 오나가와 | 2018 | 1 | 오나가와 | 2018 | – | |
에히메 FC | 2001 | 5 | 에히메현 | 2001–2005 | 2005 | J3 |
파지아노 오카야마 | 2008 | 1 | 오카야마현 | 2008 | – | J1 |
파지아노 오카야마 넥스트 | 2014 | 3 | 오카야마 | 2014–2016 | – |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 2013 | 1 | 후쿠시마 | 2013 | – | J3 |
가이나레 돗토리 | 2001 | 10 | 돗토리현 | 2001–2010 | 2010 | J3 |
2007 | 1 | 기후현 | 2007 | – | J3 | |
1999 | 1 | 미토 | 1999 | – | J2 | |
FC 이마바리 | 2017 | 3 | 이마바리 | 2017–2019 | – | J2 |
이와키 FC | 2020 | 2 | 이와키 | 2020–2021 | 2021 | J2 |
Jatco SC | 1999 | 5 | 누마즈 | 1999–2003 | – | |
JEF 리저브스 | 2006 | 6 | 이치하라 | 2006–2011 | – |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2014 | 2 | 가고시마 | 2014–2015 | – | J3 |
가구라 시마네 | 2019 | 4 | 마쓰에 | 2019–2022 | – | 해산 |
가마타마레 사누키 | 2011 | 3 | 가가와현 | 2011–2013 | – | J3 |
FC 가리야 | 1999 | 11 | 가리야 | 2021 | – | |
가탈레 도야마 | 2008 | 1 | 도야마현 | 2008 | – | J2 |
고치 유나이티드 | 2020 | 4 | 고치 | 2020–2024 | – | J3 |
고쿠시칸 대학 | 1999 | 6 | 마치다 | 1999–2003 | – | |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 2005 | 5 | 구라시키 | 2005–2009 | – | |
2012 | 2 | 후지에다 | 2012–2013 | – | J2 | |
나라 클럽 | 2014 | 9 | 나라현 | 2014–2022 | 2022 | J3 |
뉴 웨이브 기타큐슈 | 2008 | 2 | 기타큐슈 | 2008–2009 | – | J3 |
FC 오사카 | 2014 | 9 | 히가시오사카 | 2014–2022 | – | J3 |
오쓰카 제약 | 1999 | 6 | 도쿠시마현 | 1999–2004 | 2004 | J2 |
2011 | 3 | 나가노 | 2011–2013 | 2013 | J3 | |
프로페서 미야자키 | 2002 | 1 | 미야자키현 | 2002 | – | |
로소 구마모토 | 2006 | 4 | 구마모토 | 2006–2007 | – | J2 |
레노파 야마구치 | 2014 | 1 | 야마구치 | 2014 | – | J2 |
2006 | 8 | 오키나와현 | 2006–2013 | – | J3 | |
류쓰 게이자이 대학 | 2005 | 6 | 류가사키 | 2005–2010 | – | |
류쓰 게이자이 드래곤스 류가사키 | 2015 | 5 | 류가사키 | 2015-2019 | – | |
2013 | 1 | 사가미하라 | 2013 | – | J3 | |
2002 | 5 | 오사카 | 2002–2006 | – | ||
2001 | 6 | 고토 | 2001–2006 | – | ||
2007 | 6 | 모리야마 | 2007–2012 | 2011 | ||
시즈오카 산업 대학 | 2000 | 3 | 이와타 | 2000–2002 | – | |
소니 센다이 FC | 1999 | 26 | 센다이 | 1999–2024 | 2015 | 해산 |
2003 | 13 | 우지 | 2003–2015 | – |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2018 | 3 | 미야자키 | 2018–2020 | – | J3 |
더스파 구사쓰 | 2004 | 1 | 군마현 | 2004 | – | J2 |
도치기 시티 FC | 2010 | 8 | 도치기 | 2024 | 2024 | J3 |
도치기 SC | 2000 | 9 | 우쓰노미야 | 2000–2008 | – | J3 |
V-파렌 나가사키 | 2009 | 4 | 나가사키현 | 2009–2012 | 2012 | J2 |
반라울레 하치노헤 | 2014 | 5 | 하치노헤 | 2014–2018 | – | J3 |
2010 | 2 | 마쓰모토 | 2010–2011 | – | J3 | |
YKK AP | 2001 | 7 | 구로베 | 2001–2007 | – | |
요코하마 FC | 1999 | 2 | 요코하마 | 1999–2000 | 2000 | J1 |
2009 | 4 | 마치다 | 2013 | – | J1 | |
츠바이겐 가나자와 | 2010 | 4 | 가나자와 | 2010–2013 | – | J3 |
- 분홍색 배경은 가장 최근에 J3로 승격된 클럽을 나타낸다.
5. 1. 2025 시즌 참가 클럽
2025 시즌 일본 풋볼 리그에 참가하는 클럽은 다음과 같다.클럽명 | JFL 참가 첫 시즌 | JFL 참가 시즌 | 연고지 | JFL 현재 참가 기간 | 최근 우승 | J.리그 진출 자격 기반 |
---|---|---|---|---|---|---|
아스카 FC | 2025 | 0 | 가시하라, 나라현 | 2025– | – | 아니요 |
아틀레티코 스즈카 | 2019 | 6 | 스즈카, 미에현 | 2019– | – | 아니요 |
브리오베카 우라야스 이치카와 | 2016 | 4 | 우라야스, 지바현 | 2023– | – | 아니요 |
크리에이션 신주쿠 | 2022 | 3 | 신주쿠, 도쿄도 | 2022– | – | 예 |
혼다 FC | 1999 | 26 | 하마마츠, 시즈오카현 | 1999– | 2023 | 아니요 |
이와테 그루자 모리오카 | 2025 | 0 | 모리오카, 이와테현 | 2025– | – | 예 |
마루야스 오카자키 | 2014 | 11 | 오카자키, 아이치현 | 2014– | – | 아니요 |
미네베아 미쓰미 | 2005 | 18 | 미야자키, 미야자키현 | 2009– | – | 아니요 |
오키나와 SV | 2023 | 2 | 우루마, 오키나와현 | 2023– | – | 아니요 |
레이락 시가 | 2008 | 17 | 구사쓰, 시가현 | 2008– | – | 예 |
레인미어 아오모리 | 2016 | 9 | 아오모리, 아오모리현 | 2016– | – | 예 |
티아모 히라카타 | 2021 | 4 | 히라카타, 오사카부 | 2021– | – | 아니요 |
베르티엔 미에 | 2017 | 8 | 구와나, 미에현 | 2017– | – | 예 |
베르스파 오이타 | 2012 | 13 | 벳푸, 오이타현 | 2012– | 2020 | 예 |
요코가와 무사시노 | 1999 | 26 | 무사시노, 도쿄도 | 1999– | – | 아니요 |
YSCC 요코하마 | 2012 | 2 | 요코하마, 가나가와현 | 2025– | – | 예 |
- 분홍색 배경은 최근 지역 리그 승격 토너먼트를 통해 승격한 클럽을 나타낸다.
- 회색 배경은 최근 J3에서 강등된 클럽을 나타낸다.
- "J.리그 진출 자격 기반"은 클럽이 J3 리그 라이선스를 보유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실제로 라이선스를 보유한 클럽은 '''굵게''' 표시된다.
- 과거에는 J.리그에 참가하려는 클럽은 100년 구상 멤버십도 획득해야 했으나, 2023년부터는 J.리그 승격을 위해 이 자격이 필수는 아니다.
5. 2. 과거 참가 클럽
클럽명 | JFL 첫 시즌 | JFL 시즌 수 | 연고지 | JFL 마지막 시즌 | JFL 마지막 우승 | 현재 리그 |
---|---|---|---|---|---|---|
알로스 호쿠리쿠 | 2000 | 8 | 도야마 | 2000–2007 | – | |
아르테 다카사키 | 2004 | 8 | 다카사키 | 2004–2011 | – | |
아줄 클라로 누마즈 | 2014 | 3 | 누마즈 | 2014–2016 | – | J3 |
교토 BAMB 1993 | 2000 | 4 | 교토 | 2000–2004 | – | |
블라우블리츠 아키타 | 2007 | 7 | 아키타 | 2007–2013 | – | J2 |
코발토레 오나가와 | 2018 | 1 | 오나가와 | 2018 | – | |
에히메 FC | 2001 | 5 | 에히메현 | 2001–2005 | 2005 | J3 |
파지아노 오카야마 | 2008 | 1 | 오카야마현 | 2008 | – | J1 |
파지아노 오카야마 넥스트 | 2014 | 3 | 오카야마 | 2014–2016 | – | |
후쿠시마 유나이티드 | 2013 | 1 | 후쿠시마 | 2013 | – | J3 |
가이나레 돗토리 | 2001 | 10 | 돗토리현 | 2001–2010 | 2010 | J3 |
2007 | 1 | 기후현 | 2007 | – | J3 | |
1999 | 1 | 미토 | 1999 | – | J2 | |
FC 이마바리 | 2017 | 3 | 이마바리 | 2017–2019 | – | J2 |
이와키 FC | 2020 | 2 | 이와키 | 2020–2021 | 2021 | J2 |
Jatco SC | 1999 | 5 | 누마즈 | 1999–2003 | – | |
JEF 리저브스 | 2006 | 6 | 이치하라 | 2006–2011 | – | |
가고시마 유나이티드 | 2014 | 2 | 가고시마 | 2014–2015 | – | J3 |
가구라 시마네 | 2019 | 4 | 마쓰에 | 2019–2022 | – | 해산 |
가마타마레 사누키 | 2011 | 3 | 가가와현 | 2011–2013 | – | J3 |
FC 가리야 | 1999 | 11 | 가리야 | 2021 | – | |
가탈레 도야마 | 2008 | 1 | 도야마현 | 2008 | – | J2 |
고치 유나이티드 | 2020 | 4 | 고치 | 2020–2024 | – | J3 |
고쿠시칸 대학 | 1999 | 6 | 마치다 | 1999–2003 | – | |
미쓰비시 자동차 미즈시마 | 2005 | 5 | 구라시키 | 2005–2009 | – | |
2012 | 2 | 후지에다 | 2012–2013 | – | J2 | |
나라 클럽 | 2014 | 9 | 나라현 | 2014–2022 | 2022 | J3 |
뉴 웨이브 기타큐슈 | 2008 | 2 | 기타큐슈 | 2008–2009 | – | J3 |
FC 오사카 | 2014 | 9 | 히가시오사카 | 2014–2022 | – | J3 |
오쓰카 제약 | 1999 | 6 | 도쿠시마현 | 1999–2004 | 2004 | J2 |
2011 | 3 | 나가노 | 2011–2013 | 2013 | J3 | |
프로페서 미야자키 | 2002 | 1 | 미야자키현 | 2002 | – | |
로소 구마모토 | 2006 | 4 | 구마모토 | 2006–2007 | – | J2 |
레노파 야마구치 | 2014 | 1 | 야마구치 | 2014 | – | J2 |
2006 | 8 | 오키나와현 | 2006–2013 | – | J3 | |
류쓰 게이자이 대학 | 2005 | 6 | 류가사키 | 2005–2010 | – | |
류쓰 게이자이 드래곤스 류가사키 | 2015 | 5 | 류가사키 | 2015-2019 | – | |
2013 | 1 | 사가미하라 | 2013 | – | J3 | |
2002 | 5 | 오사카 | 2002–2006 | – | ||
2001 | 6 | 고토 | 2001–2006 | – | ||
2007 | 6 | 모리야마 | 2007–2012 | 2011 | ||
시즈오카 산업 대학 | 2000 | 3 | 이와타 | 2000–2002 | – | |
소니 센다이 FC | 1999 | 26 | 센다이 | 1999–2024 | 2015 | 해산 |
2003 | 13 | 우지 | 2003–2015 | – | ||
테게바자로 미야자키 | 2018 | 3 | 미야자키 | 2018–2020 | – | J3 |
더스파 구사쓰 | 2004 | 1 | 군마현 | 2004 | – | J2 |
도치기 시티 FC | 2010 | 8 | 도치기 | 2024 | 2024 | J3 |
도치기 SC | 2000 | 9 | 우쓰노미야 | 2000–2008 | – | J3 |
V-파렌 나가사키 | 2009 | 4 | 나가사키현 | 2009–2012 | 2012 | J2 |
반라울레 하치노헤 | 2014 | 5 | 하치노헤 | 2014–2018 | – | J3 |
2010 | 2 | 마쓰모토 | 2010–2011 | – | J3 | |
YKK AP | 2001 | 7 | 구로베 | 2001–2007 | – | |
요코하마 FC | 1999 | 2 | 요코하마 | 1999–2000 | 2000 | J1 |
2009 | 4 | 마치다 | 2013 | – | J1 | |
츠바이겐 가나자와 | 2010 | 4 | 가나자와 | 2010–2013 | – | J3 |
- 분홍색 배경은 가장 최근에 J3로 승격된 클럽을 나타낸다.
6. 역대 우승팀 및 주요 기록
(이바라키)
(가나가와)
(도쿠시마)
(군마)
(에히메)
(구마모토)
(기후)
(토치기)
(도야마)
(오카야마)
(후쿠오카)
(돗토리)
(나가노)
(나가사키)
(가가와)
(나가노)
(가나가와)
(도쿄)
2013
(이시카와)
(아키타)
(오키나와)
(시즈오카)
(후쿠시마)
(야마구치)
(가고시마)
(시즈오카)
(아오모리)
(에히메)
(미야자키)
(후쿠시마)
(나라)
(오사카)
(토치기)
2024
(고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