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해군을 지휘·감독하는 직책이다. 역대 해군참모총장으로는 손원일, 박옥규, 정긍모, 이용운, 이성호, 이맹기, 함명수, 김영관, 장지수, 김규섭, 황정연, 김종곤, 이은수, 오경환, 최상화, 김종호, 김종호, 김철우, 김홍렬, 안병태, 유삼남, 이수용, 장정길, 문정일, 남해일, 송영무, 정옥근, 김성찬, 최윤희, 황기철, 정호섭, 엄현성, 심승섭, 부석종, 김정수, 이종호, 양용모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해군 준장 - 박양원
    황해도 해주 출신인 박양원은 해군 장교와 의사, 교육자로 활동하며 해군본부 의무감, 해군병원 원장, 보건사회부 의정국장을 거쳐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경희의료원장, 경희대학교 총장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 해군 소장 - 허대범
    허대범은 해군 소장 출신으로 대한민국해군 전우회 회장, 국회의원, 진해시장 후보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대한민국 해군 소장 - 김상길 (1926년)
    김상길은 1926년 대구 출생으로 일제강점기 항일 학생 비밀 결사 태극단을 조직하여 독립운동을 했고, 해군 소장으로 예편 후 대구시장 직무대행, 한국국민당 전임고문 등을 역임했으며,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여받고 2018년 별세하여 국립 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 대한민국 해군 중장 - 윤광웅
    해군사관학교 출신으로 해군 주요 보직을 거쳐 국방부 장관을 역임한 윤광웅은 노무현 정부에서 전시작전통제권 환수를 추진했으나 연천군부대 총기난사 사건과 북한 핵실험으로 논란을 겪고 사임 후 대한민국해양연맹 고문으로 활동했으며, 재임 시절 국군기무사령부의 불법 도청 사실이 드러났다.
  • 대한민국 해군 중장 - 정원민
    정원민은 대한민국 해군 제독 출신으로, 민주정의당 안보외교연구실장, 대한석탄공사 사장을 역임했으며, 해군 중장으로 예편 후 국회의원을 지냈다.
대한민국의 해군참모총장
기본 정보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깃발
해군참모총장 깃발
직책해군참모총장
소속대한민국 해군
로마자 표기Daehanminguk Haegun Chammotongjang
약칭CNO
구성원합동참모본부
보고 대상합동참모의장
임명권자대통령
초대 총장손원일 해군 중장
현직 총장양용모 해군 대장
현직 총장 취임일2023년 11월 7일
관저계룡대 공관, 대방동 공관
역할 및 권한
지휘 기관국방부
역사
기타

2. 역할

국군조직법 제10조 제2항에 따르면, "각 군 참모총장은 국방부 장관의 명을 받아 각 군을 지휘·감독한다. 다만, 전투를 주임무로 하는 작전부대에 대한 작전 지휘·감독은 제외한다."[1]

3. 역대 해군참모총장

대한민국의 역대 해군참모총장은 다음과 같다.

역대 해군참모총장
정부대수사진이름계급임기비고
제1공화국초대--손원일중장1948년 9월 5일 ~ 1953년 6월 30일국방부 장관 역임
2대
박옥규중장1953년 6월 30일 ~ 1954년 11월 1일
3대
정긍모중장1954년 11월 1일 ~ 1959년 2월 23일
4대
이용운중장1959년 2월 23일 ~ 1960년 9월 28일
제2공화국5대
이성호중장1960년 9월 28일 ~ 1962년 9월 28일
6대이맹기중장1962년 9월 28일 ~ 1964년 9월 10일rowspan=2 |
제3공화국
7대
함명수중장1964년 9월 10일 ~ 1966년 9월 1일
8대김영관대장1966년 9월 1일 ~ 1969년 4월 1일
9대장지수대장1969년 4월 1일 ~ 1972년 4월 1일
10대김규섭대장1972년 4월 1일 ~ 1974년 2월 28일rowspan=2 |
제4공화국
11대황정연대장1974년 2월 28일 ~ 1979년 4월 17일
12대김종곤대장1979년 4월 17일 ~ 1981년 5월 14일
제5공화국13대이은수대장1981년 5월 14일 ~ 1982년 12월 28일
14대
오경환대장1982년 12월 28일 ~ 1984년 9월 4일
15대최상화대장1984년 9월 4일 ~ 1987년 9월 4일
16대김종호대장1987년 9월 4일 ~ 1989년 9월 4일rowspan=2 |
노태우 정부
17대김종호대장1989년 9월 4일 ~ 1991년 9월 4일퇴임 이후 수뢰 사실 확인[8]
18대김철우대장1991년 9월 4일 ~ 1993년 5월 26일
김영삼 정부19대김홍렬대장1993년 5월 26일 ~ 1995년 4월 1일
20대안병태대장1995년 4월 1일 ~ 1997년 4월 1일
21대유삼남대장1997년 4월 1일 ~ 1999년 4월 1일
김대중 정부
22대이수용대장1999년 4월 1일 ~ 2001년 3월 31일
23대장정길대장2001년 4월 1일 ~ 2003년 3월 31일
노무현 정부24대문정일대장2003년 4월 1일 ~ 2005년 3월 29일
25대남해일대장2005년 3월 29일 ~ 2006년 11월 17일
26대
송영무대장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국방부 장관 역임
이명박 정부27대
정옥근대장2008년 3월 20일 ~ 2010년 3월 19일
28대
김성찬대장2010년 3월 19일 ~ 2011년 10월 17일
29대
최윤희대장2011년 10월 17일 ~ 2013년 9월 28일합동참모의장 역임
박근혜 정부
30대
황기철대장2013년 9월 28일 ~ 2015년 2월 27일
31대
정호섭대장2015년 2월 27일 ~ 2016년 9월 22일
32대
엄현성대장2016년 9월 22일 ~ 2018년 7월 19일rowspan=2 |
문재인 정부
33대
심승섭대장2018년 7월 19일 ~ 2020년 4월 10일
34대부석종대장2020년 4월 10일 ~ 2021년 12월 16일
35대김정수대장2021년 12월 16일 ~ 2022년 5월 27일
윤석열 정부36대이종호대장2022년 5월 27일 ~ 2023년 10월 30일
37대양용모대장2023년 10월 30일 ~


3. 1. 남조선해사대장 (1945.08.21 ~ 1946.01.14)

정부대수사진이름계급임기
미군정초대
손원일없음1945년 8월 21일 ~ 1945년 11월 11일



해사대(후에 조선해사보국단과 통합하여 해사협회가 됨) 시대.[8]

3. 2. 해방병단사령관 (1946.01.15 ~ 1946.06.14)



손원일은 미군정 시기 초대 해방병단사령관을 역임했다. 임기는 1946년 1월 15일부터 1946년 6월 14일까지였다.

정부대수사진성명계급임기
미군정초대손원일무(無)1946년 1월 15일 ~ 1946년 6월 14일


3. 3. 남조선해안경비대 총사령관 (1946.06.15 ~ 1948.09.05)

제1공화국초대--손원일무(無)1946년 6월 15일 ~ 1948년 9월 5일


3. 4. 해군참모총장 (1948.09.05 ~ 현재)

대수이름계급임기비고
초대손원일중장1948년 9월 5일 ~ 1953년 6월 30일국방부 장관 역임
2대박옥규중장1953년 6월 30일 ~ 1954년 11월 1일
3대정긍모중장1954년 11월 1일 ~ 1959년 2월 23일
4대이용운중장1959년 2월 23일 ~ 1960년 9월 28일
5대이성호중장1960년 9월 28일 ~ 1962년 9월 28일
6대이맹기중장1962년 9월 28일 ~ 1964년 9월 10일
7대함명수중장1964년 9월 10일 ~ 1966년 9월 1일
8대김영관대장1966년 9월 1일 ~ 1969년 4월 1일
9대장지수대장1969년 4월 1일 ~ 1972년 4월 1일
10대김규섭대장1972년 4월 1일 ~ 1974년 2월 28일
11대황정연대장1974년 2월 28일 ~ 1979년 4월 17일
12대김종곤대장1979년 4월 17일 ~ 1981년 5월 14일
13대이은수대장1981년 5월 14일 ~ 1982년 12월 28일
14대오경환대장1982년 12월 28일 ~ 1984년 9월 4일
15대최상화대장1984년 9월 4일 ~ 1987년 9월 4일
16대김종호대장1987년 9월 4일 ~ 1989년 9월 4일
17대김종호대장1989년 9월 4일 ~ 1991년 9월 4일퇴임 이후 수뢰 사실 확인[8]
18대김철우대장1991년 9월 4일 ~ 1993년 5월 26일
19대김홍렬대장1993년 5월 26일 ~ 1995년 4월 1일
20대안병태대장1995년 4월 1일 ~ 1997년 4월 1일
21대유삼남대장1997년 4월 1일 ~ 1999년 4월 1일
22대이수용대장1999년 4월 1일 ~ 2001년 3월 31일
23대장정길대장2001년 4월 1일 ~ 2003년 3월 31일
24대문정일대장2003년 4월 1일 ~ 2005년 3월 29일
25대남해일대장2005년 3월 29일 ~ 2006년 11월 17일
26대송영무대장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0일국방부 장관 역임
27대정옥근대장2008년 3월 20일 ~ 2010년 3월 19일
28대김성찬대장2010년 3월 19일 ~ 2011년 10월 17일
29대최윤희대장2011년 10월 17일 ~ 2013년 9월 28일합동참모의장 역임
30대황기철대장2013년 9월 28일 ~ 2015년 2월 27일
31대정호섭대장2015년 2월 27일 ~ 2016년 9월 22일
32대엄현성대장2016년 9월 22일 ~ 2018년 7월 19일
33대심승섭대장2018년 7월 19일 ~ 2020년 4월 10일
34대부석종대장2020년 4월 10일 ~ 2021년 12월 16일
35대김정수대장2021년 12월 16일 ~ 2022년 5월 27일
36대이종호대장2022년 5월 27일 ~ 2023년 10월 30일
37대양용모대장2023년 10월 30일 ~


3. 5. 해군참모총장 출신 특징

역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들의 출신 배경은 다양하지만, 몇 가지 특징적인 경향을 보인다.

역대 해군참모총장 출신 특징
구분내용
초기 해군손원일 초대 참모총장은 중화민국에서 항해술을 배웠고, 박옥규, 정긍모, 이용운, 이성호 총장은 일제강점기에 상선사관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다.
해군사관학교해군사관학교 출신 총장들은 이맹기 총장(1기)부터 시작하여 꾸준히 배출되었으며, 특히 제5공화국 이후에는 대부분 해사 출신이 총장직을 맡았다.
기타함명수 총장은 평양사범학교를 졸업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몇몇 총장들은 해군참모총장 퇴임 이후 다른 분야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손원일 총장은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고, 함명수, 이성호 총장은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회장을 지냈다. 송영무 총장은 문재인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최윤희 총장은 합동참모의장을 역임했다.[6]

참조

[1] 서적 Korea Annual 1998 Yonhap News Agency 1998
[2] 뉴스 金榮寬 해참총장 Kyunghyang Shinmun 1968-12-25
[3]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english.bai.g[...]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4] 서적 한국인명사전 Yonhap 1989-05-20
[5] 서적 한국인명사전 Yonhap 1999-04-30
[6] 웹사이트 김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군납 관련 수뢰사실 확인[박태경] https://web.archive.[...] MBS News 2023-10-12
[7] 문서 대한민국 해군의 장성급 장교는 육군, 공군, 해병대와는 다르게 제독(提督, Admiral)으로 호칭한다. 자세한 내용은 장성급 장교 문서 참조.
[8] 뉴스인용 김종호 전 해군참모총장 군납 관련 수뢰사실 확인 http://imnews.imbc.c[...] 1993-05-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