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제국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제국의 국가는 1901년 고종 황제의 지시로 독일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한 것으로, 1902년 7월 1일 한국 궁정에 헌정되었다. 이 국가는 독일에서 5개 언어로 출판되었고, 고종 황제의 탄신일 행사에서 처음 연주되었으나, 대한제국의 멸망으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했다. 1905년 을사늑약과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으로 인해 대한제국 애국가는 일본 국가인 기미가요로 대체되었지만, 하와이 등 해외 한인 사회에서는 계속 불렸다. 2004년에는 공화정 가사가 재발견되었으며, 이 가사는 대한제국의 멸망 이후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변경된 것으로, 독립, 자유, 부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노래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의 노래 - 본풀이
    본풀이는 제주도 무속 신앙에서 신의 기원에 대한 이야기로, 굿 의례에서 무당이 낭송하며 신을 기쁘게 하는 구비문학의 한 종류이다.
  • 한국의 상징 - 한국어
    한국어는 한국과 북한에서 주로 사용되는 한국어족 언어로,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 또는 한국말, 북한에서는 조선어 또는 조선말이라 불리며, 훈민정음으로 표기되는 독자적인 문자 체계, 교착어적 특징, 유연한 어순, 복잡한 존칭 체계를 가진다.
  • 한국의 상징 - 한글
    한글은 15세기 조선 시대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국의 고유 문자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소리를 나타내는 음소 문자이며,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특징을 인정받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대한제국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대한제국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대한제국의 국가 - [음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대한제국 애국가
원어 제목大韓帝國愛國歌
로마자 표기Daehan Jeguk Aegukga
영어 제목Korean Empire Aegukga (또는 Anthem of the Korean Empire)
의미나라를 사랑하는 뜻으로 온 국민이 부르는 노래
애국가 가사
애국가 가사
국가대한제국
가사 정보
작사가민영환 또는 고종
작사 시기알 수 없음
음악 정보
작곡가프란츠 에케르트
작곡 시기1896년
채택 및 폐지
도입1902년 7월 1일
폐지1910년 8월 29일
계승알 수 없음
음원 정보

2. 역사

대한제국의 국가는 1901년 고종 황제의 위촉으로 프란츠 에케르트가 작곡하여 1902년 7월 1일 대한제국 궁정에 헌정되었다.[2] 이 곡은 독일에서 5개 언어로 출판되었으며, 1902년 9월 9일 고종 황제 탄신일 행사에서 처음 연주되었다.[3]

그러나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면서 "기미가요"가 대한제국의 국가를 대체하게 되었다.

2. 1. 대한제국 애국가의 제정

고종 황제가 1901년에 대한제국 군악대 지휘자였던 독일 작곡가 프란츠 에케르트에게 국가 제정을 위촉하였다.[2] 에케르트가 작곡한 대한제국 국가는 1902년 7월 1일 대한제국 황실에 헌정되었고, 독일에서 한국어, 독일어, 영어, 중국어, 프랑스어 5개 언어로 출판되었다.[2] 1902년 9월 9일 고종 황제 탄신일 행사에서 처음 연주되었다.[3]

2. 2. 대한제국 애국가의 소멸과 계승

1905년 을사늑약으로 대한제국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고, 1910년 한일병합조약으로 일본에 완전히 병합되면서 "기미가요"가 대한제국의 국가를 대체하게 되었다.[2] 그러나 한일병합조약 체결 이전에 하와이로 이주한 한인들은 악보나 멜로디를 기억하여 애국가를 계속 불렀다.

1925년 호놀룰루에 있는 한미클럽에서 애국가 악보를 새로 작성하였다.

2004년 8월 13일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의 큐레이터 이동국에 의해 공화정 가사가 재발견되었다.[5] 현존하는 자료는 호놀룰루-와히아와의 재미 한인 클럽이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1910년 영어로 ''Korean old national hymn'', 한국어로는 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5][3][6] 이 발견은 당시까지 공화정 가사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대한민국에서도 놀라운 일이었다.

3. 가사

대한제국 애국가는 여러 차례 가사가 변경되었다.

대한제국 애국가 가사 변천 과정
가사 종류시기특징
첫 번째 가사1902년프란츠 에케르트 작곡, 황제 찬양
두 번째 가사미상고종 황제 찬양, 첫 번째 가사와 유사
세 번째 가사1905년, 1907년 이후제2차 한일 협약과 제3차 한일 협약 이후, 프란츠 에케르트 작곡, 배달 민족 강조
1925년 한미클럽 악보 가사 (공화정 가사)1925년호놀룰루 한미클럽 작성, 대한제국 멸망 이후 독립, 자유, 부강 염원



공화정 가사는 2004년 8월 13일 서울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의 큐레이터 이동국에 의해 재발견되었다.[5] 현존하는 자료는 호놀룰루-와히아와의 재미 한인 클럽이 보관하고 있던 것으로, 1910년 영어로 ''Korean old national hymn'', 한국어로는 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5][3][6]

이 발견은 당시까지 공화정 가사의 존재를 알지 못했던 대한민국에서도 놀라운 일이었다. 이 사실은 이후 언론에 보도되었으며, 여러 K팝 아티스트들에 의해 불려졌다. 하와이는 일본의 한일 병합 이전 많은 대한제국 국민들이 하와이로 이주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일본 병합 이전의 다양한 유산을 조사하는 데 중요한 곳이 되었다. 최근 사례로는 대한제국 이민 후손이 대한제국에서 발급된 매우 희귀한 100년이 넘은 원본 여권을 하와이를 방문한 노무현 대한민국 대통령에게 기증한 사건이 있었다.

출처에 나타난 사본[7]은 1900년대보다 훨씬 더 새로운 것으로 보이며, 1900년대 원본에서 예상할 수 있는 "대한제국 애국가"() 대신 "한국 국가"()라고 표기하고 있지만, 1940년대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은 1933년 이전의 표기법을 명확히 보여준다.

3. 1. 첫 번째 가사 (1902)

프란츠 에케르트가 1902년에 작곡한 당시의 가사는 다음과 같다.[4]

1902년 가사
한문 표기원문 표기현대 한글 표기


3. 2. 두 번째 가사

고종 황제를 위해 만들어진 초안이다.[4]

두 번째 가사
당시 한국어현대 한국어


3. 3. 세 번째 가사

당시 한국어현대 한국어



이 가사는 제2차 한일 협약과 제3차 한일 협약 이후, 프란츠 에케르트가 1902년에 작곡했다.[1]

3. 4. 1925년 한미클럽 악보 가사 (공화정 가사)

1925년 호놀룰루의 한미클럽에서 새로이 작성한 악보에 실린 공화정 가사는 다음과 같다.[5]

당시 한국어현대 한국어



이 가사는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이후, 독립, 자유, 부강을 염원하는 시대상을 반영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nthem of the Korean Empire http://www.nationala[...]
[2] 웹사이트 대한제국 애국가 악보·군복 등록문화재 https://www.seoul.co[...] 2021-11-30
[3] 웹사이트 최초의 國歌 하와이版 발견 https://m.khan.co.kr[...] 2004-08-13
[4] 웹사이트 KOREA DATABASE AGENCY https://web.archive.[...] 2014-05-24
[5] 웹사이트 Chosun.com 카페 http://cafe.chosun.c[...]
[6] 웹사이트 Blog regarding the KBS-TV broadcast of Korean Empire Anthem http://blog.daum.net[...]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web.archive.[...] 2022-01-13
[8] 뉴스 프란츠 에케르트는 대한제국 애국가의 작곡가인가? —대한제국 애국가에 대한 새로운 고찰 http://www.dbpia.co.[...] 역사피평 2012-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