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안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안경은 한쪽 눈으로만 볼 수 있도록 설계된 소형 망원경으로, 배율과 대물렌즈 직경으로 크기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4배에서 10배 사이의 배율을 가지며, 8배율이 가장 일반적이다. 단안경은 쌍안경과 유사한 설계 고려 사항을 가지며, 프리즘 종류, 렌즈 코팅, 출사동, 시야, 방수 기능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초점 조절 방식은 다양하며, 제품 사양에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특수한 기능을 가진 단안경으로는 나침반 내장, 야간 투시, 갤러리 스코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쌍안경 - 스포팅 스코프
    스포팅 스코프는 케플러식 망원경에 프리즘을 더해 지상 관측에 용이하도록 정립상을 제공하는 단안 망원경으로, 조류 관찰, 사격 등 원거리의 대상을 정밀하게 관찰하는 데 쓰이며, 망원 촬영이 가능한 디지스코프 형태로도 활용된다.
  • 쌍안경 - 십자선
    십자선은 조준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선으로, 스코프와 밀접하며 듀플렉스 형태가 널리 쓰이고, 망원 조준경 초점면에 따라 구분되며, 시준 십자선은 비확대 광학 장치에 사용되고, 과거에는 거미줄이 재료로 쓰였다.
  • 하이킹 장비 - 얼음 도끼
    얼음 도끼는 등산 및 빙벽 등반에 사용되는 도구로, 헤드, 샤프트, 스파이크로 구성되며, 알펜슈토크에서 유래되어 등반 보조 및 자기 체포 수단으로 사용되며, 1978년 국제 산악 연맹 안전 표준 제정으로 현대적 형태가 정립되었다.
  • 하이킹 장비 - 각반
    각반은 발목과 다리를 보호하기 위해 착용하는 의류의 일종으로, 군사적 기원을 가지며 군대, 야외 활동, 승마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 보조과학기술 - 점자
    점자는 루이 브라이유가 개발한 시각 장애인용 촉각 문자 체계로, 6점 점자를 사용하여 133개 이상의 언어에 적용되었으며, 교육, 정보 접근, 사회 참여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하지만 문해력 저하와 교육의 어려움이라는 과제도 안고 있다.
  • 보조과학기술 - 클로즈드 캡션
    클로즈드 캡션은 시청자가 선택하여 활성화할 수 있는 자막 기술로, 청각 장애인과 외국어 학습자 등을 위해 대화 내용, 화자 정보, 음향 효과 등을 텍스트로 제공하며, 텔레비전을 시작으로 다양한 미디어에서 활용된다.
단안경

2. Monocular sizes (단안경 크기)

쌍안경망원경과 마찬가지로, 단안경은 주로 배율과 대물렌즈 직경이라는 두 가지 매개변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8×30은 배율이 8이고 대물렌즈 직경이 30mm임을 의미한다. 배율은 멀리 있는 물체를 눈으로 볼 때보다 몇 배 더 크게 보이게 하는지를 나타낸다. 현대의 단안경은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4배율에서 10배율 사이가 대부분이지만, 이 범위를 벗어나는 특수 장치도 있다. 대물렌즈 직경은 보통 20mm에서 42mm 사이이다.

대부분 8배율이 가장 일반적이고 인기가 많다. 8배율은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며, 삼각대 없이도 안정적으로 들고 있기 쉽다. 또한 시야가 비교적 넓어 멀리 있는 물체를 찾고 추적하기 쉽다. 더 먼 거리를 관찰할 때는 10배율이나 12배율이 더 좋을 수 있지만, 배율이 높아지면 시야와 밝기가 저하된다.

단안경과 망원경의 경계는 명확하지 않지만, 망원경은 일반적으로 20배 이상의 고배율과 60~90mm 정도의 더 큰 대물렌즈 직경을 가진다. 망원경은 단안경보다 무겁고 부피가 크며, 고배율 때문에 보통 삼각대가 필요하다. 가장 인기 있는 단안경 크기는 7×25, 8×20, 8×30, 8×42, 10×42와 같이 인기 있는 쌍안경과 유사하다.

Opticron의 최고 사양 8× 단안경 – 8×42 DBA

2. 1. 일반적인 배율

쌍안경 및 망원경과 마찬가지로, 단안경은 주로 배율과 대물렌즈 직경, 이 두 가지 매개변수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8×30은 배율이 8이고 대물렌즈 직경이 30mm(눈에서 가장 먼 렌즈)임을 의미한다. 8배율은 멀리 있는 물체를 눈으로 볼 때보다 8배 더 크게 보이게 한다. 현대의 단안경은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대부분 4배율에서 10배율 범위에 있지만,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는 특수 장치도 있다. 가변 배율(줌)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지만, 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고급 단안경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대물렌즈 직경은 보통 20mm~42mm이다. 저렴한 소형 단안경에서 "39×95"와 같이 숫자 값이 느슨하고 부정확하게 적용되는 일부 단안경 사양을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광학 매개변수가 아니라 실제 크기를 나타낼 가능성이 더 크다.

대부분의 용도에 가장 일반적이고 인기 있는 배율은 8배율이다. 이는 많은 상황에서 사용 가능한 배율이며, 삼각대나 모노포드 없이도 안정적으로 들고 있기 비교적 쉽다. 이 배율에서는 시야가 비교적 넓어 멀리 있는 물체를 찾고 추적하기가 더 쉽다. 더 먼 거리에서 관찰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안경을 안정적으로 들 수 있다면 10배율 또는 12배율이 더 좋다. 그러나 배율을 높이면 시야와 물체의 상대적인 밝기가 저하된다. 매우 높은 숫자 배율은 이론적으로 인상적이지만, 실제로는 휴대용 단안경의 경우 시야가 매우 좁고, 이미지 밝기가 떨어지며, 손으로 들고 이미지를 고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거의 좋은 선택이 아니다. 대부분의 진지한 사용자는 8배율 또는 10배율이 왜 그렇게 인기 있는지 결국 깨닫게 될 것이며, 최고급 현장용 단안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배율이다.

단안경이 끝나고 망원경이 시작되는 지점은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망원경은 일반적으로 고배율(>20배)에 해당하는 더 큰 대물렌즈 직경(예: 60~90mm)으로 사용된다. 망원경은 단안경보다 훨씬 무겁고 부피가 크며 훨씬 비싸고, 고배율로 인해 일반적으로 삼각대가 필요하다. 가장 인기 있는 단안경 크기는 인기 있는 쌍안경을 모방한다. (예: 7×25, 8×20, 8×30, 8×42, 10×42)

2. 2. 대물렌즈 직경

쌍안경 및 망원경과 마찬가지로, 단안경은 주로 두 가지 매개변수, 즉 배율과 대물렌즈 직경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8×30은 배율이 8이고 대물렌즈 직경이 30mm(눈에서 가장 먼 렌즈)임을 의미한다. 8배율은 먼 물체를 눈으로 볼 때 8배 더 크게 보이게 한다. 현대의 단안경은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대부분 4배율에서 10배율 범위 내에 있지만, 이러한 한계를 벗어나는 특수 장치도 있다. 가변 배율 또는 줌이 제공되는 경우도 있지만, 단점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고급 단안경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대물렌즈 직경은 일반적으로 20mm~42mm이다. 저렴한 소형 단안경에서 "39×95"와 같이 숫자 값이 느슨하고 부정확하게 적용되는 일부 단안경 사양을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는 광학 매개변수가 아니라 실제 크기를 나타낼 가능성이 더 크다.[1]

2. 3. 주의할 점

일부 단안경 사양을 해석할 때는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저렴한 소형 단안경에서 "39×95"와 같이 숫자 값이 느슨하고 부정확하게 적용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광학 매개변수가 아니라 실제 크기를 나타낼 가능성이 더 크다.[1]

대부분의 경우 가장 일반적이고 인기 있는 배율은 8배율이다. 8배율은 많은 상황에서 유용하며, 삼각대나 모노포드 없이도 안정적으로 들고 있기가 비교적 쉽다. 또한 이 배율에서는 시야가 비교적 넓어 먼 물체를 찾고 추적하기가 더 용이하다. 더 먼 거리에서 관찰하는 경우, 사용자가 단안경을 안정적으로 들 수 있다면 10배율 또는 12배율이 더 좋을 수 있다. 그러나 배율을 높이면 시야와 물체의 상대적인 밝기가 저하된다.[1]

매우 높은 숫자 배율은 이론적으로는 인상적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휴대용 단안경의 경우 시야가 매우 좁고 이미지 밝기가 떨어지며 손으로 들고 이미지를 고정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 아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8배율 또는 10배율이 최상의 절충안이며, 최고급 현장용 단안경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배율임을 알게 될 것이다.[1]

3. Design (설계)

단안경의 설계는 기본적으로 쌍안경의 설계와 유사하지만, 몇 가지 추가적인 고려 사항이 있다.


  • 일반 구조: 재질(금속, 플라스틱), 본체 코팅 유형, 방호 본체 보호(충격과 손상 방지), 렌즈 보호/커버(통합형 또는 분리형) 등이 있다.
  • 방수/방습 기능: 대부분의 단안경은 방수 또는 방습 기능을 갖추고 있다.
  • 아이 릴리프: 안경 착용자에게 중요하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긴 아이 릴리프(LER)를 제공하는 단안경은 안경 착용자가 더 넓고 편안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두 8× 단안경의 접안렌즈 지름 비교. 왼쪽은 1980년대 디자인(작은 접안렌즈, 짧은 아이 릴리프), 오른쪽은 2016년 제품(큰 접안렌즈, 긴 아이 릴리프).

  • 초점 조절 메커니즘: 단안경은 쌍안경과 달리 다양한 초점 조절 방식을 사용한다.
  • 본체 주변 큰 노브형 조절 링: 가장 일반적이나 두 손이 필요하고 빠른 조절이 어렵다.[4]
  • 접안렌즈 근처 작은 조절 링: 두 손이 필요하고 회전식 접안컵과 간섭될 수 있다.[5]
  • 작은 외부 조절 휠: 한 손으로 편리하고 빠르지만, 고품질 단안경에는 드물다.[6]

Asika 8×42와 Visionary 12×50의 상단 휠 초점 조절 장치

  • 작은 조절 레버: 빠르지만 뻑뻑하고 민감할 수 있다.[7]

Opticron Trailfinder 8×25의 초점 조절 레버

  • 슬라이딩 버튼: 빠르지만 민감하다.[8]

Eschenbach 6×16의 슬라이딩 초점 버튼

  • 상단 토글 조절: 빠르지만 미세 조정이 어렵다.[9]
  • 대물렌즈 주변 큰 노브형 링: Minox 8x25 Macroscope 고유 기능.[10]
  • "듀얼 초점": 저가형 단안경에서 주장하는 방식으로, 기술적 이점은 없다.
  • 줌 또는 가변 배율: 최고급 장치에서는 광학 품질과 시야 저하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3. 1. 프리즘 종류

단안경은 포로 프리즘 또는 루프 프리즘을 사용한다.[2]

3. 2. 렌즈 및 프리즘 코팅

렌즈 및 프리즘 코팅의 품질은 광선 투과율과 이미지 밝기에 큰 영향을 미치며, 최고 사양일수록 가격이 비례하여 높아진다.[2][3]

3. 3. 출사동공 (Exit Pupil)

출사동은 대물렌즈의 지름을 배율로 나눈 값(mm 단위)으로, 쌍안경과 같은 개념이다. 출사동이 클수록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 투과율이 높아진다. 저배율의 대구경 대물렌즈는 광선 투과율이 좋으며,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 중요하다. 예를 들어, 8×40 단안경의 출사동 지름은 5mm이며, 7×50 해양용 단안경은 7.1mm의 큰 출사동 지름과 적절한 배율을 가져 저조도 조건에 이상적이다.[2][3]

하지만 출사동은 사람 눈의 동공 지름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 기기의 출사동이 눈의 동공보다 크면, 눈이 광선 유입을 제한하여 추가적인 집광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나이가 들수록 눈의 동공 확장 범위가 감소하므로, 이 점을 고려하여 단안경을 선택해야 한다.

3. 3. 1. 나이와 동공 크기

출사동은 대물렌즈의 지름을 배율로 나눈 값(mm 단위)이다. 예를 들어 8×40 단안경의 경우 출사동 지름은 5mm이다. 출사동이 클수록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 투과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저배율의 대구경 대물렌즈는 광선 투과율이 좋으며, 특히 어두운 환경에서 중요하다. 고전적인 7×50 해양용 쌍안경이나 단안경은 7.1mm의 비교적 큰 출사동 지름과, 이동하는 배에서 실용적인 배율을 가지고 있어 저조도 조건에 이상적이다.[2][3]

하지만 출사동은 사람 눈의 동공 지름과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선택한 기기의 출사동이 사람 눈의 동공보다 크면 눈이 광선 유입의 제한 요소가 되므로 이점이 없다. 사실상 추가적인 집광 잠재력은 낭비되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사람 눈의 동공 확장 범위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평균 눈 동공 지름 변화 (나이 대비)
나이
(세)

동공 (mm)

동공 (mm)
204.78
304.37
403.96
503.55
603.14.1
702.73.2
802.32.5


3. 4. 황혼계수 (Twilight Factor)

황혼계수(Twilight Factor영어)는 배율 및 대물렌즈 지름과 관련이 있으며, 저조도 조건에서 '세부 사항'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하지만, 황혼계수가 밝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2]

3. 5. 투과율 (Transmission)

투과율(Transmission영어)은 단안경을 통과하는 광선의 백분율을 나타내며, 밝기를 나타낸다. 고품질 기기에서는 90%가 넘는 투과율을 보인다.[2] 광선 투과율은 렌즈 및 프리즘의 코팅 품질에 큰 영향을 받으며, 최고 사양일수록 비용이 더 많이 든다.[3]

출사동이 클수록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 투과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저배율의 대구경 대물렌즈는 광선 투과율이 좋으며, 특히 어두운 조건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출사동은 사람 눈의 동공 지름과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선택한 기기의 출사동이 사람 눈의 동공보다 크면 눈이 광선 유입의 제한 요소가 되므로 이점이 없다. 나이가 들면서 사람 눈의 동공 확장 범위가 감소하므로, 이 점을 고려해야 한다.

평균 눈 동공 지름 변화 (나이 대비)
나이 (세)낮 동공 (mm)밤 동공 (mm)
204.78
304.37
403.96
503.55
603.14.1
702.73.2
802.32.5


3. 6. 시야 (Field of View)

단안경의 시야(FOV)는 넓은 파노라마를 볼 수 있게 해주며, 터널을 내려다보는 것처럼 답답한 느낌을 주지 않아 중요하다. 시야와 배율은 서로 관련되어 있는데, 배율이 감소하면 시야가 증가하고, 배율이 증가하면 시야가 감소한다. 이는 단안경, 쌍안경, 망원경에 모두 적용된다. 그러나 이 관계는 광학 설계 및 제조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3. 6. 1. 시야와 배율의 관계

시야(FOV)와 배율은 서로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즉, 배율이 감소하면 시야가 증가하고, 배율이 증가하면 시야가 감소한다. 이는 단안경, 쌍안경, 망원경 모두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하지만 이 관계는 광학 설계 및 제조 기술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아래 차트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시야와 배율 간의 관계를 보여준다.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시야(m @ 1000m) 대 배율 차트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쌍안경이 단안경보다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동일한 사양과 제조업체의 동일한 모델이라면 단안경이든 쌍안경이든 시야는 동일하다.

3. 7. 방수/방습 기능

대부분의 단안경은 방수 또는 방습 기능을 갖추고 있다. 야외 활동 시 습기나 물기로부터 단안경을 보호하여 수명을 연장하고 성능 저하를 막는 중요한 기능이다.[2][3]

3. 8. 일반 구조

단안경의 기본 설계는 대부분 쌍안경과 같지만, 몇 가지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 주요 고려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프리즘 종류: 포로 프리즘 또는 루프 프리즘을 사용한다.
  • 렌즈 및 프리즘 코팅: 코팅 품질은 빛 투과율과 이미지 밝기에 큰 영향을 미치며, 고급 사양일수록 가격이 비싸다.
  • 출사동: 대물렌즈 지름을 배율로 나눈 값(mm)이다. 예를 들어 8×40 단안경의 출사동 지름은 5mm이다. 출사동이 클수록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많아지므로, 저배율 대구경 대물렌즈는 특히 어두운 곳에서 유리하다. 7×50 해양용 쌍안경/단안경은 7.1mm의 큰 출사동 지름과 적절한 배율을 가져 저조도 환경에 적합하다. 하지만 출사동은 사람 눈의 동공 크기와 관련지어 생각해야 한다. 기기의 출사동이 눈의 동공보다 크면 눈이 빛을 받아들이는 데 제한 요소가 되어 추가적인 집광 능력이 낭비된다. 나이가 들면서 눈의 동공 확장 범위가 줄어든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2][3]


평균 눈 동공 지름 변화 (나이 대비)
나이 (세)낮 동공 (mm)밤 동공 (mm)
204.78
304.37
403.96
503.55
603.14.1
702.73.2
802.32.5


  • 황혼계수: 배율 및 대물렌즈 지름과 관련 있으며, 저조도에서 세부 사항을 보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밝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님)
  • 투과율: 단안경을 통과하는 빛의 비율(%)이며, 밝기를 나타낸다. 고품질 기기는 90% 이상이다.
  • 시야: 넓은 시야는 파노라마처럼 볼 수 있게 해주며, 터널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줄여준다.


시야(FOV)와 배율은 반비례 관계이다. 단안경, 쌍안경, 망원경 모두 해당된다. 하지만 광학 설계 및 제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래 차트는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야와 배율의 관계를 보여준다. 같은 사양과 제조사의 단안경과 쌍안경은 시야가 동일하다.

  • 방수/방습 기능
  • 일반 구조: 재질(금속, 플라스틱), 본체 코팅 종류
  • 방호 본체 보호: 충격과 손상 방지
  • 렌즈 보호/커버: 통합형 또는 분리형
  • 아이 릴리프: 안경 착용자에게 중요하지만 간과되는 경우가 많다. 배율, 대물렌즈 지름, 시야는 단안경 본체에 표시되지만, 아이 릴리프는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긴 아이 릴리프" 또는 "LER"로 표시되는 경우 제외). 초기 광학 기기는 아이 릴리프가 짧았지만(10mm 미만), 최근에는 15mm 이상, 이상적으로는 20mm에 가까운 것이 좋다. 아이 릴리프가 너무 짧으면 시야가 제한될 수 있다. 접안렌즈 지름이 크면 아이 릴리프 확보에 도움이 된다. 아래 사진은 1980년대 디자인(왼쪽, 작은 접안렌즈(11mm), 짧은 아이 릴리프(<10mm))과 2016년 제품(오른쪽, 큰 접안렌즈(24mm), 긴 아이 릴리프(~15mm))을 비교한 것이다.


단안경에서 특히 중요한 두 가지 추가 측면:

  • 초점 조절 메커니즘:


쌍안경은 주로 양쪽 동시에 작동하는 중앙 휠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일부 대형 관찰용 쌍안경이나 구형 디자인은 각 접안렌즈에 개별 초점 조절 기능이 있다. 단안경은 다양한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며, 각각 장단점이 있다.

  • 단안경 본체 주변 큰 노브형 초점 조절 링[4]
  • 접안렌즈 근처 작은 초점 조절 링[5]
  • 단안경 옆/위쪽 작은 외부 초점 조절 휠[6]
  • 작은 초점 조절 레버[7]
  • 슬라이딩 초점 버튼[8]
  • 단안경 상단 토글 초점 조절 메커니즘[9]
  • 대물렌즈 주변 큰 노브형 링[10]
  • "듀얼 초점" – 초점 조절 링 두 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본체 주변 초점 조절 링이다. 소형이지만 두 손이 필요하고 빠른 초점 조절이 어렵다. 접안렌즈 근처 작은 링도 두 손이 필요하며, 회전식 접안컵과 간섭할 수 있다. 작아서 장갑 착용 시 불편할 수 있다. 초점 조절 휠은 고품질 단안경에는 잘 사용되지 않지만, 저가형 제품에서 인기가 많다. 부피가 커지지만 한 손으로 편리하게 초점 조절이 가능하며 빠르고 부드럽다. 초점 조절 레버는 Opticron Trailfinder 등에 사용된다.[7] 빠르지만 뻑뻑하고 민감할 수 있으며 두 손이 필요하다. Minox 등은 슬라이더 버튼을 사용하는데, 빠르지만 민감하다.[8] 토글 초점 조절 방식은 드물게 사용되며(예: Carson Bandit 8×25[9]), 빠르지만 미세 조정이 어렵다. 대물렌즈 주변 노브형 링은 Minox 8×25 Macroscope의 고유 기능으로 빠른 초점을 제공한다.[10] "듀얼 초점"은 저가형 단안경에서 주장하는 방식으로, 실제 기술적 이점은 없다.

  • 줌 또는 가변 배율:


줌 배율은 가능하지만, 최고급 장치에서는 광학 품질과 시야 저하로 인해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줌 시스템은 카메라에 널리 사용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줌 시스템은 최고급 스포팅 스코프[12]에 한정되며 가격이 매우 비싸다. 일부 저가 제조사에서 줌 단안경을 제공하지만, 극단적인 배율 범위와 좁은 시야를 가진 경우가 많다.

3. 9. 아이 릴리프 (Eye Relief)

아이 릴리프(Eye relief영어)는 안경 착용자에게 특히 중요하지만, 단안경 사양에서 종종 간과되는 요소이다. 배율, 대물렌즈 지름, 시야 등은 단안경에 표시되지만, 아이 릴리프는 "긴 아이 릴리프"(LER)라고 표시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과거 광학 기기들은 아이 릴리프가 10mm 미만으로 짧았지만, 최근에는 설계가 개선되어 더 길어졌다. 안경 착용자는 최소 15mm, 가능하다면 20mm에 가까운 아이 릴리프가 필요하다. 아이 릴리프가 너무 짧으면 시야가 제한될 수 있으므로, 스펙상 시야가 넓더라도 아이 릴리프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으면 그 장점을 누리기 어렵다. 접안 렌즈의 지름이 크면 아이 릴리프 확보에 도움이 될 수 있다.[2]

3. 9. 1. 접안렌즈 지름과 아이 릴리프

아이 릴리프(Eye relief영어)는 완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눈이 접안 렌즈에서 얼마나 떨어져 있어야 하는지를 나타내는 거리이다. 안경 착용자에게 특히 중요하지만 종종 간과되는 요소이다. 배율, 대물렌즈 지름, 시야(도 또는 m @1000m 단위)는 종종 단안경 본체에 표시되지만, 아이 릴리프는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 ("긴 아이 릴리프" 또는 "LER"라고 표시되는 경우 제외). 초기 광학 기기는 아이 릴리프가 짧았지만(10mm 미만), 최근 설계는 훨씬 더 나아졌다. 안경 착용자에게는 최소 15mm, 이상적으로는 20mm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2] 접안렌즈 지름은 좋은 아이 릴리프를 크게 도울 수 있다.

위 사진은 두 개의 8× 단안경을 비교한 것이다. 왼쪽의 것은 1980년대 디자인의 전형적인 것으로 비교적 작은 접안렌즈 지름(11mm)과 아이 릴리프(<10mm)가 특징이다. 오른쪽 것은 2016년 제품으로 비교적 큰 접안렌즈 지름(24mm)과 아이 릴리프(~15mm)가 특징이다. 이 큰 접안렌즈는 아이 릴리프를 돕는 것 외에도 더 넓은 시야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2]

3. 10. 초점 조절 메커니즘

쌍안경과 단안경의 중요한 차이점은 초점 조절 시스템에 있다. 오늘날 쌍안경은 거의 보편적으로 양쪽을 동시에 작동하는 중앙 휠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부 대형 관찰용 쌍안경과 일부 구형 디자인에는 각 접안렌즈에 개별 초점 조절 기능이 있다. 그러나 단안경은 다양한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며, 모두 장단점이 있다.

단안경의 초점 조절 방식은 다음과 같다:

  • 단안경 본체 주변의 큰 노브형 초점 조절 링[4]
  •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초점 조절 링[5]
  • 단안경 옆이나 위쪽에 있는 작은 외부 초점 조절 휠[6]

  • 작은 초점 조절 레버[7]

  • 슬라이딩 초점 버튼[8]

  • 단안경 상단의 토글 초점 조절 메커니즘[9]
  • 대물렌즈 주변의 큰 노브형 링[10]
  • "듀얼 초점" – 초점 조절 링이 두 개 있는 경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본체 주변의 초점 조절 링이다. 이것은 장치의 소형성을 유지하지만 작동에는 두 손이 필요하며 특히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일부 장치에서는 링 작동이 뻑뻑할 수 있다.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링은 일반적으로 작동에 두 손이 필요하며, 일부 디자인에서는 회전식 접안컵과 간섭할 수 있다. 작기 때문에 특히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동하기가 불편할 수도 있다. 가장 가까운 초점에서 무한대까지의 회전 정도는 제조업체마다 다르다. 일부는 매우 작은 회전(약 1/4 회전)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전체 회전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한다. 작은 회전 정도는 매우 빠른 초점을 제공하지만 지나치게 민감할 수 있으며, 일부 디자인에서는 한 손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뻑뻑할 수 있다. 전체 회전은 실용적인 타협안이다.

초점 조절 휠은 Bushnell 10×42HD Legend를 제외하고는 고품질 단안경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중국산 저가형 제품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단안경을 더 부피 있게 만들지만 한 손(한 손가락으로)으로 매우 편리하게 초점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빠르고 부드러워서 빠르고 정확한 초점 조절 변경이 중요한 상황(예: 숲에서 조류 관찰)에 필요하다.

초점 조절 레버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예를 들어 Opticron Trailfinder에 사용된다. 이 메커니즘은 소형성을 유지하면서 매우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하지만 뻑뻑하고 지나치게 민감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역시 이상적으로는 두 손이 필요하다.

Minox 및 일부 다른 회사는 저배율 초소형 디자인에 레버 대신 슬라이더 버튼을 사용한다. 이 슬라이더 버튼은 좌우로 밀어서 사용하며, 이 역시 빠르지만 민감하다.

토글 초점 조절 방식은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예: Carson Bandit 8×25).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작동할 수 있는 비교적 큰 토글에서 한 손으로 초점 조절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지나치게 민감하고 미세 조정이 어려울 수 있다.

대물렌즈 주변의 노브형 링은 Minox 8×25 Macroscope의 고유한 기능으로 보이며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중국산 저가형 단안경 중 일부는 "듀얼 초점 조절"을 주장하는데, 이는 단안경 본체 또는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링을 비틀어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쌍안경의 디옵터 조절이라고 함). 단안경에 듀얼 초점 조절이 왜 필요하다고 느끼는지는 의문이지만, 마케팅적인 이유일 수 있다. Opticron, Leica 및 Zeiss와 같은 제조업체의 최고급 단안경에서는 결코 찾을 수 없는 이러한 시스템에는 실제 기술적 이점이 없다.

3. 10. 1. 종류

단안경의 기본적인 설계 고려 사항과 관련 매개변수는 대부분 쌍안경과 동일하며, 필요에 따라 몇 가지 추가 설명이 덧붙여졌다.

  • 프리즘 종류: 포로 프리즘 또는 루프 프리즘
  • 렌즈 및 프리즘 코팅: 코팅 품질은 광선 투과율과 이미지 밝기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며, 최고 사양일수록 비용이 더 많이 든다.
  • 출사동: 출사동은 대물렌즈의 지름을 배율로 나눈 값으로 mm 단위로 표시된다. (예: 8×40의 경우 출사동 지름은 5mm이다). 주어진 상황에서 출사동이 클수록 눈으로 들어오는 광선 투과율이 높아진다. 저배율의 대구경 대물렌즈는 광선 투과율이 좋으며, 특히 어두운 조건에서 중요하다. 고전적인 7×50 해양용 쌍안경이나 단안경은 7.1mm의 비교적 큰 출사동 지름과 이동하는 배에서 실용적인 현실적인 배율을 가지고 있어 저조도 조건에 이상적이다. 그러나 출사동은 사람 눈의 동공 지름과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한다. 선택한 기기의 출사동이 사람 눈의 동공보다 크면 눈이 광선 유입의 제한 요소가 되므로 이점이 없다. 사실상, 추가적인 집광 잠재력은 낭비된다. 나이가 들면서 사람 눈의 동공 확장 범위가 감소하기 때문에 이는 고려 사항이다.[2][3]


평균 눈 동공 지름 변화
나이 대비
나이
(세)

동공 (mm)

동공 (mm)
204.78
304.37
403.96
503.55
603.14.1
702.73.2
802.32.5


  • 황혼계수: 배율 및 대물렌즈 지름과 관련이 있으며, 저조도 조건에서 '세부 사항'을 볼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반드시 밝기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 투과율: 단안경을 통과하는 광선의 백분율을 나타내며, 밝기를 나타내며 고품질 기기에서는 90%가 넘는다.
  • 시야: 넓은 파노라마를 볼 수 있고 터널을 내려다보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시야(FOV)와 배율은 관련이 있다. 시야는 배율이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고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이는 단안경, 쌍안경 및 망원경에 모두 적용된다. 그러나 이 관계는 광학 설계 및 제조에도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 차트는 테스트 및 제조업체 사양에서 모두 얻은 최고 수준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FOV/배율 관계를 보여준다. 일부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쌍안경이 단안경보다 더 넓은 시야를 제공한다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동일한 사양과 제조업체에서 제공하는 동일한 모델의 단안경 또는 쌍안경 옵션의 경우, 단안경이든 쌍안경이든 시야는 정확히 동일하다.

  • 방수/방습 기능
  • 일반 구조: 재질(금속, 플라스틱), 본체 코팅 유형
  • 방호 본체 보호: 현장에서 충격과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 렌즈 보호/커버: 일부는 통합되어 있고, 일부는 분리됨
  • 아이 릴리프: 완전한 시야가 보이려면 아이 릴리프는 안경 착용자에게 특히 중요하지만 종종 간과되는 매개변수이다. 배율, 대물렌즈 지름 및 시야(도 또는 m @1000m 단위)는 종종 단안경 본체에 표시되지만, 아이 릴리프는 거의 표시되지 않는다("긴 아이 릴리프" 또는 "LER"라고 표시되는 경우 제외). 초기 광학 기기는 아이 릴리프가 짧았지만(10mm 미만) 최근 설계는 훨씬 더 나아졌다. 안경 착용자에게는 최소 15mm, 이상적으로는 20mm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최고 수준인 Opticron 5×30의 25mm와 Opticron 8×42 DBA의 21mm를 참고). 아이 릴리프가 너무 짧으면 시야가 심각하게 저해될 수 있으므로, 광학 기기의 시야 사양이 좋더라도 긴 아이 릴리프가 함께 제공되지 않으면 넓은 시야의 이점을 얻을 수 없다(안경 착용자에게만 적용됨). 접안렌즈 지름은 좋은 아이 릴리프를 크게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아래 사진은 두 개의 8× 단안경을 비교한 것이다. 왼쪽의 것은 1980년대 디자인의 전형적인 것으로 비교적 작은 접안렌즈 지름(11mm)과 아이 릴리프(<10mm)가 특징이다. 오른쪽 것은 2016년 제품으로 비교적 큰 접안렌즈 지름(24mm)과 아이 릴리프(~15mm)가 특징이다. 이 큰 접안렌즈는 아이 릴리프를 돕는 것 외에도 더 넓은 시야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


단안경과 관련하여 특히 중요한 두 가지 추가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다.

  • 초점 조절 메커니즘


쌍안경과 단안경의 중요한 차이점은 초점 조절 시스템에 있다. 오늘날 쌍안경은 거의 보편적으로 양쪽을 동시에 작동하는 중앙 휠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한다. 일부 대형 관찰용 쌍안경과 일부 구형 디자인에는 각 접안렌즈에 개별 초점 조절 기능이 있다. 그러나 단안경은 다양한 초점 조절 시스템을 사용하며, 모두 장단점이 있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단안경 본체 주변의 큰 노브형 초점 조절 링[4]
  •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초점 조절 링[5]
  • 단안경 옆이나 위쪽에 있는 작은 외부 초점 조절 휠[6]
  • 작은 초점 조절 레버[7]
  • 슬라이딩 초점 버튼[8]
  • 단안경 상단의 토글 초점 조절 메커니즘[9]
  • 대물렌즈 주변의 큰 노브형 링[10]
  • "듀얼 초점" – 초점 조절 링이 두 개 있는 경우.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본체 주변의 초점 조절 링이다. 이것은 장치의 소형성을 유지하지만 작동에는 두 손이 필요하며 특히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일부 장치에서는 링 작동이 뻑뻑할 수 있다.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링은 일반적으로 작동에 두 손이 필요하며, 일부 디자인에서는 회전식 접안컵과 간섭할 수 있다. 작기 때문에 특히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작동하기가 불편할 수도 있다. 가장 가까운 초점에서 무한대까지의 회전 정도는 제조업체마다 다릅니다. 일부는 매우 작은 회전[11](약 1/4 회전)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전체 회전 또는 그 이상을 사용한다. 작은 회전 정도는 매우 빠른 초점을 제공하지만 지나치게 민감할 수 있으며, 일부 디자인에서는 한 손으로 사용하기에는 너무 뻑뻑할 수 있다. 전체 회전은 실용적인 타협안이다.

초점 조절 휠은 Bushnell 10×42HD Legend를 제외하고는 고품질 단안경에는 사용되지 않지만 중국산 저가형 제품에서 특히 인기가 많다. 단안경을 더 부피 있게 만들지만 한 손(한 손가락으로)으로 매우 편리하게 초점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빠르고 부드러워서 빠르고 정확한 초점 조절 변경이 중요한 상황(예: 숲에서 조류 관찰)에 필요하다.

초점 조절 레버는 일반적이지 않지만, 예를 들어 Opticron Trailfinder에 사용된다.[7] 이 메커니즘은 소형성을 유지하면서 매우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하지만 뻑뻑하고 지나치게 민감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역시 이상적으로는 두 손이 필요하다.

Minox 및 일부 다른 회사는 저배율 초소형 디자인에 레버 대신 슬라이더 버튼을 사용한다. 이 슬라이더 버튼은 좌우로 밀어서 사용하며, 이 역시 빠르지만 민감하다.[8]

토글 초점 조절 방식은 매우 드물게 사용된다(예: Carson Bandit 8×25[9]). 장갑을 착용한 상태에서 현장에서 빠르고 쉽게 작동할 수 있는 비교적 큰 토글에서 한 손으로 초점 조절 메커니즘을 제공하지만, 지나치게 민감하고 미세 조정이 어려울 수 있다.

대물렌즈 주변의 노브형 링은 Minox 8×25 Macroscope의 고유한 기능으로 보이며 빠른 초점 조절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10]

중국산 저가형 단안경 중 일부는 "듀얼 초점 조절"을 주장하는데, 이는 단안경의 본체 또는 접안렌즈 근처의 작은 링을 비틀어 초점을 맞추는 것을 의미한다(쌍안경의 디옵터 조절이라고 함). 단안경에 듀얼 초점 조절이 왜 필요하다고 느끼는지는 의문이지만, 마케팅적인 이유일 수 있다. Opticron, Leica 및 Zeiss와 같은 제조업체의 최고급 단안경에서는 결코 찾을 수 없는 이러한 시스템에는 실제 기술적 이점이 없다.

  • 줌 또는 가변 배율


쌍안경과 마찬가지로 줌 배율을 사용할 수 있지만, 최고급 장치(쌍안경과 단안경 모두)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광학 품질과 시야가 심각하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줌 시스템은 관찰 광학 기기에 대해 카메라에 널리 성공적으로 사용되지만, 신뢰할 수 있는 줌 시스템은 최고급 스포팅 스코프[12]에 한정되며 매우 높은 가격표가 붙는다. 일부 "저가" 제조업체에서 줌 단안경을 제공하지만, 종이에서는 인상적으로 들리지만 종종 극단적이고 비현실적인 배율 범위와 매우 좁은 시야를 가지고 있다.

3. 11. 줌 또는 가변 배율

쌍안경과 마찬가지로, 단안경도 줌 배율 기능을 사용할 수 있지만 최고급 장치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는 줌 배율을 적용하면 광학 품질과 시야가 크게 저하되기 때문이다. 카메라에서는 줌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지만, 관측용 광학 기기에서는 최고급 스포팅 스코프[12]에만 제한적으로 사용되며 가격 또한 매우 비싸다. 일부 저가형 제조사에서 줌 단안경을 판매하기도 하지만, 사양 상으로는 인상적일 수 있으나 실제로는 지나치게 높거나 비현실적인 배율 범위를 가지며 시야도 매우 좁은 경우가 많다.

4. Some examples of current monoculars by specification (현재 판매되는 단안경 예시)

(mm)Field of view영어
(1000m에서 m)Field of view영어
(°)겉보기 시야각
(°)출사동공
(mm)무게
(g)본체 길이
(mm)본체 지름
(mm)비고라이카 모노비드 8×20A15.01106.3502.51129836근접 렌즈 포함옵티크론 8×42 DBAA21.01227.0565.334314352매우 긴 눈맞춤 거리옵티크론 10×42 DBAA19.01056.0604.234914352자이스 모노 8×20B15.01106.3502.567101?부시넬 10×42HD 레전드B15.21136.5654.2374137?빠른 초점 조절 휠옵티크론 10×42 BGAC16.0895.1514.228513643옵티크론 8×32 LEC16.01317.5604.027213949옵티크론 4×12GC14.021912.5503.0495832"갤러리 스코프"옵티크론 5×30C25.01227.0356.025213949매우 긴 눈맞춤 거리옵티크론 트레일파인더 8×25D14.01196.8543.113110035빠른 초점 조절 레버아시카 8×42E17.51216.9555.332913550빠른 초점 조절 휠colspan="11" |


5. Interpreting product specifications (제품 사양 해석)

제품 사양은 때때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혼란스럽거나, 잘못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성은 저가형 제품에서 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만, 일부 유명 브랜드 제품에서도 간혹 발견된다. 따라서, 사양을 해석하는 데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구매하기 전에 직접 사용해 보는 것이 좋다.[4]

아래 표는 7개의 단안경에 대한 시야 테스트 결과를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제조사가 제시한 수치는 몇 퍼센트 이내로 정확하지만, 9×30 단안경의 경우 30%나 과장된 경우도 있었다.[4]

7개의 단안경 시야 테스트 결과
주장된 값(C)실제 값(A)C/A (%)
6×30180160113
8×25119114104
8×32131128102
8×42122122100
9×30140108130
10×42899099
12×50828596


5. 1. 주의해야 할 설명

제품 사양은 때때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혼란스럽거나 잘못된 값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부정확성은 저가형 제품에서 더 일반적으로 발견되지만, 일부 유명 브랜드 제품에서도 간혹 발견된다. 이러한 사양을 해석하는 데 경험이 없는 사람들에게는 가능하면 구매하기 전에 항목을 직접 사용해 보는 것이 항상 현명하다. 특히 주의가 필요한 설명자는 다음과 같다.

7개의 단안경 시야 테스트 결과
주장된 값(C)실제 값(A)C/A (%)
6×30180160113
8×25119114104
8×32131128102
8×42122122100
9×30140108130
10×42899099
12×50828596


6. Specialist monoculars (특수 단안경)

내장 8배율 단안경이 장착된 소니 워크맨(Walkman)


Seago 8×42 나침반 단안경


KenMAX 4×12 갤러리 스코프


일부 단안경은 특수한 용도로 사용된다. 여기에는 내장 나침반[13], 소형 접이식 단안경[14], 야간 투시 시스템[15], 거리 측정기/눈금[15], 갤러리 스코프[16], 현미경 변환 및 초근접 초점[16], 내장 손떨림 방지 기능[17] 등이 있다.

6. 1. 종류



일부 단안경은 특수한 요구 사항을 충족하며 다음과 같은 기능을 포함한다.

참조

[1] 웹사이트 SWAROVSKI OPTIK https://www.swarovsk[...]
[2] Archived copy A Linear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s of Age Related Pupil Dilation Change in Iris Biometrics https://web.archive.[...] 2016-02-07
[3] 웹사이트 Binocular specifications https://web.archive.[...] 2016-02-07
[4] 웹사이트 BGA Monoculars | Opticron http://www.opticron.[...]
[5] 웹사이트 102-630-2 - der richtige Partner für den breiten Blick. - Leichter Panoramablick. Das beträchtliche Sehfeld des Luger MD 6x30 von 183m/1000m ermöglicht zusammen mit der präzisen Optik ein sehr breites, absolut klares Bild und das bei sehr kompakten Maßen https://web.archive.[...] 2016-02-06
[6] 웹사이트 Legend 10x42 Ultra HD Monocular https://www.bushnell[...]
[7] 웹사이트 Opticron Monoculars | Opticron http://www.opticron.[...]
[8] 웹사이트 Discover the world of outdoor optics http://www.minox.com[...]
[9] 웹사이트 Not Found | - ScientificsOnline.com https://www.scientif[...]
[10] 웹사이트 Discover the world of outdoor optics http://www.minox.com[...]
[11] 웹사이트 Vortex Solo Monocular Review http://www.opticsrev[...]
[12] 웹사이트 Leica Eyepiece // Spotting Scopes // Birding // Sport Optics - Leica Camera AG https://web.archive.[...]
[13] 웹사이트 Monocular http://seagoyachting[...]
[14] 웹사이트 Carl Zeiss Jena Turmon 8x21 Faltmonokular (folding monocular) http://www.monocular[...]
[15] 웹사이트 Legend 10x42 Ultra HD Tactical Monocular MIL Hash FDE https://www.bushnell[...]
[16] 웹사이트 Specwell Monokulare http://www.monocular[...]
[17] 웹사이트 Bresser | BRESSER 16x30 Monocular with Image Stabilizer | Expand Your Horizon https://www.bress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