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공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공군은 1949년 10월 1일 창설된 대한민국 국군의 항공 전력이다.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부터 공군력 건설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한국 전쟁을 거치며 전력이 증강되었다. 1960년대 이후 F-86, F-5, F-4 등 전투기를 도입하며 전력을 강화했고, 1980년대에는 KF-16, 1990년대에는 KF-16, 2000년대에는 F-15K, FA-50, 2020년대에는 F-35를 도입하며 현대화된 공군력을 구축했다. 현재 공군본부, 공군작전사령부, 공군군수사령부, 공군교육사령부, 공군사관학교 등을 예하에 두고 있으며, KF-21, L-SAM 등 국산 무기 개발 사업도 진행 중이다. 공군 참모총장은 이영수 대장이며, 병의 복무 기간은 21개월이다. 빨간 마후라는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를 상징한다.
2. 역사
대한민국 공군은 약 65,000명의 병력과 약 790대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1945년 광복 이후 항공 부대 창설 노력이 있었으나, 1948년에 이르러서야 육군 내 경비행대 창설이 승인되었다. 같은 해 미국으로부터 L-4 및 L-5 연락기를 도입하며 육군항공대로 발족했고, 이듬해인 1949년 10월 1일 육군에서 독립하여 대한민국 공군이 공식 창설되었다.[52]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당시에는 전력이 미미했으나, 전쟁 중 미국의 지원을 받아 P-51D 머스탱 등 항공기를 도입하며 전력을 확충했다.
전후에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며 지속적인 전력 증강을 추진했다. 1960년대부터 F-86, F-5, F-4 등을 도입했고, 1990년대에는 F-16·KF-16, 2000년대에는 F-15K를 도입하며 현대화를 이루었다. KT-1과 T-50 등 국산 항공기 개발에도 성공했으며, 현재는 국산 전투기 KF-21 개발을 진행 중이다. 2020년대에는 F-35A를 도입하는 등 최신 기종 확보에 힘쓰고 있다.
조직적으로는 2003년 남부 및 북부전투사령부가 설치되었고, 2015년 각각 공중전투사령부와 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 1. 임시정부
1920년 4월 27일,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관지인 독립신문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에 위치한 비행학교를 졸업하고, 이후 미국 내 한인 비행학교까지 수료한 6명의 한인 청년들을 소개했다. 이들은 바로 한장호, 이용근, 이초, 이용선, 오임하, 장병훈으로, 장차 독립군 공군을 이끌 인재로 주목받았다. 독립신문은 이들의 기념사진을 기사와 함께 게재했다.
이들이 훈련받은 한인 비행학교는 독립운동가 노백린이 재미 한인 교포들의 성금을 모아 설립한 곳이었다. 비행사들은 "반드시 동경에 날아가 쑥대밭을 만들자"는 굳은 결의를 다지며 훈련에 임했다고 전해진다. 훈련에 사용된 연습용 경비행기에는 대한 항공대를 의미하는 'KAC'(Korea Air Corps)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다.
이들 외에도 박희성과 같은 인물들이 이 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비행면허를 취득했으며, 박희성은 192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육군 항공대 소위로 정식 임관하였다.[62]
2. 2. 창설 ~ 한국전쟁
1945년 일본 제국의 패전으로 일본의 조선 지배가 끝나자, 귀국한 항공 관계자 약 500명은 1946년 8월 10일 한국항공건설협회를 결성하여 공군력의 중요성을 알리고 항공부대 창설을 건의했으나 당시 미군은 이를 승인하지 않았다. 이후 육군 통위부 정보국장 대리였던 김영환의 노력으로 1948년 3월, 육군의 일부로서 경비행대 창설을 승인받았다.
1948년 4월, 김정렬, 박범집, 최용덕, 이영무, 이근석, 장덕창, 김영환 등 7명은 항공 간부 요원으로 선발되어 기초 군사 교육을 마쳤고, 5월 1일 경비사관학교에 입학하여 2주간의 교육 후 5월 14일 소위로 임관하였다.[52] 같은 해 5월 5일, 현재의 국방부 전신인 통위부 지휘 아래 최초의 공군 부대가 창설되었으며, 제1여단 사령부 예하에 항공부대가 편성되고 백인엽이 사령관으로 취임하였다.[52] 9월 13일, 미국으로부터 L-4 그래스호퍼 연락기 10대를 인도받았고, 다음 날 대한민국 국방경비대가 대한민국 육군으로 개편되면서 육군항공대로 개칭되었다. 15일에는 최초의 편대 비행을 실시했다. L-4 연락기는 항속거리가 짧아 1948년 말까지 L-5 정찰용 연락기 10대가 추가로 도입되었다. 1949년 1월에는 육군항공학교가 설립되었다.
L-5 연락기 도입을 계기로 항공 수뇌부는 공군의 독립을 주장했으나, 연락기 20대로는 부족하다는 점과 당시 미국 공군조차 독립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미 군사고문단장 로버트 준장은 시기상조로 판단했고, 참모총장 채병덕 소장 역시 공지 협동 작전의 중요성을 들어 공군 독립에 반대했다. 이에 김정렬 등이 이승만 대통령과 신성모 국방부 장관에게 직접 호소하고 채병덕을 설득한 끝에, 마침내 1949년 10월 1일 대한민국 공군이 육군에서 독립하여 공식적으로 창설되었다.[63]
1950년 한국 전쟁 발발 당시, 대한민국 공군은 약 1,800명의 병력과 캐나다에서 구입한 노스아메리칸 T-6 텍산 훈련기 10대를 포함하여 총 20대의 훈련기 및 연락기만을 보유한 열악한 상황이었다. 반면, 조선인민군 공군은 소련으로부터 야코블레프 Yak-9와 라보치킨 La-7 전투기를 다수 지원받아 규모와 전력 면에서 대한민국 공군을 압도하고 있었다.
전쟁 중 대한민국 공군은 미국의 지원을 받아 급격히 성장했다. 특히 '부트 원(Bout One)'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딘 헤스(Dean Hess) 소령 등 미국 공군 교관 조종사들의 지도 아래 F-51D 머스탱 전투기를 도입하면서 본격적인 전투 능력을 갖추기 시작했다. 공군은 폭격 작전에 참가하는 등 점차 독자적인 임무 수행 능력을 키워나갔고, 1952년에는 첫 단독 전투 출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휴전 무렵 대한민국 공군은 1개 전투비행단, 3개 전투비행대대와 79대의 전폭기를 포함하여 총 110대의 항공기를 보유하게 되었다.[64] 전쟁 이후 공군 본부는 서울 대방동으로 이전했다.
2. 3. 1960년대 ~ 현재
북한의 잠재적 공격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대한민국 공군은 상당한 전력 증강을 거쳤다. 1960년대에는 T-28 훈련기, F-86D 세이버 야간 및 악천후 요격기, F-5 전투기, 그리고 F-4D 팬텀 전투폭격기를 도입했다. 효율적인 지휘통제 시설 확보를 위해 1961년 공군작전사령부가 창설되었고, 1966년에는 공군군수사령부가 창설되었다. 또한 전시 긴급 사용을 위한 비상 활주로가 건설되었다. 1966년에는 C-46 코만도 수송기를 운용하는 은마부대가 창설되어 대한민국 육군과 대한민국 해병대의 베트남 전쟁 참전 부대를 지원했다.[5]
1970년대 들어 점점 더 공격적으로 변하는 북한으로 인해 대한민국 공군은 안보 위협에 직면했다. 정부는 공군 예산을 증액하여 1974년 8월 F-5E 타이거 II 전투기와 F-4E 전투폭격기를 구매했다. C-123 프로바이더 수송기와 S-2 트래커 대잠초계기와 같은 지원 항공기도 이 시기에 구매되었다. 비행 훈련 프로그램에 큰 중점을 두어 T-41 메스칼레로와 T-37과 같은 새로운 훈련기를 도입했고, 인력 훈련의 질을 향상시키고 통합하기 위해 1973년 공군교육사령부도 창설되었다.
1990년대에는 F-16·KF-16 전투기가 도입되었고, 2000년대에는 F-15E의 한국형인 F-15K가 도입되는 등 현대화가 진행되었다. KT-1과 T-50 등의 훈련기를 국산화한 데 이어, 국산 전투기 KF-21의 개발도 진행하고 있다. 2003년에는 남부전투사령부와 북부전투사령부가 설치되었으며, 이들은 2015년에 각각 공중전투사령부와 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되었다.
2020년대에도 F-35A 도입 등 최신예 기종으로의 전력 보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3. 편성 및 조직
대한민국 공군은 약 65,000명의 병력과 약 790대의 항공기를 운용하고 있다.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대비하고 임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 개편이 이루어졌다. 당초 작전사령부 예하에 공군북부전투사령부와 공군남부전투사령부를 신설할 계획이었으나,[52] 2015년에는 이들을 모체로 하여 각각 공중전투사령부와 공중기동정찰사령부로 개편하여 현재의 편제를 갖추게 되었다.
공군의 조직은 공군참모총장이 지휘하는 공군본부를 정점으로 하며, 그 예하에 주요 작전을 총괄하는 작전사령부, 군수 지원을 담당하는 군수사령부, 교육 및 훈련을 담당하는 교육사령부 등의 주요 사령부가 있다. 또한, 장교 양성을 위한 공군사관학교와 보수 교육을 위한 공군대학교 등의 교육기관도 운영하고 있다. 작전사령부 예하에는 공중전투사령부, 공중기동정찰사령부, 방공유도탄사령부, 방공관제사령부 등이 있어 각기 전문화된 임무를 수행한다.
3. 1. 공군본부
공군참모총장의 지휘를 받는 공군본부 직속 부대는 다음과 같다.3. 2. 공군작전사령부
3. 3. 기타 부대 및 기관
공군참모총장의 지휘를 받는 공군본부에는 작전사령부 예하 부대 외에도 다음과 같은 주요 부대 및 기관이 소속되어 있다.
4. 주요 기지
기지명 | 소재지 | 비고 |
---|---|---|
오산 공군기지 | 경기도 평택시 | |
서울 공군기지 | 경기도 성남시 | |
수원 공군기지 | 경기도 수원시 | |
대구 공군기지 | 대구광역시 | 민간 공용 |
사천 공군기지 | 경상남도 사천시 | 민간 공용 |
광주 공군기지 | 광주광역시 | 민간 공용 |
서산 공군기지 | 충청남도 서산시 | |
군산 공군기지 | 전라북도 군산시 | 민간 공용 |
5. 장비 및 사업
대한민국 공군은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와 방공 무기를 운용하며 영공 방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전투기로는 KFP 사업으로 도입 및 면허 생산한 KF-16과 F-16, F-15K, 그리고 최신예 F-35A 등이 있으며, 국산 FA-50 경공격기도 중요한 전력으로 운용 중이다. 노후화된 F-4E와 F-5 계열 전투기는 단계적으로 퇴역하고 있으며, 이들은 F-35A와 개발 중인 국산 전투기 KF-21로 대체될 예정이다.
훈련기로는 국산 KT-1 기본훈련기, T-50 고등훈련기, TA-50 전술입문기 등을 운용하여 조종사 양성에 힘쓰고 있으며, 초등훈련 과정에는 KT-100이 사용된다. 수송 전력으로는 C-130H와 C-130J, CN-235 수송기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통령 전용기(보잉 747)와 정부 수송기(보잉 737)도 운용한다.
정찰 및 감시 자산으로는 금강정찰기와 백두정찰기, E-737 피스아이 공중조기경보통제기, RQ-4 글로벌 호크 고고도 무인정찰기 등을 운용하여 한반도 및 주변 지역에 대한 감시 능력을 확보하고 있다. 또한, KC-330 시그너스 공중급유기 4대를 도입하여 전투기의 작전 반경과 체공 시간을 크게 향상시켰다. 이 외에도 탐색구조 및 병력 수송 임무를 위한 HH-60 페이브호크, HH-47 치누크, Ka-32, UH-60 블랙호크 등 다양한 헬리콥터를 운용 중이다. 지상 방공 전력으로는 패트리어트 미사일과 국산 천궁 등의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현재 공군은 KF-X 사업으로 진행 중인 KF-21 개발 사업을 비롯하여 차기 대통령 전용기 사업(VC-X), 원격지원전자전기 사업, 스텔스 무인 전투기(UCAV) 개발 등 다양한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며 미래 전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5. 1. 주요 항공기
대한민국 공군은 다양한 종류의 항공기를 운용하여 영공 방위 및 각종 작전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운용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항공기 | 제조국 | 종류 | 형식 | 보유 수량 | 비고 |
---|---|---|---|---|---|
전투기 | |||||
F-5 제공호 | 미국 / 대한민국 | 전투기 | KF-5E/F | 61[29] | 대한항공에서 면허 생산. 2030년 전량 퇴역 예정. |
F-15K 슬램 이글 | 미국 | 다목적 전투기 | F-15K | 59[31] | F-15E 스트라이크 이글의 대한민국 공군형. |
KF-16 파이팅 팰컨 | 미국 / 대한민국 | 다목적 전투기 | KF-16C/D Block 52/52+ | 133 (C형 118, D형 49)[31] | 한국항공우주산업(KAI)에서 면허 생산. D형은 전환 훈련 가능. |
F-16 파이팅 팰컨 | 미국 | 다목적 전투기 | F-16C/D Block 32 (PBU) | 34 | 성능 개량 완료. |
F-35A 라이트닝 II | 미국 | 스텔스 다목적 전투기 | F-35A | 39[30] | 20대 추가 도입 예정.[30] |
FA-50 파이팅 이글 | 대한민국 | 경공격기 / 다목적 전투기 | FA-50 | 60[31] | T-50 골든이글 기반 개발. |
KF-21 보라매 | 대한민국 | 다목적 전투기 | 블록 1 | 개발 중 | 2026년 개발 완료 목표, 초도 물량 20대 생산 계약 체결.[32]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 |||||
E-737 피스 아이 | 미국 | 조기경보통제기 (AEW&C) | E-737 | 4[31] | MESA 레이더 장착. |
정찰기 | |||||
다쏘 팔콘 2000 (백두정찰기) | 프랑스 | 전자전 / ELINT | Falcon 2000S | 2[31] | 4대 추가 도입 예정.[33] |
호커 800XP (금강/백두정찰기) | 영국 / 미국 | 영상 정찰 / SIGINT | RC-800RA/SIG | 8[31] | 금강정찰기(영상), 백두정찰기(SIGINT) 운용. |
RF-16 | 미국 / 대한민국 | 전술 정찰기 | KF-16 정찰 포드 장착형 | (KF-16 개조) | KF-16 전투기에 정찰 포드 장착 운용.[11] |
RQ-4 글로벌 호크 | 미국 | 고고도 무인 정찰기 (HALE UAV) | RQ-4B Block 30 | 4[40] | |
공중급유기 | |||||
KC-330 시그너스 | 다국적 (주도: 스페인) | 공중급유 / 수송 | KC-330 | 4[31] | 에어버스 A330 기반 다목적 공중급유기. |
수송기 | |||||
C-130H 허큘리스 | 미국 | 전술 수송기 | C-130H/H-30 | 12[31] | |
C-130J 슈퍼 허큘리스 | 미국 | 전술 수송기 | C-130J-30 | 4[31] | C-130H 대비 성능 향상형. |
CN-235 | 스페인 / 인도네시아 | 전술 수송기 | CN-235-100M/220M | 18[31] | 일부 VIP 수송용(VCN-235)으로도 운용. |
C-390 밀레니엄 | 브라질 | 전술 수송기 | C-390 | 도입 예정 | 3대 도입 계약 체결.[36][37] |
보잉 747-8I | 미국 | VIP 수송기 (코드 원) | 747-8I | 1[35] | 대통령 전용기, 대한항공 임차 운용. |
보잉 737-300 | 미국 | VIP 수송기 (코드 투) | 737-3Z8 | 1[34] | 국무총리 등 정부 요인 사용. |
헬리콥터 | |||||
HH-60P 페이브 호크 | 미국 | 전투 수색 구조 (CSAR) / 탐색 구조 | HH-60P | 17[31] | UH-60 블랙호크 기반 탐색구조헬기. |
HH-47D 치누크 | 미국 | 수송 / 전투 수색 구조 (CSAR) | HH-47D | 9[31] | 대형 수송 및 탐색구조헬기. |
Ka-32 (카모프) | 러시아 | 탐색 구조 / 수송 | Ka-32A4 (HH-32) | 7[31] | 산불 진화 등 다목적 활용. |
AS332 슈퍼 퓨마 | 프랑스 | 다목적 / 수송 | AS332 L/L2 | 3[31] | |
벨 412 | 미국 | 다목적 | Bell 412SP | 3[31] | |
시코르스키 S-92 | 미국 | VIP 수송 | S-92A | 3[38] | 대통령 전용헬기 등으로 사용. |
훈련기 | |||||
KT-1 웅비 | 대한민국 | 기본 훈련기 | KT-1 | 85[31]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개발. |
KA-1 | 대한민국 | 전술통제기 / 경공격기 | KA-1 | 20[31] | KT-1 기반 전선항공통제 임무 수행. |
T-50 골든 이글 | 대한민국 | 고등 훈련기 | T-50 | 59[31] | 록히드 마틴 기술 협력, KAI 개발. |
T-50B | 대한민국 | 특수/에어쇼용 | T-50B | 10[31] | 대한민국 공군 특수비행팀 블랙이글스 운용기. |
TA-50 | 대한민국 | 전술 입문 훈련기 (LIFT) | TA-50 Block 1/2 | 22[31] | Block 2 20대 추가 도입 예정.[39] |
KT-100 | 대한민국 | 초등/입문 훈련기 | KT-100 | 23[31] | KC-100 나라온 기반 공군 비행훈련 입문용 훈련기. |
5. 2. 퇴역 항공기
1949년 창설 이후 대한민국 공군은 다양한 항공기를 운용해왔으며, 시대의 변화와 기술 발전에 따라 많은 기종이 퇴역하였다. 한국 전쟁 당시 주력 전투기였던 P-51 머스탱이나 초기 훈련기였던 T-6 텍산 등이 대표적이다. 1960년대에는 F-86 세이버 전투기와 T-28 트로이언 훈련기 등이 도입되어 운용되다가 퇴역하였다. 베트남 전쟁 시기에는 C-46 코만도 수송기가 파병 부대 지원 임무를 수행하기도 했다.[5]
대한민국 공군이 과거 운용했던 주요 퇴역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41][42][43]
- A-37 드래곤플라이
- BAe 748
- C-46 코만도
- C-47 스카이트레인
- F-4 팬텀 II
- F-86 세이버
- H-19 칙카소
- P-51 머스탱
- S-2 트랙커
- T-6 텍산
- T-28 트로이언
- T-33 슈팅스타
- T-37 트윗
- T-38 탤런[44]
- UH-1 휴이
이 외에도 초창기 도입된 L-4 연락기, L-5 연락기를 비롯하여 T-103 훈련기, VC-118 수송기, RF-4C 및 RF-5A 정찰기 등 다수의 항공기가 임무를 마치고 퇴역하였다.
5. 3. 주요 방공 무기
방공포병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방공포병에서 이관되어 1991년 7월 1일에 창설되었다.[45]명칭 | 원산국 | 유형 | 변형 | 운용 수량 | 비고 |
---|---|---|---|---|---|
지대공 미사일 | |||||
MIM-104 패트리엇 | 미국 | 대탄도탄/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 PAC-3[46] | 8개 포대[47] | |
KM-SAM 천궁 | 대한민국 | 중거리 대탄도탄/지대공 미사일 시스템 | Block I | 18개 포대[48] | |
Block II | 1개 (7개 추가 주문)[49] | ||||
대공포 | |||||
M167 VADS | 대한민국 | 대공포 | KM167A3 | 200 | 20mm 대공포 |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 |||||
KP-SAM 신궁 | 대한민국 | 휴대용 지대공 미사일 | 2,000 |
5. 4. 주요 사업
대한민국 공군은 노후화된 장비를 대체하고 미래 전장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현대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사업은 다음과 같다.- '''KF-X 사업 (KF-21 보라매)''': 공군 전력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로 진행되는 대한민국 차세대 전투기 사업이다.[52] 노후 기종인 F-5E/F 제공호와 F-5E 타이거 II 130여 대를 대체하기 위해 F-16급 이상의 성능을 갖춘 4.5세대 국산 전투기 KF-21 보라매를 개발하고 있다. F-4E는 F-35A로 대체될 예정이다.
- '''중고도 무인 정찰기(MUAV) 개발 사업 (KUS-FS)''': 국산 중고도 무인 정찰기(MALE UAV)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KUS-FS 또는 MUAV로 불리며, 최대 24시간 동안 비행하며 무장 정찰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초도 비행은 2012년에 이루어졌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L-ASD)이 개발을 주도하여 2019년 LIG넥스원의 SAR(합성개구레이더)와 한화의 EO/IR(전자광학/적외선) 센서를 장착한 시제기를 공개했으며, 2021년 양산을 목표로 했다. 이 무인기는 날개폭이 25m로 미국의 MQ-9 리퍼보다 넓으며, 1200마력 프랫앤휘트니 PT6 터보프롭 엔진을 사용한다.[15][16][17] 또한, 2025년까지 고성능 무인기에 탑재될 터보팬 엔진 개발도 추진 중이다.[18]
- '''천궁-II (M-SAM Block II) 및 L-SAM 개발 사업''':
- * 천궁-II는 국산 중거리 지대공 미사일(M-SAM)로, 2017년 최종 시험에서 5개의 모의 탄도미사일 표적을 모두 요격하는 데 성공했다. 최대 20km 고도의 목표물을 요격할 수 있으며, 2022년까지 7개 포대가 배치될 예정이었다.[19]
- * L-SAM은 천궁-II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장거리 탄도미사일을 요격하기 위해 개발 중인 국산 장거리 지대공 미사일 시스템이다. 사거리는 40km~150km(25~93마일), 요격 고도는 60km(20만 피트)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한국형 사드(K-THAAD)'라는 별칭을 얻었다. 약 10억달러의 예산이 투입되었으며, 2022년 개발 완료 후 1~2년 내 4개 포대 배치를 목표로 하고 있다.[20]
- '''대형 전략 수송기 도입 사업 (2차)''': 2010년 C-130J 슈퍼 허큘리스 4대를 도입한 이후[21], 추가적인 대형 전략 수송기 확보를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22] 방위사업청(DAPA)은 해외에서 3대의 수송기를 도입할 계획을 세웠으며, 총 사업비는 약 4800억원(3.7억달러) 규모이다. 이 과정에서 한국 기업이 항공기 부품 생산에 참여하는 조건이 포함되었다.[23] 2023년 에어버스의 A400M 아틀라스, 엠브라에르의 C-390 밀레니엄, 록히드 마틴의 C-130J 슈퍼 허큘리스를 대상으로 평가를 진행했으며[24], 같은 해 12월 엠브라에르 C-390 밀레니엄을 최종 기종으로 선정했다. 2026년까지 총 3대가 도입될 예정이다.[25][26]
- '''장거리 방공 레이더 개발 사업''':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 감시에 사용 중인 외국산 장거리 방공 레이더(록히드 마틴 TPS-77)를 대체하기 위해 국산 레이더를 개발하는 사업이다. 방위사업청(DAPA) 주관으로 진행되며, 2027년부터 단계적으로 국산 장비로 교체될 예정이다.[28]
- '''기타 사업''': 이 외에도 차기 대통령 전용기(VC-X) 사업, 원격지원전자전기 사업, 스텔스 무인 전투기(UCAV) 개발 사업 등이 진행 중이다.
6. 인사
대한민국 공군의 주요 지휘관인 공군참모총장과 병력의 복무 기간 등 인사에 관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한다.
6. 1. 참모총장
현재 대한민국의 공군참모총장은 이영수이다.6. 2. 복무 기간
대한민국 공군 병은 지원에 의한 모집을 통해 선발하며, 의무 복무 기간은 21개월이다. 과거 국방부는 2006년부터 2014년에 걸쳐 복무 기간을 점진적으로 단축하여 최종 21개월로 만들 계획이었으나, 2011년 11-1차 입대자부터 단축 계획이 중단되어 24개월 복무로 확정되기도 했다.한편, 육군의 복무 기간은 18개월이다. 복무 기간은 육군이 더 짧지만, 공군은 육군의 정기 휴가(백일휴가, 1차, 2차, 3차) 외에 추가적인 정기 휴가가 더 주어진다.
7. 계급
대한민국 공군의 계급은 크게 장교, 준사관, 부사관, 병으로 나뉜다. 각 계급 분류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7. 1. 장교
다음은 여름철에 입는 공군의 하약정복(夏略正服) 기준 계급장이다. 견장 위에 흰색 계급장이 기계자수로 새겨져 있다. 장교와 준사관은 전투복과 같은 일반 근무복에서는 청색 계급장을 부착한다.[66] (또는 은색 또는 금색의 금속제 계급장을 부착하기도 한다.)장성급 (장군) | 영관급 | 위관급 | 준사관 | ||||||||
---|---|---|---|---|---|---|---|---|---|---|---|
원수 | 대장 | 중장 | 소장 | 준장 | 대령 | 중령 | 소령 | 대위 | 중위 | 소위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급 체계는 명칭의 패턴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소(小)'는 작음, '중(中)'은 중간, '대(大)'는 큼을 의미하며, '준(准)'은 '준하다'는 의미의 접두사이다. 이러한 접두사들은 장교의 등급을 나타내는 '위(尉, 소대급 지휘관)', '령(領, 영관급 장교)', '장(將, 장성급 장교)'과 결합하여 계급을 이룬다. 이는 계급 명칭이 한자 또는 한자어에 기반하기 때문이다.
7. 2. 부사관 및 병
다음은 대한민국 공군의 부사관과 병의 계급 및 계급장이다.[66] 아래 표의 부사관 계급장은 하절기 하약정복 기준이며, 병 계급장은 전투복 기준이다. 부사관 역시 전투복 및 근무복에는 병과 유사한 청색 또는 금속제 계급장을 부착한다.
아래는 NATO 코드에 따른 부사관 및 병 계급 표기이다.[51]
계급군 | 부사관 | 병 | ||||||
---|---|---|---|---|---|---|---|---|
NATO 부호 | OR-9 | OR-8 | OR-7 | OR-6 | OR-5 | OR-4 | OR-3 | OR-2/OR-1 |
계급장 | ![]() | ![]() | ![]() | ![]() | ||||
계급 | 원사 | 상사 | 중사 | 하사 | 병장 | 상병 | 일병 | 이병 |
8. 상징
- '''빨간 마후라''': 대한민국 공군 조종사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표현으로, 흔히 공군 조종사를 '빨간 마후라'라고 부른다. 이는 공군 조종사들만의 고유한 전통으로 여겨진다. 한국 전쟁 당시 강릉 지역에 주둔했던 제10전투비행전대 소속으로 팔만대장경을 지키는 데 기여한 김영환 준장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64년 제작된 영화 《빨간 마후라》와 그 주제가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더욱 유명해졌다.[65]
- '''공군기 국적 표식(라운델)'''
9. 대중매체
참조
[1]
웹사이트
2022 Defence White Paper
https://www.mnd.go.k[...]
2022-12
[2]
웹사이트
Slogan of Air Force
https://rokaf.airfor[...]
Republic of Korea Air Force
[3]
AV미디어
군가전 #1. 공군가
https://www.youtube.[...]
대한민국공군
2014-08-29
[4]
웹사이트
[KY 금영노래방] 군가 - 공군가 (KY Karaoke No.KY4574)
https://www.youtube.[...]
2014-12-12
[5]
서적
Allied Participation in Vietnam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6]
웹사이트
Korea Urged to Secure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Systems
https://www.koreatim[...]
2009-10-20
[7]
웹사이트
Seoul finalises $657 million Global Hawk purchase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4-12-17
[8]
웹사이트
South Korean Air Force Inaugurates Space Operations Center
https://aviationweek[...]
Aviation Week
[9]
웹사이트
Phantom retires after protecting Korea's sky for 55 years
https://www.donga.co[...]
[10]
웹사이트
[더 보다] KF-21, 코리아 파이터
https://news.kbs.co.[...]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24-06-09
[11]
웹사이트
South Korea establishes new air force reconnaissance unit
https://www.airforce[...]
airforce-technology.com
2020-11-03
[12]
웹사이트
오세훈, 北 미사일 도발에 "스스로 누를 수 있는 핵 버튼 가져야"
https://v.daum.net/v[...]
Daum
2023-12-20
[13]
웹사이트
KAI KF-21 (KF-X)
https://aviationweek[...]
[14]
웹사이트
South Korea rolls out prototype of its first indigenous fighter aircraft
https://www.janes.co[...]
[15]
뉴스
South Korea highlights unmanned systems interest in latest defence spending plan
https://www.janes.co[...]
2020-08-14
[16]
웹사이트
South Korean MND eyes KUS-FS UAV for RoKA Ground Operations Command
https://www.janes.co[...]
Janes.com
2020-03-30
[17]
웹사이트
South Korean KUS-FS MALE UAS Continues Flight Trials
https://uasweekly.co[...]
Uasweekly.com
2018-03-23
[18]
뉴스
S. Korea to develop indigenous turbofan engine by 2025
https://en.yna.co.kr[...]
2020-01-30
[19]
웹사이트
한국형 패트리엇 '천궁' 양산 추진, KAMD 구축 '잰걸음'
https://www.edaily.c[...]
edaily.co.kr
2018-02-07
[20]
웹사이트
Meet South Korea's Very Own Killer S-300 Air Defense System
https://nationalinte[...]
nationalinterest.org
2019-02-24
[21]
뉴스
美대형수송기 C-130J-30 구매 확정
https://www.segye.co[...]
2020-02-20
[22]
뉴스
[단독] 공군 '오랜 숙원' 대형수송기 2차 사업 본격화
http://www.bizhankoo[...]
2020-04-17
[23]
뉴스
해병대 상륙공격헬기 국내 개발·대형수송기 국외구매
https://www.ytn.co.k[...]
2021-04-26
[24]
뉴스
공군 대형 수송기 2차 사업, 美·유럽·브라질 '3파전'… 연내 기종 결정
https://www.news1.kr[...]
2023-06-24
[25]
뉴스
군 대형수송기 2차 기종, 美 아닌 브라질 C-390 선정
https://www.donga.co[...]
2023-12-05
[26]
보도자료
South Korea selects the Embraer C-390 Millennium
https://embraer.com/[...]
Embraer
2023-12-04
[27]
뉴스
Korea, Spain discuss swap deal between trainer, cargo jets: report
https://www.koreatim[...]
2018-11-04
[28]
웹사이트
Korea Orders Indigenous Long-range Air Defense Radars
https://www.ainonlin[...]
www.ainonline.com
2021-02-09
[29]
웹사이트
KF-21 창설부대 강릉 18전비 105비행대대…예천기지 제2비행단 예정
https://munhwa.com/n[...]
2024-05-16
[30]
웹사이트
South Korea Signs Major Contracts For F-35As, Attack Helicopters
https://aviationweek[...]
aviationweek.com
2023-12-28
[31]
뉴스
World Air Forces 2024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32]
뉴스
South Korea orders first batch of KF-21 fighters
https://www.defensen[...]
Defense News
2024-06-27
[33]
웹사이트
KAI to develop new ISR aircraft system for RoKAF under Baekdu-II project
https://www.janes.co[...]
janes.com
2021-11-01
[34]
웹사이트
WAF 2004 pg. 86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Insight
[35]
웹사이트
Republic of Korea Air Force new Code One
https://www.scramble[...]
Scramble.nl
2022-01-18
[36]
뉴스
군 대형수송기 2차 기종, 美 아닌 브라질 C-390 선정
https://www.donga.co[...]
2023-12-05
[37]
보도자료
South Korea selects the Embraer C-390 Millennium
https://embraer.com/[...]
Embraer
2023-12-04
[38]
웹사이트
Check Out South Korea's Own VH-92 Presidential Helicopter
https://www.thedrive[...]
2022-04-13
[39]
웹사이트
South Korea orders 20 TA-50 Block 2 training/light attack aircraft
https://www.janes.co[...]
Janes
2020-06-29
[40]
웹사이트
US delivers fourth and final RQ-4 Global Hawk UAV to RoKAF
https://www.janes.co[...]
Janes
2021-09-24
[41]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1955 pg. 648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5-10-05
[42]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1973 pg. 152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5-10-05
[43]
웹사이트
World Air Forces 1969 pg. 249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com
2015-10-05
[44]
뉴스
美 퇴역 훈련기 본국으로
https://n.news.naver[...]
Yonhap News Agency
2008-06-02
[45]
웹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 - 법령 > 본문 - 공군방공포병사령부령
http://www.law.go.kr[...]
2013-05-25
[46]
웹사이트
Deliveries of PAC-3 air-defence systems to RoKAF completed
https://www.janes.co[...]
www.janes.com
2020-12-14
[47]
웹사이트
Trade Registers
http://armstrade.sip[...]
2015-10-06
[48]
웹사이트
북 미사일 막을 방공망 촘촘해진다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https://www.asiae.co[...]
www.asiae.co.kr/article 아시아경제
2020-08-19
[49]
웹사이트
RoKAF receives first Cheongung-II M-SAM battery
https://www.janes.co[...]
www.janes.com
2020-11-26
[50]
웹사이트
계급장의 제식(제7조제2항 관련)
https://www.law.go.k[...]
2021-12-30
[51]
웹사이트
계급장의 제식(제7조제2항 관련)
https://www.law.go.k[...]
2021-12-30
[52]
웹사이트
6・25戦争史 第1巻
http://www.imhc.mil.[...]
국방부軍事編纂研究所
2017-04-08
[53]
웹사이트
한국 공군 F35 전투기의 기관포는 “허세”
https://www.chosunon[...]
조선일보
2021-10-17
[54]
뉴스
World Air Forces 2024
https://www.flightgl[...]
Flightglobal Insight
2023-06-09
[55]
문서
SLAMDUNK 관련 설명
[56]
문서
TA-50 이중계상 가능성
[57]
웹사이트
성폭행을 당한 한국 여성 군인이 “자살 순간”을 촬영한 이유
https://friday.kodan[...]
[58]
웹사이트
한국군 하사관, 상관으로부터의 성적 피해 고소 후 자살 대통령 사과: 아사히 신문 디지털
https://www.asahi.co[...]
[59]
웹사이트
국방백서 2022
https://www.mnd.go.k[...]
국방부
2022-02-16
[60]
문서
조선국방경비대 후신 및 공군 창설 관련 설명
[61]
간행물
공군의 주요 조직과 보유 전력
국방백서 2016
[62]
논문
100년을 울린 겔릭호의 고동소리
현실문화연구
2008
[63]
웹사이트
공군연혁
http://www.airforce.[...]
[64]
웹사이트
공군연혁
http://www.airforce.[...]
[65]
웹사이트
알기쉬운 공군이야기
http://www.airforce.[...]
대한민국 공군
2009-08-07
[66]
문서
준위 계급장 색깔 설명
[67]
문서
장교 기준 명시
[68]
웹인용
해군, 3개 병과 `함정 병과'로 통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2-01-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홍경, 가을의 남자
윤 정부 '별넷' 7명 전원 교체…새 합참의장에 공군 진영승
이재명 정부, 4성 장군 7명 모두 교체…합참의장에 공군 진영승
합참의장에 진영승 공군 중장 내정…4성 장군 7명 모두 교체
국방부, ‘승인 없이 일 방공식별구역 진입’ 관련자 10여명 징계
국방부, 일본 방공식별구역 무단 진입 10여명에 징계
[단독] "현역 대장 7명 전원 전역…계엄 청산 불가피"
대한항공, LIG 손잡고 1조8000억 특수임무기 개발 사업 수주 나선다
“여군 비율 4%인데”…대한민국 첫 독자전투기 시험비행은 여성 파일럿
코난테크놀로지, 공군 T-50 통합훈련관리체계 개선 사업 수행 – 바이라인네트워크
'항상 1등' 강신철 vs '내란 종식' 양용모…차기 합참의장은? [취재파일]
[단독] '일본 전투기 발진' 5일 만에 늑장보고…집중 감사
공군 사고, 올해만 몇 번째? 이번엔 일본 전투기 출격 유발
악천후에 일본 방공식별구역 침범한 공군 수송기…국방부 감사 착수
[단독] 한국 수송기 일본 영공 진입 시도에…전투기 출격 일촉즉발
KF-21 '호위 무인기' 전격 공개…연내 첫 비행
군 대상 최초 특검이었지만 한계도…3년 만에 막 내린 ‘이예람 중사 사망’ 특검 [플랫]
고 이예람 중사 허위보고 직속상관 무죄, ‘2차 가해’ 중대장·군 검사는 집유 확정
'고 이예람 중사 허위보고' 대대장 무죄 확정…중대장 유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