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태국 관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태국 관계는 1981년 사증 면제 각서 교환을 통해 외교 관계가 수립되었다. 양국은 대사관을 상호 개설하고,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특히, 2015년 이후 한국 대중문화, 즉 한류의 영향으로 케이팝과 드라마가 태국에서 인기를 얻으면서 문화 교류가 더욱 활발해졌다. 그러나, 한국 내 태국인 불법 체류자 증가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양국 관계 - 베트남-태국 관계
베트남-태국 관계는 17세기부터 시작되어 영토 확장 충돌과 왕조 성립 지원 등의 복잡한 역사를 거쳤으나, 20세기 후반 ASEAN 가입과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통해 경제 협력을 강화하며 관계를 개선하고, 현재는 주요 무역 파트너이자 관광 교류가 활발한 관계이다. - 대한민국-태국 관계 - 주한 태국 대사관
주한 태국 대사관은 대한민국과 태국 간의 외교 관계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1958년 국교 수립 후 1961년 서울에 개관하여 현재 이태원동에 위치하고 있다. - 대한민국-태국 관계 -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은 1958년 한-태국 외교 관계 수립 후 1960년 대사관으로 승격되어 태국 방콕에서 정무, 경제, 영사, 문화홍보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대한민국 외교공관이며, 현재의 청사는 김중업이 설계한 한국 건축 양식의 건물로 티암루암밋 로드에 위치한다. - 항공 정보 - 한미 관계
한미 관계는 1882년 수교 이후 정치, 경제, 안보 등 다방면에서 협력과 경쟁을 거듭하며 발전해왔으나, 불평등 조약, 무력 충돌, 주한미군 문제, 경제적 이권 다툼, 북핵 문제 등으로 갈등과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 항공 정보 - 버진 사모아
버진 사모아는 버진 오스트레일리아 홀딩스와 사모아 정부의 합작으로 설립되어 피지, 사모아 등 섬들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항했으나, 사모아 정부의 투자 철수로 2017년 운항을 중단했다.
대한민국-태국 관계 | |
---|---|
대한민국-태국 관계 | |
지도 | |
![]() | |
외교 공관 | |
대한민국 | 주태국 대한민국 대사관 |
태국 | 주한 태국 대사관 |
주요 인물 | |
대한민국 대사 | 노광일 |
태국 대사 | 싱텅 랍피셋판 |
역사 | |
공식 관계 수립 | 1949년 10월 21일 |
개요 | |
관계 | 대한민국과 태국의 관계 |
50주년 | 양국 수교 50주년 기념 |
교류 | 태국은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음 |
경제 | |
협정 | 대한민국과 태국 간 무역 패널 합의 |
2. 정무
1981년 11월 9일, 대한민국 노신영 외무부장관과 태국 싯 사웨실라(สิทธิ เศวตศิลา|싯 사웨실라th) 외무장관은 사증면제에 관한 각서를 교환하였다. 이로써 태국은 한국과 사증면제협정을 체결한 28번째 국가가 되었다.[7]
2. 1. 외교 관계
1981년 11월 9일 오전 10시, 대한민국의 노신영 외무부장관과 태국의 싯 사웨실라(สิทธิ เศวตศิลา|싯 사웨실라th) 외무장관이 사증면제에 관한 각서를 교환했다. 이로써 태국은 한국과 사증면제협정을 체결한 28번째 국가가 되었다.[7]
2. 2. 역대 외교관 명단


2. 2. 1. 역대 주 타이 왕국 대한민국 대사 명단
대수 | 이름 | 임기 | 비고 |
---|---|---|---|
제1대 | 유재흥 | 1960. 8 ~ 1963. 8 | 전(前) 합참의장. 주 스웨덴 대사로 영전. |
제2대 | 이동원 | 1963.12 ~ 1964. 7[9] | 전(前) 대통령 비서실장. 외무부장관으로 영전. |
제3대 | 장성환 | 1964.11 ~ 1967.10 | |
제4대 | 한표욱 | 1968. 4 ~ 1971. 3 | |
제5대 | 임윤영 | 1971. 3 ~ 1974. 4 | |
제6대 | 천병규 | 1974. 4 ~ 1976. 5 | |
제7대 | 박근 | 1976. 5 ~ 1979. 8 | |
제8대 | 김인권 | 1979. 8 ~ 1980.11 | |
제9대 | 권태웅 | 1980.12 ~ 1984.11 | |
제10대 | 김좌수 | 1984.11 ~ 1988.12 | |
제11대 | 정주년 | 1989. 2 ~ 1992. 7 | |
제12대 | 한택채 | 1992. 8 ~ 1993.10 | |
제13대 | 정태동 | 1994. 2 ~ 1997. 2 | |
제14대 | 김내성 | 1997. 2 ~ 1999. 2 | |
제15대 | 김국진 | 1999. 2 ~ 2002. 2 | |
제16대 | 최혁 | 2002. 2 ~ 2004. 1 | |
제17대 | 윤지준 | 2004. 1 ~ 2006. 2 | |
제18대 | 한태규 | 2006. 2 ~ 2008. 9 | |
제19대 | 정해문 | 2008. 10 ~ 2011. 8 | |
제20대 | 임재홍 | 2011. 9 ~ 2012. 9 | |
제21대 | 전재만 | 2012. 10 ~ 2015. 10 | |
제22대 | 노광일 | 2015. 11 ~ |
2. 2. 2. 역대 주 대한민국 타이 왕국 대사 명단
대한민국과 태국은 활발한 항공 교통을 맺고 있다. 서울(인천)과 부산(김해)에서 태국의 여러 도시로 가는 항공편이 운항되고 있다.
3. 교통
3. 1. 항공 교통
IATA공항
ICAO거점 공항
이름항공사 및 상대국 취항지 서울/인천 ICN RKSI 인천 부산/김해 PUS RKPK 김해 * 대한항공(1개) : 방콕[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