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이작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이작도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이 있는 섬이다. 대이작도 서부와 소이작도에 분포하는 혼성편마암 또는 토날라이트질 편마암은 약 25억 1천만 년 전에 생성된 변성 화성암으로, 한반도 최고령 암석에 해당한다. 또한, 대이작도 주변 해역은 2003년 12월 31일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되어 자연경관과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뭉퉁도
전라남도 신안군에 위치한 뭉퉁도는 물수리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로서 특정도서로 지정되어 환경 오염 행위가 제한되고 자연환경이 보호되는 섬이다. - 옹진군 (인천광역시)의 지리 - 모도
모도는 입자 크기가 비교적 크고 부분적으로 반상 조직을 보이는 특징을 가진 대보 화강암에 속하는 중립질흑운모화강암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묘도 (인천광역시)
인천광역시 서구 묘도는 괭이부리말 체험 시설 설치 계획이 주민 반발로 무산된 사건을 통해 지역 사회 의견 수렴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곳이다. - 인천광역시의 섬 - 우도 (강화군)
우도는 연평도에서 동남쪽 25km 떨어진 서해 5도 중 하나로, 북방한계선과 인접하고 간석지 발달, 희귀식물 석위의 대규모 분포, 범게의 대량 서식 등으로 특정 도서로 지정되어 관리되는 0.211km² 면적의 섬이다. - 대한민국의 지리 - 한국 표준시
한국 표준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표준 시간으로, 동경 135도(UTC+09:00)를 기준으로 하며, 과거에는 변경된 역사가 있고 일광 절약 시간제(서머타임)가 시행되기도 했다. - 대한민국의 지리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대이작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황해 |
나라 | 대한민국 |
행정 구역 | 인천광역시 옹진군 자월면 이작리 |
면적 | 2.57 km2 |
최고점 | 188 m |
인구 | 283명 (2017년 기준) |
![]() |
2. 지질
인천광역시 대이작도에는 한반도에서 가장 오래된 암석이 있다. 이 암석은 약 25억 1천만 년 전에 생성된 변성 화성암으로, 한반도의 지질학적 역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1]
2. 1. 한반도 최고령 암석
대이작도 남쪽 해안 둘얼개의 암반과 갯바위는 25억 1천만 년 전에 생성된 변성 화성암이다.[1] 대이작도 서부와 소이작도에 분포하는 혼성편마암 또는 토날라이트질 편마암은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 약 2.58 Ga에 정치한 원암이 2508±18 Ma에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시생누대 신시생대의 것으로 '''한반도 최고령 암석'''에 해당한다.[1] 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석영, 장석, 각섬석 등으로 구성되며 변성 및 재결정 작용이 관찰된다.2. 2. 암석 구성
대이작도 남쪽 해안 둘얼개의 암반과 갯바위에는 25억 1천만 년 전에 생성된 변성 화성암이 있다. 대이작도 서부와 소이작도에 분포하는 혼성편마암 또는 토날라이트질 편마암은 SHRIMP U-Pb 저어콘 연대측정 결과 약 2.58 Ga에 정치한 원암이 2508±18 Ma에 광역변성작용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시생누대 신시생대의 것으로 '''한반도 최고령 암석'''에 해당된다.[1] 현미경 관찰에 의하면 석영, 장석, 각섬석 등으로 구성되며 변성 및 재결정 작용이 관찰된다.3. 대이작도 주변 해역 생태계보전지역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에 따라 인천광역시 옹진군 대이작도 주변 해역을 생태계보전지역 제4호로 지정하였다.[2] 대이작도 주변 해역은 모래갯벌, 바위 해안 등 뛰어난 자연경관, 하벌천퇴의 특이한 지형, 넙치와 가자미 등 다양한 해양 생물이 서식하는 곳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3. 1. 지정 목적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에 따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재 대이작도 주변 해역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2] 지정 목적은 모래갯벌과 바위해안 등 뛰어난 자연경관과 하벌천퇴의 특이한 지형경관 및 넙치, 가자미 등 수산생물과 기타 저서생물의 주요 서식지인 해역을 보호하기 위함이다.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다.
항목 | 내용 |
---|---|
지정 번호 | 해양수산부 생태계보전지역 제4호 |
명칭 | 대이작도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
지정 연월일 | 2003년 12월 31일 |
근거 법령 |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 |
관리청 | 해양수산부 (현 국토해양부) |
행정 구역 | 인천광역시 옹진군 이작리 및 승봉리 일원의 해역 |
면적 | 55.7km2 |
면적에 포함되는 해역은 다음의 각 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사주들(하벌천퇴 등)을 포함한다.
①북위37도11분51초, 동경126도12분36초 ②북위37도11분13초, 동경126도16분28초 ③북위37도11분13초, 동경126도18분55초 ④북위37도09분28초, 동경126도19분50초 ⑤북위37도09분04초, 동경126도19분18초 ⑥북위37도07분21초, 동경126도18분08초 ⑦북위37도08분20초, 동경126도11분53초 ⑧북위37도08분20초, 동경126도15분53초
3. 2. 지정 근거 및 관리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에 의거하여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재 대이작도 주변해역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2] 관리청은 해양수산부(현 국토해양부)이다.항목 | 내용 |
---|---|
지정 번호 | 해양수산부 생태계보전지역 제4호 |
명칭 | 대이작도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
지정연월일 | 2003년 12월 31일 |
지정목적 | 모래갯벌과 바위해안 등 뛰어난 자연경관과 하벌천퇴의 특이한 지형경관 및 넙치, 가자미 등 수산생물과 기타 저서생물의 주요서식지인 해역 보호 |
근거법령 |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 |
행정구역 | 인천광역시 옹진군 이작리 및 승봉리 일원의 해역 |
면적 | 55.7km2 (다음의 각 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사주들(하벌천퇴 등)을 포함한 해역) |
순서 | 위도 | 경도 |
---|---|---|
① | 북위 37도11분51초 | 동경 126도12분36초 |
② | 북위 37도11분13초 | 동경 126도16분28초 |
③ | 북위 37도11분13초 | 동경 126도18분55초 |
④ | 북위 37도09분28초 | 동경 126도19분50초 |
⑤ | 북위 37도09분04초 | 동경 126도19분18초 |
⑥ | 북위 37도07분21초 | 동경 126도18분08초 |
⑦ | 북위 37도08분20초 | 동경 126도11분53초 |
⑧ | 북위 37도08분20초 | 동경 126도15분53초 |
3. 3. 지정 구역
2003년 12월 31일 해양수산부장관은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에 따라 인천광역시 옹진군 소재 대이작도 주변해역을 생태계보전지역으로 지정·고시하였다.[2]항목 | 내용 |
---|---|
지정 번호 | 해양수산부 생태계보전지역 제4호 |
명칭 | 대이작도주변해역 생태계보전지역 |
지정연월일 | 2003년 12월 31일 |
지정목적 | 모래갯벌과 바위해안 등 뛰어난 자연경관과 하벌천퇴의 특이한 지형경관 및 넙치, 가자미 등 수산생물과 기타 저서생물의 주요서식지인 해역 보호 |
근거법령 | 자연환경보전법 제18조 |
관리청 | 해양수산부 (현 국토해양부) |
행정구역 | 인천광역시 옹진군 이작리 및 승봉리 일원의 해역 |
면적 | 55.7km2 |
다음의 각 점을 순차적으로 연결한 선내의 사주들(하벌천퇴 등)을 포함한 해역 ①북위37도11분51초, 동경126도12분36초 ②북위37도11분13초, 동경126도16분28초 ③북위37도11분13초, 동경126도18분55초 ④북위37도09분28초, 동경126도19분50초 ⑤북위37도09분04초, 동경126도19분18초 ⑥북위37도07분21초, 동경126도18분08초 ⑦북위37도08분20초, 동경126도11분53초 ⑧북위37도08분20초, 동경126도15분53초 |
참조
[1]
저널
The oldest (ca. 2.51 Ga) rock in South Korea: U–Pb zircon age of a tonalitic migmatite, Daeijak Island, western Gyeonggi massif
https://link.springe[...]
2008-03
[2]
간행물
대이작도주변해역생태계보전지역지정고시
해양수산부장관
2003-12-3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인천 대이작도서 낚시하던 70대 남성 실종
세계자연유산 등재 ‘인천갯벌’ 제외에 뿔난 시민사회, 직접 나선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