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도는 대구광역시의 주요 도로망을 구성하는 노선으로, 1997년 처음 지정되었으며 2001년 대규모 노선 신설 및 조정이 이루어졌다. 4차 순환도로,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순환 및 간선 도로를 포함하여 총 96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노선은 특정 번호와 명칭을 가지고 대구광역시의 각 지역을 연결한다.
1997년 4월 29일 대구광역시도 노선이 처음 지정되었으며[1], 2001년 7월 20일 대규모 노선 신설 및 조정이 이루어졌다.[2]
[1]
간행물
대구광역시공고 제1997-143호
대구광역시
1997-04-29
2. 역사
3. 노선 목록
노선 번호 노선명 (도로명) 시점 종점 길이 중요 경과지 비고 10 4차 순환도로 (앞산터널로, 범안로, 호국로, 달서대로, 상화로) 달서구 상인동 달서구 상인동 63.2km 달서구 파호동, 북구 읍내동, 동구 도동 3.2km 구간 중용 11 신천대로 달성군 용계리 서구 상이동 18.9km 남구 대봉동, 북구 침산동 12 서변남로 북구 침산동 북구 서변동 2.2km 금호강 2001년 7월 20일 신설 13 신천우안도로 (신천동로, 호국로) 수성구 상동 북구 서변동 13.2km 수성구 수성동, 북구 산격동 14 익산포항고속도로 진입로 북구 검단동 동구 도동 3.9km 금호강, 팔공로 2001년 7월 20일 신설 15 낙동강변도로 (비슬로) 달성군 구지면 달성군 화원읍 34.0km 고령군 개진면, 달성군 논공면 16 장기로 달서구 월성동 달서구 성당동 5.1km 와룡로 2001년 7월 20일 신설 17 달서대로, 서재로 달성군 화원읍 칠곡군 지천면 11.9km 달서구 호림동, 서재동 18 중로1-42호선 동구 용계동 동구 괴전동 4.8km 동구 신기동, 동호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19 대로1-13호선 (칠곡중앙대로) 북구 읍내동 칠곡군 동명면 4.3km 북구 동호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900m 구간 중용 20 안심지구 북편 도로(중로1-177호선), 대로1-27호선(신서로) 동구 용계동 동구 신서동 2.9km 동구 율암동, 각산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21 월암로, 진천로, 한실로 달서구 도원동 달서구 월암동 3.9km 달서구 진천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22 대덕로 (앞산순환로, 무학로) 달서구 상인동 수성구 지산동 11.2km 남구 대명동, 수성구 상동 23 청호로 수성구 범물동 수성구 만촌동 5.3km 수성구 황금동 24 중로1-174호선, 대로2-17호선 수성구 가천동 수성구 사월동 4.4km 수성구 매호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25 경안로 수성구 성동 동구 각산동 2.8km 동구 동호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26 대로1-37호선 수성구 지산동 수성구 지산동 0.8km 2001년 7월 20일 신설 27 성서로 달성군 화원읍 달서구 이곡동 5.4km 달서구 갈산동 28 구마로, 황금로 (성서공단로, 구마로, 대명로, 대덕로, 청수로, 유니버시아드로) 달서구 호림동 수성구 욱수동 20.8km 달서구 본리동, 남구 봉덕동, 수성구 황금동 29 용산로 달서구 유천동 서구 용산동 5.3km 달서구 감삼동 30 중로1-99호선, 중로1-114호선 수성구 범물동 수성구 두산동 2.2km 2001년 7월 20일 신설 31 와룡로, 제2팔달로 (조암로, 학산로, 와룡로, 매천로, 관음로) 달서구 대천동 북구 학정동 18.8km 북구 팔달동, 매천동 2001년 7월 20일 연장 32 팔공로 동구 진안동 동구 능성동 3.1km 2001년 7월 20일 신설 33 중로1-19호선, 중로1-104호선, 중로1-119호선 수성구 만촌동 북구 복현동 4.2km 동구 효목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34 대명로, 봉덕로 남구 대명동 남구 봉덕동 2.1km 남구 봉덕동 35 월곡로 달서구 상인동 달서구 월성동 3.4km 달서구 월성동 36 희망로 남구 이천동 수성구 황금동 2.3km 수성구 중동 37 송현로, 당산로 달서구 송현동 서구 평리동 6.9km 달서구 감삼동, 서구 중리동 38 명서로, 명동로 (명덕로) 서구 내당동 수성구 범어동 4.7km 남구 대봉동 39 중로1-151호선 (송덕로) 동구 중대동 동구 송정동 1.8km 동구 덕곡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40 대서로, 대동로 (달구벌대로) 서구 내당동 수성구 만촌동 6.9km 서구 내당동, 중구 삼덕동, 수성구 범어동 41 중로1-94호선, 중로1-112호선 수성구 욱수동 수성구 신매동 1.9km 수성구 매호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42 금호강변도로 (금호강변로) 북구 검단동 동구 금강동 19.0km 북구 복현동, 수성구 고모동 43 동천로 북구 동천동 북구 동호동 3.1km 북구 학정동 44 중로1-176호선 (우록길) 가창면 우록리 가창면 삼산리 4.4km 녹동서원 2001년 7월 20일 신설 45 학정로 북구 태전동 북구 학정동 5.6km 북구 구암동 46 대로1-30호선 하빈면 묘리 다사면 이천리 5.3km 하빈면 감문리 2001년 7월 20일 신설 47 구암로 북구 구암동 북구 국우동 2.0km 북구 국우동 48 평리로 (선원로, 평리로) 달서구 신당동 서구 내당동 7.2km 달서구 죽전동, 서구 평리동 49 대로1-67호선 수성구 욱수동 수성구 사월동 2.4km 욱수천 2001년 7월 20일 신설 50 서신로, 동신로 (새방로, 국채보상로, 화랑로) 달서구 용산동 동구 효목동 12.4km 서구 비산동, 중구 대신동 51 달서로 (성당로, 명덕로, 달서로, 오봉로, 조야로) 달서구 성당동 북구 도남동 15.3km 서구 내당동, 북구 노원동 250m 구간 중용 52 국채보상로 수성구 범어동 수성구 만촌동 1.8km 수성구 만촌동 53 대로1-45호선, 대로2-86호선, 대로2-91호선 동구 금강동 동구 괴전동 2.3km 금호강 2001년 7월 20일 신설 54 북비산로, 동부로 (북비산로, 태평로, 동부로) 서구 이현동 동구 효목동 9.7km 서구 평리동, 중구 동인동 55 신천동로, 대로1-40호선 북구 산격동 북구 복현동 7.2km 북구 검단동 56 서재로, 달서천로, 칠성남로 달성군 다사면 동구 신천동 14.4km 북구 원대동, 북구 칠성동 57 현충로, 원대로 (현충로, 남산로, 달성로, 원대로) 남구 대명동 북구 침산동 6.5km 중구 대신동, 북구 원대동 58 팔달로, 공단1로 (팔달로, 옥산로, 호암로) 북구 노원2가 북구 칠성동 3.5km 북구 고성동 59 서성로, 침산로 중구 남산동 북구 침산동 5.3km 북구 고성동 60 검단로, 안심로 (대학로, 공항로, 동촌로, 안심로) 북구 산격동 동구 괴전동 13.9km 동구 지저동, 동구 입석동 61 남문로, 통일로 (중앙대로) 남구 대명동 북구 침산동 6.5km 중구 남산동, 북구 칠성동 62 대로2-33호선 동구 괴전동 동구 대림동 3.2km 동구 대림동 63 효성로, 달구로 (효성로, 이천로, 공평로) 남구 봉덕동 북구 칠성동 4.5km 남구 이천동, 중구 동인동 64 유통단지로 북구 산격동 북구 검단동 1.5km 북구 검단동 65 검단로 (검단로, 검단공단로) 북구 복현동 북구 검단동 2.0km 북구 검단동 66 대로3-52호선, 중로1-66호선 다사읍 매곡리 다사읍 박곡리 5.5km 금호강 2001년 7월 20일 신설 67 동덕로, 아양로 (동덕로, 신암로, 아양로) 남구 대봉동 동구 입석동 6.9km 북구 칠성동, 동구 신암동 68 침산남로, 성북로 북구 노원동 북구 산격동 1.7km 북구 침산동 69 수성로 수성구 중동 수성구 수성동 2.1km 수성구 중동 70 대로1-41호선 동구 율암동 동구 숙천동 4.7km 동구 신서동, 대림동 71 들안길, 대현로, 노원로 (들안로, 송라로, 대현로, 침산남로) 수성구 상동 북구 침산동 8.8km 수성구 중동, 동구 신천동, 북구 옥산동 72 사수로, 매천로2길 칠곡군 지천면 북구 팔달동 4.1km 북구 사수동, 금호동 73 중로1-164호선 가창면 용계리 가창면 용계리 1.6km 2001년 7월 20일 신설 74 구암로 북구 관음동 북구 구암동 3.9km 북구 구암동 76 대로2-65호선 다사읍 세천리 다사읍 세천리 2.1km 2001년 7월 20일 신설 77 동대구로 (지범로, 동대구로) 수성구 범물동 동구 신암동 8.5km 수성구 두산동, 범어동 78 동암로 북구 읍내동 북구 동천동 2.1km 북구 동천동 79 동원로, 효신로 수성구 범어동 동구 효목동 1.5km 동구 효목동 80 팔공산순환도로, 팔공로 (팔공산로, 팔공로) 동구 송정동 동구 지저동 24.6km 동구 용수동, 백안동, 봉무동 81 파계로 (해동로, 파계로) 동구 지저동 동구 중대동 8.8km 동구 지묘동 82 갓바위 진입도로 (팔공로, 갓바위로) 동구 백안동 동구 능성동 4.2km 동구 백안동 83 청수로 수성구 황금동 수성구 만촌동 2.4km 수성구 만촌동 84 대로2-63호선 다사읍 죽곡리 다사읍 서재리 4.9km 다사읍 세천리 2001년 7월 20일 신설 85 대로2-64호선 다사읍 세천리 다사읍 세천리 0.9km 2001년 7월 20일 신설 87 야구전설로 수성구 연호동 수성구 삼덕동 1.4km 수성구 연호동 88 중로1-16호선 달서구 유천동 달서구 본리동 3.0km 달서구 월성동 2001년 7월 20일 신설 89 미술관로, 월드컵로 수성구 삼덕동 수성구 내환동 2.6km 수성구 삼덕동 91 고산로 수성구 매호동 수성구 노변동 3.0km 수성구 신매동 94 중로1-173호선, 중로1-187호선 화원읍 명곡리 화원읍 천내리 2.9km 2001년 7월 20일 신설 96 고모로 수성구 만촌동 수성구 시지동 5.7km 수성구 고모동 2001년 7월 20일 연장
3. 1. 주요 순환 도로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4차 순환도로)은 달서구 상인동을 기·종점으로 하여 대구 시가지를 크게 순환하는 주요 도로이다. 앞산터널로, 범안로, 호국로, 달서대로, 상화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길이는 63.2km이다. 주요 경과지는 달서구 파호동, 북구 읍내동, 동구 도동이며, 3.2km 구간이 중용되어 있다.
대구광역시도 제11호선(신천대로)은 달성군 용계리에서 서구 상이동까지 신천을 따라 남북으로 뻗어 있는 도시고속화도로이다. 총 길이는 18.9km이며, 남구 대봉동과 북구 침산동을 경유한다.
3. 2. 남북 방향 주요 도로
대구광역시도 제15호선 (비슬로)는 달성군 구지면에서 화원읍까지 이어지는 낙동강변 도로이다. 달서대로, 대구광역시도 제17호선은 달성군 화원읍에서 칠곡군 지천면까지 연결된다. 대구광역시도 제21호선 (월암로, 진천로, 한실로)가 있다. 대명로, 대구광역시도 제34호선 (대명로, 봉덕로)가 남구 대명동에서 봉덕동까지 이어진다. 대구광역시도 제35호선 (월곡로)는 달서구 상인동에서 월성동까지 이어진다. 대구광역시도 제37호선 (송현로, 당산로)는 달서구 송현동에서 서구 평리동까지 연결된다. 대구광역시도 제51호선 (성당로, 명덕로, 달서로, 오봉로, 조야로)는 달서구 성당동에서 북구 도남동을 잇는다. 대구광역시도 제59호선 (서성로, 침산로)가 있다. 대구광역시도 제61호선 (남문로, 통일로, 중앙대로)는 대구의 중심부를 관통한다. 대구광역시도 제57호선 (현충로, 원대로)는 남구 대명동에서 북구 침산동을 연결하며, 현충원을 경유한다.
3. 3. 동서 방향 주요 도로
달구벌대로는 대구의 동서를 가로지르는 핵심 도로이다. 대구광역시도 제16호선 (장기로), 대구광역시도 제22호선 (대덕로, 앞산순환로, 무학로), 대구광역시도 제23호선 (청호로), 대구광역시도 제27호선 (성서로), 대구광역시도 제28호선 (구마로, 황금로)는 달서구 호림동에서 수성구 욱수동을 잇는다. 대구광역시도 제29호선 (용산로), 대구광역시도 제31호선 (와룡로, 제2팔달로), 대구광역시도 제38호선 (명서로, 명동로, 명덕로), 대구광역시도 제40호선 (달구벌대로), 대구광역시도 제42호선 (금호강변도로)는 금호강을 따라 조성되어 있다. 선원로, 대구광역시도 제48호선 (평리로), 새방로, 국채보상로, 대구광역시도 제50호선 (서신로, 동신로, 새방로, 국채보상로, 화랑로)는 대구 도심을 동서로 연결한다. 대구광역시도 제54호선 (북비산로, 동부로, 태평로, 동부로), 달서천로, 대구광역시도 제56호선 (서재로, 달서천로, 칠성남로), 대구광역시도 제58호선 (팔달로, 공단1로, 옥산로, 호암로), 대구광역시도 제60호선 (검단로, 안심로, 대학로, 공항로, 동촌로, 안심로), 대구광역시도 제63호선 (효성로, 달구로), 대구광역시도 제67호선 (동덕로, 아양로), 대구광역시도 제69호선 (수성로), 대구광역시도 제71호선 (들안길, 대현로, 노원로), 대구광역시도 제77호선 (지범로, 동대구로)는 수성구 범물동에서 동구 신암동을 잇는다.
3. 4. 기타 주요 도로
대구광역시도 제13호선 (신천동로)는 신천을 따라 조성된 도로이다. 대구광역시도 제14호선은 새만금포항고속도로 진입로이다. 대구광역시도 제19호선, 대구광역시도 제20호선 (안심지구 북편 도로), 대구광역시도 제25호선 (경안로), 대구광역시도 제36호선 (희망로), 대구광역시도 제91호선 (고산로)은 대구광역시의 주요 도로이다.
대구광역시도 제32호선 (팔공로)는 동구 진안동에서 능성동을 잇는 도로이다. 대구광역시도 제87호선 (야구전설로)는 대구삼성라이온즈파크와 연결된다. 대구광역시도 제89호선 (미술관로, 월드컵로)는 대구미술관과 대구스타디움을 연결한다.
대구광역시도 제64호선 (유통단지로), 대구광역시도 제65호선 (검단로, 검단공단로), 대구광역시도 제74호선 (구암로), 대구광역시도 제78호선 (동암로), 대구광역시도 제79호선 (동원로, 효신로)도 주요 도로에 포함된다.
대구광역시도 제80호선 (팔공산순환도로, 팔공로)는 팔공산을 순환한다. 대구광역시도 제81호선 (해동로, 파계로), 대구광역시도 제82호선 (갓바위 진입도로), 대구광역시도 제96호선 (고모로) 역시 대구광역시의 기타 주요 도로이다.
3. 5. 상세 노선 정보
4. 문제점 및 개선 방향
참조
[2]
간행물
대구광역시공고 제2001-252호
대구광역시
2001-07-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