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보 조산운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보 조산운동은 중생대 쥐라기에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 조산운동으로, 이 과정에서 관입한 화강암을 대보 화강암이라고 한다. 대보 화강암은 서울의 북한산과 도봉산, 강원도의 설악산, 홍천군, 전라북도 고창군 등지에 넓게 분포하며, 험준한 산세와 지형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대보 화강암은 암질이 단단하고 절리가 발달하여 수직적인 침식에 강하며, 지역에 따라 흑운모 화강암, 각섬석 흑운모 화강암 등의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대보 화강암'''은 대보 조산운동 과정에서 관입한 화강암이다. 서울 북한산과 도봉산 일대에서 강원도 강릉 설악산까지 이어진 산맥을 이루는 화강암[2]들은 모두 대보 화강암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고 있다.
대보 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에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 대규모 화성 활동의 결과물이며, 한반도 중부 지역을 중심으로 넓게 분포한다. 강원도 설악산, 홍천군, 서울특별시 북한산과 도봉산, 전라북도 익산시 등에 넓게 분포하며, 주로 석영,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된 밝은 회색의 중립질 내지 조립질 암석이다.[1]
[1]
간행물
지질학회지 제 24권 제 2호
http://www.dbpia.co.[...]
대한지질학회
1988
2. 대보 화강암
3. 대보 화강암 분포 지역
대보 화강암은 주변 변성암보다 풍화와 침식에 강해 높고 험준한 산세를 유지하게 하며, 수직 및 수평 절리가 발달하여 독특한 경관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3. 1. 강원도
강원도 지역에는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한다. 설악산은 선캄브리아 시대 편마암과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보 화강암은 설악산의 기반암을 형성하고, 중생대 쥐라기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 대규모 화성 활동의 결과물이다.[1]
홍천군에는 흑운모 화강암 및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된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한다. 대보 화강암은 홍천군 서면 마곡리, 굴업리, 반곡리, 모곡리, 두미리 및 팔봉산 지역, 남면 시동리, 양덕원리, 화전리, 용수리 지역, 동면 노천리, 성수리, 좌운리 지역, 홍천읍 남산, 연봉리, 상오안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1] 응봉산은 시대 미상의 변성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한 쥐라기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홍천군 서면 팔봉산은 대보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립 내지 조립질이고 풍화에 강해 험준한 산세를 보인다.[1]
3. 1. 1. 설악산
설악산 지역은 선캄브리아 시대의 편마암과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보 화강암은 설악산의 기반암을 형성하며, 거대한 수직 절리와 다양한 화강암 지형을 발달시켰다.[1]
설악산 지역의 대보 화강암은 거대한 화강암 돔 형태로 나타난다. 이 화강암 돔은 오랜 시간 동안의 풍화와 침식 작용을 받아 현재와 같은 험준한 산악 지형을 형성하였다. 특히, 수직 및 수평 방향의 절리가 발달하여, 토르, 애추와 같은 독특한 지형을 만들어냈다.[1]
설악산의 대보 화강암은 중생대 쥐라기에 한반도 전역에 걸쳐 일어난 대규모 화성 활동의 결과물이다. 이 화강암은 주변의 변성암류에 비해 풍화와 침식에 강하여, 설악산과 같은 높은 산지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1]
3. 1. 2. 홍천군
홍천군에는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한다. 이 화강암은 흑운모 화강암 및 각섬석-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며, 홍천군 서면 마곡리, 굴업리, 반곡리, 모곡리, 두미리 및 팔봉산 지역, 남면 시동리, 양덕원리, 화전리, 용수리 지역, 동면 노천리, 성수리, 좌운리 지역, 홍천읍 남산, 연봉리, 상오안리 지역 등에 분포한다.[1]
홍천읍에서 북동쪽으로 약 10 km 떨어지고 성산에서 남-남서쪽으로 약 5 km 거리에 위치한 응봉산(368.3 m)은 시대 미상의 변성퇴적암류와 이를 관입한 쥐라기 화강암으로 구성된다. 응봉산에서 북서쪽으로 약 2 km 지점에는 흑운모 화강암이 소규모로 분포한다.[1]
홍천군 서면 팔봉산(309 m)은 9개의 봉우리로 구성된 산으로, 대보 흑운모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화강암은 중립 내지 조립질이며, 풍화에 강해 험준한 산세를 보인다. 팔봉산 일대에는 북북동 주향의 단층이 발달하며, 이 단층은 홍천강의 유로와 일치한다.[1]
3. 2. 서울
서울 지역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이 넓게 분포하고 있다. 대보 화강암은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 걸쳐 나타나며,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흔히 발견된다. 이 화강암은 주로 석영,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밝은 회색을 띠는 중립질 내지 조립질 암석이다.
서울의 북한산과 도봉산은 대보 화강암으로 이루어진 대표적인 산이다. 대보 화강암은 주변의 변성암보다 풍화와 침식에 강해 높고 험준한 산세를 유지하게 한다. 도봉산의 화강암에는 수직 및 수평 절리가 발달하여 독특한 경관을 이룬다.
3. 2. 1. 북한산
북한산은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험준한 산악 지형을 이룬다. 대보 화강암은 중생대 지각 변동으로 인해 한반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화강암이다. 북한산의 대보 화강암은 주변 지역의 변성암보다 풍화와 침식에 강해 높고 험준한 산지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3. 2. 2. 도봉산
도봉산은 경기도 의정부시와 서울특별시 도봉구의 경계에 있는 산이다. 이 산의 능선은 대체로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이 많이 분포한다. 대보 화강암은 한반도 중부와 남부에 넓게 퍼져 있으며, 특히 서울과 경기도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도봉산 지역의 대보 화강암은 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입자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석영, 정장석, 사장석, 흑운모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암석은 밝은 회색을 띠며, 풍화에 강하여 산 정상부와 능선에 주로 분포한다. 반면, 풍화에 약한 부분은 침식되어 낮은 지대를 형성한다.
도봉산의 화강암 지형은 오랜 시간 동안의 침식과 풍화 작용을 거쳐 형성되었다. 특히, 수직 및 수평 절리가 발달하여 독특한 경관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절리는 암석의 팽창과 수축, 물의 동결과 융해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3. 전라도
전라도 지역에는 쥐라기에 대보 조산운동으로 생성된 대보 화강암이 분포한다.
익산시의 기반암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시대 미상의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부와 서부에 대보 화강암이 관입해 있다. 이 지역의 대보 화강암은 섬장암에 가까운 몬조화강암(monzogranite)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는 167±4 Ma이다.[1]
익산시의 대보 화강암은 주로 동부(함열읍, 낭산면, 삼기면, 금마면 일대)와 서부(오산면 남부, 왕궁면 북동부, 춘포면 북서부, 팔봉동)에 분포한다. 이 암석은 대부분 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암이며, 국부적으로 각섬석을 함유한다. 황등면에서는 1998년 8월 11일 규모 2.3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는 대보 조산운동 이후 이 지역에 추가적인 지질학적 활동이 있었음을 보여준다.[2]
고창군에는 김제시나 정읍시와 달리 대보 화강암이 분포하지 않고, 화강암은 고창읍 북쪽의 방장산 인근에 조금 분포한다.[1]
3. 3. 1. 익산시
익산시의 기반암은 대부분 선캄브리아기의 편마암류와 시대 미상의 화강암류로 구성되어 있으며, 익산시의 동부와 서부에 쥐라기의 대보 화강암이 관입해 있다. 이 지역에 분포하는 대보 화강암은 섬장암에 가까운 몬조화강암(monzogranite)이며 방사성 동위원소 연대는 167±4 Ma이다.[1]
익산시의 대보 화강암은 주로 익산시의 동부와 서부에 분포한다. 동부 지역에서는 함열읍, 낭산면, 삼기면, 금마면 일대에 분포하며, 서부 지역에서는 오산면 남부, 왕궁면 북동부, 춘포면 북서부, 팔봉동에 분포한다. 이 지역의 대보 화강암은 대부분 중립질 내지 조립질의 흑운모 화강암이며, 국부적으로 각섬석을 함유한다.
익산시의 지질학적 특성 중 하나는 황등면에서 1998년 8월 11일 발생한 규모 2.3의 지진이다. 이 지진은 대보 조산운동 이후 익산 지역에 추가적인 지질학적 활동이 있었음을 시사한다.[2]
3. 3. 2. 고창군
고창군에는 김제시나 정읍시와 달리 대보 화강암이 분포하지 않고, 화강암은 고창읍 북쪽의 방장산 인근에 조금 분포한다.[1]
참조
[2]
웹사이트
한반도 지질 현황
http://nationalatla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