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위는 군대에서 사용되는 계급의 명칭으로, 어원은 '우두머리'를 뜻하는 라틴어 'capitaneus'이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대위 계급을 사용하며, 주로 중대장, 참모 등의 지휘관 또는 참모직을 수행한다. 대위는 역사적으로 중대를 지휘하는 장교를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으며, 해군에서는 군함을 지휘하는 장교를 의미하기도 했다. 각 나라별로 명칭과 계급 체계가 다르며,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대위에 해당하는 계급을 사용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병 대위 - 박상범 (1943년)
    박상범은 대한민국의 군인, 공무원으로, 대통령 경호실 공채 1기로 임용되어 대통령 경호실장과 국가보훈처장을 역임하며 주요 사건 당시 대통령 경호 임무를 수행했다.
  • 위관급 장교 - 소위
    소위는 대한민국 국군, 자위대, 미군, 영국군 등 여러 국가의 군대에서 사용되는 장교 계급이다.
  • 위관급 장교 - 중위
    중위는 상관의 부재 시 그 자리를 대신하는 사람을 의미하는 계급으로, 군대에서 소위 다음 계급이며, 다양한 조직에서 중간 관리자 역할 및 정치적 직함으로도 사용된다.
  • 군사 계급 - 4성 장군
    4성 장군은 군대 계급 중 대장에 해당하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합동참모의장, 각 군 참모총장 등을 포함한 7명이, 다른 국가에서는 각 군 참모총장, 통합군 사령관 등이 해당되는 군 최고위급 지휘관이다.
  • 군사 계급 - 대령
    대령은 연대 규모의 부대를 지휘하는 장교 계급으로, 국가와 군종에 따라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며, 현대에는 부대 운영, 훈련, 작전 수행 등의 책임을 지고 명예연대장과 같은 직책도 존재한다.
대위
군사 계급
해당 계급대위
소속 군육군, 공군
계급 체계위관급 장교
직책소대장, 중대장, 사령관, 참모 등 다양한 지휘 및 참모 직책
각국별 명칭 및 번역
영어Captain
프랑스어capitaine
일본어大尉 (たいい)
중국어大尉
러시아어Капитан (Kapitan)
특징
상위 계급소령
하위 계급중위
임무지휘관, 참모, 교관 등 다양한 역할 수행
기타일부 국가에서는 기병 대위를 "리텐넌트(Lieutenant)"라고 부름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대대급 부대에서 중대장 역할 수행
대한민국 국군
병과육군, 공군, 해병대
계급 분류위관급 장교
역할소대장, 부중대장, 참모
군사특기보병, 포병, 기갑 등 각 병과에서 다양한 특기
복무 기간육군사관학교, 공군사관학교, 해군사관학교 졸업 후 임관 시 10년
3사관학교 졸업 후 임관 시 6년
학군장교, 단기사관 임관 시 3년
군가진군가
일본 자위대
명칭1등 육위, 1등 해위, 1등 공위
영문 표기Captain (Army), Captain (Navy), Captain (Air Force)
기타 국가
미국육군: Captain
해병대: Captain
공군: Captain
영국육군: Captain
해병대: Captain
공군: Flight Lieutenant

2. 역사적 배경

"대위"라는 용어는 "우두머리"를 뜻하는 고대 라틴어 capitaneusla에서 유래했다.[3] 14세기에 중세 영어에서 capitaynenm으로 사용되었고, 고대 프랑스어 capitaine프랑스어에서 영향을 받았다.

1560년대부터 대위는 중대를 지휘하는 장교를 의미하는 군사 계급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3] 프랑스 혁명 이전 근세 시대에는 귀족이 중대 지휘권을 구매하여 대위가 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이들은 중대의 유지 및 보급에 대한 책임을 맡았다.[3] 만약 대위가 중대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면 군법회의를 통해 해임되기도 했다.

프랑스 혁명 이후 군대가 전문화되면서 대위는 중대장 또는 그에 준하는 직책을 맡는 장교를 의미하게 되었다.

3.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대위'라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3] 대위는 주로 중대장, 참모 등의 지휘관 또는 참모직을 수행하며, 정찰대 및 후방지원대(연대)의 정비중대・직접지원중대에서는 소대장직을 맡기도 한다.

3. 1. 대한민국 국군 계급장

|계급계급장
위관육군 (포제 정장)육군 (포제 견장)육군 (금속제)해군해병대공군
대위
150px
100px
100px
150px
100px
100px


4. 조선인민군

조선인민군은 상위와 대위 계급이 존재하며, 대위가 상위보다 높은 계급이다.[50] 이는 중화인민공화국 인민해방군과 동일하다.

5. 자위대

미일 공동훈련 “아이언 피스트” 훈련 장면. 오른쪽 앞은 미 해병대 대위, 오른쪽 뒤는 육상자위대 1등육위, 2012년


자위대에서 1위(약칭)는 경찰경부, 중앙관청의 본청 계장 또는 주임에 상당한다.[48]

1등육위는 중대장 등의 지휘관직 외에 부중대장, 운용훈련간부, 상급부대의 반장직이나 막료 활동을 한다. 정찰대 및 후방지원대(연대)의 정비중대, 직접지원중대에서는 소대장직을 맡기도 하며, 방면통신군의 기지통신중대 등 파견부대에서는 파견대장으로 활동한다. 항공자위대에서는 주로 조종사나 소대장, 항공단사령부 등의 반장, 일부는 각 편성단위 부대장 등에 보직된다.

6. 각국의 명칭 및 계급 체계

국가육군해군공군기타
대한민국대위대위대위
조선인민군상위, 대위[50]상위, 대위[50]상위, 대위[50]
일본一等陸尉|일등육위일본어一等海尉|일등해위일본어一等空尉|일등공위일본어
중국상위상위상위
독일Hauptmann|하우프트만deKapitänleutnant|카피텐 로이트난트deHauptmann|하우프트만de


  •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육군, 해군, 공군 모두 '대위'라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 조선인민군의 경우 상위와 대위 계급이 존재하며, 대위가 상위보다 높은 계급이다.[50]
  • 일본 자위대의 경우, 육상자위대는 '一等陸尉|일등육위일본어', 해상자위대는 '一等海尉|일등해위일본어', 항공자위대는 '一等空尉|일등공위일본어'라고 칭한다.
  • 중국 인민해방군은 '상위'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 독일 연방군의 경우 육군과 공군은 'Hauptmann|하우프트만de', 해군은 'Kapitänleutnant|카피텐 로이트난트de'라고 칭한다.


대한민국 국군 대위 계급장
구분육군(정장)육군(견장)육군(금속제)해군해병대공군
계급장


6. 1. 영미권

미국의 경우, 육군, 해병대, 공군, 우주군에서는 대위를 'Captain'이라고 칭한다.[50] 반면, 해군해안경비대에서는 'Lieutenant'를 사용한다.[50]

영국의 경우, 육군과 해병대는 'Captain'을 사용한다.[50] 해군은 'Lieutenant'를 사용하며, 보통 ['lefténant']처럼 발음한다.[50] 공군은 'Flight Lieutenant'가 대위에 해당한다.[50]

참고로, 영어 단어 "Captain"(대장)은 원래 용병대(후대의 중대에 해당) 등의 우두머리 직책이 제도화, 계급화된 것에서 유래한다.[50] 해군만이 다른 세 군에서는 중위에 해당하는 "Lieutenant"가 된다.[50]

6. 2. 유럽

독일 연방군의 경우 육군, 공군은 'Hauptmann'(하우프트맨)이라고 부르며, 해군은 'Kapitänleutnant'(카피텐 로이트난트)라고 부른다. 해군에서는 종종 'Kaleu'(카로이)로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49]

프랑스군의 경우 육군, 공군, 국가헌병대는 'Capitaine'(카피텐)이라고 부른다. 해군에서는 'Lieutenant de vaisseau'라고 부른다.

6. 3. 동아시아

중국 인민해방군은 '상위'를 대위 계급으로 사용한다.[50] 1955년부터 1965년까지는 상위(上尉) 위의 계급으로 '대위(大尉)'를 사용했으나, 1988년 이후로는 폐지되어 상위가 위관의 최고 계급이 되었다.

참조

[1] 일반텍스트
[2] 웹사이트 New insignia for the Royal Canadian Air Force http://www.rcaf-arc.[...] 2014-09-24
[3] 위키소스 海陸軍大中少佐及尉官及陸軍曹長權曹長ヲ置ク
[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5] 기록보관소
[6] 웹사이트 7. 法令の種別、法令番号 https://dajokan.ndl.[...] 国立国会図書館 2023-12-02
[7] 기록보관소
[8] 기록보관소
[9] 기록보관소
[10] 학술지 陸軍史の窓から(第1回)「階級呼称のルーツ」 https://kaikosha.or.[...] 偕行社 2022-05
[11] 기록보관소
[12] 기록보관소
[13] 기록보관소
[14] 기록보관소
[15] 기록보관소
[16] 기록보관소
[17] 기록보관소
[18] 기록보관소
[19] 기록보관소
[20] 기록보관소
[21] 기록보관소
[22] 기록보관소
[23] 기록보관소
[24] 기록보관소
[25] 기록보관소
[26] 기록보관소
[27] 기록보관소
[28] 기록보관소
[29] 기록보관소
[30] 기록보관소
[31] 기록보관소
[32]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3] 기록보관소
[34]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5] 기록보관소
[36]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7]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38] 기타 陸海軍武官官等表改正・二条 国立公文書館
[39] 기타
[40] 기타
[41] 기타
[42] 기타
[43] 기타
[44] 기타 職員録・明治五年五月・官員全書改(陸軍省武官)
[45] 서적 法令全書 内閣官報局 2024-11-17
[46] 기타 海軍武官彼我ノ称呼ヲ定ム 国立公文書館
[47] 웹사이트 「大尉」「大佐」の読みは? http://www.nhk.or.jp[...] 日本放送協会 2022-09-10
[48] 웹사이트 自衛隊広島地方協力本部「自衛隊しまなみ通信」 https://web.archive.[...]
[49] 기타 阪口、左読みP48
[50] 기타 공산국가 장교 계급 체계
[51] 기타 독일군 상급대위 계급
[52] 기타 2번 각주 참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