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항근은 한 쌍의 근육 또는 근육군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연합하여 한 방향으로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근육을 의미한다. 목, 허리, 상지대, 어깨, 팔꿈치, 전완, 손, 엉덩이, 무릎, 발, 발가락 등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서 굴곡, 신전, 외전, 내전, 회전 등 반대되는 운동 방향을 담당하는 근육들이 대항근 관계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육계 - 힘줄
힘줄은 건세포로 이루어진 밀집규칙결합조직으로, 근육과 뼈를 연결하여 힘을 전달하며, I형 콜라겐 섬유와 프로테오글리칸으로 구성되어 탄성과 강도를 가지며, 위치 힘줄과 에너지 저장 힘줄로 기능이 나뉘고, 손상 시 염증, 수복/증식, 개조 단계를 거쳐 치유되며, 과거에는 섬유로 활용되고 일부 문화권에서는 식용으로도 사용되었다. - 근육계 - 단백질 보충제
단백질 보충제는 근력 훈련과 함께 섭취 시 근육량 증가 및 근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과체중인 사람의 체중 및 지방 감소, 노인의 단백질 섭취 요구량 충족에도 기여할 수 있다.
대항근 | |
---|---|
근육 정보 | |
이름 | 대항근 |
라틴어 이름 | Musculus antagonista |
작용 | |
작용 설명 | 다른 근육의 작용에 반대하거나 저항하는 근육. 관절 움직임을 제어하고 안정화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
예시 | |
예시 설명 | 팔꿈치를 굽힐 때 상완이두근은 주동근, 상완삼두근은 대항근이다. 팔꿈치를 펼 때는 그 반대이다. |
2. 운동 방향
인체 각 부위의 운동은 주동근과 대항근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진다. 주동근은 특정 운동을 일으키는 주된 근육이며, 대항근은 주동근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여 움직임을 조절하고 관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부위 | 작용 | 주동근 | 대항근 |
---|---|---|---|
목 | 굴곡(앞굽힘) | 흉쇄유돌근, 추전근군 | 판상근군, 척주기립근군, 후두하근군, 단배근군 |
허리 | 굴곡 |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 장배근군, 단배근군 |
상지대 | 하제 (아래로 내림) | 쇄골하근, 소흉근, 승모근(하부) | 승모근(상부), 견갑거근, 능형근 |
어깨 | 내전 | 대흉근(복부), 대원근, 광배근 | 삼각근(중부), 극상근 |
팔꿈치 관절 | 신전 | 상완삼두근, 주근 | 상완이두근, 상완근, 완요골근 |
무릎 관절 | 내선(안쪽돌림) | 반막양근, 반건양근 | 대퇴이두근 |
2. 1. 목
흉쇄유돌근, 추전근군 ⇔ 신전(뒤굽힘): 판상근군, 척주기립근군, 후두하근군, 단배근군2. 2. 허리
- 굴곡: 복직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 신전: 장배근군, 단배근군
2. 3. 상지대 (어깨와 팔)
작용 | 주동근 | 대항근 |
---|---|---|
거상 (위로 올림) | 승모근(상부), 견갑거근, 능형근 | 쇄골하근, 소흉근, 승모근(하부) |
외전 (바깥쪽으로 벌림, 굴곡) | 전거근, 소흉근 | 승모근(중부), 능형근 |
상방 회전 (위쪽으로 돌림) | 승모근(상부·하부), 전거근 | 능형근, 소흉근 |
2. 4. 어깨 관절
- 굴곡(전방 거상): 삼각근(전부), 대흉근(쇄골부) ⇔ 신전(후방 거상): 삼각근(후부), 대원근, 광배근
- 외전(측방 거상): 삼각근(중부), 극상근 ⇔ 내전: 대흉근(복부), 대원근, 광배근
- 외선: 극하근, 소원근 ⇔ 내선: 견갑하근, 대원근
- 수평 굴곡(수평 내전): 내전 90°까지는 내전근의 작용, 삼각근(전부), 대흉근, 상완이두근, 견갑하근 ⇔ 수평 신전(수평 외전): 외전 90°까지는 외전근의 작용, 삼각근(중부·후부), 극하근, 소원근
2. 5. 팔꿈치 관절
- 굴곡: 상완이두근, 상완근, 완요골근 ⇔ 신전: 상완삼두근, 주근
2. 6. 전완 (아래팔)
- 아래팔의 회외(뒤침): 회외근, 상완이두근 ⇔ 회내(엎침): 방형회내근, 원회내근
2. 7. 손
- 굴곡(손바닥쪽 굽힘): 요측수근굴근, 장장근, 척측수근굴근 ⇔ 신전(손등쪽 굽힘): 장요측수근신근, 단요측수근신근, 척측수근신근
- 요굴(엄지쪽 굽힘): 장요측수근신근, 단요측수근신근 ⇔ 척굴(새끼손가락쪽 굽힘): 척측수근굴근, 척측수근신근
2. 8. 엉덩이 관절
- 엉덩이 관절 굴곡: 장요근, 대퇴근막장근, 대퇴직근, 치골근 ⇔ 신전: 대둔근, 대퇴이두근(장두), 반막양근, 반건양근
- 엉덩이 관절 외전: 대퇴근막장근, 중둔근 ⇔ 내전: 대내전근, 장내전근, 단내전근, 박근, 치골근
- 엉덩이 관절 외선: 대둔근, 외폐쇄근, 내폐쇄근, 상쌍자근, 하쌍자근, 대퇴방형근, 이상근 ⇔ 내선: 소둔근
2. 9. 무릎 관절
작용 | 주동근 | 대항근 |
---|---|---|
신전(폄) | 대퇴사두근, 대퇴근막장근 | 대퇴이두근, 반막양근, 반건양근 |
외선(가쪽돌림) | 대퇴이두근 | 반막양근, 반건양근 |
2. 10. 발
- 발의 신전(배굴): 전경골근, 장지신근, 제3비골근 ⇔ 굴곡(저굴): 장비골근, 비복근, 가자미근, 족저근
- 발의 내회전(회외+내전+저굴): 후경골근, 장지굴근 ⇔ 외회전(회내+외전+배굴): 장비골근, 단비골근
2. 11. 발가락
- 굴곡: 장지굴근, 장무지굴근 ⇔ 신전: 장지신근, 장무지신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