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여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제국 여권은 대한제국 시기에 발급된 여권으로, 1903년 고종이 수민원을 신설하고 민영환을 총재로 임명하여 이주 노동자에게 집조를 발급하면서 시작되었다. 최초의 영문 여권은 하와이 이민자에게 발급되었으며, 여권에는 소지자의 이름, 주소, 나이, 목적지가 영어, 프랑스어, 한문으로 표기되었다. 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박탈당하기 전까지 발급되었으며, 현재 남아있는 사례는 드물어 국립중앙도서관과 숭실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여권 사용이 강요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에는 상하이 임시정부에서 여행 서류를 발급받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폐지된 여권 - 유고슬라비아 여권
유고슬라비아 여권은 유고슬라비아가 존속했던 왕국,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연방공화국 시대에 사용된 다양한 형태의 여권을 말한다. - 폐지된 여권 - 난센 여권
난센 여권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국적을 증명할 수 없는 난민과 무국적자의 여행을 위해 국제 연맹에서 발급한 문서이며, 1922년 처음 발급되어 52개국에서 인정받았고, 난센 국제 난민 사무소에서 관리하다가 그 공로로 1938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 대한제국 - 서대문형무소
서대문형무소는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으로 설립되어 1987년까지 사용된 한국 최초의 근대식 감옥으로, 독립운동가들이 투옥되어 고초를 겪었으며, 광복 후에는 서울구치소로 이름이 바뀌어 사용되다가 서대문독립공원으로 조성되어 서대문형무소역사관으로 개관하여 현재는 역사 교육의 장이자 과거사 반성의 공간이다. - 대한제국 - 의민태자
의민태자는 고종과 순헌황귀비 엄씨 사이에서 태어난 대한제국 최후의 황태자로, 영친왕 책봉 후 황태자가 되었으나 일본 유학 및 군 복무, 일본 황족과의 정략결혼, 광복 후 국적 미인정으로 일본에서 생활하다 귀국 후 영원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의민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대한제국 여권 | |
---|---|
일반 정보 | |
![]() | |
문서 이름 | 대한제국 집조 (大韓帝國 執照) |
로마자 표기 | Daehanjeguk Jipjo |
첫 발행 | 1902년 |
발행처 | 대한제국 외부 아문 |
문서 유형 | 여권 |
자격 | 대한제국 국민 |
2. 대한제국 시기
1902년 수민원에서 최초의 여권(집조)이 발급되었으며,[1] 1904년부터는 대한제국 외부에서 여권 발급을 담당했다.[2] 여권은 영어, 프랑스어, 한문으로 작성되었으며, 소지자의 이름, 주소, 나이, 목적지 등이 기록되었다.[6]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조선인들은 일본 제국 일본 외무성에서 발급한 일본 여권을 사용해야 했다. 하지만 조선인들이 일본 여권을 취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는데, 조선총독부는 원칙적으로 친일 협력자(민족반역자) 소수에게만 여권을 발급했고, 일본 경찰은 여권 발급을 위해 뇌물을 요구했다. 이 여권들은 BN(O) 여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신분 여권이었으며, 일본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3]
오늘날 남아있는 대한제국 여권은 극히 드물다. 2012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했던 안철영의 아들인 안형주가 국립중앙도서관에 2,500여 점에 달하는 한인 역사 관련 문서와 함께 안철영의 대한제국 여권을 기증했다.[4] 숭실대학교 박물관에는 1903년 민영환에게 발급된 여권이 소장되어 있다.[5]
2. 1. 집조 발급
광무 7년(1903년) 고종이 수민원을 신설하고 민영환을 총재로 임명하여 이주 노동자에게 집조(여권)를 발급했다.[6] 광무 8년(1904년)에는 전라도 창평에 거주하던 김만수(당시 23세)에게 집조가 발급되었다.[6] 집조에는 여행인의 이름, 주소, 나이, 여행 목적, 목적지 등이 영어, 프랑스어, 한문으로 명기되어 있다.[6]3. 일제강점기
1910년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조선인들은 일본 외무성에서 발급한 일본 여권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인들이 일본 여권을 취득하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당시 일본 제국의 통치자들은 소수의 조선인 협력자들에게만 여권을 발급해주었고, 일본 경찰은 여권 발급을 위해 뇌물을 요구하기도 했다. 일본 제국의 식민지 시대에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발급한 여권은 BN(O) 여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신분 여권이었으며, 일본 본토를 여행하기 위해서는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3]
3. 1. 일본 여권 발급의 어려움과 차별
1910년대 일제강점기가 시작되면서 한국인들은 일본 여권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원칙적으로 친일 협력자(민족반역자)에게만 여권을 발급했고, 일본 경찰은 여권 발급을 위해 뇌물을 요구하는 등 여권을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3] 이 여권들은 BN(O) 여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신분 여권이었으며, 일본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연합군 해상 봉쇄로 일본 출입이 불가능해진 식민 통치 말기에야 폐지되었다).[3] 이러한 상황 때문에 일부 한국인들은 중화민국 여권을 얻기 위해 중국 국적으로 귀화하기도 했다.[3] 하지만 미국으로 여행하려는 사람들에게는 이 방법이 또 다른 어려움을 야기했는데, 이 여권 소지자들은 미국의 중국인 배제법의 적용을 받았기 때문이다.[3]3. 2. 중국 국적 취득과 그 한계
일제강점기에는 한국인들이 일본 여권을 사용해야 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는 원칙적으로 친일 협력자(민족반역자) 소수에게만 여권을 발급했고, 일본 경찰은 여권 발급을 위해 뇌물을 요구했기 때문에 일본 여권을 얻는 것은 쉽지 않았다.[3] 심지어 이 여권들은 BN(O) 여권과 마찬가지로 식민지 신분 여권이었으며, 일본으로 여행하기 위해서는 특별 허가가 필요했다.[3] 따라서 일부 한국인들은 중화민국 여권을 획득하기 위해 중국 국적으로 귀화하기도 했다.[3] 그러나 이 방법은 미국으로 여행하려는 사람들에게는 또 다른 어려움을 야기했는데, 중화민국 여권 소지자는 미국의 중국인 배제법의 적용을 받게 되었기 때문이다.[3]3. 3. 상하이 임시정부의 여행 서류
상하이 임시정부와 연관된 한국인들은 그곳에서 여행 서류를 얻을 수 있었지만, 상하이 임시정부는 당시 중화민국(현재의 타이완) 정부만이 인정했기 때문에 그 효력이 보장되었다.[3] 한국이 미국에 의해 해방되자, 임시 한국 정부는 집조를 재발행했다.4.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기
5. 여권의 보존 및 전시
현존하는 대한제국 여권은 극히 드물다. 2012년 미국 하와이로 이주했던 안철영의 아들 안형주는 국립중앙도서관에 미주 한인 역사 문서 2,500여 점과 안철영의 대한제국 여권을 기증했다.[4] 숭실대학교 박물관에도 1903년 민영환에게 발급된 대한제국 여권이 보관되어 있다.[5]
참조
[1]
논문
Early Korean Immigrants to America: Their Role in the Establish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ttp://www.ieas.or.k[...]
2012-08-11
[2]
뉴스
한국이민사박물관 소장품: 1904년 대한제국 여권
http://www.dongponew[...]
2012-08-11
[3]
서적
Angel Island: Immigrant Gateway to Americ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2-08-11
[4]
뉴스
대한제국 여권 등 하와이 이민史 자료 2500점 기증
http://pann.news.nat[...]
2012-08-11
[5]
웹사이트
한국 근대의 민족운동
http://www.ssu.ac.kr[...]
Soongsil University Museum
2012-08-11
[6]
문서
'[한국이민사박물관 소장품] 1904년 대한제국 여권'
http://www.dongpon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