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대구오페라하우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대구오페라하우스는 2003년 8월 7일 개관한 대한민국 최초의 오페라 전문 극장이다. 삼성그룹의 제일모직 터에 건립되었으며, 총 2,620평 부지에 지하 2층, 지상 4층 규모로, 그랜드 피아노를 형상화한 외관을 갖추고 있다. 연중 다양한 공연을 개최하며, 오펀스튜디오, 시민 아카데미 등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또한 대구광역시 교육청, 대구광역자활센터 등과 협력하여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오페라 극장 - 예술의전당
    예술의전당은 1980년대 대한민국 정부가 건립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음악당, 미술관, 오페라하우스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국립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으로 활용된다.
  • 대구광역시의 예술 시설 - 수성아트피아
    수성아트피아는 2006년 준공되어 2007년 개관한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공연장으로, 대극장, 소극장, 전시실 등을 갖추고 다양한 공연과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대구광역시의 예술 시설 - 대구광역시문화예술회관
    대구광역시문화예술회관은 대구에 위치한 복합 문화 예술 공간으로, 대극장, 소극장, 전시관, 국제회의장, 야외공연장, 코오롱야외음악당 등의 시설을 갖추고, 여러 예술 단체의 상주 공간이자 다양한 문화 예술 행사가 개최되는 시민 문화 향유 공간이다.
  • 대구 북구 - 노원동
    대구광역시 북구 노원동은 조선시대 대노원이 있던 곳으로, 원대동 일부 편입 후 노곡동의 '노'자와 원대동의 '원'자를 따서 명명되었으며, 과거 농촌 지역에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대구 제3산업단지 배후 주거 지역으로 재래시장, 금융기관, 관공서 등이 위치한다.
  • 대구 북구 - 북구 (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 북구는 1963년 설치되어 신라 시대부터 대구의 일부였으며, 1988년 자치구로 승격되었고, 경북대학교 등 교육 시설과 다양한 상업 시설, 문화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경부선 대구역과 도시철도가 지나고, 강릉시와 보성군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대구오페라하우스
로마자 표기Daegu Opera House
종류오페라 하우스
위치대구
주소대한민국 대구광역시
좌표35°53′0″N 128°35′32″E
건축 양식정보 없음
구조 시스템정보 없음
개장일정보 없음
규모
층수지하 2층, 지상 4층
좌석 수1,490석
주차 시설지하 132대, 야외 268대
건설
착공정보 없음
완공정보 없음
설계
건축가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운영
소유주정보 없음
현재 임차인정보 없음
웹사이트대구오페라하우스 공식 웹사이트
기타
수상정보 없음
지정정보 없음

2. 연혁

1996년 6월 제일모직이 대구사업장을 구미로 이전할 당시, 삼성그룹의 발원지이기도 한 이곳 제일모직 터에 시민을 위한 문화공간 건립을 결정하였다.[1] 2000년 11월 첫 삽을 뜨고, 이후 총 40억의 예산을 출현해 2년 9개월 만에 완공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단일 공연장으로는 국내 최초의 오페라 전문 극장이면서 기업 메세나 활동의 모범적 사례로 기록되고 있다.[2] 2003년 8월 7일 창작 오페라 '목화'로 개관하면서 대구광역시에 기증하였고, 개관 첫해부터 매년 가을, 대구국제오페라축제를 개최하는 등 연중 양질의 공연으로 시민들의 문화 향유권 충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3]

3. 건축

총 2620평의 부지에 지하 2층, 지상 4층으로 지어진 건물로 유려한 곡선미의 그랜드피아노를 형상화했다. 내부가 환히 들여다보이도록 경쾌한 유리 재질로 외관을 처리하여 공연장에 대한 시민들의 거리감을 대폭 줄임과 동시에 외적 아름다움을 배가시켰다.

대구오페라하우스 부지는 삼성그룹 발전의 모태가 된 제일모직 공장터로, 과거 삶의 애환이 담긴 생존을 위한 대표적인 장소였는데 이제 삶을 누리며 즐기는 장소로, 시민들에게 휴식과 이벤트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드라마틱하게 변화했다. 그렇기 때문에 대구오페라하우스 건축물 그 자체를 하나의 작품, 하나의 오브제로서 자유로운 건축 표현을 하였다. 오페라를 담는 공간은 공연 예술이 빛을 발하도록 리듬과 운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작가의 메시지를 관객이 보면서 이해할 수 있는 장소이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리듬과 운율, 내재 질서를 오브제에 유입시키는 일련의 작업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공연예술을 위한 공간은 관객과 공연자의 상호 교감을 통한 최상의 연출이 가능하도록 음향적 요소와 시각적 디자인이 병행되어야 한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말발굽형(Horseshoe-shaped) 평면과 1490개의 객석 규모, 프로시니엄(Proscenium/무대 전면)의 규모 및 시야 확보를 위한 발코니의 구성이 정통 오페라 공연에 필요한 기능을 충족시키고 있다.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듣는 공연 위주의 콘서트홀이 아닌 청각과 시각을 동원하여 보고 듣는, 오페라와 같은 예술 장르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연장으로서 건축 공간 및 무대 장치의 효율적 운영 및 관리를 통해 뮤지컬, 발레, 무용, 콘서트, 가극, 악극, 연극 공연 및 영화 상영 등이 가능하도록 지어졌다.

4. 부대시설

시설종류
연습실대연습실(225m2) 1개실(지상 3층), 중연습실(173m2) 1개실(지하 1층), 소연습실(74m2) 3개실(지하 1층)
분장실개인분장실(78m2) 5개실(지상 1층), 일반분장실(221m2) 2개실(지하 1층), 조연분장실(152m2) 2개실(지하 1층)
기타지휘자실(17m2) 1개실(지하 1층), 관혁악단실(130m2) 2개실(지하 1층), 출연자휴게실(56m2) 1개실(지하 1층), 그린룸(29m2) 1개실(지상 1층), 세탁실(8.6m2) 1개실(지하 1층), 편의시설 카페(226m2) 1개소(지상 1·2층), 주차장(실내 132대(지하 1·2층), 야외 268대)


5. 프로그램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오펀스튜디오, 시민아카데미, 공연 연계 교육, 지역 커뮤니티 연계 교육, 온라인 예술 교육이 있다.[8]

오펀스튜디오는 전문 성악가 양성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오디션을 통해 선발한다. 시민아카데미는 시민 대상 예술 교육이며, 성악 실기 관련 교육을 한다. 공연 연계 교육에는 D-Art路, 대구광역시교육청 연계 교사 연수(공연 관람형), 문화 소외 계층 초청 교육이 있다. 지역 커뮤니티 연계 교육에는 대구오페라하우스 후원회 초청 교육과 대구광역시교육청 연계 교사 연수(강좌형)가 있다. 온라인 예술 교육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오페라 관련 영상을 제공한다.[9]

5. 1. 아카데미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전문가 양성 및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오펀스튜디오, 시민아카데미, 공연 연계 교육, 지역 커뮤니티 연계 교육, 온라인 예술 교육이 있다.[8]

오펀스튜디오는 오디션을 통해 성악가를 선발하여 전문 성악가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시민아카데미는 시민 대상 예술 교육으로, 성악 실기 관련 교육을 제공한다. 공연 연계 교육에는 D-Art路, 대구광역시교육청 연계 교사 연수(공연 관람형), 문화 소외 계층 초청 교육이 포함된다. 지역 커뮤니티 연계 교육으로는 대구오페라하우스 후원회 초청 교육과 대구광역시교육청 연계 교사 연수(강좌형)가 있다. 온라인 예술 교육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오페라 관련 다양한 주제의 영상을 제공한다.[9]

5. 2. 대구국제오페라축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매년 대구국제오페라축제를 홍보하는 오페라 필 자원 활동가를 선발한다. 오페라 필은 오페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자원활동가들은 오페라 축제 운영에 직접 참여하여 오페라와 공연 역량을 키울 수 있다.[12]

6. 협력기관 및 자원활동가

대구오페라하우스는 [https://www.dgpsc.or.kr/ 대구광약자활센터]와 2024년 7월 15일 업무협약을 맺었다. 이는 지역사회의 문화소외계층을 위한 것으로, 대구오페라하우스는 자활참여자, 청년 등에게 공연을 제공하고, 대구광약자활센터는 대구오페라하우스에서 열리는 축제나 공연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상호 협력을 계획했다. 대구오페라하우스의 관장과 대구광역자활센터의 센터장은 문화소외계층이 문화적 혜택을 누리고, 문화예술 향유권이 향상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10]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대구광역시 교육청과 연계하여 D-Art路(고등학교 1학년 학생 대상 문화예술공연 체험), 교원 및 전문직 대상 공연관람형·강좌형 프로그램(교원의 전문성 신장과 정서 지원)을 운영하고 있다.[11]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매년 오페라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가진 '오페라 필' 자원 활동가를 선발하여 대구국제오페라축제를 홍보하고, 축제 운영에 직접 참여하여 오페라와 공연 역량을 키울 기회를 제공한다.[12]

7. 멤버십

대구오페라하우스는 멤버십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연회비에 따라 특별 멤버십(100만), 베르디 멤버십(50만), 푸치니 멤버십(30만)이 있다.[13] 그 외에도 대구오페라하우스 20주년을 기념하는 의미가 담긴 기간 한정 특별 멤버십도 있다. 기간 한정 특별 멤버쉽의 연회비는 100만으로, 최대 100명까지 가입할 수 있다. 가입 기념 선물 제공, 카드 발급 등의 기본 혜택과 공연 관람 전 귀빈실 이용, 티켓 30% 할인 등 특별 혜택을 제공한다.[13]

8. 위치 및 교통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 15 (칠성동2가)에 위치하며, 시내버스나 지하철 대구역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8. 1. 위치

대구광역시 북구 호암로 15 (칠성동2가)에 위치한다.

8. 2. 교통


  • 시내버스

정류장노선
오페라하우스간선일반 : 323, 323-1, 523
삼성홈플러스대구점간선일반 : 503, 410, 410-1, 653
대구도시공사간선일반 : 300, 323, 323-1, 523, 730
이마트칠성점간선일반 : 300, 349, 836


  • 지하철

대구역에서 하차하여 중앙로 버스정류장(교동시장 입구쪽)에서 349번 버스 또는 택시를 이용한다.(롯데백화점 정문에서 택시정거장 이용)

# 349번은 시민운동장 맞은 편 정거장에서 하차(오페라하우스까지 도보로 5~7분 정도 소요)

# 택시를 이용할 경우 대구역에서 오페라하우스까지는 기본요금이 나오는 거리이다.

참조

[1] 웹사이트 Daegu Opera House http://english.daegu[...]
[2] 웹사이트 Seating http://english.visit[...]
[3] 웹사이트 History http://www.daeguoper[...]
[4] 웹인용 인사말 https://www.daeguope[...]
[5] 웹인용 대구오페라하우스 건립 경위 https://www.grandcul[...]
[6] 웹인용 조직도 https://www.daeguope[...]
[7] 웹인용 대구오페라하우스 https://korean.visit[...]
[8] 웹인용 아카데미 안내 https://daeguoperaho[...]
[9] 웹인용 아카데미 안내 https://daeguoperaho[...]
[10] 뉴스 대구광역자활센터-대구오페라하우스 ‘지역사회 문화소외계층 지원’ 업무협약 체결 https://www.socialim[...] 2024-07-17
[11] 웹인용 공연 연계교육 https://daeguoperaho[...]
[12] 뉴스 오페라축제 홍보는 우리가' 대구오페라하우스, 자원활동가 발대식 https://www.newsis.c[...] 2024-08-28
[13] 웹인용 멤버쉽 소개 https://daeguoperaho[...]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