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공주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공주시는 충청남도 동부에 위치한 도시로, 백제 시대에는 웅진으로 불리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고려 시대에는 공주목이 설치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충청감영이 위치하여 충청도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1896년 충청남도의 도청 소재지가 되었으나, 1932년 대전으로 이전되었다. 1986년 공주읍이 공주시로 승격되었고, 1995년 공주군과 통합하여 도농복합시가 되었다. 현재는 1읍, 9면, 6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송산리 고분군과 무령왕릉 등 백제 문화유산과 계룡산, 금강 등의 자연경관을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공주대학교와 공주교육대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교육 기관이 있으며, 서울 관악구 등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주시의 행정 구역 - 유구읍
    유구읍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하는 읍으로, 백제 시대에는 벌음지현, 고려 시대에는 공주목의 신풍현에 속했으며, 조선 시대에는 신상면으로 개칭된 후 1995년에 읍으로 승격되었다.
  • 공주시의 행정 구역 - 이인면
    이인면은 충청남도 공주시에 속한 면으로, 역사적으로 웅천, 공주목, 목동면을 거쳐 1942년 개칭되었으며, 공주역과 이인휴게소를 통해 교통이 연결되고 이인초등학교와 이인중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위치한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논산시
    논산시는 충청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며 삼한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행정구역 변화를 겪고 기호학파의 중심지였으며, 1996년 시로 승격 후 논산평야를 중심으로 농업이 발달했고, 교통의 요충지이자 육군훈련소와 문화유적,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공주시 - 임립미술관
    임립미술관은 1997년 10월 2일에 개관하여 매주 월요일을 제외하고 3월부터 10월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11월부터 2월까지는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운영하는 미술관이다.
  • 공주시 - 금강에프엠방송
    충청남도 공주시와 인접 지역을 주 가청 지역으로 하는 금강에프엠방송은 FM 104.9MHz 주파수로 매일 17시간 방송하는 소출력 FM 라디오 방송국으로, 공주시에 송신소, 세종특별자치시에 연주소를 두고 2005년 개국, 2009년 정규 사업자 허가를 받았다.
공주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공주시
한글 표기공주
한자 표기公州
로마자 표기Gongju
맥큔-라이샤워 표기Kongju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지역호서
방언충청
면적864.16 km²
총 인구101,695 명
인구 밀도124.2 명/km²
행정 구역1 읍, 10 면, 6 동
전화 지역 번호041, 042(반포면 일부 지역)
상징
시기[[File:Flag of Gongju.svg|250px]]
시 마크[[File:Gongju logo.png|250px]]
시목느티나무
시화개나리
시조까치
상징 동물
행정
소속 광역 자치 단체충청남도
하위 행정 구역1읍 10면 6동
시장최원철 (국민의힘)
국회의원박수현 (더불어민주당, 공주시·부여군·청양군)
시청 소재지공주시 봉황로 1 (봉황동 319)
웹사이트공주시청
기타 정보
행정 구역 분류 코드34020
지역 번호041
이미지
공주 전경
공주 전경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송산리 고분군・무령왕릉

2. 역사

공주는 삼국시대에는 웅진(熊津)으로 불렸으며 475년부터 538년까지 백제의 수도였다. 538년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 (현재의 부여군)로 옮겼다. 남북국 시대에는 웅천주라고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940년) 처음으로 '''공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983년(고려 성종 2년) 십이목(十二牧)을 설치할 때 공주에 공주목(公州牧)을 두었다. 이는 현재의 충남 지역에서는 유일한 것이었다. 고려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나주로 피란할 때, 곰나루를 건너 공주에 이르러 수일을 머물렀다.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였다. 임진왜란 때 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로 이전됨으로써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 1624년 인조는 이괄의 난으로 공주에 일시적으로 피난하였다.

2. 1. 백제 시대

475년 백제 문주왕한성(현재의 서울특별시)에서 '''웅진'''(현 공주시)으로 수도를 옮겼다.[21] 538년 성왕은 웅진에서 사비한국어(현 부여군)로 수도를 옮겼다.[21]

공주는 고구려의 위협을 받던 백제가 한성을 함락당하고 새로운 중심지를 찾아 수도로 삼은 곳이었다. 비록 538년 성왕이 수도를 사비(현 부여군)로 이전했지만, 공주는 660년 백제가 멸망할 때까지 중요한 지역으로 남아 있었다.

2. 2. 남북국 시대 및 고려 시대

남북국 시대에는 웅천주라고 불렸다. 고려 태조 23년(940년) 처음으로 '''공주'''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983년( 2년) 십이목을 설치할 때 공주에 공주목(公州牧)을 두었다. 이는 현재의 충청남도 지역에서는 유일한 것이었다.[21] 고려 현종이 거란의 침입을 피해 나주로 피란할 때, 곰나루를 건너 공주에 이르러 수일을 머물렀다.

연도내용
686년통일신라, 웅천주도독부 설치.
757년웅주로 개칭.
940년고려 태조, 공주로 개칭하고 도독부 설치.
983년공주부로 승격.


2. 3. 조선 시대

조선 전기에는 충주, 청주, 홍주와 함께 충청도 4대 목 중 하나였다. 임진왜란 때 공산성에 명나라 군의 지휘부가 있었고, 임진왜란 이후 공주의 군사적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충주에 있던 충청감영이 공주로 이전되어 충청도의 중심지가 되었다.[21] 1624년 인조는 이괄의 난으로 공주에 일시적으로 피난하였다. 이괄의 군이 개성으로 진격하자 인조는 서울을 버리고 공주로 피란을 왔다.

2. 4. 근현대

3. 지리

충청남도의 중앙에서 약간 동쪽에 치우쳐 넓은 지역에 자리하며, 동쪽으로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서쪽으로 예산군, 청양군, 남쪽으로 논산시, 계룡시, 부여군, 북쪽으로 아산시, 천안시와 접한다. 북쪽으로는 무성산(613.6m), 국사봉(590.6m), 금계산(574.8m), 갈미봉(515.2m) 등 차령산맥의 산지 지형이며, 남동쪽으로는 국립공원인 계룡산이 자리해 높은 지형을 이룬다. 시의 중심부에 금강 본류가 동에서 서로 흐르고 있고 그 지류인 유구천, 정안천, 대교천, 용성천 등의 하천들이 흐르고 있어서, 그 주변에는 분지가 형성되어 있다. 중앙으로는 금강이 동서로 흘러 지대가 낮다. 공주는 대표적 내륙수로의 하나인 금강의 중류에 위치하여 수로와 육로의 간선 교통체계가 서로 마주치는 곳이었다.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와 밀접한 생활권에 포함되어 배후도시로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기후적으로는 중위도상에 위치하여 온난 다습한 기후지역에 속하며, 한서의 차가 심한 편이다. 쾨펜 분류 ''Dwa''형의 온대 습윤 기후를 가지고 있지만, -3°C 등온선을 사용하면 온난 습윤 기후(쾨펜 분류: ''Cwa'')의 경계 지역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일교차가 큰 산악 기후를 가지고 있으며, 연평균 기온은 10.8°C이고, 연중 최고 기온은 35°C, 최저 기온은 -17°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1mm이며, 금강의 지류인 남대천이 무주읍을 흐른다.

수도 서울특별시의 남쪽 125km, 도청 소재지인 대전광역시에서 북서쪽 25km 지점에 위치한다. 금강 중류 지역을 차지하며, 하류 지역에는 부여군이 펼쳐져 있다. 황해는 조수 간만의 차가 심하며, 금강은 공주 부근까지 선박 항해가 가능하다. 시 남부에는 계룡산국립공원이 있다. 시 북서부는 연기군과 접한다. 대전광역시의 위성 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시 동부 및 연기군과 걸쳐 있는 지역에 행정 중심 복합 도시 건설이 진행되어 2012년 7월 세종특별자치시로 충청남도에서 독립하였다.

4. 지질

공주시는 경기 육괴옥천 습곡대의 경계 지역에 위치하여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와 중생대의 공주 분지 등이 분포한다.[22][23] 공주 단층과 십자가 단층 등 주요 단층 구조가 발달해 있다.

공주시의 지질

4. 1. 공주 단층

공주 단층은 공주시 지역의 주요 단층 중 하나이다.

4. 2. 십자가 단층

공주시 지역의 주요 단층 중 하나이다.

5. 산업

공주시는 3차 산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건설업, 사업 서비스업, 공공행정, 교육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에 비해 비중이 낮으나, 3차 산업은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상주인구보다 주간인구가 많아 유입 인구가 많은 지역이며, 농림어업의 비중은 낮은 편이다.[24][25][26]

5. 1. 지역 내 총생산

공주시의 2012년 지역 내 총생산은 62.903조으로 충청남도 지역 내 총생산의 2.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5.649조으로 9.0%의 비율을 차지하며,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21.607조으로 34.4%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35.646조으로 56.7%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산업 부문에서는 특히 건설업(9.7%)과 사업서비스업(8%), 공공행정(6.3%), 교육서비스(5.1%)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24]

5. 2. 사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기준 공주시 산업의 총 종사자 수는 42,063명으로 충청남도 총 종사자 수의 5.2%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91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902명으로 18.8%의 비중을 차지하며,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33,980명으로 80.8%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의 비중(32.8%)보다 낮고, 3차 산업은 충청남도 전체 비중(66.7%)보다 높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3.1%), 숙박 및 음식업(11.8%), 교육서비스업(10.9%),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8%)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25]

5.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공주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119,487명이고 주간인구는 125,338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105로 높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없고, 출인구는 4,870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3,924명, 유출인구는 1,429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입인구가 5,851명 더 많은데, 이는 충청남도 대부분의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26]

5. 4. 광업

은 삭제해야 하는 템플릿이므로 제거한다.

공주시의 지질 구조와 관련된 광물 자원이 분포한다.

6. 행정 구역

공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6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청남도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2021년 8월 기준으로 48,550세대, 98,217명의 인구가 있다.[1]

읍면동한자세대인구면적
유구읍維鳩邑3,7997,292101.55km2
이인면利仁面1,6573,20362.95km2
탄천면灘川面1,6422,95664.15km2
계룡면鷄龍面3,0485,42584.08km2
반포면反浦面2,1904,26478.04km2
의당면儀堂面2,4064,66365.69km2
정안면正安面2,4564,585108.96km2
우성면牛城面2,1785,17579.54km2
사곡면寺谷面1,5232,89380.13km2
신풍면新豊面1,5463,16380.47km2
중학동中學洞2,5014,5671.46km2
웅진동熊津洞4,0338,2526.61km2
금학동金鶴洞2,5415,41529.99km2
옥룡동玉龍洞4,1997,89220.41km2
신관동新官洞9,25519,37518.77km2
월송동月松洞5,75414,27223.65km2



공주시 행정구역도

6. 1. 읍면동별 현황

공주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6동, 245리, 131통, 1,928반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864.29km2로써 충청남도 15개 시, 군 중 가장 넓다. 2021년 8월말 기준으로 인구는 48,550세대, 98,217명이다.

읍면동한자세대인구면적
유구읍維鳩邑3,7997,292101.55km2
이인면利仁面1,6573,20362.95km2
탄천면灘川面1,6422,95664.15km2
계룡면鷄龍面3,0485,42584.08km2
반포면反浦面2,1904,26478.04km2
의당면儀堂面2,4064,66365.69km2
정안면正安面2,4564,585108.96km2
우성면牛城面2,1785,17579.54km2
사곡면寺谷面1,5232,89380.13km2
신풍면新豊面1,5463,16380.47km2
중학동中學洞2,5014,5671.46km2
웅진동熊津洞4,0338,2526.61km2
금학동金鶴洞2,5415,41529.99km2
옥룡동玉龍洞4,1997,89220.41km2
신관동新官洞9,25519,37518.77km2
월송동月松洞5,75414,27223.65km2
공주시公州市48,55098,217864.29km2



7. 주요 기관

다음은 공주시에 위치한 주요 기관이다.

8. 문화 · 관광

공주시는 백제 문화유산과 수려한 자연경관이 어우러져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한다. 주요 관광지로는 국립공주박물관,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공산성과 같은 백제 시대 유적과 석장리박물관 등이 있다. 또한 마곡사, 금강, 계룡산도예촌, 계룡산온천, 계룡산자연사박물관, 금강유황온천, 마곡온천 등도 방문할 만하다.

5호분과 6호분 사이의 7호분이 무령왕릉


국립공주박물관

8. 1. 유적 · 사찰

공주에는 백제 시대 유적이 많다. 송산리 1호분은 백제 중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석실분이고, 무령왕릉은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으로 지석이 발견되어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에 기준자료가 되며,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2] 공산성은 백제의 도성이었으며, 웅진성이라고도 불렸다.[3][13]

1908~1922년 공주, 어린 나무들


또한, 마곡사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이 창건한 절로, 고려 시대에 보조국사 지눌이 중수하였다.[1] 신원사는 백제 의자왕 때 창건되었고,[1] 동학사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 대학이다.[1] 갑사는 신라 진흥왕 때 혜명대사가 중건한 절이다.[1] 선화당은 조선 시대 충청도 관찰사가 업무를 처리하던 곳이다.[1]

8. 1. 1. 송산리 1호분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하나로, 백제 중기에 만들어진 대표적인 석실분이다.

8. 1. 2. 무령왕릉

무령왕릉은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7번째 고분이며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이다. 1971년 7월 7일 처음 발굴되었다. 지석이 발견되어 축조연대를 분명히 제시해주었기 때문에 삼국시대 고고학 편년연구에 기준자료가 되고 있으며, 국보로 지정된 금제관식, 금제뒤꽂이, 금제 심엽형이식(귀걸이), 지석, 석수, 청동신수경 등을 포함하여 총 2900여 점의 많은 유물이 출토되었다.[2] 무령왕릉을 포함한 공주 송산리 고분군은 사적 13호로 지정되어 있다.[2] 위치는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옛지명: 송산리)이다.[2]

8. 1. 3. 공산성

백제의 대표적인 고대 성곽으로 사적 제12호이다. 문주왕 원년(475)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후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을 거쳐 성왕 16년(538)에 사비(현 부여군 소재)로 옮길 때까지 웅진시대의 도성이었으며 그 후 신라, 고려, 조선 시대에도 행정과 군사적 요충지였다.[3] 웅진성이라고도 불렸다.[13]

8. 1. 4. 마곡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있는 절이다. 640년(신라 선덕여왕 9년)에 자장이 창건하였으며, 고려 명종 때(1172년) 보조국사 지눌이 중수하고 범일이 재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30여 칸의 대사찰이었으나, 현재는 대웅보전(보물 제801호), 대광보전(보물 제802호), 영산전(보물 제800호), 사천왕문, 해탈문 등이 있을 뿐이다. 이 밖에 사보로는 5층석탑(보물 제799호), 범종(지방유형문화재 제62호), 괘불 1폭, 목패, 세조가 타던 연, 청동향로(지방유형문화재 제20호)만 남아 있다.[1]

8. 1. 5. 신원사

계룡산 서쪽에 위치한 사찰이다. 백제 의자왕 11년(651년)에 창건되었으며 현재의 대웅전은 1876년에 중수되었다.[1]

8. 1. 6. 동학사

반포면 계룡산 동쪽 자락에 있으며, 서쪽의 갑사와 함께 계룡산을 대표한다. 동학사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 대학으로 1860년에 문을 열었다.[1]

8. 1. 7. 갑사

계룡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진흥왕 17년(556년)에 혜명대사가 중건하였다. 그 뒤에 의상이 도량을 설치하고 법당을 증수하여 그 규모가 커졌다. 경내에는 대적전, 부도, 철당간지주 등의 보물이 있고, 군자대, 용문폭 등의 비경이 있다. 동구의 울창한 숲길은 여름에도 서늘한 감을 주며 계곡 사이로 펼쳐지는 가을 단풍이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사보로는 천근 범종과 《월인천강지곡》 목각판 등이 있다.[1]

8. 1. 8. 공주 선화당

조선 시대 충청도 관찰사가 업무를 처리하던 곳으로, 현재 공주시 웅진동 3-1에 옮겨져 있으며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되어 있다.

8. 2. 고마나루 명품길

공주시에는 다음과 같은 명품길이 있다.

8. 3. 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정림사지박물관, 석장리박물관 등 다양한 박물관이 공주시에 있다. 이 외에도 계룡산자연사박물관, 충청남도역사박물관, 민속극박물관, 임립미술관 등이 있다.

8. 3. 1.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백제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1934년 '공주고적보존회'로 시작되었다.[10] 1940년 조선총독부박물관 공주분관으로 개관하였고, 해방 후 1946년 국립박물관 공주분관을 거쳐 1975년 국립공주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10] 2004년 5월 현재의 박물관으로 신축 개관하였으며, 기존 건물은 현재 충청남도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0]

8. 3. 2. 정림사지박물관

정림사지박물관은 백제 시대 정림사지를 중심으로 한 박물관이다.

8. 3. 3. 석장리박물관

공주시 석장리동 118번지 일원에 위치한 구석기시대 역사 박물관이다. 공주 석장리 유적은 사적 제334호로 지정되어 있다.[1]

8. 3. 4. 계룡산자연사박물관

鷄龍山自然史博物館|계룡산자연사박물관중국어계룡산의 자연사를 전시하는 박물관이다.

8. 3. 5. 충청남도역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이 2004년 5월 현재의 박물관으로 신축되면서, 기존 건물은 충청남도의 역사를 전시하는 충청남도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1]

8. 3. 6. 민속극박물관

민속극과 관련된 박물관이다.[1]

8. 3. 7. 임립미술관

임립미술관은 다양한 미술 작품을 전시하는 미술관이다.

8. 4. 공원

계룡산에는 계룡산국립공원이 있으며, 금강 주변에는 금학생태공원, 신관둔치공원, 그리고 공주시 정안면에는 정안생태공원[1] 등 다양한 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8. 4. 1. 계룡산국립공원

계룡산국립공원은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자랑하는 국립공원이다. 계룡산 서쪽에 위치한 신원사는 백제 의자왕 11년(651년)에 창건되었으며 현재의 대웅전은 1876년 중수되었다.[1] 계룡산 동쪽 자락에 있는 동학사반포면에 있으며, 서쪽의 갑사와 함께 계룡산을 대표한다.[1] 동학사는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비구니 승가 대학으로 1860년에 문을 열었다.[1] 계룡면 계룡산 서쪽 기슭에 있는 갑사는 신라 진흥왕 17년(556년)에 혜명대사가 중건하였다.[1]

8. 4. 2. 금학생태공원

금강 주변에 조성된 생태공원이다.

8. 4. 3. 신관둔치공원

금강 변에 조성된 공원이다.

8. 4. 4. 정안생태공원

공주시 정안면에 조성된 생태공원이다.[1]

8. 5. 공주 10경

갑사, 계룡산, 고마나루, 공산성, 금강, 금학생태공원, 마곡사, 무령왕릉, 석장리풍경, 창벽이 공주 10경으로 지정되어 있다.

  • '''갑사''':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계룡산 서쪽 기슭에 있는 절이다. 신라 24대 진흥왕 17년(556년)에 혜명대사가 중건하였다. 경내에는 대적전, 부도, 철당간지주 등의 보물이 있다.
  • '''계룡산''': 충청남도 공주시에 위치한 산이다. 신원사계룡산의 서쪽에 위치한 사찰이며, 동학사반포면 계룡산에 있는 사찰로, 계룡산 동쪽 자락에 있다.
  • '''고마나루''':
  • '''공산성''': 백제의 대표적인 고대 성곽으로 백제의 문주왕 원년(475) 한강유역의 한성에서 웅진으로 천도한 후 삼근왕, 동성왕, 무령왕을 거쳐 성왕 16년(538)에 부여로 옮길 때까지 웅진시대의 도성이었다.
  • '''금강''':
  • '''금학생태공원''':
  • '''마곡사''':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운암리 태화산 동쪽 산허리에 있는 절이다. 640년(신라 선덕여왕 9년)에 자장이 창건하였다.
  • '''무령왕릉''': 공주 송산리 고분군의 7번째 발견된 고분이며 백제 무령왕과 왕비의 능이다. 1971년 7월 7일 처음 발굴되었다.
  • '''석장리풍경''':
  • '''창벽''':

9. 교통

공주는 삼남대로의 중요한 길목으로, 금강을 건너는 곳에 위치한다. 백제 시대부터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와 관련된 곰나루와 이어져 있는 공산성의 공북루 옆에는 '배다리'의 자취가 남아 있다. 강바닥에 박았던 나무 말뚝들과 섶다리를 받쳐 놓았던 돌무더기들이 있으며, 1933년 세워진 공주철교 이전에는 이 배다리를 통하여 삼남대로가 이어졌다.[27] 이 배다리의 이름은 산성교로 목선 25척을 연결하여 고정시켰으며, 1920년대에는 자동차까지 통행할 정도로 넓고 견고하게 보수되었다.[27]

현재에도 충청남도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15년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KTX, SRT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공주역은 도심에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9. 1. 도로 교통

공주는 충청남도 교통의 중심지로, 1호선, 23호선, 32호선, 36호선, 39호선, 40호선, 43호선 등이 공주시와 충남 각 지역을 연결한다.

논산천안고속도로를 통해 북쪽으로는 수도권, 남쪽으로는 호남 지역과 연결되며, 2009년 5월 28일 개통된 당진대전고속도로를 통해 동서 방향, 서천공주고속도로를 통해 남북 방향 교통이 편리해졌다.

공주시를 지나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고속도로나들목 및 분기점
논산천안고속도로 (25호선)탄천 나들목 - 남공주 나들목 - 공주 분기점 - 정안 나들목
당진영덕고속도로 (30호선)유구 나들목 - 마곡사 나들목 - 서공주 분기점 - 공주 분기점 - 공주 나들목
서천공주고속도로 (151호선)서공주 분기점 - 서공주 나들목


9. 2. 대중교통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서울, 광주 등 주요 도시로 가는 고속버스가 운행된다. 공주서울(경부) 노선은 30~40분 간격으로 금호고속에서 운행하며, 공주 ↔ 광주(광천터미널) 노선은 1일 6회, 공주 ↔ 함평 노선은 1일 2회(광주 경유) 금호고속에서 운행한다.[28]

시외버스는 공주종합버스터미널에서 수도권 각 지역, 대전, 충남 각 지역, 충북 청주, 강원 원주 등으로 운행된다. 2013년 6월부터 인천공항행 시외버스가 개통되어 운행 중이다.[28]

시내버스는 공주시 버스회사인 공주교통에서 공주시 전역을 운행한다. 세종특별자치시세종교통과 500번, 502번 버스를 공동 배차하고 있다. 공주시내버스 300번대 버스 일부가 대전광역시 유성까지 운행하며 대전, 세종과 밀접한 생활권을 형성한다.

호남고속철도 개통과 함께 KTX, SRT 전용 역인 공주역이인면 신영리에서 운영 중이지만, 공주역은 도심에서 접근이 어렵다.

9. 3. 철도 교통

2015년 4월 2일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이인면 신영리에 KTX와 SRT 전용 역인 공주역이 운영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공주역은 도심에서 접근이 어렵다.[27]

10. 교육

공주교육대학교국립공주대학교가 있으며,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 영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충남과학고등학교,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한일고등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등 여러 고등학교와 공주북중학교, 봉황중학교 등 여러 중학교, 귀산초등학교, 유구초등학교 등 여러 초등학교가 있다.

10. 1. 대학교

공주교육대학교국립공주대학교가 있다.

10. 2. 고등학교

공주금성여자고등학교, 공주여자고등학교, 영명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고등학교, 충남과학고등학교, 공주마이스터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한일고등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10. 3. 중학교

공주북중학교

봉황중학교

공주중학교

공주여자중학교

유구중학교

탄천중학교

정안중학교

우성중학교

반포중학교

사곡중학교

이인중학교

공주영명중학교

경천중학교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10. 4. 초등학교

귀산초등학교, 유구초등학교, 공주교육대학교 부설초등학교, 공주봉황초등학교, 공주교동초등학교, 공주중동초등학교, 신관초등학교, 신월초등학교, 효포초등학교, 우성초등학교, 의당초등학교, 경천초등학교, 탄천초등학교, 이인초등학교, 주봉초등학교, 마곡초등학교, 학봉초등학교, 호계초등학교, 정안초등학교, 반포초등학교 등이 있다.

11. 역대 시장


  • 시장: 이준원

12. 자매 도시

국가도시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관악구
대한민국한국어서울특별시 송파구
대한민국한국어경기도 구리시
대한민국한국어경기도 부천시
대한민국한국어인천광역시 계양구
대한민국한국어경상북도 안동시
日本|일본일본어구마모토현 다마나군 나고미정 (체결 당시는 기쿠스이 정)
日本|일본일본어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日本|일본일본어시가현 모리야마시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앨라배마주 캘훈군
中华人民共和国|중화인민공화국중국어랴오닝성 선양시
아제르바이잔 가바라 (2015년 8월 20일)[3]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캘리포니아주 버클리 (2018년)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date 필드는 년도만 제공되었으므로 1월 1일로 설정합니다.
[2] 뉴스 S Korea chooses new capital site http://news.bbc.co.u[...] 2004-08-11
[3] 웹사이트 Foto qalereya - QƏBƏLƏ RAYON İcra Hakimiyyəti http://www.qebele-ih[...]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5] 법령 府令第103号 1930-12-29
[6] 법령 府令第197号 1938-09-27
[7] 법령 道令第29号 1938-09-27
[8] 법령 大統領令第11027号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9] 웹사이트 공주의 역사 > 역사 > 분야별정보 > 현대 https://www.gongju.g[...] 2023-07-01
[10] 법령 法律第3798号 구리시등11개시설치와군관할구역의조정및금성시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5-12-28
[11] 법률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12] 조례 읍·면·동및리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1995-02-28
[13] 조례 행정동·리의명칭·관할구역및동·리장정수에관한조례 1998-12-01
[14] 조례 행정동·리의명칭·관할구역및동·리장정수에관한조례 2008-10-20
[15] 웹사이트 공주의 역사 > 역사 > 분야별정보 > 최근 https://www.gongju.g[...] 공주시청 2023-07-01
[16] 조례 읍·면·동 및 리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2011-09-15
[17] 법률 세종특별자치시 설치 등에 관한 특별법 2010-12-27
[18] 조례 읍·면·동 및 리의 명칭과 구역에 관한 조례 2012-06-19
[19] 대통령령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03-12
[20]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21] 간행물 칙령 제36호 지방제도와 관제개정에 관한 안건 s:고종실록 33년 8월#8월 4일 고종실록 null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불가능
[22] 웹인용 공주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6-00-00 # 날짜 정보가 불완전하여 YYYY-MM-DD 형식으로 변환 불가능
[23]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null
[24]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 내 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null
[25] 웹사이트 충청남도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null
[26] 웹사이트 충청남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null
[27] 뉴스 (우리 산하를 다시 걷다) 제2부-2. 공주 금강 휘끈 지나가기 http://news.khan.co.[...] 경향신문 null # 날짜 정보가 본문에 있으나, YAML 형식에 맞게 변환이 어려움.
[28] 기타 null null null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