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구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역은 1905년 영업을 시작한 역으로, 여러 차례 역사의 신축 및 개보수를 거쳤다. 1998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지하철역이 개설되었으며,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재개되었다. 경부고속철도 개통 이후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했고, 이후 열차 추돌 사고, 승강장 개편 등의 변화를 겪었다. 현재는 한국철도공사 경부선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며, 2024년 대경선 1단계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광역시의 철도역 - 동대구역
    동대구역은 대구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철도역이자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환승역으로, 고속철도 개통과 복합환승센터 개장으로 동남부 지역의 주요 교통 허브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철도 노선과 도시철도를 이용할 수 있는 곳이다.
  • 대구광역시의 철도역 - 고모역
    1925년 개업한 고모역은 한국전쟁으로 소실 후 재건되었으나 여객 취급 중단 및 간이역으로 격하, 2018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단장되었으며 "비 내리는 고모령" 노래의 배경인 고모령 인근에 위치한 현재는 출입이 통제된 역이다.
  • 대경선의 역 - 경산역
    경상북도 경산시에 위치한 경부선 경산역은 1905년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1년 선상역사로 재건축되었고, 2면 4선의 승강장과 광역전철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KTX와 무궁화호 등 다양한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대경선의 역 - 왜관역
    왜관역은 1905년 개업한 경부선 철도역으로, 미군기지 연결 전용선 개설로 중요성이 커졌으며 등급 변화와 새마을호 운행 변동을 겪었고, 화물 취급은 중지되었으나 대경선 개통을 앞두고 2면 4선의 쌍섬식 승강장을 갖춘 왜관읍의 주요 시설과 인접한 역이다.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칠성시장역
    칠성시장역은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의 지하역으로, 칠성시장 내에 위치하며 역명은 인근 칠성시장에서 유래되었고, 칠성시장 활성화를 위해 칠성역에서 현재의 역명으로 변경되었으며, 상대식 승강장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4개의 출구를 갖추고 있다.
  • 대구 북구의 전철역 - 태전역
    태전역은 대구광역시 북구 태전동에 위치한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의 고가역으로,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2015년 4월 23일 개통하여 영업을 시작했다.
대구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역 이름대구역
로마자 표기Daeguyeok
한자 표기大邱驛
주소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동
개업일1905년 1월 1일
운영 기관한국철도공사
역 구조지상역
승강장3면 5선
노선경부선
지하철 정보
역 이름대구역
운영 기관대구교통공사
역 번호132
역 구조지하역
승강장2면 2선
개업일1998년 5월 2일
인접역중앙로
칠성시장
한국철도공사 역 정보
역 번호K116
관할한국철도공사 대구경북본부 대구지역관리단 대구관리역
등급2급
영업 거리서울 기점 323.1 km
전역서대구
전역 거리4.2 km
후역동대구
후역 거리3.2 km
비고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비치역
대구교통공사 역 정보
영업 거리설화명곡 기점 14.5 km
전역131 중앙로
전역 거리0.7 km
후역133 칠성시장
후역 거리0.8 km
이미지
대구역 4번 출입구
승강장(2011년)
승강장 (설화명곡 방면)

2. 역사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13년 12월 1일에는 목조 2층 르네상스 양식으로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78년 12월 15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었다. 2000년 2월 1일 민자역사 신축 착공으로 대구시민회관 뒤편 임시역사에서 영업을 개시하였고, 2003년 1월 17일 롯데백화점 민자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여파로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참사 8개월 만에 영업을 재개하였다. 이후 2003년 12월 31일 1호선 전 구간 영업이 재개되었다.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으로 모든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으나, 2004년 7월 15일 일부 새마을호 열차가 다시 무정차 통과로 조정되었다. 이때 부산행과 해운대행을 제외한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유 새마을호 여객열차들(포항, 울산, 마산, 진주행)은 무정차 통과하였다. 2007년 6월 1일 다시 모든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9월 1일 대구역 열차 추돌 사고로 임시로 모든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으나, 2013년 9월 2일 복구가 완료되어 여객 열차 정차를 재개하였다. 2013년 10월 1일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공사로 인한 선로 조정에 따라 대구발 마산·진주무궁화호 열차가 동대구역으로 단축 및 5번 승강장과 선로가 철거되었다.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4년 6월 22일 5~6번 승강장 및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어 기존 4번→5번, 기존 5번→6번으로 승강장 번호가 조정되었고, 기존 4번 승강장은 결번 및 부산방면 영업이 개시되었으며, 2~3번 승강장은 폐쇄되었다. 2014년 12월 1일 2~3번 승강장 공사가 완료되고 1번 승강장이 폐쇄되었으며, 서울방향 승강장을 1번에서 기존 부산방향이 쓰던 2·3번 승강장으로 이설되고, 부산방향 승강장은 6번 승강장으로 이설되었다.

2015년 8월 1일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개통으로 서울방향 승강장을 1번으로 재조정하였다. 타는 곳 번호 2번은 결번(이후 3, 4번 승강장은 KTX 통과 선로로 쓰여 평상시에는 폐쇄.)되었다.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1단계 구미 ~ 경산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1951년 대구역 주변 전경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03년 2월 18일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역이 전소되어 8개월간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영업을 재개했다. 이후 2003년 12월 31일에 1호선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2. 1. 한국철도공사 대구역

1905년 1월 1일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1913년 12월 1일에는 목조 2층 르네상스 양식으로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78년 12월 15일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개통되었다. 2000년 2월 1일 민자역사 신축 착공으로 대구시민회관 뒤편 임시역사에서 영업을 개시하였고, 2003년 1월 17일 롯데백화점 민자역사가 신축 준공되었다.

2003년 2월 18일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여파로 8개월 동안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참사 8개월 만에 영업을 재개하였다. 이후 2003년 12월 31일 1호선 전 구간 영업이 재개되었다.

2004년 4월 1일 경부고속철도 개통으로 모든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으나, 2004년 7월 15일 일부 새마을호 열차가 다시 무정차 통과로 조정되었다. 이때 부산행과 해운대행을 제외한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유 새마을호 여객열차들(포항, 울산, 마산, 진주행)은 무정차 통과하였다. 2007년 6월 1일 다시 모든 새마을호 열차가 정차하기 시작하였다.

2013년 9월 1일 대구역 열차 추돌 사고로 임시로 모든 여객열차가 무정차 통과하였으나, 2013년 9월 2일 복구가 완료되어 여객 열차 정차를 재개하였다. 2013년 10월 1일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공사로 인한 선로 조정에 따라 대구발 마산·진주무궁화호 열차가 동대구역으로 단축 및 5번 승강장과 선로가 철거되었다.

2014년 5월 1일 충북종단열차 운행이 개시되었고, 2014년 5월 12일 ITX-새마을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4년 6월 22일 5~6번 승강장 및 전철화 공사가 완료되어 기존 4번→5번, 기존 5번→6번으로 승강장 번호가 조정되었고, 기존 4번 승강장은 결번 및 부산방면 영업이 개시되었으며, 2~3번 승강장은 폐쇄되었다. 2014년 12월 1일 2~3번 승강장 공사가 완료되고 1번 승강장이 폐쇄되었으며, 서울방향 승강장을 1번에서 기존 부산방향이 쓰던 2·3번 승강장으로 이설되고, 부산방향 승강장은 6번 승강장으로 이설되었다.

2015년 8월 1일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개통으로 서울방향 승강장을 1번으로 재조정하였다. 타는 곳 번호 2번은 결번(이후 3, 4번 승강장은 KTX 통과 선로로 쓰여 평상시에는 폐쇄.)되었다. 2023년 9월 1일 ITX-마음 운행이 개시되었다.

2024년 12월 14일 대경선 1단계 구미 ~ 경산 구간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될 예정이다.

한국철도공사(KORAIL)의 경부선이 운행하며, 경부선을 통해 경북선·경전선·동해선으로 직통하는 열차도 이 역에 정차한다. 모든 ITX-새마을·무궁화호는 이 역에 정차한다. 역 구내를 경부고속선이 통과하지만, 경부고속선에는 이 역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취급되어 KTX·SRT는 모든 열차가 정차하지 않는다.

현재 역사는 민간 사업자가 운영하는 민자역사로, 롯데백화점이 입점해 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통과선 1선, 단식 승강장 1면 1선의 총 3면 6선을 갖추고 있으나, 현재 여객 취급을 하는 것은 단식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 각 1면씩이다. 남쪽에서부터 1번선 ~ 6번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2번선은 상행 통과선으로 승강장이 없다. 3·4번선은 경부고속선 선로로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는다.

2. 2. 대구교통공사 대구역

1998년 5월 2일 대구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영업을 시작했다. 2003년 2월 18일에 발생한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로 인해 역이 전소되어 8개월간 영업이 중단되었다가, 2003년 10월 21일 중앙로역 무정차 통과 방식으로 영업을 재개했다. 이후 2003년 12월 31일에 1호선 전 구간 운행이 재개되었다.

링크


대구교통공사에서 운영하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역대구광역시 북구 칠성남로30길 지하24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추고 있으며, 전면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지하 3층, 개찰구와 역무실은 지하 2층, 화장실은 지하 1층에 있다. 출구는 총 4곳이다.

3. 역 구조

승강장은 대구역 본 건물과 중앙대로(대구역 지하도)에 걸쳐 있다.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 구간이 개통되기 전에는 3개의 승강장 중 대구역을 북쪽 정면(침산동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기준으로 가장 바깥쪽에 있는 4·5번 승강장은 대구발 마산 종착 경전선 무궁화호 전용 승강장이었고, 예전에는 진해역으로 가는 경전선 경유 진해선 열차 및 대구발 마산경전선 통근열차용 승강장이기도 했다. 이 승강장에는 가공전차선이 없었다. 저녁에만 1일 1회 출발했던 마산행 통근열차는 2006년을 마지막으로 대구역에서 볼 수 없게 되었다. 진해행 새마을호 열차는 대구역을 기점으로 밀양역창원역을 경유하여 진해역으로 운행했다. 그러나 2012년 7월 25일부터 경부고속선 대구 도심구간 공사에 따라 진해선 새마을호 열차의 기점역이 동대구역으로 단축되었고, 이후 진해선 시간표 개정으로 동대구 - 진해 새마을호의 운행도 중지되었다.

본래 3면 6선이지만 경부고속선 도심구간 공사로 2013년 10월 1일에는 마산행 열차가 동대구역으로 단축되어 5번 승강장은 철거되었고, 5번 승강장의 선로도 철거되어 3면 5선으로 운영하였다.

2014년 6월 22일 북쪽 승강장의 공사가 완료됐고, 가공전차선도 추가로 설치됐다. 상행은 기존 1번 승강장에서 계속 여객을 취급하나, 하행은 중앙에 있는 2번과 3번 승강장이 폐쇄됐다. 전철화된 후 기존 4번 승강장은 5번으로, 기존 5번 승강장은 6번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또한 개편 후 6번 홈 옆의 5번 홈 역시 아예 사용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는 2면 2선으로 여객을 취급하고, 1번과 6번 홈만 이용한다. 대경선 하행은 5번과 6번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지만, 기존처럼 6번에만 정차한다.

대경선 광역전철 승강장은 서대구역처럼 서쪽 끄트머리에 설치되고, 나머지 공간을 일반열차가 이용한다. 그리고 대경선과 1호선은 1회권 양식이 서로 다른 데다가 직결 환승 통로가 없어서, 도시철도 부전역 - 동해선 부전역과 비슷한 개념처럼, 역사를 나간 후 교통카드로 환승해야 한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통과선 1선, 단식 승강장 1면 1선의 총 3면 6선을 갖추고 있으나, 현재 여객 취급을 하는 것은 단식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 각 1면씩이다.

남쪽에서부터 1번선 ~ 6번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2번선은 상행 통과선으로 승강장이 없다. 3·4번선은 경부고속선 선로로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는다.

번호노선열차행선지
1경부선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서울 ·수원 ·천안 ·대전 ·구미 방면
3KTX ·SRT통과선
4
5사용하지 않음
6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부산 ·진주 ·부전 ·경산 방면



승강장(2012년 촬영)

3. 1. 한국철도공사 대구역

섬식 승강장 2면 4선과 통과선 1선, 단식 승강장 1면 1선의 총 3면 6선을 갖추고 있으나, 현재 여객 취급을 하는 것은 단식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 각 1면씩이다.

남쪽에서부터 1번선 ~ 6번선으로 배열되어 있다. 2번선은 상행 통과선으로 승강장이 없다. 3·4번선은 경부고속선 선로로 승강장은 사용되지 않는다.

번호노선열차행선지
1경부선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서울 ·수원 ·천안 ·대전 ·구미 방면
3KTX ·SRT통과선
4
5사용하지 않음
6무궁화호 ·ITX-새마을 ·ITX-마음부산 ·진주 ·부전 ·경산 방면



신동(경부선)/서대구(대구권 광역철도)

동대구

서대구역 (서울 방면)

동대구역 (부산 방면)

3. 1. 1. 승강장

wikitext

신동(경부선)/서대구(대구권 광역철도)
동대구

3. 1. 2. 배선도

서대구역 (서울 방면)

동대구역 (부산 방면)

3. 2. 대구교통공사 대구역



1호선 중앙로칠성시장 구간에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갖춘 지하역이다. 전면 스크린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승강장은 지하 3층에 있으며, 상행·하행 승강장에서 계단을 올라간 지하 2층에 각각의 개찰구가 있으며, 상하행 승강장 간 개찰구 내 이동은 불가능하다. 같은 지하 2층에 역무실, 지하 1층에 화장실이 있다.

출구는 1번부터 4번까지 총 4곳이 있다.

상행18px1호선중앙로・반월당・설화명곡 방면
하행18px1호선동대구역・반야월・안심 방면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3. 2. 1. 승강장

wikitext

상행18px1호선중앙로・반월당・설화명곡 방면
하행18px1호선동대구역・반야월・안심 방면


  • 승강장 번호는 존재하지 않는다.

4. 사건

2013년 8월 31일 오전 7시 15분, 대구시민회관 뒤편에서 무궁화호 1204열차가 상행 KTX 4012임시열차를 들이받고, 반대편 선로에서 서울역을 출발하여 동대구역으로 진입하던 또 다른 KTX 101열차가 추돌한 3중 충돌 사고가 발생하였다.

5. 역 주변

롯데백화점 대구점은 민자역사 3층과 연결되어 있다. 대구콘서트하우스, 번개시장, 교동시장, 라이프상가아파트, 칠성꽃도매시장, 칠성시장공영주차장, 칠성동행정복지센터, 침산동 방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대구북부소방서, 칠성휴먼시아, iM뱅크통일로지점, 칠성동우체국, 칠성고등학교가 근처에 있다. 대구시민운동장에는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대구시민체육관, 대구실내빙상장, DGB대구은행파크가 있다. 대구시민체육관은 핸드볼 코리아 리그 여자부 컬러풀 대구의 홈구장이며, DGB대구은행파크는 프로축구 K리그1 대구 FC의 홈구장이다. 칠성동 금류아파트, 오페라코오롱하늘채아파트, 새마을금고 칠성동북부지점, 대구소방본부, 대구역 유림노르웨이숲 아파트, 롯데시네마 대구, 홈플러스 대구점, 봉계시장, 대구공동어시장, 대구경명여자고등학교, 대구경명여자중학교, 대구옥산초등학교, 무량사도 주변에 위치한다.

6. 승차량 변동

경부선 대구역의 연도별 이용객 수는 다음과 같다.[2]

연도별이용객 수
경부선
새마을무궁화통일합계
2001년하행승차2889110528267411114912
하차122361710574382121761022
상행승차65201847480684491922449
하차66931207939191931233825
2002년하행승차2491102711262641035867
하차107461584442316271626815
상행승차70741706552609761774602
하차91871114635182011142023
2003년하행승차2050110884775381118435
하차118861676174147411702801
상행승차61471772184658501844181
하차99421148236234761181654
2004년하행승차129359985241192301133830
하차216011145971336411679365
상행승차1934041577275183621789041
하차144481972473177101134664
2005년하행승차168949966577287821164308
하차2415591462461align="center" |1704020
상행승차2183311579963align="center" |1798294
하차189355953130148701157355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의 이용객 수는 다음과 같다.[3]

연도일일 평균
승차 인원
1998년2543
1999년3949
2000년미공개
2001년3085
2002년3252
2003년2265
2004년6974
2005년7672
2006년10851
2007년10386
2008년10362
2009년10213
2010년10169
2011년10516
2012년10488


6. 1. 일반철도

wikitext

경부선 대구역의 연도별 이용객 수는 다음과 같다.[5][2]

연도별이용객 수
경부선
새마을무궁화통일합계
2001년하행승차2889110528267411114912
하차122361710574382121761022
상행승차65201847480684491922449
하차66931207939191931233825
2002년하행승차2491102711262641035867
하차107461584442316271626815
상행승차70741706552609761774602
하차91871114635182011142023
2003년하행승차2050110884775381118435
하차118861676174147411702801
상행승차61471772184658501844181
하차99421148236234761181654
2004년하행승차129359985241192301133830
하차216011145971336411679365
상행승차1934041577275183621789041
하차144481972473177101134664
2005년하행승차168949966577287821164308
하차2415591462461align="center" |1704020
상행승차2183311579963align="center" |1798294
하차189355953130148701157355


6. 2. 대구 도시철도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의 이용객 수는 다음과 같다.[6][7]

노선승차 인원주석
1997년1998년1999년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
1호선미개통2,5433,949미공개3,0853,2522,2656,9747,67210,851[6]
노선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2015년2016년
1호선10,38610,36210,21310,16910,51610,48810,53810,2589,8539,690[7]
노선2017년2018년2019년2020년2021년
1호선9,6179,4689,596



1998년부터 2021년까지의 자료를 보면, 2003년에는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의 영향으로 승객이 크게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 2006년까지 승객 수가 증가하다가 이후로는 10,000명 대에서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7. 인접한 역

ITX-새마을
동해선
경전선동대구구미경부선
ITX-마음동대구신동무궁화호
경부선충북선동대구대구 도시철도131 중앙로대구 도시철도 1호선133 칠성시장대경선 (경부선)K114 서대구K116 동대구


참조

[1] 뉴스 구미~경산 잇는 '대경선' 운행 첫날…"지하철 타는 것과 똑같네" https://www.news1.kr[...]
[2] 웹사이트 철도통계연보 http://www.korail.go[...]
[3]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1997~2008 http://www.dtro.or.k[...]
[4] 웹인용 대구역정보 https://archive.toda[...] 2018-07-20
[5] 웹인용 철도통계연보 https://web.archive.[...] 2011-01-03
[6]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교통공사 2009-01-30
[7] 웹사이트 대구지하철 승객량 통계 http://www.dtro.or.k[...] 대구교통공사 2009-01-30
[8] 기타
[9] 뉴스 대구역 열차 추돌사고…경부선 상하행선 운행 중단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8-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