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학 축구는 각 국가의 대학에서 진행되는 축구 경기를 통칭하며, 미국, 영국, 일본, 한국 등 여러 나라에서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NCAA가 주관하며, 영국에서는 BUCS 풋볼 리그가, 일본에서는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가 주요 대회이다. 한국에서는 U-리그가 2008년에 창설되어 대학 축구의 발전을 이끌고 있으며, 대학 축구는 프로 선수로 진출하기 위한 등용문 역할을 한다. 각 나라의 대학 축구는 국가대표팀 선수 배출에도 기여하며, 프로 리그와 연계하여 선수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학 축구 | |
---|---|
개요 | |
![]() | |
종목 | 축구 |
별칭 | 해당 사항 없음 |
최초 | 1959년 (NCAA, NAIA) |
조직 | |
연맹 | NCAA NAIA NCCAA NJCAA USCAA CCCAA ACCA AIAW (폐지됨) |
리그 | |
남자 | Division I (NCAA) Division II (NCAA) Division III (NCAA) 챔피언십 (NAIA) |
여자 | Division I (NCAA) Division II (NCAA) Division III (NCAA) 챔피언십 (NAIA) |
기타 | |
최고 관중 기록 | 22,512명 (세인트루이스 5–1 SIUE, 부시 스타디움, 1980년 10월 30일) |
2. 역사
대학 축구는 8월부터 12월까지 가을에 진행되며, 팀의 토너먼트 진출 여부와 기간에 따라 경기 일정이 달라진다. 팀들은 컨퍼런스 및 비 컨퍼런스 팀과 경기를 치른다. NCAA 토너먼트는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진행되며, 파이널 포와 챔피언십 경기는 12월에 열린다. 남자 토너먼트에는 48개 팀, 여자 토너먼트에는 64개 팀이 참가한다.
NCAA 규칙은 FIFA 경기 규칙과 다르다. 감독은 제한된 선수 교체를 할 수 있으며, 각 선수는 재투입을 한 번 허용받는데, 이는 후반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2024년부터 모든 플레이오프 경기는 90분 후 동점일 경우 연장전을 갖지만, 정규 시즌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연장전은 골든 골이 적용되는 두 번의 전후반으로 진행된다.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20분 동안 동점이 지속될 경우 승부차기로 이어진다. 대학 축구는 심판이 부상, 카드 발급, 또는 시간 낭비로 판단할 경우 시계를 멈춘다. 시계는 득점 후 경기가 재개될 때까지 멈추며, 각 전후반 45:00에서 0:00으로 카운트다운된다. 대부분의 프로 축구 리그에서는 심판이 각 45분 후반의 종료 시간에 추가 시간을 더하는 방식으로 카운트업 시계를 사용한다.[18]
2017년 NCAA 규칙 위원회는 더블 제퍼디 규칙 변경을 논의했다. 마지막 선수가 득점 기회를 방해하기 위해 반칙을 범했을 경우, 심판이 공을 제대로 잡으려는 시도라고 판단하면 옐로 카드를 발급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19] 이 변경안은 승인되었다.[20]
메이저 리그 사커(MLS)는 1996년 출범 이후 매년 슈퍼 드래프트를 개최하여 젊은 유망주를 지명하며, 이 드래프트에서 지명되는 선수들은 종종 미국 대학 축구 선수들이다. 내셔널 위민스 사커 리그(NWSL)에서도 매년 NWSL 대학 드래프트가 열린다. 헤르만 트로피는 매년 미주리 운동 클럽에서 미국의 최고 남녀 대학 축구 선수에게 수여된다.
많은 미국 남자 대학 축구 선수들은 여름 동안 프리미어 개발 리그(PDL) 팀에서 활동한다. 브리검 영 대학교 쿠거스 남자팀은 NCAA 또는 NAIA 대신 PDL에서 모든 경기를 치렀다. 대학컵 우승 코치들은 디비전 I 프로 축구나 미국 국가대표팀을 지도하기도 했다. 여자부에서는 앤슨 도런스가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지도해 1991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고, 질 엘리스는 2015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이끌었다. 많은 여자 대학 축구 선수들은 NWSL과 유럽, 아시아, 호주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한다. NWSL은 2012년에 시작되어 현재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24년에 2개 팀이 추가될 예정이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1912)에 스포츠가 교육의 일부로 도입되면서 학교에 축구팀이 생겼다.[34][35]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일본 사커 리그 설립 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주로 대학생과 졸업생으로 구성되었다. 프로 J리그 창설(1993년) 이후부터 1998년 FIFA 월드컵까지도 일본 국가대표팀에는 대학 졸업생이 많았다. 2022년 FIFA 월드컵 일본 대표팀 선수 중 9명이 대학 축구 경력을 가지고 있다.[37]
1993년 이후 J리그 클럽 입단 선수들은 대부분 훈련 기관 출신이지만, 대학에서 기량을 개발해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거나 J리그 스카우트를 받는 경우도 있었다. 2022년 FIFA 월드컵 일본 대표팀 멤버 미토마 카오루는 J리그 대신 대학 진학을 선택했다.
일본의 주요 대학 축구 대회는 다음과 같다:
-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
- 덴소컵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와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예선을 통과한 24개 대학이 참가하는 주요 토너먼트이다. 일본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은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총 7번 우승했다. 일본 여자 대학 축구는 유니버시아드에서 5번의 준우승과 2번의 3위를 기록하며 세계 선수권 대회에 도전할 수준임을 보여준다.[39]
대한민국에서는 2008년 창설된 U-리그(U-League)가 대학 축구팀을 위한 최초의 조직적인 리그 대회이며, 정규 한국 축구 리그 구조 밖에서 운영된다.[40]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대다수가 대학에서 축구를 했다.[41]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대학 선수들을 보유하며,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선수단 21명 중 16명이 대학 소속이었다.[42]
다른 국가의 대학 축구 대회는 다음과 같다:
- 인도: 케로 인디아 대학교 게임
- 필리핀: UAAP 남자 축구 선수권 대회, 축구 토너먼트
- 베트남: SV-리그(SV-League)
- 캐나다:
U 스포츠 | 캐나다 칼리지 운동 협회 |
---|---|
- 남아프리카 공화국: 버시티 풋볼
2. 1. 미국
1869년 럿거스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 간에 열린 미국 최초의 '''사실상''' 대학 축구 경기는 럿거스 주장 존 W. 레겟의 요청에 따라 열렸으며, 잉글랜드 런던의 축구 협회 규칙을 기반으로 축구와 럭비 규칙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4][5][6] 결과적으로 이 경기는 미국 최초의 대학 축구 경기이자 미국 축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7][8][9]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는 1959년에 처음으로 남자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세인트루이스 대학교는 1959년 초대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13] 세인트루이스는 이후 몇 년 동안 디비전 I 선수권 대회를 지배하여 1959년부터 1963년까지 5년 연속 결승에 진출하여 4번 우승했고, 1969년부터 1974년까지 6년 연속 결승에 진출하여 4번 우승했다.

1970년대에도 대학 축구는 계속 성장했으며, NCAA는 학교 수 증가를 수용하기 위해 1974년에 남자 디비전 III를 추가했다.[14] 1980년대, 1990년대, 2000년대에 인디애나 대학교 남자 축구 프로그램은 8번의 전국 선수권 대회 우승을 하였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브루스 아레나 감독 아래 버지니아 대학교는 4년 연속 남자 전국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는 기록을 세웠다.
최초의 대학 여자 대표 축구팀은 1960년대 중반 버몬트주에 있는 캐슬턴 주립 대학(현재는 캐슬턴 대학교)에 설립되었다. 여자 대학 축구 성장의 주요 요인은 대학 기관의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동등한 접근과 동등한 지출을 의무화하는 타이틀 IX가 포함된 1972년 교육 개정안 통과였다. 그 결과, 여자 대학 대표 축구 프로그램이 설립되었다.
1981년까지 약 100개의 대표 프로그램이 NCAA 여자 축구에 설립되었고, 훨씬 더 많은 클럽팀이 설립되었다. AIAW(전미 여자 대학 스포츠 협회)는 1980년에 비공식 전국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으며, 이 대회에서 코틀랜드 주립 대학교가 우승했다. 1년 뒤인 1981년,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가 토너먼트를 개최하고 우승했다.
1982년에 NCAA는 여자 스포츠를 후원하기 시작했고 모든 학교는 NCAA로 전환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는 앤슨 도런스 감독의 지휘 아래 여자 대학 경기에서 즉시 두각을 나타냈으며 현재까지 그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최초의 20번의 NCAA 선수권 대회 중 16번은 UNC가 우승했으며, 1986년부터 1994년까지 9번 연속 우승을 포함한다.[19]
2. 2. 영국
영국에서는 BUCS 풋볼 리그가 대학 및 대학교의 축구 경기를 관할하며,[33] 현재 리그에는 450개 팀이 소속되어 있다.2. 3. 일본
메이지 시대(1868-1912)에 해외에서 도입된 스포츠가 교육의 일부로 일본에 도입되었고, 학교 및 기타 교육 기관에는 자체 팀이 있었다. 축구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34][35]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아마추어 성인 선수가 주를 이루었던 옛 일본 사커 리그가 설립되기 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주로 대학생과 졸업생으로 구성되었다. 일본 리그 팀도 훈련 아카데미를 갖추지 않고 고등학교(참조: 일본 고등학교 축구) 또는 대학 팀에서 뛰었던 선수를 영입했다. 다시 말해 일본 대학 축구 팀은 일본 리그 팀에 귀중한 공급원이었다. 따라서 프로 J리그가 창설되어 훈련 기관을 갖춘 1993년부터 1998년 FIFA 월드컵까지 일본 국가대표팀의 많은 구성원이 대학 졸업생이었다.
미국과 유사하게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가진 일본의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을 대표하게 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중 9명이 대학 축구 경력을 가지고 있다.[37]
1993년 이후 J리그 클럽에 입단한 선수들의 다수는 대학이 아닌 훈련 기관 출신으로 고등학교 졸업 직후였다.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또한 오랫동안 주로 대학 축구 선수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99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에 진출한 U-20 축구팀에는 대학 축구 선수가 3명뿐이었다. 나머지는 이미 J리그 클럽에 입단한 선수였다. 1993년 이후 대학 팀에 합류한 선수들의 대다수는 J리그 클럽의 스카우트를 받지 못한 선수였다. 그러나 대학 축구 팀에서 기량을 개발한 후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거나 J리그 클럽의 스카우트를 받는 경우도 있었으며, 대학은 여전히 선수 공급원 역할을 했다.
2022년 국가대표팀에서는 대학 졸업생이 고등학교 졸업 직후 선수보다 팀에서 뛸 기회를 더 많이 얻었다. 선수가 국가대표팀에 선발될 만큼 충분히 뛰어나다면 대학에 있든 프로 클럽에 합류하든, 심지어 막 합류했더라도 즉시 전력이 될 수 있었다. 이는 더 많은 경기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에 따라, 2022년 국가대표팀의 기반이 된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많은 대학생을 기용할 예정이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인 미토마 카오루는 J리그 팀에 합류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을 선택했다. 미토마 카오루가 다녔던 학교인 체육, 건강 및 스포츠 과학 쓰쿠바 대학은 많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를 배출했다. 또한 축구를 연구하는 기관으로서 수년 동안 일본에서 군림해온 국립 연구 기관이기도 하다.[38]
일본 선수가 해외에서 축구를 하기 위해 나갈 때 일반적으로 J리그를 거치지만, 2010년대부터는 훈련 기관을 거쳐 바로 일본 밖의 축구 리그에 합류하는 선수가 늘고 있다. 이 경우에도 많은 선수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해외로 진출한다. 그러나 2024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인 사토 케인의 경우, 그가 분데스리가 클럽에 합류하기 전 소속 클럽은 나가토모 유토를 배출한 메이지 대학이었다.
일본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은 1995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11년, 2017년, 201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우승했으며,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총 7번 우승했다.
2008년 12월 기준으로 64개 대학이 일본 대학 여자 축구 협회의 회원이며, 1,261명의 선수가 일본 축구 협회(JFA)에 등록되어 있다. 그때까지 대학 축구에 등록된 선수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축구를 시작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등록 선수 수가 증가했고, 유니버시아드에서의 성공으로 인해 고등학교 팀의 최고 수준의 선수들이 대학 수준에서 뛰는 것을 선택하면서 대학 축구의 수준이 향상되었다.[39]
여자 축구의 경우, 과거 유니버시아드 결과에서 5번의 준우승과 2번의 3위를 기록하여 일본 여자 대학 축구가 항상 세계 선수권 대회에 도전할 수 있는 수준임을 나타낸다.[39]
일본의 주요 대학 축구 대회는 다음과 같다.
-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
-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
- 덴소컵
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와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일본 전역의 대학을 위한 주요 토너먼트이다. 두 대회 모두 예선을 통과한 24개의 대학이 참가한다. 매년 다른 예선 시리즈가 개최된다. 남자와 여자 토너먼트 모두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 사이에 개최된다.[34][35]
또한, 참가 팀에 관해 완전한 오픈 형식을 갖는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가 있다. 일본 각 지역에도 대학 축구 리그가 있다. 또한, 일본을 8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서 자체 대학생 팀을 조직하고 팀들이 서로 경기를 하는 덴소컵이라는 토너먼트도 있다.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지역 및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우승한 팀이 예선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에서 챔피언십을 놓고 경쟁하면서 대학 챔피언십을 결정한다. 또한, 30개 이상의 팀이 참가하는 "전국 대학 여자 축구 쓰쿠바 페스티벌"이 매년 8월에 개최된다. 200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강화하기 위해 시작된 지역 토너먼트도 있으며. 이러한 지역 토너먼트는 과거 동서 토너먼트에서 발전했으며 대학 여자 축구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39]
2. 4. 대한민국
2008년에 창설된 U-리그(U-League)는 대한민국 대학 축구팀을 위한 최초의 조직적인 리그 대회이며, 정규 한국 축구 리그 구조 밖에서 운영된다.[40]대한민국에서는 미국과 유사하게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대다수가 대학에서 축구를 했다.[41] 이 팀의 가장 성공적인 사례는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 진출이다.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대학 축구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는 선수단 21명 중 16명이 대학 소속이었다.[42]
2. 5. 기타 국가
케로 인디아 대학교 게임은 인도에서 개최되는 국가적인 규모의 다종목 스포츠 행사로, 전국 대학 선수들이 경쟁하는 남자 및 여자 대학 축구 토너먼트가 열린다.필리핀에서는 UAAP의 8개 회원 학교가 참가하는 UAAP 남자 축구 선수권 대회와 필리핀 국립 체육 협회가 후원하는 축구 토너먼트가 있다.
베트남에서는 매년 대학생 팀을 대상으로 SV-리그(SV-League)라는 대학 축구 대회가 열린다.
캐나다에서는 두 개의 기관이 대학 및 칼리지 스포츠를 관리한다.
U 스포츠 | 캐나다 칼리지 운동 협회 |
---|---|
대학 축구 경기는 8월부터 12월까지 가을에 진행되며, NCAA 토너먼트는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열린다. 남자 토너먼트에는 48개 팀, 여자 토너먼트에는 64개 팀이 참가한다.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캐나다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22명 중 19명이 NCAA에서 활동하고 있다.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 크리스틴 싱클레어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포틀랜드 파일럿츠 여자 축구 팀에서 뛰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버시티 스포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연례 토너먼트인 버시티 풋볼에 대학교들이 참여한다. 2022 시즌 기준으로, 남녀부 각각 8개 팀이 참가한다.
3. 경기 규칙
2020년 1월 15일, 남자 D1 시즌을 가을과 봄에 걸쳐 학년 전체에 걸쳐 진행하는 변경안이 제안되었다.[22] 이 제안은 선수들의 부상 감소와 학업 및 대학 생활 균형 개선을 목표로 했다. 기존 정규 시즌에는 10주 동안 18~20경기를 치러 평균 3.6일마다 한 경기를 치렀는데, 이는 선수들의 부상률을 높였다. 새로운 일정에 따르면 주당 1경기만 치르게 된다.
이 변경안은 애틀랜틱 코스트 컨퍼런스, 빅 텐 컨퍼런스, 팩-12 컨퍼런스의 지지를 받았으나,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투표가 2022년 봄으로 연기되었다.
3. 1. NCAA 규칙 (미국)
NCAA(전미 대학 체육 협회) 규칙에 따르면, 대학 축구에서는 선수 교체가 제한적으로 허용된다. 선수들은 후반전에 한 번만 다시 경기장에 들어갈 수 있으며, 부상, 경고, 퇴장으로 인한 교체는 이 규칙에서 제외된다.[22] 2024년부터 플레이오프 경기에서는 연장전이 실시되지만, 정규 시즌 경기에서는 연장전이 없다. 연장전은 골든 골(먼저 득점하는 팀이 승리) 방식으로 진행되며, 연장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가린다.[22]
심판은 부상, 카드 발급, 명백한 시간 낭비 등의 상황에서 경기를 중단시킬 수 있다. 득점 후에는 경기가 다시 시작될 때까지 시계가 멈춘다. 프로 리그에서는 추가 시간을 주는 방식과 달리, 대학 축구에서는 45분에서 0분으로 카운트다운하는 방식으로 경기 시간을 측정한다.[22]
2017년에는 더블 제퍼디 규칙이 변경되어, 득점 기회를 방해하는 반칙을 한 선수에게 반드시 레드 카드를 주는 것이 아니라 옐로 카드를 줄 수도 있게 되었다.[22] 2018년에는 FIFA의 시간 측정 규칙 도입이 제안되었는데, 이는 경기장 시계를 카운트업 방식으로 하고 주심이 공식 시간을 관리하며 추가 시간을 표시하는 등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22]
다음은 남자 축구 평균 관중 수 기준 연간 홈 관중 챔피언을 나타낸 표이다.[23]
다음은 여자 축구 평균 관중 수로 연간 홈 관중 수 챔피언을 나타낸 표이다.[24]
연도 | 학교 | 콘퍼런스 | 홈 경기 | 평균 관중 수 |
---|---|---|---|---|
1998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8 | 3,046 |
1999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12 | 3,196 |
2000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9 | 3,148 |
2001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10 | 3,983 |
2002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9 | 2,048 |
2003 | 텍사스 A&M 어기스 | 빅 12 | 12 | 1,977 |
2004 | 텍사스 A&M 어기스 | 빅 12 | 14 | 2,790 |
2005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2 | 3,403 |
2006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9 | 3,408 |
2007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0 | 3,771 |
2008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622 |
2009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472 |
2010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549 |
2011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0 | 3,110 |
2012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313 |
2013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2 | 2,937 |
2014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8 | 2,971 |
2015 | BYU 쿠거스 | WCC | 11 | 3,496 |
2016 | BYU 쿠거스 | WCC | 10 | 2,957 |
2017 | BYU 쿠거스 | WCC | 11 | 3,006 |
2018 | 텍사스 A&M 어기스 | SEC | 13 | 2,562 |
2019 | BYU 쿠거스 | WCC | 12 | 2,945 |
4. 리그 및 대회
대학 축구는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리그 및 대회를 통해 운영되고 있다.
; 미국
미국에서는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가 주관하는 다양한 리그와 토너먼트가 있다. 특히, 남자 칼리지 컵과 여자 칼리지 컵은 가장 권위 있는 대회로 여겨진다.
; 영국
영국에서는 BUCS 풋볼 리그가 대학 및 대학교의 축구 경기를 관할하며, 현재 450개 팀이 소속되어 있다.[33]
; 일본
일본에서는 全日本大学サッカー選手権大会일본어(전일본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와 全日本女子大学サッカー選手権大会일본어(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가 주요 토너먼트이다. 두 대회 모두 예선을 통과한 24개 대학이 참가하며, 매년 다른 예선 시리즈가 개최된다. 남자와 여자 토너먼트는 모두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 사이에 개최되었다.[34][35] 참가 팀에 관해 완전한 오픈 형식을 갖는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ja:総理大臣杯全日本大学サッカートーナメント)도 있다. 일본 각 지역에는 대학 축구 리그가 있으며, 일본을 8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서 자체 대학생 팀을 조직하고 팀들이 서로 경기를 하는 덴소컵(:ja:デンソーカップサッカー)이라는 토너먼트도 있다.
; 대한민국
2008년 창설된 U-리그(U-League)는 대한민국 대학 축구팀을 위한 최초의 조직적인 리그 대회이며, 정규 한국 축구 리그 구조 밖에서 운영된다.[40]
; 기타 국가
인도에서는 국가적인 규모의 다종목 스포츠 행사인 케로 인디아 대학교 게임에서 전국 대학 선수들이 경쟁하는 남자 및 여자 대학 축구 토너먼트가 열린다. 필리핀에서는 필리핀 대학교 연합의 8개 회원 학교가 참가하는 UAAP 남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열린다. 필리핀 국립 체육 협회는 축구 토너먼트를 후원한다. 베트남에서는 매년 대학생 팀을 대상으로 SV-리그(SV-League)라는 대학 축구 대회가 열린다.
캐나다의 대학 및 칼리지 스포츠를 관리하는 두 기관은 다음과 같다.
U 스포츠 | 캐나다 칼리지 운동 협회 |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버시티 스포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연례 토너먼트인 버시티 풋볼에 대학교들이 참여한다. 2022 시즌 기준으로 남녀 각각 8개 팀이 참가한다.
4. 1. 미국
미국 최초의 대학 간 축구 경기는 1869년 럿거스 대학교와 프린스턴 대학교 간에 열렸으며, 럿거스 대학교의 요청에 따라 잉글랜드 런던의 축구 협회 규칙을 기반으로 축구와 럭비 풋볼 규칙을 혼합하여 진행되었다.[4][5][6] 이 경기는 미국 최초의 대학 축구 경기이자 미국 축구의 시작으로 여겨진다.[7][8][9]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는 1959년에 처음으로 남자 전국 축구 선수권 대회를 개최했다. 세인트루이스 대학교는 1959년 초대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이후 몇 년 동안 디비전 I 선수권 대회를 지배했다.[13]
1970년대에도 대학 축구는 계속 성장하여, NCAA는 1974년에 남자 디비전 III를 추가했다.[14] 1972년 교육 개정안 통과와 타이틀 IX는 대학 기관의 체육 프로그램에 대한 동등한 접근과 지출을 의무화하여 여자 대학 축구 프로그램 설립에 기여하였다.
1982년에 NCAA는 여자 스포츠를 후원하기 시작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는 앤슨 도런스 감독의 지휘 아래 여자 대학 경기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최초의 20번의 NCAA 선수권 대회 중 16번을 우승했다.[19]
대학 축구는 8월부터 12월까지 가을에 진행되며, NCAA 토너먼트는 11월부터 12월 초까지 진행된다. 남자 토너먼트에는 48개 팀, 여자 토너먼트에는 64개 팀이 참가한다.
평균 관중 수 기준 연간 홈 관중 챔피언 (남자)[23]
년도 | 학교 | 컨퍼런스 | 홈 경기 | 평균 관중 |
---|---|---|---|---|
1998 | 프레즈노 주립 불독스 | WAC | 10 | 2716 |
1999 | 세인트루이스 빌리켄스 | C-USA | 11 | 3037 |
2000 | 코네티컷 허스키스 | 빅 이스트 | 14 | 2772 |
2001 | 세인트루이스 빌리켄스 | C-USA | 12 | 2767 |
2002 | 코네티컷 허스키스 | 빅 이스트 | 11 | 2519 |
2003 | 세인트루이스 빌리켄스 | C-USA | 9 | 2779 |
2004 | 인디애나 후저스 | 빅 텐 | 11 | 2385 |
2005 | 뉴멕시코 로보스 | MPSF | 10 | 3629 |
2006 | 코네티컷 허스키스 | 빅 이스트 | 11 | 2931 |
2007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1 | 3435 |
2008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1 | 3444 |
2009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2 | 4335 |
2010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2 | 5873 |
2011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3 | 4782 |
2012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9 | 5542 |
2013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3 | 3707 |
2014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1 | 3844 |
2015 | UC 산타바바라 가우초스 | 빅 웨스트 | 12 | 3844 |
2016 | 메릴랜드 테러핀스 | 빅 텐 | 13 | 4014 |
2017 | 코네티컷 허스키스 | 아메리칸 | 12 | 3502 |
2018 | 코네티컷 허스키스 | 아메리칸 | 12 | 3213 |
2019 | 메릴랜드 테러핀스 | 빅 텐 | 13 | 2311 |
평균 관중 수 기준 연간 홈 관중 챔피언 (여자)[24]
연도 | 학교 | 콘퍼런스 | 홈 경기 | 평균 관중 수 |
---|---|---|---|---|
1998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8 | 3046 |
1999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12 | 3196 |
2000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9 | 3148 |
2001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10 | 3983 |
2002 | 노스캐롤라이나 타힐스 | ACC | 9 | 2048 |
2003 | 텍사스 A&M 어기스 | 빅 12 | 12 | 1977 |
2004 | 텍사스 A&M 어기스 | 빅 12 | 14 | 2790 |
2005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2 | 3403 |
2006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9 | 3408 |
2007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0 | 3771 |
2008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622 |
2009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472 |
2010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549 |
2011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0 | 3110 |
2012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3 | 3313 |
2013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12 | 2937 |
2014 | 포틀랜드 파일럿츠 | WCC | 8 | 2971 |
2015 | BYU 쿠거스 | WCC | 11 | 3496 |
2016 | BYU 쿠거스 | WCC | 10 | 2957 |
2017 | BYU 쿠거스 | WCC | 11 | 3006 |
2018 | 텍사스 A&M 어기스 | SEC | 13 | 2562 |
2019 | BYU 쿠거스 | WCC | 12 | [http://fs.ncaa.org/Docs/stats/w_soccer_RB/2020/Attendance.pdf 2,945] |
칼리지 컵에서 두 번 이상 우승한 남자팀은 다음과 같다.
팀 | 횟수 | 우승 연도 |
---|---|---|
세인트루이스 | 10 | 1959, 1960, 1962, 1963, 1965, 1967 †, 1969, 1970, 1972, 1973 |
인디애나 | 8 | 1982, 1983, 1988, 1998, 1999, 2003, 2004, 2012 |
버지니아 | 7 | 1989 †, 1991, 1992, 1993, 1994, 2009, 2014 |
클렘슨 | 4 | 1984, 1987, 2021, 2023 |
메릴랜드 | 4 | 1968 ‡, 2005, 2008, 2018 |
샌프란시스코 | 4 | 1966, 1975, 1976, 1980 |
UCLA | 4 | 1985, 1990, 1997, 2002 |
스탠퍼드 | 3 | 2015, 2016, 2017 |
UConn | 2 | 1981, 2000 |
미시간 주립 | 2 | 1967 †, 1968 ‡ |
노스캐롤라이나 | 2 | 2001, 2011 |
- † 공동 우승—악천후로 인해 경기가 중단됨
- ‡ 공동 우승—경기가 무승부로 선언됨
칼리지컵에서 우승한 여자팀은 다음과 같다.
팀 | 횟수 | 우승 연도 |
---|---|---|
노스캐롤라이나 | 21 | 1982, 1983, 1984, 1986, 1987, 1988, 1989, 1990, 1991, 1992, 1993, 1994, 1996, 1997, 1999, 2000, 2003, 2006, 2008, 2009, 2012 |
노트르담 | 3 | 1995, 2004, 2010 |
스탠퍼드 | 3 | 2011, 2017, 2019 |
플로리다 주립 | 3 | 2014, 2018, 2021 |
포틀랜드 | 2 | 2002, 2005 |
USC | 2 | 2007, 2016 |
산타클라라 | 2 | 2001, 2020 |
UCLA | 2 | 2013, 2022 |
조지 메이슨 | 1 | 1985 |
플로리다 | 1 | 1998 |
펜실베이니아 주립 | 1 | 2015 |
매년 최고의 남자 및 여자 대학 축구 선수에게는 헤르만 트로피가 수여된다.[30]
전미 대학 체육 협회(NCAA) 남자 축구 프로그램은 대략 800개이며, NCAA 여자 축구팀은 959개이다.[31][32]
각 컨퍼런스별 남자 축구 현황은 2024 시즌의 정렬을 반영한다.
- 아메리칸 육상 컨퍼런스(American Athletic Conference)
- 아메리카 이스트 컨퍼런스(America East Conference)
- 애틀랜틱 코스트 컨퍼런스(Atlantic Coast Conference)
- 애틀랜틱 선 컨퍼런스(Atlantic Sun Conference)
- 애틀랜틱 10 컨퍼런스(Atlantic 10 Conference)
- 빅 이스트 컨퍼런스(Big East Conference)
- 빅 스카이 컨퍼런스(Big Sky Conference)
- 빅 사우스 컨퍼런스(Big South Conference)
- 빅 텐 컨퍼런스(Big Ten Conference)
- 빅 12 컨퍼런스(Big 12 Conference)
- 빅 웨스트 컨퍼런스(Big West Conference)
- 코스탈 육상 협회(Coastal Athletic Association)
- 컨퍼런스 USA(Conference USA)
- 호라이즌 리그(Horizon League)
- 아이비 리그(Ivy League)
- 메트로 애틀랜틱 육상 컨퍼런스(Metro Atlantic Athletic Conference)
- 미드-아메리칸 컨퍼런스(Mid-American Conference)
- 미주리 밸리 컨퍼런스(Missouri Valley Conference)
- 마운틴 웨스트 컨퍼런스(Mountain West Conference)
- 노스이스트 컨퍼런스(Northeast Conference)
- 오하이오 밸리 컨퍼런스(Ohio Valley Conference)
- 패트리어트 리그(Patriot League)
- 사우스이스턴 컨퍼런스(Southeastern Conference)
- 서던 컨퍼런스(Southern Conference)
- 사우스랜드 컨퍼런스(Southland Conference)
- 사우스웨스턴 육상 컨퍼런스(Southwestern Athletic Conference)
- 서밋 리그(The Summit League)
- 선 벨트 컨퍼런스(Sun Belt Conference)
- 웨스트 코스트 컨퍼런스(West Coast Conference)
- 웨스턴 육상 컨퍼런스(Western Athletic Conference)
- 독립(남자 없음, 2024년 여자 1개)
4. 2. 영국
영국에서는 BUCS 풋볼 리그가 대학 및 대학교의 축구 경기를 관할한다.[33] 현재 리그에는 450개 팀이 소속되어 있다.4. 3. 일본
全日本大学サッカー選手権大会일본어와 全日本女子大学サッカー選手権大会일본어는 일본 전역의 대학을 위한 주요 토너먼트이다. 두 대회 모두 예선을 통과한 24개 대학이 참가하며, 매년 다른 예선 시리즈가 개최된다. 남자와 여자 토너먼트는 모두 2022년 12월부터 2023년 1월 사이에 개최되었다.[34][35]참가 팀에 관해 완전한 오픈 형식을 갖는 총리대신배 전일본 대학 축구 토너먼트(:ja:総理大臣杯全日本大学サッカートーナメント)도 있다.
일본 각 지역에는 대학 축구 리그가 있으며, 일본을 8개 지역으로 나누어 각 지역에서 자체 대학생 팀을 조직하고 팀들이 서로 경기를 하는 덴소컵(:ja:デンソーカップサッカー)이라는 토너먼트도 있다.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1912)에 해외에서 도입된 스포츠가 교육의 일부로 도입되었고, 학교 및 기타 교육 기관에는 자체 팀이 있었다. 축구도 예외는 아니어서 이러한 전통은 오랫동안 지속되었다. 아마추어 성인 선수가 주를 이루었던 옛 일본 사커 리그가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설립되기 전까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주로 대학생과 졸업생으로 구성되었다. 일본 리그 팀도 훈련 아카데미를 갖추지 않고 고등학교(참조: 일본_고등학교_축구_:ja:高校サッカー) 또는 대학 팀에서 뛰었던 선수를 영입했다. 다시 말해 일본 대학 축구 팀은 일본 리그 팀에 귀중한 공급원이었다. 따라서 프로 J리그가 창설되어 훈련 기관을 갖춘 1993년부터 1998년 FIFA 월드컵까지 일본 국가대표팀의 많은 구성원이 대학 졸업생이었다.
미국과 유사하게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가진 일본의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을 대표하게 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중 9명이 대학 축구 경력을 가지고 있다.[37]
1993년 이후 J리그 클럽에 입단한 선수들의 다수는 대학이 아닌 훈련 기관 출신으로 고등학교 졸업 직후였다.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 또한 오랫동안 주로 대학 축구 선수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199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에 진출한 U-20 축구팀에는 대학 축구 선수가 3명뿐이었고, 나머지는 이미 J리그 클럽에 입단한 선수였다. 1993년 이후 대학 팀에 합류한 선수들의 대다수는 J리그 클럽의 스카우트를 받지 못한 선수였다. 그러나 대학 축구 팀에서 기량을 개발한 후 일본 U-20 축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거나 J리그 클럽의 스카우트를 받는 경우도 있었으며, 대학은 여전히 선수 공급원 역할을 했다.
2022년 국가대표팀에서는 대학 졸업생이 고등학교 졸업 직후 선수보다 팀에서 뛸 기회를 더 많이 얻게 되었다. 선수가 국가대표팀에 선발될 만큼 충분히 뛰어나다면 대학에 있든 프로 클럽에 합류하든, 심지어 막 합류했더라도 즉시 전력이 될 수 있었고, 이는 더 많은 경기 경험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에 따라 2022년 국가대표팀의 기반이 된 2020년 하계 올림픽에 출전한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많은 대학생을 기용할 예정이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의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인 미토마 카오루는 J리그 팀에 합류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에 진학하는 것을 선택했다. 미토마 카오루가 다녔던 학교인 체육, 건강 및 스포츠 과학 쓰쿠바 대학은 많은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를 배출했으며, 축구를 연구하는 기관으로서 수년 동안 일본에서 군림해온 국립 연구 기관이기도 하다.[38]
일본 선수가 해외에서 축구를 하기 위해 나갈 때 일반적으로 J리그를 거치지만, 2010년대부터는 훈련 기관을 거쳐 바로 일본 밖의 축구 리그에 합류하는 선수가 늘고 있다. 이 경우에도 많은 선수가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해외로 진출한다. 그러나 2024년 하계 올림픽 참가를 목표로 하고 있는 일본 U-23 축구 국가대표팀 멤버인 사토 케인(:ja:佐藤恵允)의 경우, 분데스리가 클럽에 합류하기 전 소속 클럽은 나가토모 유토를 배출한 메이지 대학이었다.
일본 유니버시아드 국가대표팀(:ja:ユニバーシアードサッカー日本代表)은 1995년, 2001년, 2003년, 2005년, 2011년, 2017년, 2019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우승했으며,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총 7번 우승했다.
일본 여자 대학 축구와 관련하여 2008년 12월 기준으로 64개 대학이 일본 대학 여자 축구 협회의 회원이며, 1,261명의 선수가 일본 축구 협회(JFA)에 등록되어 있다. 그때까지 대학 축구에 등록된 선수들은 대부분 대학에서 축구를 시작했기 때문에 높은 수준은 아니었다. 그러나 2000년대 후반 이후 등록 선수 수가 증가했고, 유니버시아드에서의 성공으로 인해 고등학교 팀의 최고 수준의 선수들이 대학 수준에서 뛰는 것을 선택하면서 대학 축구의 수준이 향상되었다.[39]
여자 축구의 경우, 과거 유니버시아드 결과에서 5번의 준우승과 2번의 3위를 기록하여 일본 여자 대학 축구가 항상 세계 선수권 대회에 도전할 수 있는 수준임을 나타낸다.[39]
일본의 주요 대학 여자 축구 토너먼트이자 가장 권위 있는 토너먼트 중 하나인 전일본 여자 대학 축구 선수권 대회는 지역 및 플레이오프 라운드에서 우승한 팀이 예선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에서 챔피언십을 놓고 경쟁하면서 대학 챔피언십을 결정한다. 또한, 30개 이상의 팀이 참가하는 "전국 대학 여자 축구 쓰쿠바 페스티벌"이 매년 8월에 개최된다. 2001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를 강화하기 위해 시작된 지역 토너먼트도 있으며, 이러한 지역 토너먼트는 과거 동서 토너먼트에서 발전했으며 대학 여자 축구를 강화하는 역할을 했다.[39]
4. 4. 대한민국
2008년 창설된 U-리그(U-League)는 대한민국 대학 축구팀을 위한 최초의 조직적인 리그 대회이며, 정규 한국 축구 리그 구조 밖에서 운영된다.[40]대한민국에서는 미국과 유사하게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가진 선수들이 많으며,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을 대표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을 대표했던 선수들의 대다수가 대학에서 축구를 했다.[41] 이 팀의 가장 성공적인 결과는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 진출이었다.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대학 축구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는 21명의 선수단 중 16명이 대학 소속이었다.[42]
4. 5. 기타 국가
인도에서는 국가적인 규모의 다종목 스포츠 행사인 케로 인디아 대학교 게임에서 전국 대학 선수들이 경쟁하는 남자 및 여자 대학 축구 토너먼트가 열린다.필리핀에서는 필리핀 대학교 연합의 8개 회원 학교가 참가하는 UAAP 남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열린다. 필리핀 국립 체육 협회는 축구 토너먼트를 후원한다.
베트남에서는 매년 대학생 팀을 대상으로 SV-리그(SV-League)라는 대학 축구 대회가 열린다.
캐나다에서는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 참가한 캐나다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22명 중 19명이 미국 대학 체육 협회(NCAA)에서 활동하고 있다.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 크리스틴 싱클레어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포틀랜드 파일럿츠 여자 축구 팀에서 뛰었다. 캐나다의 대학 및 칼리지 스포츠를 관리하는 두 기관은 다음과 같다.
U 스포츠 | 캐나다 칼리지 운동 협회 |
---|---|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는 버시티 스포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연례 토너먼트인 버시티 풋볼에 대학교들이 참여한다. 2022 시즌 기준으로 남녀 각각 8개 팀이 참가한다.
5. 선수 선발 및 진로
미국의 여러 대학 축구 프로그램은 프로 선수로 뛰거나 미국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1996년 출범 이후 매년 메이저 리그 사커(MLS)는 MLS 팀이 젊은 유망주를 지명하는 슈퍼 드래프트를 개최해 왔으며,[28] MLS 슈퍼 드래프트에서 지명되는 선수들은 종종 미국 대학 축구 선수들이다. 이와 유사한 형식으로 매년 내셔널 위민스 사커 리그(NWSL)에서도 NWSL 대학 드래프트가 열린다.
헤르만 트로피는 매년 미주리 운동 클럽에서 미국의 최고의 남자 및 여자 대학 축구 선수에게 수여된다. 대학 축구 시즌이 시작될 때 헤르만 트로피 후보자 명단이 작성되고, 정규 시즌이 끝날 무렵 15명의 선수가 준결승 진출자로 발표된다. 12월 초에는 남자 및 여자 트로피 모두에서 상위 3명의 득표자가 최종 후보로 발표되며,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 있는 미주리 운동 클럽에서 열리는 연례 만찬에서 두 상의 수상자가 발표된다.
여러 FIFA 월드컵에서 미국 국가대표팀으로 활약한 헤르만 트로피 수상자로는 토니 메올라(1989), 알렉시 라라스(1991), 클라우디오 레이나(1993), 미셸 에이커스(1988), 샤논 히긴스(1989), 크리스틴 릴리(1991), 미아 햄(1991–92), 티샤 벤투리니(1994), 샤논 맥밀란(1995), 신디 팔로우(1997–98), 앨리 와그너(2002), 켈리 오하라(2009), 크리스틴 프레스(2010), 크리스탈 던(2012), 모건 브라이언(2013–14)이 있다.
많은 미국 최고의 남자 대학 축구 선수들은 여름 동안 프리미어 개발 리그(PDL)의 별도 팀에서 활동한다. 브리검 영 대학교 쿠거스 남자팀은 NCAA 또는 NAIA에서 뛰는 대신 PDL에서 모든 경기를 치렀다.
대학컵에서 우승한 여러 코치들은 디비전 I 프로 축구 또는 심지어 미국 국가대표팀을 지도하게 되었다. 프로 무대에서 성공을 거둔 가장 잘 알려진 NCAA 남자팀 코치로는 브루스 아레나(1991년부터 1994년까지 버지니아에서 4번의 대학컵 우승), 지기 슈미드(1985년과 1990년에 UCLA에서 2번의 대학컵 우승)가 있다. 여자부에서는 노스캐롤라이나 코치 앤슨 도런스가 1986년부터 1994년까지 초기 몇 년 동안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을 지도했으며, 팀을 이끌고 초대 1991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전 UCLA 브루인스 코치 질 엘리스는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2015 FIFA 여자 월드컵에서 세 번째 월드컵 우승을 차지했다.
많은 여자 대학 축구 선수들은 내셔널 위민스 사커 리그(NWSL)와 유럽, 아시아, 호주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할 기회를 가진다. 또한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대학에서 선수들이 선발된다. NWSL은 2012년에 시작되었으며 현재 12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4년에 2개 팀이 더 추가될 예정이다. 그러나 리그의 선수 드래프트는 대학 선수로 제한되지 않으며, 2023 NWSL 드래프트에서 가장 최근 드래프트에서 첫 번째로 선발된 선수인 앨리사 톰슨은 스탠퍼드의 장학금 제안을 거절하고 드래프트에 참여했다.
최근 맥 헤르만 트로피 수상자로는 케이데샤 부캐넌(2016), 라켈 로드리게스(2015), 모건 브라이언(2014, 2013), 크리스탈 던(2012)과 같은 국제 선수들이 있다. 최근 들어 미국 대학 축구에 점점 더 많은 외국인 선수들이 유입되고 있다. 해외에서 스카우트된 이 외국인 선수들은 많은 대학 팀에 합류하고 있다. 2015년은 이러한 팀에 국제 선수들이 대거 합류한 첫 해였다. 이 선수들은 메이저 리그 사커(Major League Soccer)에서 프로 선수로 활동하려는 희망과 함께 미국이 제공하는 교육을 받기 위해 대학 축구에 참여한다고 하며, 이는 자국에서 받는 교육과 출전 시간에 대한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함이다.[28]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파이프라인을 가진 일본의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을 대표하게 되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 중 9명이 대학 축구 경력을 가지고 있다.[37]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가진 대한민국에서는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을 대표하게 되었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을 대표했던 선수들의 대다수가 대학에서 축구를 했다.[41] 이 팀의 가장 성공적인 결과는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 진출이었다.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대학 축구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다.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 21명의 선수단 중 16명이 대학 소속이었다.[42]
6. 한국 대학 축구의 현황과 과제 (대한민국 관점)
U-리그는 2008년에 창설된 대한민국 대학 축구팀을 위한 최초의 조직적인 리그 대회이며, 정규 한국 축구 리그 구조 밖에서 운영된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 선수들 대다수가 대학에서 축구를 했다.[41]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 진출은 이 팀의 가장 성공적인 결과였다.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 역시 대학 축구 선수들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에서는 21명의 선수단 중 16명이 대학 소속이었다.[42]
7. 저명한 대학 축구 선수 및 감독 (더불어민주당 관점 반영)
안정환, 박지성, 이영표, 홍명보는 한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설적인 선수들로, 모두 대학 축구 선수 출신이다. 이들은 뛰어난 기량과 리더십으로 한국 축구를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특히 안정환은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골든골을 기록하며 한국 축구 역사상 최고의 순간을 만들었다. 박지성은 프리미어 리그 명문 클럽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활약하며 한국 축구의 위상을 높였다. 이영표는 뛰어난 수비 능력과 꾸준함으로 오랫동안 국가대표팀의 주전으로 활약했다. 홍명보는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주장으로서 팀을 이끌며 4강 신화를 이룩했다.
이천수와 김병지는 뛰어난 기량을 가진 선수들이지만, 논란의 여지가 있는 행동으로 인해 때때로 비판을 받기도 했다.
이동국과 황선홍은 뛰어난 득점력을 가진 공격수였지만, 중요한 경기에서 결정적인 기회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황선홍은 1994년 FIFA 월드컵에서 결정적인 득점 기회를 놓치면서 많은 비난을 받았다.
토니 메올라, 알렉시 라라스, 클라우디오 레이나는 미국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들로, 모두 대학 축구 선수 출신이다. 이들은 FIFA 월드컵 등 주요 국제 대회에서 활약하며 미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
미셸 에이커스와 미아 햄은 미국 여자 축구를 대표하는 선수들로, 모두 대학 축구 선수 출신이다. 이들은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미국 여자 축구의 황금기를 이끌었다.
미토마 카오루는 2022년 FIFA 월드컵에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활약한 선수로, 대학 축구 선수 출신이다. 그는 뛰어난 드리블 능력과 빠른 발을 바탕으로 일본 축구의 새로운 스타로 떠올랐다.
브루스 아레나와 지기 슈미드는 미국 대학 축구에서 성공적인 경력을 쌓은 후 프로 축구 감독으로도 성공을 거둔 인물들이다. 아레나는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미국 축구를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슈미드는 메이저 리그 사커에서 여러 팀을 이끌며 우승을 차지했다.
앤슨 도런스는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여자 축구팀 감독으로 오랫동안 재직하며 수많은 우승을 차지한 명장이다. 그는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하며 1991 FIFA 여자 월드컵 우승을 이끌기도 했다.
허정무는 선수 시절 뛰어난 미드필더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는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을 이끌고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16강 진출을 이끌었다. 그는 진보적인 축구 철학을 바탕으로 한국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최용수는 선수 시절 뛰어난 공격수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는 FC 서울을 이끌고 K리그1 우승을 차지하는 등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김호는 선수 시절 수비수로 활약했으며, 감독으로서는 수원 삼성 블루윙즈를 이끌고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그는 선수 선발 과정에서 비리 의혹을 받으며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8. 국제 관계 (한국의 입장/관점/주장 중심)
일본에서는 메이지 시대(1868-1912)부터 축구가 교육의 일부로 도입되어 대학 축구가 발전하였다.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4년 도쿄 올림픽 이전까지 주로 대학생 선수들로 구성되었고, J리그 창설 이전에는 대학 축구가 선수 공급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2022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일본 대표팀 선수 중 9명이 대학 축구 경력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일본 대학 축구는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중요한 경로를 제공한다.[37] 쓰쿠바 대학과 같이 많은 국가대표 선수를 배출한 대학도 있으며, 2024년 하계 올림픽을 목표로 하는 U-23 대표팀에도 메이지 대학 소속 선수(사토 케인(:ja:佐藤恵允))가 포함되는 등 대학 축구의 중요성은 여전하다.[38] 일본은 하계 유니버시아드 축구에서 총 7번 우승하며 대학 축구의 높은 수준을 보여주었다.[39] 여자 축구의 경우에도 일본 대학 여자 축구는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5번의 준우승과 2번의 3위를 기록하는 등 세계적인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39]
한국에서는 U-리그(U-League)가 2008년에 창설되어 대학 축구팀을 위한 리그 대회를 제공하고 있다.[40] 한국 역시 "대학 축구에서 국가대표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많은 대학 축구 선수들이 국가대표팀에서 활약하고 있다.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9년 FIFA U-20 월드컵 결승에 진출하였고,[41] 대한민국 여자 U-20 축구 국가대표팀도 2022년 FIFA U-20 여자 월드컵 선수단 대다수가 대학 소속 선수였다.[42]
참조
[1]
간행물
"ALL-TIME LARGEST CROWDS"
http://fs.ncaa.org/D[...]
NCAA.com
[2]
뉴스
DII Championships Committee addresses soccer field size
https://www.ncaa.org[...]
NCAA.org - The Official Site of the NCAA
2017-10-05
[3]
웹사이트
College soccer
http://compsci92spri[...]
Weebly
2017-04-16
[4]
웹아카이브
Best of the 1870s: The defining players and teams of college football’s first decade
https://theathletic.[...]
The Athletic
2019-01-28
[5]
웹아카이브
First ever college soccer football game
https://www.profootb[...]
Pro Football Hall of Fame
[6]
웹아카이브
First college football game played at Rutgers in 1869
https://pittnews.com[...]
The Pitt News
2002-09-20
[7]
웹사이트
U.S. Soccer Timeline
https://www.ussoccer[...]
2020-06-23
[8]
서적
Soccer in a football world : the story of America's forgotten game
http://archive.org/d[...]
Temple University Press
2020-06-23
[9]
웹아카이브
1st college football game ever was New Jersey vs. Rutgers in 1869
https://www.ncaa.com[...]
Ncaa.com
[10]
웹아카이브
1869 November 06: Rutgers beats Princeton in first college football game
https://www.history.[...]
history.com
[11]
웹아카이브
THE FOOTBALL H: A CRIMSON H ON A BLACK SWEATER ''The H Book Of Harvard Athletics 1852 1922''
https://web.archive.[...]
[12]
웹아카이브
THE BOSTON GAME
https://www.academia[...]
academia.edu
[13]
웹아카이브
The Year in American Soccer – 1959
http://homepages.sov[...]
[14]
웹아카이브
The Year in American Soccer – 1974
http://homepages.sov[...]
[16]
웹사이트
Historic vote for 21st Century Model looms
https://www.topdrawe[...]
2021-09-29
[17]
웹사이트
21st Century Model vote put on hold
https://www.topdrawe[...]
2021-09-29
[18]
서적
NCAA SOCCER 2014 AND 2015 RULES AND INTERPRETATIONS
http://www.ncaapubli[...]
THE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19]
웹사이트
College soccer
http://compsci92spri[...]
Weebly
2017-04-16
[20]
웹사이트
College soccer: Double jeopardy rule in soccer adjusted
https://www.ncaa.com[...]
NCAA & Turner Sports Interactive, Inc.
2017-08-12
[21]
간행물
Soccer referees could start keeping official time
https://www.ncaa.com[...]
NCAA
2018-03-29
[22]
웹사이트
Momentum Builds For a Change in the Division I Men's College Soccer Season
https://www.colleges[...]
[23]
웹사이트
Men's Soccer Attendance Records
http://fs.ncaa.org/D[...]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2021-10-06
[24]
웹사이트
Women's Soccer Attendance Records
http://fs.ncaa.org/D[...]
National Collegiate Athletic Association
2019-11-10
[25]
웹사이트
ESPNFC: Soccer BYU far from a traditional college soccer program
http://m.espn.go.com[...]
2018-03-12
[26]
웹사이트
The Women's Soccer Dynasty of Anson Dorrance
http://www.ussoccer.[...]
U.S. Soccer
2017-04-17
[27]
웹사이트
Jill Ellis '88 and U.S. World Cup champions inspire another generation
http://www.wm.edu/ne[...]
College of William & Mary
2017-04-17
[28]
웹사이트
International Clearance
https://www.ussoccer[...]
2020-11-10
[29]
뉴스
DII Championships Committee addresses soccer field size
https://www.ncaa.org[...]
NCAA.org - The Official Site of the NCAA
2017-10-05
[30]
웹사이트
College soccer
http://compsci92spri[...]
Weebly
2017-04-16
[31]
웹사이트
Who we are
http://web1.ncaa.org[...]
ncaa.org
[32]
웹아카이브
Soccer
http://collegesports[...]
College Sports Council
[33]
웹사이트
Home - BUSA
http://www.busa.org.[...]
2011-10-23
[34]
웹사이트
歴代優勝チーム一覧|MCCスポーツpresents 2022年度 第71回 全日本大学サッカー選手権大会|JFA.jp
https://www.jfa.jp/m[...]
2022-12-13
[35]
웹사이트
第31回全日本大学女子サッカー選手権大会
https://www.jfa.jp/m[...]
2022-12-13
[36]
기사
三笘、冨安、遠藤…変わるイングランド人の「日本人選手観」。純然たるトップクラスとして認識されるために期待すること
https://www.football[...]
footballista
2023-08-26
[37]
웹사이트
W杯日本代表、なぜ"大学経由"選手が急増? 02年大会以降で最多9人の背景にある事情(THE ANSWER)
https://the-ans.jp/n[...]
2022-11-22
[38]
기사
「ドリブルの学位を持つ選手」三笘薫のサクセスストーリーがイングランドで話題に。微妙にニュアンスが異なるが…
https://sakanowa.jp/[...]
SAKAMOWA
2023-02-07
[39]
논문
高校・大学における女子サッカーの発展に関する研究 -競技力と入試難易度の観点からの考察
https://www.waseda.j[...]
早稲田大学 大学院スポーツ科学研究科
[40]
웹사이트
KFA
http://www.kfa.or.kr[...]
2018-03-12
[41]
웹사이트
FIFA U-20 월드컵 속의 대학축구
https://m.post.naver[...]
[42]
웹사이트
여자축구 대표팀, 20세 이하 월드컵 출전 선수 21명 확정
https://www.yna.co.k[...]
2022-07-14
[43]
뉴스
DII Championships Committee addresses soccer field size
https://www.ncaa.org[...]
NCAA.org - The Official Site of the NCAA
2015-06-09
[44]
웹인용
College soccer
http://compsci92spri[...]
Weebly
2017-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