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4차순환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 4차 순환선은 상인동에서 시작하여 앞산터널, 파동, 범물1동, 안심, 이시아폴리스, 칠곡, 성서, 월배로를 거쳐 상인동으로 이어지는 도로이다. 앞산터널 구간은 환경 단체의 반발로 2007년에 착공하여 2013년에 완공되었으며, 범안로와 앞산터널은 유료 도로이다. 주요 교차점으로는 용지 네거리, 삼덕 요금소, 율하역 교차로, 서변 나들목, 동명동호 분기점, 달서 나들목, 유천 네거리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도로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대구광역시의 도로 - 중앙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는 부산광역시 사상구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를 잇는 총 길이 388.1km의 고속도로로, 대부분 왕복 4차로이며 일부 구간은 신대구부산고속도로㈜에서 관리하고 최고 제한 속도가 다르다. - 도로 - 녹사평대로
녹사평대로는 반포대교 북단에서 시작하여 남산3호터널을 지나 소공로와 연결되며, 이태원 관광특구 등 상권과 남산으로의 접근성을 가지는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도로이다. - 도로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대한민국에 관한 - 간호사
의학적, 간호 지침을 포함한 간호사의 활동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 대한민국에 관한 - 광복절
광복절은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기념하는 날로서, 대한민국에서는 1945년 8월 15일 일제강점기에서 벗어난 것을 기념하여 국경일 및 공휴일로 지정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국해방의 날로 기념한다.
대구 4차순환선 - [지명]에 관한 문서 | |
---|---|
도로 정보 | |
도로 종류 | 대구광역시도 고속국도 |
![]() | |
![]() | |
노선명 | 4차순환선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
노선 번호명 | 대구광역시도 제10호선 고속국도 제700호선의 일부 |
개통년 | 2022년 |
2. 1차 순환선
대구광역시의 1차 순환선은 달성네거리에서 시작하여 달성로 (57호선)를 따라 신남네거리 (청라언덕역)에 이른다. 이어서 달구벌대로 (40호선)를 통해 삼덕네거리 (경대병원역)까지 연결되고, 동덕로 (67호선)를 따라 동인네거리를 지난다. 마지막으로 태평로 (54호선)를 경유하는 노선이다.
원대오거리에서 51호선 달서로를 따라 반고개네거리까지 이어지고, 이후 38호선 명덕로를 거쳐 수성시장네거리로 연결된다. 수성시장네거리에서는 71호선 들안길, 청구네거리, 71호선 청구로, 공고네거리, 71호선 대현로를 순서대로 지나 경북대학교 후문 삼거리에 도달한다. 마지막으로 13호선 연암로, 도청교, 성북교네거리를 거쳐 53호선 성북로를 따라 북침산네거리에서 노선이 끝난다.
노원네거리에서 시작하여 노원로와 서대구로를 거쳐 두류네거리(두류역)에 이른다. 이후 두류공원로를 따라 앞산네거리(현충로역)까지 간 뒤, 중동로를 통해 황금네거리로 연결된다. 황금로를 지나 만촌네거리에 도달하고, 무열로와 동북로로 이어진다.
4차 순환선은 상인동-앞산터널-파동-범물1동-범물로·범안로-안심동-호국로-도동IC-이시아폴리스-칠곡-지천면-성서-호림로·상화로-월배를 잇는 대구광역시의 가장 바깥쪽 순환 도로이다.
3. 2차 순환선
4. 3차 순환선
5. 4차 순환선
이 중 달서구 달비골에서 수성구 파동, 범물1동을 잇는 구간은 앞산터널 건설 계획으로 인해 환경 단체로부터 큰 반발이 있었으나, 2007년에 착공하여 2013년에 완공되었다. 앞산터널 구간과, 수성구 범물1동 행정복지센터 인근 관계삼거리에서 연호역을 거쳐 율하역까지 이어지는 범안로 구간은 맥쿼리한국인프라투융자회사가 자산으로 보유하고 운영하는 유료도로이다. 반면, 과거 유료로 운영되었던 국우터널은 2012년 8월 1일부로 무료화되어 요금소가 철거되었다.
5. 1. 구간
(2013년)개통
(2001년)개통
(2002년)개통
(2013년)개통
(2022년)개통
(1998년)개통
(2022년)개통 개통
(1998년)
입체화
(2027년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