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기록유산은 유네스코가 세계적 가치가 있는 기록물을 등재하는 사업으로, 시간성, 장소, 인물, 주제, 형태 및 스타일, 사회적·정신적·문화적 중요성 등을 기준으로 한다. 등재 절차는 각국 문화재위원회의 선정, 유네스코에 등재 신청, 국제자문위원회 심사,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승인으로 이루어진다. 대한민국은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과 조선왕조실록을 시작으로 2023년까지 총 18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등재하여,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많은 기록물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세계기록유산 사업을 기념하고 기록 유산 보존에 기여한 기관을 표창하기 위해 직지상을 제정하여 격년으로 시상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화에 관한 목록 - 마추 픽추
페루 안데스 산맥에 위치한 마추픽추는 15세기 잉카 제국 시대에 건설되어 80년간 사용된 후 버려진 유적으로, 1911년 하이럼 빙엄 3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후 "잉카의 잃어버린 도시"라 불리며 세계적인 관광 명소이자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문화에 관한 목록 - 콜로세움
콜로세움은 플라비우스 원형 경기장이라고도 불리는 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으로, 검투사 경기와 야수 사냥을 위해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에 건설되었으며, 네로 황제의 동상인 콜로서스 근처에 위치하여 현재는 로마의 대표적인 관광 명소가 되었다. - 유네스코 - 국제 기념일
국제 기념일은 전 세계적으로 특정 사건을 기념하거나 문제 인식을 높이거나 특정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제정되어 다양한 분야에 걸쳐 유엔, 각국 정부, 시민단체 등이 주도하는 기념 행사들을 말한다. - 유네스코 - 생물권보전지역
생물권보전지역은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따라 생태계 보전, 생물다양성 유지, 지속가능한 발전을 목표로 지정되어 핵심지역, 완충지역, 전이지역으로 구분 관리되는 지역이다. - 세계기록유산 - 와이탕이 조약
와이탕이 조약은 1840년 영국과 마오리 족장들 사이에 체결되어 뉴질랜드의 주권을 영국에 넘기고 마오리 족의 권리와 토지 소유권을 보호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영어와 마오리어 번역상의 차이로 해석 논쟁이 지속되고, 마오리족 권리 회복을 위한 노력이 이어졌다. - 세계기록유산 - 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은 박정희 정부 주도로 1970년에 시작된 지역사회 개발 운동으로, 근면·자조·협동 정신을 바탕으로 농촌 근대화, 소득 증대,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되었으나, 권위주의 정권의 통치 수단 활용, 전통문화 탄압 등의 비판도 있으며, 현재는 생명살림운동으로 변화를 모색 중이다.
세계기록유산 | |
---|---|
개요 | |
이름 | 세계의 기억 |
영어 명칭 | Memory of the World (MoW) |
프랑스어 명칭 | Mémoire du monde |
유형 | 유네스코 사업 |
목표 | 문서 유산의 보존 및 접근성 향상 전 세계적으로 문서 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제고 |
설립 | 1992년 |
본부 | 프랑스 파리 |
목적 | |
주요 목적 |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서 기록 유산에 대한 보존 및 접근성 확보 문서 기록 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전 세계적 인식 고취 |
세부 목표 | 가장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문서 유산의 보존을 용이하게 함. 문서 유산에 대한 영구적이고 자유로운 접근을 제공함. 문서 유산의 존재와 중요성에 대한 전 세계적 인식을 높임. |
대상 | 도서관 기록 보관소 박물관 기타 보존 시설 |
조직 | |
운영 주체 | 유네스코 |
자문 위원회 (IAC) | 사업 전반에 대한 주요 자문 역할 수행 |
사무국 | 유네스코 본부 |
주요 활동 | |
세계 기록 유산 등재 | 국제 자문 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가치 있는 기록 유산을 "세계 기록 유산"으로 등재 등재된 기록 유산은 보존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원을 받음 |
보존 지원 | 위험에 처한 기록 유산의 보존을 위한 기술적, 재정적 지원 제공 |
인식 제고 | 워크숍, 전시회, 교육 자료 등을 통해 기록 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대중의 인식 증진 기록 유산 관련 연구 및 교육 활동 지원 |
등재 기준 | |
일반 기준 | 진정성 희소성 대체 불가능성 |
평가 기준 | 시간 장소 사람 주제 및 형태 |
추가 고려 사항 | 완전성 보존 상태 관리 계획 |
한국 관련 정보 | |
명칭 변경 (한국) | 2016년, 외교부에서 '기억 유산'에서 '세계의 기억'으로 변경 |
등재 유산 | 세계의 기억에 등재된 한국의 기록유산 목록 참조 |
기타 | |
아시아-태평양 지역 전략 | https://en.unesco.org/programme/mow 참고 |
2. 등재 기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113] 가장 핵심적인 기준은 해당 기록물이 지닌 세계적 가치이다. 세계적 가치는 기록물이 특정 시간, 장소, 인물, 주제, 형태 및 스타일, 또는 사회적·정신적·문화적 중요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인류 전체에 미치는 중요성을 평가하여 판단한다.[113]
세계적 가치 외에도 신빙성, 유일성, 영향력 등이 주요 기준으로 고려된다.[113] 신빙성은 기록물이 진품이며 그 출처가 명확해야 함을 의미하고, 유일성과 영향력은 해당 기록물이 대체 불가능하며 그 손실이 인류 유산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야 함을 뜻한다.[113] 또한 기록물의 완성도나 희귀성 등도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113]
2. 1. 세부 기준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113]우선 세계적 가치를 충족해야 하며, 다음 기준들에 부합해야 한다.
- 시간성 (Time): 역사적으로 중요한 시기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거나 그 시기를 특별한 방식으로 반영하는 자료.[113]
- 장소 (Place):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닌 자료.[113]
- 인물 (People):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에 기여한 인물과 관련된 자료.[113]
- 주제 (Subject/Theme):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의 주요 사항을 기록한 자료.[113]
- 형태 및 스타일 (Form and Style): 뛰어난 미적 양식을 보여주는 자료.[113]
-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중요성 (Social/Spiritual/Community Significance): 뛰어난 사회적·문화적 또는 정신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113]
그 외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신빙성: 유물이 진정성을 가지며, 그 실체와 근원지가 정확한 자료여야 한다.[113] 이는 대상 역사 자료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진정성을 가져야 한다는 의미이다.
- 유일성과 영향력: 등재될 유산이 유일하며 대체 불가능해야 하고, 유물의 손실 또는 훼손이 인류 유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며, 일정 기간 동안 세계의 특정 문화권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자료여야 한다.[113]
- 추가 기준: 완성도 또는 완전성에 있어 탁월하거나, 독특하거나 희귀한 자료 등이 있다.[113]
근현대사 자료의 경우, 기록의 객관성 또한 평가 대상이 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2013년 싱가포르가 신청한 녹음 테이프 매체인 "Japanese occupation of Singapore oral history collection영어"은 종전 후 상당한 시간이 흐른 뒤의 회고록으로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등재되지 못했다.[44]
유네스코가 정의하는 기록물은 1978년 채택된 "동산 문화재 보호 권고"[45]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것들을 포함한다.
- 미술적으로 중요한 물건: 독창적인 창작 수단으로서의 포스터 및 사진, 모든 재료의 독창적인 미술적 아상블라주 및 몽타주.
- 육필 및 초기 활판 인쇄에 의한 고서·사본·서적·문서 또는 출판물.
- 원본 기록, 지도, 기타 제도의 자료를 포함하는 문서·사진·영화 필름·녹음물 및 기계로 해독할 수 있는 기록.
세계유산이나 무형문화유산과 달리, 세계기록유산은 신청국의 법적 보호 근거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역사가 짧아도 등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국의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한 기록'(1980년), 필리핀의 '피플 파워 혁명(에드사 혁명) 당시의 라디오 방송'(1986년), 동티모르의 '터닝 포인트: 국가 탄생의 시기'(1999년-2002년) 관련 자료들이 선정된 바 있다.
세계유산처럼 여러 국가가 공동으로 신청하는 것(트랜스바운더리)도 권장된다. 2013년에 선정된 일본의 '게이초 견유 사절 관계 자료'는 스페인과 공동으로 신청했고, 2017년에는 민간과 지방 자치 단체 주도로 한국과 일본이 공동 신청한 '조선 통신사 관계 자료'가 선정되었다.[46]
선정된 이후 대상물의 추가나 일부 삭제는 인정되지만[39], 과거에는 말소가 불가능하다는 지적도 있었다.[57] 그러나 이후 제도 개혁을 통해 원본이 유실되거나 진정성이 부정되는 것이 확인될 경우 선정 말소도 가능하게 되었다.[37] 2021년 제도 개혁으로 결정된 이의 신청 제도는 기존에 등재된 대상물에 소급 적용되지 않는다.
3. 등재 절차
세계기록유산의 등재 절차는 다음과 같다.[114]
1. 등재 신청 대상 선정: 각국의 관련 위원회가 심의하여 등재 신청할 기록유산을 선정한다. 대한민국의 경우,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청장이 대상 유산을 선정한다. 모든 조직이나 개인은 유네스코 회원국(한국의 경우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등)을 통해 기록유산 등재를 추천할 수 있으며,[4] 각 추천 주기마다 회원국당 두 건의 제안이 고려된다 (공동 추천 제외).[4]
2. 등재 신청 서류 제출: 선정된 유산에 대한 신청 서류(영문 신청서 및 사진, 비디오, 관련 도서 등 부속 자료)를 매 2년마다 3월 말까지 유네스코 사무국에 제출한다. 유네스코 사무국은 서류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3. 국제자문위원회(IAC) 심사: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임명하는 14명의 전문가(임기 4년)로 구성된 국제자문위원회(IAC,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가 2년마다 회의를 열어[1] 제출된 서류를 심사한다. IAC는 후보 유산의 설명, 출처, 세계적 중요성, 보존 상태 등을 검토하고,[4] 선정 기준(세계사적 중요성, 진정성, 객관성 등[44])에 따라 평가하여 유네스코 집행 이사회에 등재를 권고한다.[4] IAC는 사무국, 기술 소위원회, 마케팅 소위원회, 등록 소위원회 등의 하위 기구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을 지원한다.[9]
4. 유네스코 사무총장 승인: 국제자문위원회의 권고를 바탕으로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최종 승인하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다.
단, 2021년 제도 개혁으로 일부 절차(신청 주체, 이의제기 절차, 최종 결정 방식 등)가 변경되었다.[55]
3. 1. 제도 개혁 (2021)
기존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제도는 심사가 비공개로 진행되고, 국가 간 견해가 다른 분쟁 중인 자료를 밀실에서 심의한다는 비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유네스코의 중립성 훼손 및 정치적 이용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이는 유네스코 측도 인정한 바 있다.[47][48] 특히 2015년 난징 대학살 관련 자료 등재 이후, 일본 정부는 2016년 유네스코 분담금 약 44억엔의 지급을 보류하며 제도 개혁을 강하게 요구했다.[49]이에 2018년 유네스코 집행위원회(회원국 58개국)에서 제도 개혁이 논의되기 시작했다. 당초 그해 신규 신청 접수를 중단하고 2019년 7월부터 새로운 제도로 심사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50] 한국 등의 반대로[51] 합의에 이르지 못해 개혁안 마련은 계속 지연되었다. 2019년에도 신규 신청 접수는 중단되었고,[52] 2020년에는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회의 개최가 어려워지면서 제도 개혁은 2021년까지 다시 연기되었다.[53]
2021년 4월 15일, 온라인으로 개최된 유네스코 집행위원회에서 일본·한국·중국 등 32개 국가 및 지역으로 구성된 제도 개혁 작업반이 마련한 개혁안이 최종 승인되었다.[55] 새로운 제도의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신청 주체 변경: 기존에는 개인이나 단체도 신청할 수 있었으나, 개혁 이후 정부만이 신청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39][37]
2. 투명성 강화 및 이의제기 절차 도입: 특정 국가가 기록유산을 신청하면 그 내용이 공개되며, 다른 국가가 이의가 있을 경우 90일 이내에 이의를 제기할 수 있다.
3. 당사국 간 대화 및 합의: 이의가 제기되면 유네스코 사무국이 중재자 역할을 하며 당사국 간의 대화를 촉진한다. 최종 등재는 관련 당사국 간의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가능하다.
4. 최종 결정권 변경: 기존에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최종 결정권을 가졌으나[43], 개혁 이후 유네스코 대사 등으로 구성된 '세계의 기억 집행 위원회'가 최종 선정 여부를 결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제도 개혁 결정에 따라, 2017년 이후 중단되었던 신규 신청 접수가 2021년 내에 재개되었으며, 2022-23년도 등재 심사부터 새로운 절차가 적용되었다.[55]
4.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
대한민국은 1997년 훈민정음 해례본과 조선왕조실록을 시작으로, 2023년 기준으로 총 18건의 기록유산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하였다.[115] 이는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많은 수치이며, 세계적으로도 상위권에 해당한다.[80]
아래는 대한민국이 등재한 세계기록유산 목록이다.
유산명 | 등재 연도 | 주요 소장처 | 참고사항 |
---|---|---|---|
훈민정음 (해례본) | 1997 | 간송미술관 | 한글 창제의 원리와 용법을 설명한 책. |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 1997 | 규장각, 국가기록원 |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472년간의 역사를 기록. 정족산본, 태백산본, 오대산본 등이 있음. |
승정원일기 (承政院日記) | 2001 | 규장각 | 조선 시대 왕의 비서실 격인 승정원에서 매일 처리한 문서와 사건을 기록. 세계 최대 규모의 연속 기록물. |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 2001 | 프랑스 국립도서관 | 현존하는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 인쇄본 (1377년 인쇄).[82][83] 청주시 흥덕사에서 간행됨. |
조선왕조 의궤 (儀軌) | 2007 | 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조선 왕실의 주요 행사와 의례를 글과 그림으로 기록한 보고서. |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高麗大藏經板 및 諸經板) | 2007 | 해인사 | 몽골 침입 시기 국난 극복을 위해 제작된 불교 경전 목판. |
동의보감 (東醫寶鑑) | 2009 |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등 | 허준이 편찬한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의학 서적. 의학 관련 문헌으로는 세계 최초 등재.[84][85] |
일성록 (日省錄) | 2011 | 규장각 | 조선 후기 정조 때부터 시작된 국왕의 일기 형식의 연대기. |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 2011 |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육군본부, 5·18기념재단, 국회도서관, 미국 국무성 등 | 1980년 5월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관련 기록. 군사법기관 재판자료, 김대중 내란음모 사건 자료, 시민 성명서/선언문/일기, 사진/필름, 시민 증언, 병원 치료기록, 국회 진상규명 회의록, 국가 보상자료, 미국 비밀 해제 문서 등 포함. 인권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 |
난중일기: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陣中日記) | 2013 | 현충사 | 임진왜란 당시 이순신 장군이 직접 기록한 진중 일기. |
새마을운동 기록물 | 2013 | 국가기록원, 새마을운동중앙회 | 1970년대 농촌 개발 운동 관련 기록. |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 2015 | KBS | 1983년 한국전쟁으로 헤어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생방송 기록물. 분단의 아픔과 재회의 감동을 담음.[86] |
한국의 유교책판 (儒敎冊版) | 2015 | 한국국학진흥원 | 조선 시대 유학자들의 문집 등을 간행하기 위해 제작된 목판. |
조선통신사 기록물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 2017 |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등 다수 기관 | 조선 시대 일본에 파견된 외교 사절단 관련 기록. 한일 양국의 공동 신청으로 등재되었으며, 양국 간 평화와 문화 교류의 역사를 보여줌.[46] |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 2017 | 국립고궁박물관 | 조선 왕실의 권위와 정통성을 상징하는 의례용 도장(어보)과 책봉 문서(어책). |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 2017 | 한국금융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독립기념관 등 다수 기관 | 1907년 일본에 진 빚을 갚기 위해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벌인 모금 운동 관련 기록. |
4·19 혁명 기록물 | 2023 | 1960년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항거한 민주주의 혁명 관련 기록. | |
동학 농민 혁명 기록물 | 2023 | 1894년 봉건 체제 개혁과 외세 배척을 주장하며 일어난 농민 운동 관련 기록. |
5. 국제자문위원회(IAC) 회의
국제자문위원회(IAC)는 세계기록유산 등재 후보를 심의하고 최종 결정을 내리기 위해 격년(홀수 해)으로 정기 회의를 개최한다.[1][3] 1993년 폴란드 푸워투스크에서 첫 회의가 열린 이후 여러 국가에서 회의가 개최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2001년 청주와 2013년 광주에서 회의가 열렸다.
아래는 역대 국제자문위원회(IAC) 회의 개최 현황이다.
IAC 회의 | 날짜 | 개최지 | IAC 의장 | 평가된 후보 수 | 등재 기록 수 | 참고 자료 |
---|---|---|---|---|---|---|
1차 | 1993년 9월 12–14일 | 푸워투스크, 폴란드 | 장피에르 발로 (캐나다) | 없음 | 없음 | style="text-align:center;" | |
2차 | 1995년 5월 3–5일 | 파리, 프랑스 | 장피에르 발로 (캐나다) | 없음 | 없음 | style="text-align:center;" | |
3차 | 1997년 9월 29일 – 10월 1일 |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 장피에르 발로 (캐나다) | 69 | 38 | style="text-align:center;" | |
사무국 회의 | 1998년 9월 4–5일 | 런던, 영국 | 장피에르 발로 (캐나다) | 없음 | 없음 | style="text-align:center;" | |
4차 | 1999년 6월 10–12일 | 빈, 오스트리아 | 벤딕 루가스 (노르웨이) | 20 | 9 | style="text-align:center;" | |
5차 | 2001년 6월 27–29일 | 청주, 대한민국 | 벤딕 루가스 (노르웨이) | 42 | 21 | style="text-align:center;" | |
6차 | 2003년 8월 28–30일 | 그단스크, 폴란드 | 예카테리나 제니예바 (러시아) | 41 | 23 | style="text-align:center;" | |
7차 | 2005년 6월 13–18일 | 리장, 중국 | 디애나 B. 마컴 (미국) | 53 | 29 | style="text-align:center;" | |
8차 | 2007년 6월 1–15일 | 프리토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알리산드라 커민스 (바베이도스) | 53 | 38 | style="text-align:center;" | |
9차 | 2009년 7월 27–31일 | 브리지타운, 바베이도스 | 로즐린 러셀 (오스트레일리아) | 55 | 35 | style="text-align:center;" | |
10차 | 2011년 5월 22–25일 | 맨체스터, 영국 | 로즐린 러셀 (오스트레일리아) | 84 | 45 | style="text-align:center;" | |
11차 | 2013년 6월 18–21일 | 광주, 대한민국 | 헬레나 R 아사모아-하산 (가나) | 84 | 56 | style="text-align:center;" | |
12차 | 2015년 10월 4–6일 | 아부다비, 아랍에미리트 | 압둘라 엘 레예스 (아랍에미리트) | 86 | 44 | style="text-align:center;" | |
13차 | 2017년 10월 24–27일 | 파리, 프랑스 | 압둘라 엘 레예스 (아랍에미리트) | 132 | 78 | style="text-align:center;" | |
14차 | 2023년 3월 8–10일, 4월 11일 | 파리, 프랑스 + 온라인 | 88 | 64 | style="text-align:center;" | |
심사가 비공개로 진행되는 점, 특히 국가 간 이견이 있는 기록유산에 대한 심의가 투명하지 않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이는 유네스코의 중립성 훼손 및 정치적 이용에 대한 우려로 이어졌으며[47], 유네스코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일부 인정하였다[48]. 2016년, 일본 정부는 특정 기록유산 등재에 반발하며 유네스코 분담금 약 44억엔의 지급을 보류하고 제도 개혁을 요구하기도 했다[49].
제도 개혁 논의는 2018년 유네스코 집행위원회에서 시작되었으나[50], 관련국 간의 이견으로 인해 지연되었으며, 특히 대한민국 등의 반대로 합의 도출에 어려움을 겪었다[51]. 이로 인해 2019년과 2020년에는 신규 등재 신청 접수가 중단되었고[52],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협의가 추가로 연기되기도 했다[53].
2021년 4월, 온라인으로 개최된 유네스코 집행위원회에서 제도 개혁안이 승인되었다. 새로운 제도는 신청 내용 공개, 이의가 있는 다른 국가의 이의 제기 절차(90일 이내) 마련, 유네스코 사무국의 중재 하에 당사국 간 대화 촉진, 그리고 최종적으로 당사국 간 합의가 이루어진 경우에만 등재를 결정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한다[55]. 이 결정에 따라 중단되었던 신규 신청 접수가 2021년 내 재개되어 2022-23년도 등재 심사가 진행되었다.
6. 지역 및 국가별 등재 현황
2018년 12월 기준으로, 총 432건의 기록유산이 세계기록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12] 지역별로는 유럽 및 북미 지역이 274건으로 가장 많고, 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이 116건으로 그 뒤를 잇는다.[12]
다음은 유네스코의 지역 구분에 따른 등재 현황이다. 유네스코의 지역 구분은 일반적인 지리적 구분과 다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터키는 유럽에 포함되고, 이집트, 모로코, 사우디 아라비아 등은 아시아나 아프리카가 아닌 아랍 국가로 분류되며, 오세아니아는 아시아와 같은 지역으로 묶인다.
국가별 등재 건수 상위 10개국은 다음과 같다 (2018년 기준).[12] 대한민국은 폴란드와 함께 공동 5위를 기록하고 있다.
지역별 주요 현황
- 유럽 및 북미: 총 274건으로 가장 많은 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다.[12] 독일(30건), 영국(24건), 네덜란드(21건), 프랑스(20건), 폴란드(18건) 등이 많은 유산을 등재했다. 대표적인 유산으로는 그림 형제의 그림 동화(2005년), 마그나 카르타(영국, 2009년), 안네의 안네의 일기(2009년), 구텐베르크 성서(2001년), 베토벤 교향곡 9번 자필 악보(2001년),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 및 자본론 초판(2013년) 등이 있다.[61][62]
- 아시아 및 태평양: 총 116건이 등재되어 유럽 및 북미 다음으로 많다.[12] 특히 '''대한민국'''은 18건을 등재하여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가장 많은 기록유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적으로도 5위에 해당한다. 한국의 주요 등재 유산으로는 1997년에 처음 등재된 『조선왕조실록』과 『훈민정음』(해례본)을 시작으로, 세계 최대의 연속 기록물인 『승정원일기』(2001년),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본으로 공인된 『직지심체요절』(2007년, 프랑스 국립도서관 소장), 의학서적인 『동의보감』(2009년), KBS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2015년) 등이 있다.[81][86] 중국은 황제내경, 청대 기록물, 난징 대학살 기록물(2015년), 갑골문(2017년) 등을 포함하여 15건을 등재했다. 일본은 야마모토 사쿠베의 탄광 기록화(2011년), 미도 간파쿠기 및 게이초 견 유럽 사절단 관련 자료(2013년), 마이즈루항의 시베리아 억류 귀환 기록(2015년), 조선 통신사 기록물(2017년, 한국과 공동 등재) 등 7건(2018년 기준[80])을 등재했다. 인도는 『리그베다』 등을 포함하여 9건(2018년 기준[80])을 등재했다.
-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총 93건이 등재되었다.[92] 멕시코(13건), 브라질(10건), 바베이도스(6건), 트리니다드 토바고(6건) 등이 비교적 많은 유산을 보유하고 있다.[92]
- 아프리카: 총 24건이 등재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5건) 등이 포함된다.[91]
세계기록유산 등재는 1997년에 처음 시작되었으며[3][7], 이후 꾸준히 증가하여 2009년에는 193건[61], 2018년에는 432건[12]에 이르렀다.
6. 1. 지역 위원회 및 지역판
유네스코 본부와 국제자문위원회가 주관하는 세계적인 세계기록유산 외에도, 지역적 중요성을 고려한 지역판 및 각국이 선정하는 국내판 기록유산이 존재한다.지역 위원회는 유네스코 지역 사무국과 지역위원회가 운영하며, 현재 아시아 태평양, 아프리카,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3개 지역을 대상으로 활동한다. 지역판 기록유산의 선정 기준은 세계판과 유사하지만, 해당 지역에서의 중요성이 더 강조된다.[37][94]
아시아 태평양 지역판의 경우, 일본의 전국수평사 자료가 일본 최초로 등재되었으며[95], 이와 연관된 조선형평사의 자료 역시 한국의 신청(일본과 공동)으로 함께 등재되었다[96]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반면, 싱가포르는 세계판 등재에 실패했던 '일본 점령하의 증언집'을 중국의 지원을 받아 지역판에 다시 신청했으나, 이 역시 선정되지 못했다[97]는 사례도 있다.
라틴 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에서는 2023년, 아르헨티나의 "ESMA에 관한 재판의 시청각 기록(Audiovisual record of trials for crimes against humanity - Argentina 2006-2023)"이 지역판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ESMA '기억의 장소' 박물관"과 상호 보완적인 의미를 지닌다[99]고 평가된다.
한편, 각국의 유네스코 국내위원회가 선정하는 국내판 기록유산도 있다. 예를 들어 베트남은 '베트남 독립 선언'을 국내판 기록유산으로 선정한 바 있다. 일본 유네스코 국내위원회는 2010년 관련 창구를 마련했으나 아직 선정된 사례는 없다. 2018년에는 국내 후보 공모에 이노 다다타카 관련 자료, 화가 가노 다츠오 관련 기록, 마쓰카와 사건 자료 등 3건이 신청되었으나, 위원회는 "세계적 중요성, 유일성·대체 불가능성 등의 선정 기준에 비추어 추천할 만한 대상이 없다"고 판단하여 추천을 보류했다[98].
7. 직지상
직지상(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eng)은 세계기록유산 사업의 목적을 더욱 증진하고, 2001년 대한민국의 《직지》가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것을 기념하기 위해 2004년 대한민국 정부와 협력하여 제정되었다.[16][25][109][110] 이 상은 기록 유산의 보존과 접근성에 기여한 기관을 표창하며, 대한민국 정부가 제공하는 3만달러의 상금을 포함한다.[5]
이 상은 2005년부터 2년마다 국제자문위원회(IAC) 회의 기간에 수여된다.[5][111] 역대 수상 기관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수상 기관 | 소재지 |
---|---|---|
2005 | 체코 국립 도서관 | 프라하, 체코[5][16] |
2007 | 오스트리아 과학 아카데미 음성 기록 보관소 | 빈, 오스트리아 |
2009 | 말레이시아 국립 문서 보관소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26] |
2011 | 호주 국립 문서 보관소 | 캔버라, 호주[27] |
2013 | Apoyo al Desarrollo de Archivos y Bibliotecas (ADABI) | 멕시코 시티, 멕시코 |
2016 | 이베로아메리카 기록 보관소 개발 프로그램 (Iberarchivos) | - |
2018 | SAVAMA-DCI | 말리 |
2020 | 뚜올 슬렝 대량 학살 박물관 | 프놈펜, 캄보디아[28] |
2022 | 카이로 아메리카 대학교 도서관 및 학습 기술, 희귀 도서 및 특별 컬렉션 도서관 | 카이로, 이집트[29] |
2024 | 인도네시아 국립 도서관 | 자카르타, 인도네시아[30] |
참조
[1]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The Asia-Pacific Strategy
https://en.unesco.or[...]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17-08-01
[2]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https://en.unesco.or[...]
2017-08-10
[3]
웹사이트
Twenty-three new inscriptions on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of Documentary Collections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9-09-06
[4]
웹사이트
General Guidelines of the Memory of the World (MoW) Programme
https://en.unesco.or[...]
UNESCO
2022-05-26
[5]
웹사이트
Twenty-nine new documentary collections inscribed on the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9-09-06
[6]
웹사이트
Thirty-eight new inscriptions for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9-09-06
[7]
웹사이트
Third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8]
웹사이트
Four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9]
웹사이트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12-09
[10]
웹사이트
Original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Man and of the Citizen (1789–1791)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7
[11]
웹사이트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en.unesco.or[...]
2021-05-03
[12]
웹사이트
Statistics OF Memory of the World
https://en.unesco.or[...]
UNESCO
2020-11-14
[13]
논문
Heritage and Diplomacy: A Cultural Approach to UNESCO's Document Registry Program in East Asia
https://www.academia[...]
2022-05-26
[14]
웹사이트
Fif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15]
웹사이트
Six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16]
웹사이트
Seven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17]
웹사이트
Eigh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of th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18]
웹사이트
Thirty-eight new inscriptions for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portal.unesco[...]
UNESCO Press
2009-09-06
[19]
웹사이트
2009 Nominations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6
[20]
웹사이트
10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Manchester, United Kingdom, 22–25 May 2011 Report
http://www.unesco.or[...]
UNESCO
2012-01-10
[21]
웹사이트
55 new inscriptions on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www.unesco.or[...]
UNESCO
2013-08-05
[22]
웹사이트
12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http://www.unesco.or[...]
UNESCO
2016-04-29
[23]
웹사이트
13th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
https://en.unesco.or[...]
UNESCO
2018-07-12
[24]
웹사이트
Nominations of new items of documentary heritage to be inscribed on the Memory of the World international register: list of nominations
https://unesdoc.unes[...]
2023-05-18
[25]
웹사이트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http://portal.unesco[...]
2022-05-26
[26]
웹사이트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2009 Prize awarded to National Archives of Malaysia
http://portal.unesco[...]
UNESCO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
2009-09-07
[27]
웹사이트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to receive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http://portal.unesco[...]
UNESCO News Service
2012-01-10
[28]
웹사이트
UNESCO / 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2020 awarded to the Tuol Sleng Genocide Museum (Cambodia)
https://en.unesco.or[...]
2022-05-26
[29]
웹사이트
Th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to receive 2022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https://www.unesco.o[...]
2023-01-09
[30]
웹사이트
The National Library of Indonesia to receive 2024 UNESCO-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https://www.unesco.o[...]
2024-11-18
[31]
뉴스
筑豊の炭鉱画、国内初の「記憶遺産」に 山本作兵衛作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24-07-24
[32]
보도자료
国際関係 > 日本ユネスコ国内委員会 > ユネスコの活動(文化、情報・コミュニケーション) > 「世界の記憶」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3-06-04
[33]
뉴스
「記憶遺産」改め「世界の記憶」、外務省が日本語名称変更
http://www.yomiuri.c[...]
読売新聞
2022-04-21
[34]
뉴스
記憶遺産「世界の記憶」に 文科省が表記変更
http://www.sankei.co[...]
2016-06-20
[35]
웹사이트
Last Letters From The Holocaust: 1943:I Left Everyone At Home
http://www.yadvashem[...]
2020-10-16
[36]
보도자료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MoW): Preservation of documentary heritage
http://www.unesco.or[...]
UNESCO
2020-10-16
[37]
문서
ユネスコ記憶遺産 登録の手引(仮訳)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38]
웹사이트
ユネスコ記憶遺産推薦から登録までの工程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14-03-03
[39]
서적
General Guidelines to Safeguard Documentary Heritage(記録遺産保護のためのガイドライン)
http://unesdoc.unesc[...]
UNESCO
2018-04-06
[40]
웹사이트
ユネスコ公共図書館宣言 1994年
https://www.jla.or.j[...]
일본도서관협회
2015-04-14
[41]
인용문
[42]
학술지
ユネスコ『世界の記憶』プログラム・アンケート結果報告-日本国内の図書館における資料保存活動
http://warp.da.ndl.g[...]
국립국회도서관
1997-04
[43]
뉴스
UNESCO Director Rejects Palestine Entry to 'Memory of the World' Program
http://www.jewishpre[...]
The Jewish Press
2015-02-04
[44]
PDF
Japanese Occupation of Singapore Oral History Collection (Singapore)
http://www.unesco.or[...]
UNESCO
[45]
PDF
可動文化財の保護のための勧告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46]
웹사이트
朝鮮通信使シンポジウムのご案内
http://enchiren.exbl[...]
NPO法人 朝鮮通信使縁地連絡協議会
2015-05-21
[47]
뉴스
世界記憶遺産 選定には公開の議論を
http://www.tokyo-np.[...]
중일신문사
2015-10-16
[48]
뉴스
記憶遺産 透明性の欠如認める
http://news.yahoo.co[...]
2015-11-06
[49]
뉴스
ユネスコ記憶遺産の制度改革「進展している」 : 外務省
http://www.asahi.com[...]
2016-04-29
[50]
뉴스
ユネスコ、「世界の記憶」制度改正へ行動計画案発表 7月に改正案作成へ
https://www.sankei.c[...]
2018-03-31
[51]
뉴스
「世界の記憶」改革を延期 日韓が対立、来年秋まで
https://headlines.ya[...]
Yahoo!ニュース
2019-10-18
[52]
뉴스
ユネスコ「世界の記憶」年内改革を断念 韓国反対、作業部会で結論出ず
https://search.yahoo[...]
Yahoo!ニュース
2019-09-22
[53]
뉴스
【独自】ユネスコ、「世界の記憶」改革延期へ…コロナで年内断念
https://www.yomiuri.[...]
2020-07-24
[54]
뉴스
秦郁彦『読売新聞』2017年11月29日
요미우리신문
2017-11-29
[55]
뉴스
日本政府が主導、ユネスコ「世界の記憶」審査改革案を承認…慰安婦など政治利用防ぐ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1-04-16
[56]
뉴스
「世界の記憶」候補2件決定 増上寺の仏教聖典など—政府
https://www.jiji.com[...]
2021-11-10
[57]
뉴스
南京登録は日本外交の "敗北" : 松浦前ユネスコ事務局長「部分的に取り消す手順ある」
https://www.sankei.c[...]
2015-10-16
[58]
웹사이트
「智証大師円珍関係文書典籍ー日本・中国の文化交流史ー」のユネスコ「世界の記憶」登録決定について
https://www.mext.go.[...]
文部科学省
2023-06-04
[59]
서적
MOW統計2018年版
[60]
보도자료
Europe and North America
http://www.unesco.or[...]
UNESCO
[61]
뉴스
「アンネの日記」、ユネスコが世界記憶遺産に登録
https://www.afpbb.co[...]
2009-07-31
[62]
웹사이트
Schriften von Karl Marx: "Das Manifest der Kommunistischen Partei"(1848) und "Das Kapital", ernster Band(1867) [カール・マルクスの著作:『共産党宣言』(1848年)および『資本論』重編(1867年)]
http://www.unesco.de[...]
[63]
웹사이트
http://www.unesco.or[...]
UNESCO
[64]
웹사이트
Central Asia: The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mow.unesco.kz[...]
[https://web.archive.org/web/20190914021458/mailto:almaty@unesco.org UNESCO Almaty Cluster Office]
2024-07-25
[65]
웹사이트
CENTRAL ASIAN SUB-REGIONAL NOMINATION FORM : PART A - ESSENTIAL INFORMATION {{!}} PART B - SUBSIDIARY INFORMATION {{!}} PART C - LODGEMENT
http://www.mow.unesc[...]
2004-08-12
[66]
뉴스
山本作兵衛の炭鉱画「ユネスコ記憶遺産に」
http://kyushu.yomiur[...]
요미우리신문사
2010-04-08
[67]
뉴스
筑豊の炭鉱画、国内初の「記憶遺産」に 山本作兵衛作
http://www.asahi.com[...]
아사히신문사
2011-05-25
[68]
뉴스
ユネスコ「記憶遺産」日本も推薦へ…鳥獣戯画など
http://www.yomiuri.c[...]
요미우리신문사
2010-03-03
[69]
뉴스
御堂関白記など、ユネスコ記憶遺産に推薦
http://www.yomiuri.c[...]
2011-05-11
[70]
뉴스
藤原道長の自筆日記などユネスコ「記憶遺産」に推薦へ 文科省
http://www.nikkei.co[...]
2011-05-11
[71]
뉴스
世界記憶遺産に御堂関白記と慶長遣欧使節資料
http://headlines.yah[...]
Yahoo Japan
2011-06-19
[72]
뉴스
記憶遺産候補に「東寺百合文書」「舞鶴引き揚げ記録」
http://www.asahi.com[...]
朝日新聞社
2014-06-12
[73]
보도자료
「ユネスコ記憶遺産事業」の平成26年の審査に付する案件の選定について—第128回文化活動小委員会の審議結果
http://www.mext.go.j[...]
文部科学省
2014-06-12
[74]
뉴스
シベリア抑留が世界記憶遺産登録 ユネスコ決定、東寺文書も
https://web.archive.[...]
2015-10-10
[75]
뉴스
朝鮮通信使を記憶遺産に 16年に日韓で共同申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社
2018-03-04
[76]
서적
朝鮮通信使 : 日韓の平和構築と文化交流の歴史 : ユネスコ「世界の記憶」登録記念特別展
下関市立歴史博物館
[77]
문서
上野三碑 : ユネスコ「世界の記憶」(国際登録)申請書
[78]
뉴스
世界記憶遺産に「朝鮮通信使」
https://www.nikkei.c[...]
2018-03-04
[79]
보도자료
ユネスコ「世界の記憶」(2022-2023登録サイクル)への登録申請案件の決定
https://www.mofa.go.[...]
外務省
2022-03-24
[80]
문서
MOW統計2018年版
[81]
뉴스
제556돌 한글날 기념식
http://www.hani.co.k[...]
2002-10-09
[82]
문서
(3)白雲和尚抄録『佛祖直指心體要節』
[83]
문서
朝鮮金属活字文化の誕生展 : 韓国清州古印刷博物館姉妹提携10周年記念
凸版印刷印刷博物館
[84]
학술지
鍼灸領域における国内外の標準化の現況
公益社団法人 全日本鍼灸学会
[85]
서적
KBS東医宝鑑 : 世界で初めて医学書分野で世界記録遺産に登載韓国発の医学文化遺産が世界に羽ばたくとき
産学社
[86]
서적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 유네스코 지정
https://ndlsearch.nd[...]
글누림출판사
2015-01
[87]
뉴스
慰安婦資料、世界遺産へ国際委=韓国
時事通信
2015-05-07
[88]
웹사이트
世界遺産登録を目指す韓国「慰安婦関連記録物」“着せ替え" 慰安婦ブロンズ像の神格化が進行中!?
http://news.livedoor[...]
サイゾー
2015-05-23
[89]
뉴스
南京大虐殺、世界記憶遺産に登録 ユネスコが発表
https://web.archive.[...]
2015-10-10
[90]
웹사이트
甲骨文字がユネスコ世界遺産に登録
http://j.people.com.[...]
2017-11-25
[91]
문서
MOW統計2018年版
[92]
문서
MOW統計2018年版
[93]
웹사이트
Registered Heritage
http://www.unesco.or[...]
UNESCO
[94]
웹사이트
Memory of the World Committee for Asia and the Pacific
http://www.mowcap.or[...]
UNESCO
[95]
학술지
「めざす会」の解散と新たな登録運動 : 第二次「全国水平社創立宣言と関係資料」のユネスコ世界記憶遺産登録運動の総括と今後の方向
解放出版社
2016-12
[96]
뉴스
水平社と朝鮮・衡平社の交流、記憶遺産地域版に登録
https://www.nikkei.c[...]
2016-05-25
[97]
뉴스
「華僑虐殺」を記憶遺産アジア太平洋地域版に申請 大戦中の旧日本軍 投票で不登録
https://www.sankei.c[...]
2016-05-24
[98]
뉴스
国内候補の推薦せず=18年登録「世界の記憶」地域版
https://headlines.ya[...]
Yahoo!ニュース
2017-07-28
[99]
웹사이트
23 new registrations in the Memory of the World for Latin America and the Caribbean
https://www.unesco.o[...]
UNESCO
2023-11-29
[100]
뉴스
韓国、ユネスコ新組織誘致 世界記憶遺産を管轄
http://www.tokyo-np.[...]
2017-11-07
[101]
웹사이트
Mobilizing the documentary heritage community amid the COVID-19 pandemic
https://en.unesco.or[...]
UNESCO
[102]
보도자료
Stressing Civil Society Groups are Catalysts for Peace, Secretary-General Congratulates 2022 Nobel Peace Prize Winners, Urging Support for Brave Defenders of Democracy
https://press.un.org[...]
UN Press
[103]
Youtube
台湾 ユネスコから門前払い―世界で最もそろっている甲骨文字がなぜ?
https://www.youtube.[...]
[104]
뉴스
歴代宝案 記憶遺産目指す 台湾政府 大学所蔵写本を登録
https://news.yahoo.c[...]
Yahoo!ニュース
2022-12-03
[105]
문서
歴代宝案
[106]
서적
歴代宝案(写)1
2011
[107]
서적
歴代宝案(写)2
2011
[108]
보도자료
World Day for Audiovisual Heritage
http://www.unesco.or[...]
UNESCO
2015-10-17
[109]
서적
韓国の文化遺産巡礼
クオン
2018-08
[110]
서적
韓国の栄光世界の栄光 UNESCO韓国の世界遺産(DVD)
国政広報所海外広報院
[111]
보도자료
Jikji Memory of the World Prize
http://portal.unesco[...]
UNESCO
2020-10-16
[112]
학술지
清州古印刷博物館/駐大阪韓国文化院 「韓国の古印刷文化」
https://cir.nii.ac.j[...]
ANC社
2019-04
[113]
웹인용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등재기준
http://www.cha.go.kr[...]
문화재청 사이트
[114]
웹인용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등재 절차
http://www.cha.go.kr[...]
문화재청 사이트
[115]
웹인용
[2보] 4·19혁명·동학농민혁명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https://www.yna.co.k[...]
2023-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