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니제 빌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니제 빌만은 스위스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197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트리플 러츠를 최초로 성공했으며, 빌만 스핀으로도 유명하다.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4위를 기록했으며, 198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도 우승했다. 아마추어 은퇴 후에는 프로 선수로 활동하며 챔피언십 챌린지에서 5번 우승하고, 2014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위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스테판 랑비엘
    스테판 랑비엘은 스위스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안무가와 코치로 활동하며 아이스 쇼에도 출연했다.
  • 스위스의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자라 마이어
    자라 마이어는 스위스 출신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은퇴 후에는 아이스 쇼 제작진과 스포츠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 스위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스테판 랑비엘
    스테판 랑비엘은 스위스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하고 올림픽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안무가와 코치로 활동하며 아이스 쇼에도 출연했다.
  • 스위스의 피겨스케이팅 선수 - 자라 마이어
    자라 마이어는 스위스 출신의 은퇴한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2011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은퇴 후에는 아이스 쇼 제작진과 스포츠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 198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얀 호프만
    얀 호프만은 동독 출신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로, 세계선수권과 유럽선수권에서 여러 차례 우승하고 1980년 동계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으며, 은퇴 후에는 정형외과 의사이자 피겨 스케이팅 심판으로 활동했다.
  • 1980년 동계 올림픽 피겨스케이팅 참가 선수 - 신혜숙
    신혜숙은 대한민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 출신 지도자로, 선수 시절 올림픽과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고 대한민국 선수권 대회에서 두 차례 우승했으며, 코치로 활동하며 김연아를 비롯한 다수의 대표적인 선수들을 지도하여 2002년 대한빙상경기연맹 최고 지도자상을 수상했다.
데니제 빌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80년 삿포로에서 열린 국제 대회 시상식 당시의 빌만(가운데)
1980년 삿포로에서 열린 국제 대회 시상식 당시의 빌만(가운데)
출생일1962년 12월 11일
출생지취리히주 취리히
1.60m
은퇴1981년 (18세)
선수 정보
종목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코치하이디 빌만 (어머니)
전 코치오토 휴긴
소속 클럽EC 취리히
기록여자 최초 3회전 루츠 성공
세계 랭킹정보 없음
시즌 랭킹정보 없음
주요 대회 성적
스위스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우승 (1979–1981)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금메달 (1981 하트퍼드, 여자 싱글)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금메달 (1981 인스부르크, 여자 싱글)
동메달 (1979 자그레브, 여자 싱글)

2. 선수 경력

취리히에서 태어난 빌만은 8세에 벨기에에서 열린 첫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고, 11세에 스위스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 어머니 하이디 빌만에게 피겨 스케이팅을 배웠으며, 베테랑 코치 오토 휴긴에게 입문했다. 빌만의 부모는 링크 대여료, 코치 비용 등을 감당하기 어려워, 어머니는 신문 배달을 하며 가계를 지원했다.[7]

빌만은 12세에 4종류의 3회전 점프를 뛰는 등 재능을 보였으나, 당시 채점 비율이 높았던 규정 연기를 어려워했다. 홈 링크가 야외였기 때문에 바람 때문에 규정 연습에 집중하기 어려웠고, 빌만 본인도 규정 연습을 싫어하여 프리 연습에 시간을 더 할애했다.[7] 9세부터 12세까지 아크로바틱 체조를 배운 덕분에 남다른 유연성을 갖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스핀인 빌만 스핀을 개발했다.

14세에 1977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처음으로 빌만 스핀을 선보였다. 관객들로부터 큰 박수를 받았지만, 심판의 평가는 기술점과 예술점에서 엇갈렸다. 당시 와타나베 에미는 빌만 스핀이 예쁘지 않다고 생각하는 심판도 있었을 것이라고 회고했다.[7] 빌만은 심판의 평점보다는 관객의 반응을 더 중요하게 생각했고, 꾸준히 근력 훈련을 하며 스핀과 점프 기술을 연마했다.

1978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여자 선수 최초로 3회전 러츠를 성공시키고, 빌만 스핀을 다시 선보여 기술점에서 만점 6.0점을 받았다. 그러나 예술점에서는 여전히 평가가 엇갈렸다. 빌만의 주목도가 높아지면서 여러 잡지에 특집 기사가 실렸고, 발레 레슨에도 힘을 쏟았다.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노릴 수 있는 선수라는 이유로 국가에서 연간 200만스위스 프랑의 훈련비를 지원받았다.[7]

1980년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올림픽 한 달 전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넘어지는 실수로 기권하면서 정신적으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아버지의 격려로 올림픽에 출전했다. 올림픽에서는 규정 연기 12위, 쇼트 프로그램 2위, 프리 스케이팅 1위를 기록하여 종합 4위에 올랐다.

올림픽 이후 홀리데이 온 아이스 측으로부터 다음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면 계약하겠다는 제안을 받고, 처음으로 이기기 위한 연습을 시작했다. 자크 게르슈빌러를 초빙하여 규정 연기를 특훈받고, 빌만 스핀을 더욱 발전시켰다.

1980-81 시즌 NHK배와 스위스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유럽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도 압승을 거두었다. 1981년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는 규정 연기 4위, 쇼트 프로그램 1위를 기록하며 종합 2위로 프리 스케이팅에 진출했다.

프리 스케이팅에서 라이벌 엘레인 자약이 3회전 점프를 7번 성공하며 맹추격했지만, 빌만은 3회전 점프 3번과 빌만 스핀 2번을 선보이며 관객들의 기립 박수를 받았다. 예술점에서 최고의 평가를 받으며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후 프로로 전향하여 홀리데이 온 아이스와 계약하고, 1979년과 1981년에 스위스 여자 스포츠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2. 1. 아마추어 경력

취리히에서 태어난 빌만은 8세에 벨기에에서 열린 첫 국제 대회에서 우승했고, 11세에 스위스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다.[2] 14세에 1977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여 프리스케이팅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다.

15세에 197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러츠 점프를 성공시켰다.[3] 같은 대회에서 영국 심판 폴린 보라조로부터 기술 심사에서 6.0점을 받은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3] 1979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4]

1980년 동계 올림픽에서 빌만은 필수 종목에서 12위, 쇼트 프로그램에서 2위, 프리스케이팅에서 1위를 차지하여 종합 4위를 기록했다.[3] 1981년 유럽 선수권 대회와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4]

빌만은 1981년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 직후 18세의 나이로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은퇴했다.

2. 2. 프로 경력

빌만은 아마추어 은퇴 이후 홀리데이 온 아이스(Holiday on Ice) 투어를 포함한 프로 쇼와 대회에 참가하며 국제 피겨 스케이팅계에 계속 관여하고 있다.[4] 텔레비전 진행자 피에르 가이젠세터와 함께 Pro7 시즌 1에 참가했으며, 배우 패트릭 바흐와 함께 시즌 2에 참가하기도 했다.

유로비전 댄스 콘테스트 2007에는 파트너 스벤 닌네만과 함께 스위스를 대표하여 참가했다.

가장 중요한 프로 이벤트로 여겨지는 챔피언십 챌린지에서 5번 우승을 차지했으며, 2014년에는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6]

3. 빌만 스핀

스케이트 선수가 한쪽 다리를 뒤에서 머리 위로 뻗어, 뻗은 다리를 손으로 잡은 상태를 '''빌만 포지션'''이라고 칭하며, 그 상태로 스핀을 하는 것을 '''빌만 스핀'''이라고 한다. 빌만 포지션 상태로 스파이럴을 하는 것을 '''빌만 스파이럴'''이라고 한다. 이것들은 매우 큰 유연성과 기술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중 관절 체질의 소유자, 혹은 어릴 때부터 스트레칭을 하는 등 고도의 신체 유연성을 가진 선수 외에는 거의 할 수 없다. 근육량의 관계상, 남성이 이것을 할 수 있는 선수는 매우 적다.

빌만 스핀의 명칭은 1977년에 특징적인 스핀을 성공시킨 데니제 빌만(Denise Biellmann)에서 유래되었지만, 그녀는 점프와 스핀의 회전 방향이 시계 방향인 선수였다. 빌만 스핀의 원형을 처음으로 선보인 스케이트 선수는 1960년대 중반에 활약한 구 소비에트 연방의 타마라 브라투스로 여겨진다.

최근 일본에서는 나카노 유카리가 2000년 시즌에 처음으로 국제 경기에서 빌만 스핀을 선보였지만, 1980년경부터 연기에 도입하는 선수가 있었다. 현재는 2006년 토리노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아라카와 시즈카 외에도, 세계 선수권 대회 2회 우승자인 안도 미키, 다케다 나야 등 많은 선수가 연기에 도입하고 있으며, 해외 여자 선수로는 이리나 슬루츠카야, 사샤 코헨, 알리사 시즈니 등이 주특기로 삼고 있다. 한 손으로만 잡고 빌만 스핀을 하는 선수로는 밴쿠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인 아사다 마오나, 미라 린, 미즈쓰 루미 등이 유명하다. 이리나 슬루츠카야는 '''빌만 스핀을 양쪽 다리로 회전'''할 수 있으며, 왼쪽 다리, 오른쪽 다리로 축 다리를 바꾸어 연속으로 빌만 스핀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빌만 스핀을 도입하는 남자 선수는 별로 없지만, 토리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예브게니 플루셴코와 소치 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하뉴 유즈루를 비롯해, 숀 소여, 데니스 텐, 시바타 료, 마이클 크리스찬 마르티네즈 등이 빌만 스핀을 선보이고 있다.

4. 주요 경기 결과

대회/연도1972-731973-741974-751975-761976-771977-781978-791979-801980-81
올림픽4
세계 선수권 대회15105561
유럽 선수권 대회643기권1
스위스 선수권 대회5.J1.J11322111
NHK 트로피1
리치몬드컵3


5. 저서

Denise Biellmann - Autobiografie|데니즈 빌만 - 자서전de. 카메오, 베른 2022, ISBN 978-3-03951-011-5.

참조

[1] 웹사이트 Shaw Communications http://www.members.s[...]
[2] 웹사이트 Denise Biellmann http://www.denisebie[...] 2024-05-20
[3] 뉴스 2011 European Championships Preview http://www.iceskatin[...] 2011-03-31
[4]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Figure Skating Scarecrow Press 2011
[5] 뉴스 The Year in Sports https://www.si.com/v[...] 1980-03-13
[6] 웹사이트 World Hall of Fame Members http://www.worldskat[...] World Figure Skating Museum and Hall of Fame 2019-08-16
[7] 뉴스 スポーツ大陸「スポーツ史の一瞬 喝采が生んだ奇跡のスピン フィギュア デニス・ビールマン」 日本放送協会(NHK) 2009-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