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케노코시 시게마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1906년 오이타현 우스키시에서 태어난 일본의 축구 선수, 지도자, 행정가이다. 선수 시절에는 도쿄 제국대학 LB와 도쿄 OB 클럽에서 활동하며 1933년 천황배 우승을 이끌었고,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소속으로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34년에는 일본 대표팀 감독을 맡아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코치로 활동하며 일본의 올림픽 축구 첫 승리를 이끌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 대표팀 감독을 역임했다. 1948년에는 일본 축구 협회 이사장에 취임하여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으며, 1980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2005년에는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필리프 트루시에
필리프 트루시에는 프랑스 출신 축구 감독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클럽 및 국가대표팀을 지휘하며 성공과 실패를 모두 경험했으며, 플랫 스리 전술과 젊은 선수 기용을 특징으로 하지만 독선적인 리더십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나가누마 겐
나가누마 겐은 일본의 축구 선수, 감독, 행정가로, 선수로서는 올림픽에 출전하고, 감독으로서는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으며, 행정가로서 일본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 오이타현 출신 축구 선수 - 후지타 마사토
후지타 마사토는 일본의 전 축구 선수로, J리그 여러 구단에서 활약하며 2013년 J리그컵 우승에 기여했고 현재는 가시와 레이솔 U-18팀 감독으로 지도자 생활을 하고 있다. - 오이타현 출신 축구 선수 - 니시카와 슈사쿠
니시카와 슈사쿠는 J1리그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서 골키퍼로 활약하며 J리그 통산 600경기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오이타 트리니타와 산프레체 히로시마를 거쳐 J1리그 및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에 기여한 일본 국가대표 축구 선수이다.
다케노코시 시게마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다케노코시 시게마루 (竹腰 重丸) |
출생일 | 1906년 2월 15일 |
출생지 | 일본, 오이타현, 우스키시 |
사망일 | 1980년 10월 6일 |
사망지 | 일본, 도쿄도, 분쿄구 |
포지션 | 미드필더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1922–1924: 야마구치 고등학교 1925–1929: 도쿄 제국대학 |
프로 클럽 | 1930–????: 도쿄 제국대학 LB ????: 도쿄 OB 클럽 |
국가대표 경력 | |
국가대표팀 | 일본 |
국가대표 출전 | 5회 |
국가대표 득점 | 1골 |
국가대표 기간 | 1925–1930 |
감독 경력 | |
감독 | 1934: 일본 1938–1940: 일본 1951–1956: 일본 1958–1959: 일본 |
수상 | |
팀 | 도쿄 OB 클럽 |
대회 | 천황배 |
우승 | 1933년 |
2. 선수 경력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선수 시절 일왕배 우승(1933년), 극동 선수권 대회 준우승(1927년) 및 공동 우승(1930년) 등 뛰어난 활약을 펼쳤다. 1925년부터 1930년까지 국가대표로 활동하며 5경기에 출전해 1골을 기록했다.[1]
2. 1. 클럽 경력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1906년 2월 15일 일본 오이타현 우스키시에서 태어났다. 야마구치 고등학교, 도쿄 대학을 졸업하고 1930년 도쿄 대학 LB팀에 입단했다. 1932년 도쿄 OB 클럽으로 이적했으며, 1933년 일왕배 우승을 이끌었다. 데시마 시로, 마쓰마루 테이이치와 함께 도쿄 OB 클럽의 일왕배 우승 주역으로 활동했다.[1]2. 2. 국가대표팀 경력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1925년 5월 20일 대만과의 극동 선수권 대회 경기에서 국제 경기 데뷔전을 치렀다.[1] 도쿄 제국 대학 학생 시절 마닐라에서 열린 1925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로 참가했다.[4]이후 1927년 상하이에서 열린 1927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고, 8월 29일 필리핀을 상대로 골을 넣어 일본의 국제 A매치 첫 승리에 기여했다.[1]
1930년 도쿄에서 열린 1930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 주장으로 출전하여 일본을 공동 우승으로 이끌었고, 이후 국가대표팀 유니폼을 반납했다. 1930년까지 일본 대표팀에서 5경기에 출전하여 1골을 기록했다.[1]
No. | 개최일 | 개최 도시 | 경기장 | 상대팀 | 결과 | 감독 | 대회 |
---|---|---|---|---|---|---|---|
1 | 1925년 5월 20일 | 마닐라 | 중화민국 | ●0-2 | 야마다 고로 | 극동 선수권 대회 | |
2 | 1927년 8월 27일 | 상하이 | 중화민국 | ●1-5 | 극동 선수권 대회 | ||
3 | 1927년 8월 29일 | 상하이 | 필리핀 | ○2-1 | 극동 선수권 대회 | ||
4 | 1930년 5월 25일 | 도쿄도 |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 | 필리핀 | ○7-2 | 스즈키 시게요시 | 극동 선수권 대회 |
5 | 1930년 5월 29일 | 도쿄도 | 메이지 신궁 외원 경기장 | 중화민국 | △3-3 | 극동 선수권 대회 |
1934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아 극동 선수권 대회에서 팀을 이끌었다.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코치를 맡았다. 1938년부터 1940년까지 다시 일본 대표팀 감독이 되어 일만화 교환 경기 대회와 기원 2600년 봉축 동아 경기 대회에서 대표팀을 이끌었다.
3. 지도자 경력
3. 1. 1936년 베를린 올림픽
1934년 극동 선수권 대회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고, 193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시게요시 스즈키 감독 아래 코치로 활동했다. 일본은 강호 스웨덴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었는데, 이는 일본의 첫 올림픽 축구 승리였으며, 이후 일본에서 "베를린의 기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8강에서 1934년 FIFA 월드컵 챔피언 이탈리아에 0-8로 대패하며 대회를 마감했다.[3] 2016년, 이 팀은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2. 전후 지도자 경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51년 다케노코시는 일본 대표팀 감독을 다시 맡아,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한국과의 2경기에서 1무 1패를 기록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5] 이후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 팀을 이끌었으나 2전 전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5] 1956년 하계 올림픽에서는 주심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1958년 다시 일본 대표팀 감독으로 복귀하여 1960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팀을 이끌었으나,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한 직후 감독직에서 물러났다.[5]
1948년 일본 축구 협회 이사장에 취임하여 전후 일본 축구 부흥에 힘썼으며, 1974년에는 노즈 겐 협회 회장과 함께 일본 축구 협회의 재단 법인화를 실현했다.[5]
1980년 10월 6일, 도쿄도 분쿄구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5] 2005년,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3. 3. 1960년 로마 올림픽 예선 탈락
1958년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다시 일본 대표팀 감독에 취임하여 1960년 로마 올림픽 축구 예선에 도전했지만, 대한민국 대표팀에 패하여 올림픽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5] 이 직후 다케노코시는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4. 행정가 경력
1948년 일본 축구 협회 이사장에 취임하여, 전후 일본 축구 부흥에 힘썼다.[5]
1951년 일본 대표팀 감독으로 취임하여 1954년 FIFA 월드컵 예선, 아시안 게임 등에서 대표팀을 지휘했다. 1956년에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 축구 예선을 통과시켜 본 대회에 출전했다.[5]
1958년 다시 일본 대표팀 감독에 취임했다. 1959년 말 1960년 로마 올림픽 축구 예선에 도전했지만, 대한민국 대표팀에 패배하여 출전권을 놓쳤다.[5]
이후 나가누마 겐, 오카노 슌이치로 등 젊은 세대 지도자에게 대표팀을 맡기고, 자신은 오랫동안 일본 축구 협회 이사직을 맡았다. 1974년 노즈 겐 협회 회장과 함께 일본 축구 협회의 재단 법인화를 실현했다.[5]
5. 사망
1980년 10월 6일, 도쿄도 분쿄구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5] 사후 2005년에 설립된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다.
6. 수상 내역
다케노코시 시게마루는 선수 시절과 감독 시절, 그리고 기타 수상 내역을 포함하여 다음과 같은 경력을 가지고 있다.
=== 선수 ===
=== 기타 ===
수상 |
---|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 2005년 헌액[2] |
람수포장 (1967년) |
훈3등 서보장 (1976년) |
6. 1. 선수
6. 2. 기타
수상 |
---|
일본 축구 명예의 전당: 2005년 헌액[2] |
람수포장 (1967년) |
훈3등 서보장 (1976년) |
참조
[1]
웹사이트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2]
웹사이트
TAKENOKOSHI Shigemaru
https://www.jfa.jp/e[...]
2024-04-24
[3]
웹사이트
竹腰重丸を育てた町、臼杵
https://news.livedoo[...]
2013-05-28
[4]
웹사이트
第7回極東選手権大会
http://samuraiblue.j[...]
2016-09-22
[5]
뉴스
朝日新聞
1980-1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