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동력자원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동력자원부는 1977년 12월 16일 정부조직법 개정에 따라 설치되었으며, 1993년 3월 6일 상공부와 통합되어 상공자원부로 개편되었다. 주요 업무는 동력 및 자원 관련 정책 수립 및 집행이었다. 주요 조직으로는 감사관, 기획관리실, 자원개발국 등이 있었으며, 역대 장관으로는 장예준, 최창락 등이, 차관으로는 유각종, 최동규 등이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3년 폐지 - 하나회
 하나회는 1951년 육군사관학교 출신 전두환, 노태우 등이 결성한 군내 사조직으로, 12·12 군사 반란과 5·18 광주 민주화 운동에 관여했으며, 1993년 김영삼 정부에 의해 해체되었다.
- 1993년 폐지 - 심곡본동
 심곡본동은 경기도 부천시에 위치한 행정동으로, ‘깊은 구지’라는 옛 지명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심곡1동에서 분동되어 부천역을 중심으로 발달된 교통망을 갖추고 2010년 기준 41,107명의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 1977년 설립 - 호원대학교
 호원대학교는 1977년 군산공업전문학교로 설립되어 여러 대학을 거쳐 1998년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4개의 단과대학과 학부 과정을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사립 대학교이다.
- 1977년 설립 - 미국 에너지부
 미국 에너지부는 1973년 석유 파동 이후 에너지 안보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에너지 연구 개발, 핵무기 관리, 에너지 정책 수립 및 시행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미국 연방 정부 부처이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재정경제부
 대한민국 재정경제부는 1998년 재정경제원을 개편하여 신설된 중앙행정기관으로, 부총리급 장관이 대한민국 경제 정책을 총괄했으며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을 산하 외청으로 두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중앙행정기관 - 대한민국 내무부
 대한민국 내무부는 1948년 설치되어 치안, 소방, 지방 행정, 재해 예방 등 국가 기본 질서 유지와 국민 생활에 필수적인 업무를 담당했으나 1998년 행정자치부 신설로 폐지되었다.
| 대한민국 동력자원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대한민국 동력자원부의 설치 근거는 1977년 12월 16일 일부 개정된 정부조직법 (법률 제3011호) 제29조 및 제37조의2이다.[1] 동력자원부 직제(대통령령 제8771호, 1977.12.16 제정) 제1조에도 설치 근거를 두고 있다.[2] 
3. 연혁
4. 조직
대한민국 동력자원부는 1978년 1월부터 1993년 3월까지 감사관, 공보관, 광무국, 광산보안사무소, 광업등록사무소, 기획관리실 등 다양한 조직을 운영했다. 이들은 석유, 가스, 에너지 정책, 자원 개발, 전력 등 여러 분야를 담당했으며, 각 조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주요 조직
| 조직명 | 존속 기간 | 
|---|---|
| 감사관 | 1978.01 ~ 1993.03 | 
| 공보관 | 1978.01 ~ 1993.03 | 
| 광무국 | 1981.11 ~ 1993.03 | 
| 광산보안사무소 | 1984.11 ~ 1993.03 | 
| 광산보안출장소 | 1978.01 ~ 1984.11 | 
| 광업등록사무소 | 1978.01 ~ 1993.03 | 
| 기획관리실 | 1978.01 ~ 1993.03 | 
| 기획국 | 1978.01 ~ 1981.11 | 
| 남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12 ~ 1993.03 | 
| 비상계획관 | 1988.05 ~ 1993.03 | 
| 서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12 ~ 1993.03 | 
| 석유가스국 | 1992.08 ~ 1993.03 | 
| 석유국 | 1978.01 ~ 1980.04 | 
| 에너지정책실 | 1992.08 ~ 1993.03 | 
| 영동광산보안사무소 | 1984.12 ~ 1993.03 | 
| 영서광산보안사무소 | 1984.12 ~ 1993.03 | 
| 자원개발국 | 1978.01 ~ 1993.03 | 
| 자원정책실 | 1980.04 ~ 1992.08 | 
| 전기국 | 1977.12 ~ 1981.11 | 
| 전력국 | 1981.11 ~ 1993.03 | 
| 중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12 ~ 1993.03 | 
| 총무과 | 1978.01 ~ 1993.03 | 
4. 2. 소속 기관
| 명칭 | 존속 기간 | 
|---|---|
| 감사관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공보관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광무국 | 1981년 11월 ~ 1993년 3월 | 
| 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1월 ~ 1993년 3월 | 
| 광산보안출장소 | 1978년 1월 ~ 1984년 11월 | 
| 광업등록사무소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기획관리실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기획국 | 1978년 1월 ~ 1981년 11월 | 
| 남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비상계획관 | 1988년 5월 ~ 1993년 3월 | 
| 서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석유가스국 | 1992년 8월 ~ 1993년 3월 | 
| 석유국 | 1978년 1월 ~ 1980년 4월 | 
| 에너지정책실 | 1992년 8월 ~ 1993년 3월 | 
| 영동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영서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자원개발국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자원정책실 | 1980년 4월 ~ 1992년 8월 | 
| 전기국 | 1977년 12월 ~ 1981년 11월 | 
| 전력국 | 1981년 11월 ~ 1993년 3월 | 
| 중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총무과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4. 3. 기타 조직
| 명칭 | 존속 기간 | 
|---|---|
| 감사관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공보관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광무국 | 1981년 11월 ~ 1993년 3월 | 
| 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1월 ~ 1993년 3월 | 
| 광산보안출장소 | 1978년 1월 ~ 1984년 11월 | 
| 광업등록사무소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기획관리실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기획국 | 1978년 1월 ~ 1981년 11월 | 
| 남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비상계획관 | 1988년 5월 ~ 1993년 3월 | 
| 서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석유가스국 | 1992년 8월 ~ 1993년 3월 | 
| 석유국 | 1978년 1월 ~ 1980년 4월 | 
| 에너지정책실 | 1992년 8월 ~ 1993년 3월 | 
| 영동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영서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자원개발국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 자원정책실 | 1980년 4월 ~ 1992년 8월 | 
| 전기국 | 1977년 12월 ~ 1981년 11월 | 
| 전력국 | 1981년 11월 ~ 1993년 3월 | 
| 중부광산보안사무소 | 1984년 12월 ~ 1993년 3월 | 
| 총무과 | 1978년 1월 ~ 1993년 3월 | 
5. 역대 장·차관
(현 전남과 분리)
(현 전남 담양)
(현 경북 구미)
(현 서울)
펜실베이니아대
(현 서울)
펜실베이니아대
(현 경북 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