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술푸로콕쿠스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술푸로콕쿠스목은 고세균의 한 목으로, 데술푸로콕쿠스과와 피로디크티움과를 포함한다. 이들은 모두 호열성 세균으로, 피로디크티움과가 더 높은 온도에서 생육하며, 최적 생육 온도가 100°C를 초과한다. 반면, 데술푸로콕쿠스과는 최적 생육 온도가 80-95°C 정도이다. 분류는 16S rRNA 기반의 계통 분석 결과에 따르며,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 기반의 계통 분류가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균 - 메탈로스파에라속
    메탈로스파에라속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하는 고세균의 한 속으로, 16S rRNA와 53개 마커 단백질을 이용한 계통 분류가 이루어지며, 유해 금속 처리 활용 가능성이 연구된다.
  • 고균 - 스튀기올로부스속
    스튀기올로부스속은 혐기성, 극호열성, 극산성 환경에 서식하는 고세균 속으로, 바이러스 감염 연구, 특히 루디바이러스와 CRISPR 항바이러스 시스템 간의 상호 작용 연구를 통해 생명체의 방어 기작 연구에 기여하며, 과학 서적과 세균 분류 체계 연구에서도 다루어진다.
데술푸로콕쿠스목 - [생물]에 관한 문서
데술푸로콕쿠스목
Ignicoccus hospitalis (오른쪽 아래는 공생 Nanoarchaeum equitans)
분류 정보
도메인고균
크렌고균계
크렌고균문
테르모프로테우스강
데술푸로콕쿠스목
학명Desulfurococcales
명명자Huber and Stetter, 2002
하위 분류
하위 과
애시딜로바케아에
칼디스파에라케아에
데술푸로코카케아에
피로딕티아케아에
이명
이명애시딜로바레스 (Prokofeva et al. 2009)
Igneococcales (sic) Burggraf, Huber & Stetter 1997

2. 분류

현재 통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3]과 국립생물정보센터(NCBI)를 기반으로 한다.[4]

세포 형태는 원반형 또는 구균이다. 모든 종이 초고온균으로 분류되며, 90°C가 넘는 극도의 고온 환경에 분포한다. 해양성인 것이 많지만 온천 등에서 분리된 예도 있다.

''Aeropyrum''는 편성 호기성이며, ''Pyrolobus fumarii''는 통성 미호기성이다. 이들을 제외하고 대부분 편성 혐기성 생물이다. 다른 많은 종은 수소유기물, 질산, 티오황산 등을 이용하여 대사한다. 최적 pH는 5.5-7.5 부근이며, 극단적인 호산성 또는 호알칼리성을 나타내는 것은 없다.

2. 1. 계통 분류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3]과 국립생물정보센터(NCBI)[4]에 따르면 현재 통용되는 계통 분류는 아래와 같다.

16S rRNA 기반 LTP_06_2022[5][6][7]53개 마커 단백질 기반 GTDB 08-RS214[8][9][10]
style="vertical-align:top|



기본적으로 16S rRNA 계통 분석 결과가 분류에 반영되어 있으며, 데술푸로콕쿠스과와 피로디크티움과의 2개 과가 존재한다. 모든 종이 호열성 세균이지만, 피로디크티움과가 호열성이 더 높고, 최적 생육 온도가 대략 100°C를 초과한다. 반면에 데술푸로콕쿠스과는 최적 생육 온도가 80°C~95°C 정도로 약간 낮다.

2. 2. 하위 분류

현재 통용되는 분류는 명명법에 따른 원핵생물 이름 목록(LPSN)[3]과 국립생물정보센터(NCBI)[4]를 기반으로 한다. 기본적으로 16S rRNA 계통 분석 결과가 분류에 반영되어 있으며, 데술푸로콕쿠스과와 피로디크티움과의 2개 과가 존재한다. 모든 종이 호열성 세균이지만, 피로디크티움과가 호열성이 더 높고, 최적 생육 온도가 대략 100°C를 초과한다. 반면에 데술푸로콕쿠스과는 최적 생육 온도가 80-95℃ 정도로 약간 낮다.

  • 피로디크티움과 Pyrodictiaceae
  • 게오겐마속 "''Geogemma''"
  • 히페르테르무스속 ''Hyperthermus''
  • 피로디크티움속 ''Pyrodictium''
  • 피로로부스속 ''Pyrolobus'' - ''P. fumarii''


3속 5종이 정식으로 발표되었다. 매우 고온성으로, 1984년부터 ''Methanopyrus kandleri''로 갱신된 2008년까지 이 과의 세균이 생물의 최고 증식 온도의 기록을 가지고 있었다. ''Pyrolobus fumarii''는 최고 113℃에서 증식하며, 121°C 1시간의 오토클레이브를 견디는 세균으로 알려져 있다. Strain 121 (16S rRNA 배열로부터 잠정적으로 "Geogemma"에 소속)은 121℃에서 증식이 가능하다고 알려져 있다.

3. 참고 문헌


  • Cavalier-Smith, T (2002). “The neomuran origin of archaebacteria, the negibacterial root of the universal tree and bacterial megaclassification”. 《Int. J. Syst. Evol. Microbiol.》 52 (Pt 1): 7–76. doi:10.1099/00207713-52-1-7. PMID 11837318.
  • Burggraf S, Huber H, Stetter KO (1997). “Reclassification of the crenarchael orders and families in accordance with 16S rRNA sequence data”. 《Int. J. Syst. Bacteriol.》 47 (3): 657–660. doi:10.1099/00207713-47-3-657. PMID 9226896.
  • Huber H, Stetter KO (2001). 〈Order II. Desulfurococcales ord. nov.〉. DR Boone, RW Castenholz.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2판. New York: Springer Verlag. 169쪽. ISBN 978-0-387-98771-2.
  • Reysenbach, A-L (2001). 〈Class I. Thermoprotei class. nov.〉. DR Boone, RW Castenholz.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Volume 1: The Archaea and the deeply branching and phototrophic Bacteria》 2판. New York: Springer Verlag. 169쪽. ISBN 978-0-387-98771-2.

참조

[1] 서적 Encyclopedia of Microbiology https://doi.org/10.1[...] Academic Press 2009
[2] 간행물 Desulfurococcales https://doi.org/10.1[...] Springer, New York, NY 2006
[3] 웹사이트 Desulfurococcaceae http://www.bacterio.[...] List of Prokaryotic names with Standing in Nomenclature (LPSN) 2013-08-07
[4] 웹사이트 Desulfurococcaceae https://www.ncbi.nlm[...] 2013-08-07
[5] 웹사이트 The LTP https://imedea.uib-c[...] 2023-05-10
[6] 웹사이트 LTP_all tree in newick format https://imedea.uib-c[...] 2023-05-10
[7] 웹사이트 LTP_06_2022 Release Notes https://imedea.uib-c[...] 2023-05-10
[8] 웹사이트 GTDB release 08-RS214 https://gtdb.ecogeno[...] 2023-05-10
[9] 웹사이트 ar53_r214.sp_label https://data.gtdb.ec[...] 2023-05-10
[10] 웹사이트 Taxon History https://gtdb.ecogeno[...] 2023-05-10
[11] 웹인용 NCBI taxonomy resources ftp://ftp.ncbi.nih.g[...]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1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