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01호 ~ 제200호)는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제101호부터 제200호까지의 목록을 포괄한다. 여기에는 전통 공연·예술, 전통 기술, 전통 지식, 음식, 전통 생활 관습 등 다양한 분야가 포함되어 있다. 전통 공연·예술 분야에는 서울새남굿, 아리랑, 씨름, 활쏘기, 사직대제, 연등회, 법성포단오제, 삼화사 수륙재, 진관사 수륙재, 아랫녘 수륙재, 제주큰굿, 불복장작법 등이 있다. 전통 기술 분야에는 금속 활자장, 배첩장, 완초장, 사기장, 각자장, 누비장, 목조각장, 화각장, 윤도장, 주철장, 칠장, 염장, 염색장, 화혜장, 한지장, 불화장, 금박장, 석장, 번와장, 선자장, 낙화장, 사경장 등이 있다. 전통 지식 분야에는 제다, 김치 담그기, 제염, 온돌 문화, 장 담그기, 전통어로방식 - 어살, 인삼 재배와 약용 문화, 막걸리 빚기 등이 있으며, 음식 분야에는 떡 만들기, 전통 생활 관습 분야에는 해녀, 갯벌어로 등이 있다.

2. 전통 공연·예술

2. 1. 음악

2. 1. 1. 서울새남굿

서울새남굿은 서울 지역에서 전승되는 무속 의례로, 망자의 영혼을 천도하는 굿이다.

2. 1. 2. 아리랑

아리랑은 한국의 대표적인 민요로, 다양한 지역과 형태로 전승된다.

2. 2. 무용

2. 3. 놀이와 무예

2. 3. 1. 씨름

두 사람이 샅바를 잡고 힘과 기술을 겨루어 상대를 넘어뜨리는 대한민국 전통 민속놀이이자 무예이다.

2. 3. 2. 활쏘기

활쏘기는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표적을 맞히는 한국 전통 무예이다.

2. 4. 의례·의식

2. 4. 1. 사직대제

조선시대에 토지의 신인 사(社)와 곡식의 신인 직(稷)에게 국가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던 제사이다.

2. 4. 2. 연등회

연등회는 부처의 탄생을 기념하여 등불을 밝히는 불교 행사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2. 4. 3. 법성포단오제

법성포단오제는 전라남도 영광군 법성포 지역에서 단오에 행해지는 전통 축제이다.

2. 4. 4. 삼화사 수륙재

삼화사 수륙재는 강원도 동해시 삼화사에서 망자의 영혼을 천도하고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행하는 불교 의식이다.

2. 4. 5. 진관사 수륙재

진관사 수륙재는 서울 은평구 진관사에서 행해지는 수륙재이다. 조선 태조 때부터 국가적인 규모로 거행되었다.

2. 4. 6. 아랫녘 수륙재

아랫녘 수륙재는 경상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수륙재로, 지역적인 특색을 보인다.

2. 4. 7. 제주큰굿

제주큰굿은 제주도에서 행해지는 가장 규모가 큰 굿으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는 의례이다.

2. 4. 8. 불복장작법

불복장작법은 불상 안에 복장물을 넣는 불교 의식이다.

3. 전통 기술

3. 1. 공예 기술

3. 1. 1. 금속 활자장

금속으로 활자를 만드는 기술과 그 기능을 가진 장인을 말한다. 금속활자장 기능 보유자로는 임인호가 인정되어 있다.

한국에서 금속활자를 언제부터 누가 처음으로 만들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전해지지 않는다. 다만, 고려 인종 때인 1133년에서 1146년 사이에 주조된 것으로 보이는 '복' 자 활자가 발견되었다. 고려 고종 때 금속활자로 《남명천화상송증도가(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인쇄했다는 기록이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에 전해지는데, 이 책이 현존하지 않아 실물을 확인할 수는 없다.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금속활자 인쇄본은 1377년에 간행된 《직지심체요절(直指心體要節)》이다. 《직지심체요절》은 프랑스 국립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2001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러한 고려의 금속활자 인쇄술은 세계 최초로 인정받고 있다.

3. 1. 2. 배첩장

그림이나 글씨를 족자, 액자, 병풍 등의 형태로 꾸미는 장인이다.

3. 1. 3. 완초장

왕골로 돗자리, 방석 등 생활용품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3. 1. 4. 사기장

흙으로 도자기를 만드는 장인이다.

3. 1. 5. 각자장

나무, 돌, 금속 등에 글자나 그림을 새기는 장인이다.

3. 1. 6. 누비장

옷감 사이에 솜을 넣고 바느질하여 옷이나 이불 등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3. 1. 7. 목조각장

나무를 깎아 불상, 목기 등을 만드는 장인이다.

3. 1. 8. 화각장

쇠뿔을 얇게 펴서 그림을 그리고 가구 등에 붙여 장식하는 장인이다.

3. 1. 9. 윤도장

나침반을 만드는 장인이다.

3. 1. 10. 주철장

무쇠솥 등 주물 제품을 만드는 장인이다.

3. 1. 11. 칠장

옻나무 수액을 정제하여 목공예품 등에 칠하는 장인을 말한다.

3. 1. 12. 염장

대나무로 발을 만드는 장인을 염장이라고 한다.

3. 1. 13. 염색장

천연 염료를 사용하여 옷감에 물을 들이는 장인이다.

3. 1. 14. 화혜장

화혜장은 전통 신발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3. 1. 15. 한지장

닥나무 껍질을 이용하여 전통 한지를 만드는 장인이다.

3. 1. 16. 불화장

불교 회화를 그리는 장인이다.

3. 1. 17. 금박장

금박장은 얇은 금박을 이용하여 직물, 공예품 등에 문양을 새기는 장인을 말한다.

3. 1. 18. 석장

돌을 다듬고 쌓아 석조물을 만드는 장인이다.

3. 1. 19. 번와장

기와의 제작과 보수, 그리고 기와를 사용하여 지붕을 만드는 장인을 번와장이라고 한다.

3. 1. 20. 선자장

부채를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3. 1. 21. 낙화장

인두로 종이나 나무, 가죽 등에 그림이나 글씨, 문양을 새기는 장인이다. 조선시대에는 낙화라는 용어 대신 '화침'이라는 용어를 썼다고 전해진다.

3. 1. 22. 사경장

불경을 필사하는 장인을 말한다.

3. 2. 전통 지식

3. 2. 1. 제다

차 잎을 따서 마실 수 있는 차로 만드는 기술이다.

3. 2. 2. 김치 담그기

한국의 대표적인 음식인 김치를 만드는 전통 지식이다.

3. 2. 3. 제염

자료가 없습니다.

3. 2. 4. 온돌 문화

한국 고유의 난방 방식인 온돌에 관한 전통 지식이다.

3. 2. 5. 장 담그기

장 담그기는 한국의 전통 음식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로, 된장, 간장 등을 만드는 과정을 포함한다.

3. 2. 6. 전통어로방식 - 어살

어살은 강이나 바다에 설치하여 물고기를 잡는 전통적인 어로 방식 중 하나이다.

3. 2. 7. 인삼 재배와 약용 문화

인삼을 재배하고 약으로 활용하는 전통 지식이다.

3. 2. 8. 막걸리 빚기

막걸리 빚기는 한국의 전통 술 제조 방법이다.

3. 3. 음식

3. 3. 1. 떡 만들기

떡 만들기는 한국의 전통 음식인 을 만드는 기술 및 문화를 말한다.

4. 전통 생활 관습

4. 0. 1. 해녀

제주도에서 바다에 들어가 해산물을 채취하는 여성들을 해녀라고 부르며, 이들의 문화와 기술은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4. 0. 2. 갯벌어로

갯벌에서 조개, 낙지 등을 잡는 전통적인 어로 방식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