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우스 엑스 마키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는 라틴어로 '기계에서 나온 신'을 의미하며, 극적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갑작스럽게 등장하는 외부적 요소를 지칭하는 문학적 장치이다.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유래하여, 극의 갈등을 해결하거나 결말을 맺는 데 사용되었다. 이 기법은 부자연스럽고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을 받기도 하지만, 셰익스피어, 몰리에르 등 여러 작가들이 사용했으며,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문학 기법 - 환유
환유는 사물이나 개념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연관된 다른 사물이나 개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수사법으로, 은유와 달리 유사성이 아닌 연관성에 기반하며, 일상 언어와 문학에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 문학 기법 - 일상물
일상물은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재현하는 것으로, 자연주의 연극의 현실 묘사 방법론, 문학의 서술 기법, 십대 멜로 드라마와 결합된 만화/애니메이션 장르로 나타나며, 한국 사회에서 소확행 트렌드와 함께 인기와 비판적 고찰 및 다양한 창작/소비 트렌드를 보여준다. - 라틴어 낱말 - 파르티잔
파르티잔은 정치적 목적을 가진 비정규군이나 민간인으로, 점령군이나 정부군에 저항하거나 특정 정치 세력을 옹호하며 게릴라전, 사보타주 등의 활동을 벌이는 집단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 라틴어 낱말 - 주사위는 던져졌다
주사위는 던져졌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루비콘 강을 건너기로 결심하며 사용한 유명한 문구로, 돌이킬 수 없는 결정을 내렸음을 의미하며, 결단력과 위험 감수를 상징하는 표현으로 사용된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 | |
---|---|
기본 정보 | |
유형 | 문학적 장치 |
기원 | 고대 그리스 연극 |
기능 | 플롯 문제 해결, 이야기 종결 |
어원 | |
라틴어 | "deus ex machina" (기계 장치에서 나온 신) |
설명 | |
정의 | 극적인 작품의 플롯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장치 |
특징 | 갑작스럽고 예상치 못한 등장 인위적인 해결책 제공 플롯의 논리적 흐름을 방해 |
예시 |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신의 등장 현대 영화에서 주인공의 갑작스러운 능력 발휘 |
비판 | |
문제점 | 플롯의 설득력 저하 독자/관객의 몰입도 감소 작가의 역량 부족으로 해석될 수 있음 |
활용 | |
긍정적 사용 | 예상치 못한 반전 효과 사회적 비판이나 풍자 |
부정적 사용 | 플롯의 약점 은폐 이야기의 깊이 부족 |
2. 어원 및 역사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는 그리스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아포 메카네스 테오스grc에서 온 라틴어 번역으로, "기계 장치에서 나오는 신"[37] 또는 "기계 장치의 신"[38] 등으로 번역된다.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 극장에서 신 역할을 하는 배우들이 기계를 이용해 무대에 등장하던 관습에서 유래했다.[7]
일반적인 복수형은 (데이 엑스 마키나) 또는 (디 엑스 마키나)이지만, 기계에 해당하는 단어도 복수형이 되는 "~엑스 마키니스"라는 산산조각난 느낌을 강조한 표현도 가끔 볼 수 있다. 여신의 경우 첫 번째 단어는 (데아), 복수형은 (데아이)가 된다.
井上勇는 創元推理文庫의 존 디킨슨 셰리던 레코크(Van Dine)의 『벤슨 살인 사건』에서 "때의 신"으로 번역하고 있다.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예상치 못한 전개를 가리키는 일본어 표현인 "반전"(가부키에서 큰 소품의 배경을 무너뜨려 순식간에 장면을 전환하는 "강도반"에서 유래) 또는 "초전개"와도 발상이 유사하지만, 이것들은 이야기를 해결로 이끄는 것만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2. 1. 고대 그리스 연극
''데우스 엑스 마키나''(Deus ex machina)는 라틴어 칼크로 그리스어 ''ἀπὸ μηχανῆς θεός''(apò mēkhanês theós)를 번역한 것이며, "기계에서 나온 신"이라는 뜻이다.[7] 이 용어는 고대 그리스 극장에서 유래되었는데, 신 역할을 하는 배우가 기계를 통해 무대에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기계는 배우를 위에서 내리는 크레인(''메카네'')이나 함정문을 통해 배우를 위로 올리는 승강 장치일 수 있었다. 아이슈퀼로스가 이 아이디어를 도입했고, 갈등을 해결하고 드라마를 마무리하는 데 자주 사용되었다. 이 장치는 주로 그리스 비극과 관련이 있지만, 코미디에도 등장했다.[8]아이스킬로스는 그의 희곡 ''에우메니데스''에서 이 기법을 사용했지만, 에우리피데스를 통해 확립된 무대 장치가 되었다. 에우리피데스의 현존하는 비극 중 절반 이상이 해결책으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사용하며, 일부 비평가들은 에우리피데스가 아이스킬로스가 아닌 이 기법을 고안했다고 주장한다.[9] 자주 인용되는 예로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가 있는데, 여기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태양신 헬리오스가 보낸 용이 끄는 전차로, 그의 손녀 메데이아를 남편 이아손에게서 벗어나 아테네의 안전한 곳으로 데려다준다. ''알케스티스''에서는 여주인공이 남편 아드메토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는 데 동의한다. 마지막에 헤라클레스가 나타나 알케스티스를 죽음으로부터 빼앗아 생명과 아드메토스에게 돌려준다.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 ''테스모포리아주사이''는 에우리피데스가 자주 사용하는 크레인을 풍자하여 에우리피데스 자신을 극중 인물로 만들고 ''메카네''를 통해 무대에 등장시킨다.
이 장치는 그리스 관객들에게 즉각적인 감정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신들의 등장에 경외감과 놀라움을 느꼈을 것이며, 이는 극의 도덕적 효과를 더하는 경우가 많았다.[10]
"데우스 엑스 '''마키나'''"와 같은 표기도 보이지만, 라틴어로는 잘못된 것이다.
희곡에 자주 등장하며, 특히 전성기 이후의 희곡에서 많이 사용된다. 아테네에서는 기원전 5세기 중반부터 사용되었다. 특히 에우리피데스가 즐겨 사용한 수법이다.
엑스 마키나(기계에 의해)란, 이 장면에서 신을 연기하는 배우가 크레인과 같은 장치로 무대(오케스트라)에 등장하는 것을 말하며, 이 장치가 "기계 장치"라고 불린 데서 유래한다.
2. 2. 근현대 연극
셰익스피어(Shakespeare)는 《뜻밖의 만남(As You Like It)》, 《티레의 페리클레스(Pericles, Prince of Tyre)》, 《심벨린(Cymbeline)》에서 이 기법을 사용했다.[11] 존 게이(John Gay)는 《거지 오페라(The Beggar's Opera)》에서 등장인물이 극의 흐름을 끊고 매캐스의 교수형을 면하게 하는 결말을 다시 쓰는 장면에서 이 기법을 사용했다. 정치적으로 격동적인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때때로 당시 권력자들에게 논란이 되는 주제를 더 받아들이기 쉽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몰리에르(Molière)의 《타르튀프(Tartuffe)》 마지막 장면에서, 영웅들은 자비롭고 모든 것을 보는 루이 14세(Louis XIV) 국왕의 대리인에 의해 끔찍한 운명에서 구원받는다 – 몰리에르의 경력과 생계를 손에 쥐고 있던 바로 그 국왕이다.[12]3. 문학적 장치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해당하는 그리스어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비극의 줄거리를 해결하는 기법으로 사용했다.[8] 이는 이야기의 내적 논리를 손상시키고, 종종 너무 비현실적이어서 독자의 믿음의 정지에 도전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여겨지며, 작가의 창의력 부족을 암시한다고도 한다.[13]
다음은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 나타난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예시이다.
- 2019년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 각본가들은 시간 여행 플롯 장치가 전편에서 스스로 궁지에 몰린 결과라고 인정했다.[14] 또한, 영화 클라이맥스에서 캡틴 마블의 갑작스러운 등장은 기계적 개입에 가깝다는 비판을 받았다.[15]
-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에서 모르도르에서 프로도와 샘을 구출하는 큰 독수리들은 기계적 개입으로 비판받았다.[16][17]
- ''파리 대왕'': 지나가던 해군 장교가 표류한 아이들을 구출한다. 윌리엄 골딩은 그것을 "장치"라고 불렀고, 다른 비평가들은 그것을 기계적 개입으로 본다.[18]
-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스는 로즈 메일리가 올리버의 이모로 밝혀지는 장치를 사용했다.[19]
- ''우주 전쟁'': H. G. 웰스의 소설에 나오는 화성인들은 갑자기 박테리아에 의해 죽는다.[20]
3. 1. 개념 및 비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시학』에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며, 극의 줄거리를 해결하는 기법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야기의 내적 논리가 손상되고 비현실적이어서 독자의 믿음의 정지를 방해한다고 주장했다.[13]이 기법은 비예술적이고, 지나치게 편리하며, 단순하다는 비판을 받는다. 그러나 옹호하는 사람들은 이념적, 예술적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말한다.[23][24]
안티파네스는 초기 비평가 중 한 명으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사용은 극작가가 줄거리의 복잡성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한다는 신호라고 믿었다.[25] 플라톤의 대화편 ''크라튀로스''에서도 이 장치에 대한 비판이 나타난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줄거리 해결이 극 내부에서 발생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외부 장치는 극 외부의 문제나 인간의 지식을 넘어서는 사건에 사용되어야 한다고 말했다.[26]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에우리피데스가 불행한 결말을 맺는 것을 칭찬하며, "놀라움"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에서 신의 개입을 어느 정도 변명했다.[27]
호라티우스는 ''시예술론''에서 "신이 해결할 만한 어려움이 발생하지 않는 한" 줄거리 해결에 신을 사용하지 말라고 조언했다.[28] 르네상스 시대 비평가들도 아리스토텔레스의 견해를 따라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서투른 기법으로 간주했지만, 르네상스 극작가들은 계속 사용했다.
19세기 말 프리드리히 니체는 에우리피데스가 이 기법을 사용해 비극을 낙관적인 장르로 만들었다고 비판하며, "그리스적 쾌활함"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소크라테스적 문화의 증상이며, 비극의 죽음을 초래했다고 주장했다.[29][30] 니체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허위의 위안감을 조성한다고 주장했다.[31] 이러한 비판적 견해가 우세하게 되었다.
아서 울가 베럴은 19세기 후반의 반응들을 조사하며, 비평가들이 이 기법을 사용하는 작가들에게 무관심한 반응을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비평가들이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작가가 작품을 망치려는 시도의 증거라고 느낀다고 결론 내렸다.[25]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에우리피데스의 데우스 엑스 마키나 사용을 특정 목적을 위한 필수적인 부분으로 묘사했다. 신들이 갈등을 시작했으므로, 신들이 해결하는 것이 이치에 맞는다고 주장했다.[32] 에우리피데스의 희곡 중 절반이 데우스 엑스 마키나로 끝나므로, 단순한 당혹감 해소 기법이 아니라 자연스럽고 품위 있는 결말을 위한 것이었다.[33]
일부 옹호자들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파괴적인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일반적인 관습을 약화시키고 문화적 가정에 도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믿는다.[24] 20세기 수정주의 비평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필멸자와 신의 관계를 탐구하게 해준다고 주장한다.[34] 러시 레엄은 그리스 비극에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등장인물들의 삶과 태도를 복잡하게 만들면서 극을 관객에게 전달하는 예시를 제시한다.[34]
유대에서 그리스도 시대에 살았던 브라이언이 외계 우주선에 의해 추락을 막는 『몬티 파이썬의 삶의 의미』의 장면처럼,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비현실성이 의도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35]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이미 이 기법은 비판받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칭찬받는 해결 방법이 아니며, 연극의 이야기는 필연성을 수반한 인과 관계에 기반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꿈에서 깨는 결말"은 데우스 엑스 마키나이며, 데즈카 오사무는 금기로 여겼다.[39] 현대 만화나 라이트 노벨의 스핀오프 작품에서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예가 적지 않다. 이 경우 본편의 주인공 또는 라이벌이 스핀오프 작품 주인공의 위기를 구하는 경우가 많다.
3. 2. 현대 문학 및 미디어에서의 예시
아이스킬로스는 그의 희곡 ''에우메니데스''에서 이 기법을 사용했지만, 에우리피데스를 통해 확립된 무대 장치가 되었다. 에우리피데스의 현존하는 비극 중 절반 이상이 해결책으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사용하며, 일부 비평가들은 에우리피데스가 아닌 아이스킬로스가 이 기법을 고안했다고 주장한다.[9] 자주 인용되는 예로는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가 있는데, 여기서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태양신 헬리오스가 보낸 용이 끄는 전차로, 그의 손녀 메데이아를 남편 이아손에게서 벗어나 아테네의 안전한 곳으로 데려다준다. ''알케스티스''에서는 여주인공이 남편 아드메토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내놓는 데 동의한다. 마지막에 헤라클레스가 나타나 알케스티스를 죽음으로부터 빼앗아 생명과 아드메토스에게 돌려준다.아리스토파네스의 희곡 ''테스모포리아주사이''는 에우리피데스가 자주 사용하는 크레인을 풍자하여 에우리피데스 자신을 극중 인물로 만들고 ''메카네''를 통해 무대에 등장시킨다.
이 장치는 그리스 관객들에게 즉각적인 감정적 반응을 불러일으켰다. 신들의 등장에 경외감과 놀라움을 느꼈을 것이며, 이는 극의 도덕적 효과를 더하는 경우가 많았다.[10]

셰익스피어(Shakespeare)는 《뜻밖의 만남(As You Like It)》, 《티레의 페리클레스(Pericles, Prince of Tyre)》, 《심벨린(Cymbeline)》에서 이 기법을 사용한다.[11] 존 게이(John Gay)는 《거지 오페라(The Beggar's Opera)》에서 등장인물이 극의 흐름을 끊고 매캐스의 교수형을 면하게 하는 결말을 다시 쓰는 장면에서 이 기법을 사용한다. 정치적으로 격동적인 17세기와 18세기 동안, ''데우스 엑스 마키나''는 때때로 당시 권력자들에게 논란이 되는 주제를 더 받아들이기 쉽게 만들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몰리에르(Molière)의 《타르튀프(Tartuffe)》 마지막 장면에서, 영웅들은 자비롭고 모든 것을 보는 루이 14세(Louis XIV) 국왕의 대리인에 의해 끔찍한 운명에서 구원받는다.[12]
2019년 영화 ''어벤져스: 엔드게임''의 각본가 크리스토퍼 마커스와 스티븐 맥필리는 이 영화의 시간 여행 플롯 장치가 전편에서 스스로 궁지에 몰린 결과라고 인정했다.[14] 또한, 영화의 클라이맥스에서 캡틴 마블의 갑작스러운 등장은 "그녀의 최종 전투에 대한 늦은 도착은 그녀의 능력이 너무 강력하기 때문인 것 같다"는 이유로 기계적 개입에 가깝다는 비판을 받았다.[15]
J. R. R. 톨킨의 ''반지의 제왕''에서 모르도르에서 프로도와 샘을 구출하는 큰 독수리들은 기계적 개입으로 비판받았다.[16][17]
''파리 대왕'': 지나가던 해군 장교가 표류한 아이들을 구출한다. 윌리엄 골딩은 그것을 "장치"라고 불렀고, 다른 비평가들은 그것을 기계적 개입으로 본다. 갑작스러운 결말은 그 순간 장교가 도착하지 않았다면 아이들에게 어떤 끔찍한 운명이 닥쳤을지를 보여준다.[18]
''올리버 트위스트'': 찰스 디킨스는 로즈 메일리가 아그네스의 오랫동안 잃어버린 여동생이자 따라서 올리버의 이모로 밝혀지는 장치를 사용했으며, 그녀는 오랜 연인 해리와 결혼하여 올리버가 구세주인 브라운로우 씨와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한다.[19]
''우주 전쟁'': H. G. 웰스의 소설에 나오는 화성인들은 그들의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고 인류를 정복한 것처럼 보였지만, 갑자기 박테리아에 의해 죽는다.[20]
- 소포클레스 『필록테테스』: 오디세우스의 설득을 거부하는 필록테테스에게 신이 된 헤라클레스가 나타나 아카이아 군에 대한 지원을 명령한다.
- 에우리피데스 『오레스테스』: 어머니를 죽인 오레스테스는 미쳐 엘렉트라와 함께 사형을 선고받는다. 오레스테스는 그 원인이라고 여긴 메넬라오스의 아내와 딸을 죽이려 하지만, 아폴론의 뜻으로 화해한다.
- 에우리피데스 『타우리스의 이피게네이아』: 도망친 오레스테스와 이피게네이아를 쫓으려던 타우리스의 영주에게 여신 아테나가 나타나 추격자들을 막는다.
- 셰익스피어 『한여름밤의 꿈』: 요정왕 오베론의 사랑의 묘약 때문에 복잡하게 얽혀 있던 네 사람의 관계가 정리되고, 서로 사랑하는 두 쌍의 연인이 탄생한다.
- 모차르트 『이도메네오』: 왕이 왕자를 제물로 바치려고 하자, 왕자의 연인이 스스로 희생하겠다고 나서자, 신의 목소리가 울려 퍼지며 모든 것이 용서된다. 고전적인 데우스 엑스 마키나의 사용 방식이다.
- 베버 『마탄의 사수』: 주인공 막스는 백발백중의 악마의 마탄으로 속임수를 써서 사격 대회에 나갔다가 연인을 쏘게 되지만, 총알이 빗나가 악마 자미엘과 계약했던 악당 사냥꾼(막스를 부추긴 장본인이기도 함) 카스파르에게 맞아 죽는다. 마지막에 은둔자가 나타나 모든 것을 용서한다.
- 『수도황문』(일본의 텔레비전 드라마): 매회 후반부에 등장하는 아오이의 문장의 인롱이 데우스 엑스 마키나에 가깝다고 여겨진다(마쓰다 오사무, 모리모토 테쓰로 등의 주장).[40]
4. 의학 분야에서의 사용
의학에서 이 표현은 실제로 효과가 없을 가능성이 높은, 소위 "마법 같은 치료법"에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어, 2020년 코로나19 발생 당시 말기 코로나19 환자를 위한 이중 폐 이식이 제안되었을 때, 그것은 즉시 "기적적인 해결책"으로 비난받았다.[21] 2006년에 전자 태아 심박 모니터링이 뇌성마비의 예방책으로 홍보되었을 때, ''뉴잉글랜드 의학 저널''은 그것을 "기적적인 해결책"으로 비난했다.[22]
5. 기타 개념
(하위 섹션 '기계로부터의 기계'와 내용이 중복되므로 삭제)
5. 1. 기계로부터의 기계 (Machina ex machina)
신학, 컴퓨터 과학, 로봇 공학 및 AI 기술 분야의 사고 실험과 추측들은 '기계로부터의 기계'(machina ex machina) 즉, 자기 복제 자동 기계의 가능성과 결과를 고려해 왔다.[36]참조
[1]
서적
Random House Dictionary
[2]
서적
A Reader's Guide to Literary Terms: A Dictionary
https://books.google[...]
Noonday Press
1961
[3]
웹사이트
Deus Ex Machina - Examples and Definition
https://literarydevi[...]
2021-04-23
[4]
사전
deus ex machina
https://www.merriam-[...]
2018-04-23
[5]
웹사이트
Deus ex machina
https://www.britanni[...]
2018-04-23
[6]
웹사이트
God Out of the Machine – Theatrical Literary Devices - Oxford Study Courses
https://oxfordstudyc[...]
2015-09-14
[7]
문서
Menander: The Principal Fragments
1921
[8]
논문
"Deus-Ex-Machina" reconstruction in the Athens theater of Dionysus
2013-09
[9]
문서
1992
[10]
논문
Medea ΑΠΟ ΜΗΧΑΝΗΣ
1954-07
[11]
문서
1992
[12]
웹사이트
Tartuffe: Novel Guide
http://www.novelguid[...]
2011-11-02
[13]
웹사이트
Literary Terms and Definitions: D
http://web.cn.edu/kw[...]
2008-07-26
[14]
뉴스
Even The Avengers: Endgame Writers Admit Time Travel Is Ludicrous
https://www.cinemabl[...]
[15]
뉴스
How did 'Avengers: Endgame' get Captain Marvel so wrong?
https://www.usatoday[...]
[16]
웹사이트
Top 10 Deus Ex Machina moments
https://web.archive.[...]
[17]
서적
Fantasies of Time and Death: Dunsany, Eddison, Tolkien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9-12-26
[18]
서적
William Golding's Lord of the Flies
Infobase Publishing
2008
[19]
서적
A Glossary of Literary Terms
Harcourt Brace & Company, USA
1993
[20]
서적
The Greenwood Encyclopedia of Science Fiction and Fantasy: Themes, Works, and Wonders, Volume 1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5
[21]
논문
Beware the Deus Ex Machina of COVID-19
2020-12
[22]
논문
Obstetricians still await a deus ex machina
2006-11
[23]
논문
In defence of deus ex machina
https://www.ingentac[...]
2022-07-01
[24]
논문
Ghosts in the Machina: Plotting in Chartist and Working-Class Fiction
2005-06
[25]
논문
Shaw's response to the deus ex machina: From the Quintessence of Ibsenism to Heartbreak House
https://books.google[...]
1999-01
[26]
문서
1987
[27]
서적
Poetics
Penguin
1996
[28]
웹사이트
Ars Poetica by Horace
http://www.poetryfou[...]
2017-09-21
[29]
문서
2003
[30]
문서
2003
[31]
문서
2003
[32]
논문
Euripides' Deus ex Machina: Fault or Excellence
1954-12
[33]
서적
The Greek Theatre and its Dram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26
[34]
문서
1992
[35]
웹사이트
Review: Life of Brian
http://preview.reelv[...]
2003
[36]
서적
Animals and Science: A Guide to the Debates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4-07-06
[37]
백과사전
デウス・エクス・マキナ
https://kotobank.jp/[...]
Britannica Japan
2014
[38]
백과사전
デウス・エクス・マキナ
https://kotobank.jp/[...]
小学館
[39]
서적
漫画の描き方 似顔絵から長編まで
光文社
1977
[40]
서적
水戸黄門「漫遊」考
講談社学術文庫
2012
[41]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Deus ex Machina after Euripides?
http://ablemedia.com[...]
2011-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